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법렬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0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3 No.1
The wind responses of twin buildings are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wind loads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al systems of the building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wind pressure that influence wind responses were identified for two different spacings between the twin buildings using a wind tunnel test and the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POD) method. Structural dynamic characteristics were also identified using 3D structural system modeling. The double modal transformation method was utiliz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wind pressure for across-wind and along-wind conditions and the effect of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each structure on the wind responses . The channeling and vortex effec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OD method. Across-wind load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pacings between the twin buildings, whereas along-wind loads were minimally affected. Similarly, while using the double modal transformation metho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iced in case of the cross-participation coefficients in the across-wind direction condition for the different spacings between the buildings; however, the along-wind direction condition showed negligible difference. Therefore, the spacing between the two buildings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across-wind responses compared to along-wind responses. 트윈 빌딩의 풍응답은 풍하중의 공력 특성과 트윈 빌딩 구조 시스템의 동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트윈 빌딩의 두 빌딩의 간격이 다른 두 경우에 대해서 풍응답에 영향을 주는 풍압의 특성을 풍동 실험과 적합 직교 분해 기법을 이용해 파악하고, 3차원 구조 시스템 모델링을 통해 동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중 모달 변환 기법을 이용해서 각 풍압의 특성과 구조물의 동특성이 풍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적합 직교 분해 기법을 통해서 채널링과 와류 효과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었다. 풍 직각 뱡향의 풍하중은 두 빌딩의 간격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풍 방향의 풍하중은 간격에 영향을 적게 받았다. 마찬가지로, 이중 모달 변환 기법에서 교차 참여 계수는 풍 직각 방향에서는 두 빌딩의 간격에 따라 크게 달라진 반면, 풍 방향은 영향이 적었다. 이에 따라 두 빌딩의 간격이 풍 방향의 풍응답 보다 풍 직각 뱡향의 풍응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탁한명(Hanmyeong Tak)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5
다양한 암석에서 발달하는 풍화혈은 기반암의 암석학적 특징과 형성과정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지형이다. 사천시 다평리 해안은 이암과 사암의 호층이 분포하는 곳으로 사암이 노출된 지역의 쇼어플랫폼과 해식애에서 다양한 풍화혈이 발달하였다. 절리의 발달, 광맥의 관입, 암석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풍화혈의 발달 특성과 분포의 공간적 한계를 분석하기 위해 지형조사, XRD분석, 편광현미경 관찰을 수행하였다. 조사 및 분석결과 이곳은 타포니와 나마가 동일한 지역에 분포하는 지역적 특성을 보이며, 절리의 확대, 성장에 의해 기존 풍화혈이 파괴되고 새로운 타포니가 형성되고 있다. 석영맥으로 밝혀진 광맥은 절리와 결합하여 풍화혈의 발달을 가속화시키기도 하지만, 풍화혈의 성장방향에 수직으로 관입한 광맥은 성장을 방해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풍화혈은 암석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암석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암과 같이 쪼개짐과 깨짐이 발달한 미립질의 암석에서는 풍화혈의 성장이 제한된다. Weathering hollows which develop on various rocks are the terrain whose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of the bed rock is under active discussion. The shore in Dapyeong-ri, Sacheonsi has alternation of strata of pelite and sandstone, and the weathering hollows develop on the shore platform and the sea cliff where sandstone is exposed. To analyze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weathering hollows by development of joints, interpenetration of veins and physical and chemical features of the stone, the study conducted a topographic investigation, XRD analysis and an observation using a polarizing microscope. A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tafoni and gnamma are spread in the same area and new tafoni is being formed as the existing weathering hollows are destroyed by the expansion and growth of the joint. The vein, which was found to be a quartz vein, may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weathering hollows combining with the joint but may also hamper their growth if the veins are penetrating perpendicularly. It is generally known that weathering hollows develop regardless of the type of rocks, however, the analysis on the lithological features show that the development is limited on the fractured and broken rocks.
