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風納土城 築城技法에 대한 소고

        김도훈(Kim, Do-Hun)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0 No.-

        風納土城은 百濟 漢城期에 한강변의 남안의 충적지상에 축조된 土城으로 당시 백제 도성인 河南慰禮城으로 비정된 곳이다. 또한, 풍납토성은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토성 중 가장 오래전에 축성되었으며, 그 크기 또한 최대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풍납토성의 시기적인 축성양상을 파악하여 당시 사용되었던 板築技法의 양상이 확인되면 향후 다른 지역에서 축성된 토성들이 어떻게 축성되었으며, 축성된 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풍납토성의 지금까지 조사되었던 자료들을 정리하여 풍납토성이 어떻게 축성되었는지 파악해 보았다 풍납토성의 축성과정은 최근까지 조사된 양상으로 볼 때 크게 4개의 단계의 공정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각 축성 단계마다 시간적인 흐름도 확인되었다. 풍납토성은 기원후 3세기 중후반 어느 시점부터 하남위례성을 축조하기 위하여 성벽이 들어설 자리를 정하여 기반층을 다양한 형태로 정지 또는 굴착을 하여 基底部를 조성하였다. 일부 구간에서는 기저부에서는 정지된 곳을 단면 ‘U’자형으로 굴착하여 다시 되메워서 다졌는데 이는 중국의 토성 축성기법 중 하나인 ‘基槽’법으로 풍납토성에서도 역시 이 방법이 채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기초작업이 어느 정도 완성이 되면 기저부 상면에 본격적인 축성에 들어가는데, 가장 먼저 사다리꼴 또는 마름모꼴 형태로 성토를 하여 中心土壘를 축성한다. 중심토루는 비교적 일정한 간격으로 성질이 다른 흙을 교호성토 등을 하여 각각의 흙이 최대한 접착되도록 하였으며, 축조된 중심토루의 내벽을 사면상으로 절취하고 그 면에 다시 점성이 강한 흙을 이용하여 덧붙였다. 이렇게 덧붙이는 기법은 이는 중심토루 내벽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심토루가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후 내벽과 외벽에는 한 차례 增築이 일어나는데, 기저부와 중심토루를 역시 절취를 하여 덧붙여 나갔다. 기저부에서 중심토루, 1차 증축까지는 기원후 4세기 전반까지