김성혜,강석근 한국국악학회 2009 한국음악연구 Vol.45 No.-
이 글은 현재 국립국악원에서 전승하고 있는 궁중음악 가운데 ‘유황곡’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 시도된 논문이다. 『세종실록』에 유황곡은 풍입송조로 연주했다고 기록되었으나 기존 연구자들은 풍입송 가락의 일부분을 드러내서 순서도 앞뒤를 바꾸어 재구성한 형태라고 인식해 왔다. 이에 문제를 제기하여 풍입송을 분석하고 구조를 파악한 다음 유황곡과 비교한 결과, 유황곡은 풍입송을 재구성했다기보다 일부분의 가락을 그대로 드러낸 형식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선율은 풍입송을 그대로 따랐지만, 장단형과 박의 위치는 풍입송과 다른 성격임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유황곡 선율 속에는 고려가요 풍입송조가 내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the right understanding of “Yuhwanggok”(‘維皇曲’), a piece of court music, as it is inherit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Researchers think that some portion of “Pungipsong” was adopted and rearranged to be “Yuhwanggok,” while Sejongsillok(『世宗實錄』) says that “Yuhwanggok” was performed in the style of “Pungipsong”(‘風入松’). Being interested in that point,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Pungipsong” and compared it with that of “Yuhwanggok”. After that it is figured out that there was no rearrangement, which means “Yuhwanggok” is purely and simply taken from “Pungipsong”. It has the same melody as that of “Pungipsong” but its rhythm and arrangement of the bag(박) are different. It can be concluded that “Yuhwanggok” keeps a portion of “Pungipsong,” a piece of goryeogayo(高麗歌謠), almost intact.
아파트 주거동 형태 및 배치에 따른 단지 내 풍환경 예측평가에 관한 연구
한효진,양정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2
최근 인간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아파트 단지 내 실외 풍환경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쾌적한 삶의 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아파트 주동 형상 또는 배치에 따른 주변의 풍 환경을 철저히 예측하고 미리 대책을 세워야한다. 이렇게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풍환경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파트 주거동의 형태적· 배치적 특성을 수치유체역학(CFD : Computational Fluid Dynamic)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아파트 설계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풍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제공하는 정보는 풍속분포 특성 및 무풍영역, Murakami 풍속비 그리고 주동의 압력분포에 한한다.
최락용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4 No.-
민요는 민중 전체의 노래라고 하지만, 누가 어떻게 해서 부르는가에 따라 성격이 달라지며, 생활의 거의 전 영역에 걸친 기능에 따라 각기 특이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 종류를 열거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다양하고 풍부하다. 본고는 민요를 정면으로 다루기보다는 문학적·연극적인 개념인 ‘희극성’을 동원해, 민요의 한 갈래인 풍소요의 해학과 풍자성을 엿보는 작업이었다. 이는 굿과 일, 놀이, 노래의 의미와 기원이 같고, 사람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인간 고유의 것이라 점에서, 그리고 가장 민중적이고 민주적이라는 점에서 가능한 일이었다. 선학들도 연구를 통해 비슷한 견해를 폈다. ‘풍소요’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임동권은 ‘소박성’과 ‘해학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하면서, ‘소박성’이 인간적 본연의 순진성을 의미하고, 기교와 과장이 없는 것으로 봤고, ‘해학성’은 사회체제에 대한 불만이 있을 때의 풍자로서, 악의 없는 명랑성을 보여준다고 보았다. 박경수는 “풍소유희요는 어떤 대상을 놀리거나 풍자하기 위한 놀이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그래서 노래의 내용은 자연 놀이의 대상을 우스꽝스럽거나 혹은 특이하게 묘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고 말했다. ‘풍소요’에는 첫째, 풍소의 대상에 따라 인물의 모습이나 신분 등을 해학적으로 묘사하거나 풍자하기 위해 부른 ‘인물유희요’, 둘째, 신체의 비정상적인 모습이나 특이한 모습을 희롱해서 부른 ‘신체유희요’, 셋째, 버릇이 유별난 사람을 놀리거나, 상대편을 욕설, 비방할 때 하는 ‘버릇유희요’가 있으며, 따로 항목이 분류되어 있지 않으나 풍소요의 요소를 두루 갖춘 성(性) 혹은 음담(淫談)과 관련된 노래들이 있다. ‘풍소요’는 결국 “야유, 조롱, 농담”이며 “사람, 동물, 사물의 움직임을 모방하여 표현하려는 본능”에서 나온 것이고, 풍자와 자유로운 쾌활성으로 굿, 일, 놀이의 세 가지 생활양식이 함께 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mic characteristics of Pungsoyo. Pungsoyo is kind of Korean traditional folk song. Korean traditional folk song has been defined in several way: as music transmitted by mouth, as music of the lower classes, and as music with unknown composers. And it is music that has been transmitted and evolved by a process of oral transmission or performed by custom over a long period of time. Traditional folk song has a continuity, a variation and selection. Thus, Pungsoyo had been handed down orally among the people. Pungsoyo means satire and ridicule in literally, used by Im Dong Gwon at first. He understood it in sense of a native and humor. Former is purity of human nature, and there is no an excessively elaboration as well as exaggeration. Latter shows a brightness, as a satire when people dissatisfied with the regime. There are so many kinds of occidental comedy. A comedy consists of a wit, a satire, a irony, humor, parody, a mimicry, and so on. May people often says that a humor has a very highly aesthetic value in comic techniques. Pungsoyo has various kinds of songs according as the object of an satire and ridicule, especially specified persons. First, ‘Inmulyuheeyo’ ridicules a certain person’s figure and character, social status. Secondly, ‘Sincheyuheeyo’ make fun of foolish, silly, idiotic, stupid, and disabled persons. Thirdly, ‘Beorukyuheeyo’ make fool of ill-behaved, rude, impolite, discourteous men, and the moment of rebuking, abusing and insulting. At last, I would want including of gaudy, garish, and sexual songs. even if there are no classified an item. At any rate, Pungsoyo is ridicule, a mockery, a joke and jest, besides mimicry of human, animals and objects. It has freely, lively, and satirical characteristics. It is so soulful. And also, it has influenced on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that is, ‘Pansori’, ‘Talnori(Korean mask drama)’, ‘Kokdugaksinorum(Korea an puppet theatre)’, and so on.
풍해 위험도 평가 시스템을 통한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적용 방안
이동현,김진호,구자섭,변천일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본 연구에서는 풍해 위험도 평가 IT 기반 시스템을 이용하여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서 바람재해 위험요인 평가의 적용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바람재해 위험요인 평가의 경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바람의 영향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미국재난관리청(FEMA)에서는 HAZUS-MH를 개발하여, 재해 발생에 따른 피해액 산출 및 피해 예측을 통해 재해피해 경감 정책 개발, 사전대비 계획, 구호 및 복구 계획 수립의 근거를 위한 의사결정지원도구로 활용하고 있고, 대만의 경우 HAZUS-MH를 자국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외시스템 도입 시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추가 개발 비용이 들어 도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매년 반복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과학적인 방법에 의한 위험도 산정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과학적인 재난대처의 한계가 있으며, 자연재해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방재정책의 효율적인 확립을 위해 국내 실정에 맞는 위험도 평가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풍해 위험도 평가 IIT 기반 시스템은 강풍위험요인 평가 모형, 강풍 취약도 평가 모형, 풍해 위험도 평가 모형, 풍해 위험지표 평가 모형을 기반으로 공간정보 및 시설물 DB를 활용하여 도시 풍해 위험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피해 규모에 대한 예측 및 분석을 통해 과학적인 내풍저감대책 수립의 기틀을 마련하고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의 의사결정지원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현재단계는 시범도시인 여수시 및 강릉시에 대하여 구축되어 있는 실정으로 전국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건웅(Gunwoong Lee),서보윤(Boyoon Seo),양덕모(Deokmo Yang),방미영(Meeyoung Bang)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1
섬 어촌 풍도는 경기도 안산에 소재한 섬으로 인구소멸이 진행 중인 대표적인 섬이다. 풍도는 돌산으로 구성되어있고, 자갈과 바위로 돼 해변이 없으며 어장자원이 빈곤해 어업이 불가능한 섬이다. 2월에서 4월까지 야생화가 빼어나지만, 기간이 짧아 야생화 마니아를 중심으로 한 관광자원도 빈곤한 한계가 있다. 반면에 지역 어민이 많지 않고 외부관광객이 적어 다른 섬에 비해 자원 훼손이 적고 한적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와 어민을 상대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청취한 내용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또한, 풍도의 인문지리 특성과 SWOT 분석을 통해 풍도의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을 분석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풍도의 어민역량 강화를 위한 다섯 가지 제안을 통해 풍도의 지속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풍도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대변되는 우리나라 섬 어촌계의 전형적인 사례로 이를 통해 섬 어촌의 사례를 분석해 콘텐츠가 있는 풍족한 섬 어촌이될 수 있도록 대안과 방안을 제시해 본다. Pungdo, an island fishing village located in Ansan, Gyeonggi-do, is a representative island that is undergoing population extinction. Pungdo is an island composed of stony mountains, made of pebbles and rocks, and has no beach, and fishing is not possible due to poor fishery resources. Wildflowers are outstanding from February to April, but due to the short period, tourism resources centered on wildflower enthusiasts are also poor.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t many local fishermen and there are few outside tourists, so it has the advantage of less damage to resources and quietness compared to other islands.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ntents of listening to various opin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shermen. In additi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Pungdo were analyzed through the human geography characteristics and SWOT analysis of Pungdo, and directions were presented. The sustainability of Pungdo is presented through five proposals to strengthen the fishermen's competency of Pungdo. Pungdo is a typical case of Korean island fishing villages represented by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and through this, we will analyze the case of island fishing villages and suggest alternatives and measures to make it a prosperous island fishing village with contents.
곽노봉(郭魯鳳) 한국서예학회 2016 서예학연구 Vol.28 No.-
『서개』는 유희재가 지은 『예계』 중에서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것으로 오로지 서예에 대한 문제를 총 246조목으로 나누어 개괄하면서 논한 저서이다. 『서개』의 구성과 내용은 크게 001-062조목까지 서예의 역사적 고찰, 063-168조목까지 진나라에서 송나라에 이르기까지의 비와 첩에 나타난 서예에 대한 연구, 169-246조목까지 필법론으로 먼저 용필ㆍ장법ㆍ집필ㆍ서풍에 대해 기술하고, 마지막은 서예란 무엇인가에 대해 논술하며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서학의 논리체계에 의해 심미론ㆍ서체론ㆍ창작론ㆍ풍격론ㆍ서품론으로 나누어서 유희재의 서학사상을 연구하였다. 심미론의 서학사상은 유교를 위주로 하면서 각종 유파의 학설을 광범위하게 취하였고, 서체론은 ‘변(變)’과 ‘통(通)’을 통한 ‘서체호통(書體互通)’설, ‘여고위도(與古爲徒)’ㆍ‘관기회통(觀其會通)’이 중심을 이루었으며, 창작론은 ‘입상이진의(立象以盡意)’를 본질로 삼고, 서학은 심학이기 때문에 ‘관아(觀我)’ㆍ‘통덕(通德)’을 통해 자신의 풍부한 개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었다. 풍격론은 역대 서예가들과 서예의 풍격 분석 및 시대서풍을 논술한 데에서 독특한 관점을 나타내었고, 서품론은 관물(觀物)ㆍ관아(觀我)의 통일, 아신(我神)ㆍ타신(他神)의 구별, 성정 표현을 본질로 삼고 서여기인(書如其人)을 제시하였다. 『서개』의 가치와 영향은 비록 말은 간단하지만 뜻을 갖추었고, 체제는 주도면밀하면서 상세하며, 사상과 체계는 심각하고 풍부하며, 인증한 것이 넓고 서예의 이치에 맞는 고전 전통 서학사상을 집대성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보면, 『서개』는 비록 간단하고 함축적으로 내용을 개괄하였지만, 이전 서론에 비해 내용이 심각하고 풍부하며 계통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또한 중국서예 미학사상발전사에서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지위에 있기 때문에 원문을 중심으로 전반적 내용을 살펴보는 것은 오늘날 서예는 물론이고 미래 서예의 이정표를 세우는 데에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書槪』是劉熙載撰的『藝槪』中當第五, 專論書法分246條槪括他的書學思想. 『書槪』不但富於理論深度,而且涉及面更廣, 其中包括書法的美學、書體、變遷、技巧、風格、書品等方面. 『書槪』的構成和內容是分別從001條到062條考察書法的歷史, 從063條到168條硏究從秦代到宋代的碑和帖的書法, 從169條到246條論述筆法論的用筆、章法、執筆、書風,然後再論述書法是什麼. 這些按書學的論理體系分別審美論、書體論、創作論、風格論、書品論硏究劉熙載的書學思想. 審美論的書學思想是以儒敎爲主廣範吸取各種流派的說法, 書體論是通過‘變’和‘通’的‘書體互通’觀其會通爲主, 創作論是以‘立象以盡意’爲本質通過‘觀我’、‘通德’表現了自己的富於個性. 風格論是對於歷代書法家和書法風格及時代書風的論述表現了自己的獨創觀點, 書品論是首先提示‘觀物’、‘觀我’的統一,‘我神’、‘他神’的區別, 然後提示了書如其人說. 『書槪』的價値和影響是雖言簡意賅, 體制周密而詳贍, 思想豐富而深刻, 所論或廣徵博喻, 切中書理的可謂古典傳統書學思想的集大成. 可以說,『書槪』雖然言簡涵蘊比以前書論內容深刻豊富系統的. 又因在中國書法美學思想發展史上不容忽視的地位, 以原文爲主考察全面的內容是不僅至今書法, 而且爲未來書法有充分意義.
엄정아,이승수,함희정 한국풍공학회 2022 한국풍공학회지 Vol.26 No.4
As damage to facilities and human life due to building winds increases, concerns about securing pedestrian safety due to acceleration of wind speed around buildings are also growing. The wind environment changes not only through the overcrowding of cities and high-rise buildings but also due to the reconstruction of old buildings. In order to reduce the potential hazard imposed by changes in the building complex, the wind environment should be assessed from the building design stage, for which both wind tunnel tests and CFD can be uti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the pedestrian wind environment in the surrounding area that may occur as the existing low-rise residential complex is reconstructed into a middle- and high-rise apartment complex. To this end, the wind speed and 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rea were analyzed, and the pedestrian wind environments generated by the existing and reconstructed complexes was computed using CFD. Using computed results,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wind speed exceeding a certain threshold are compared to show the impact of reconstruction of the building complex. 빌딩풍에 의한 시설물 및 인명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짐과 같이 건물 주위의 풍속 가속화로 인한 보행자 안정성 확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풍환경은 도시의 과밀화와 건축물의 고층화를 통해서도 변화하지만, 기존의 노후화된 건축물의 재건축으로 인해서도 변화한다. 풍환경의 변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건물 설계 단계부터 풍환경 평가가 되어야 하며, 풍환경 평가 방법에는 풍동실험과 CFD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저층 주거단지가 중고층 아파트단지로 재건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주변 지역의 보행자 풍환경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상 지역의 풍속 및 풍향 특성을 분석하고, 전산유체역학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기존 단지와 재건축 단지로 발생하는 보행자 풍환경을 해석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를 이용하여 임계 보행자 풍속을 초과하는 영역에 대한 공간 분포를 비교함으로써 재건축이 보행자 풍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문일권,송화철,박수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3 No.2
The maximum acceleration of tall building leading to discomfort may occu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nd(across-wind direction). In this paper, the wind acceleration responses of a 60-story tall building with diagrid structural system are analysed. The along-wind and across-wind accelerations are evaluated according to KBC 2016 nd NBCC 2010. For this worked diagrid system the lateral deflection is satisfied by H/500, drift criteria. But the across-wind accelerations exceed the occupancy comfort acceleration criteria. The diagrid system buildings with high slenderness ratio can be prone to cause discomfort to their occupants, therefore should be applied limitedly in region of strong wi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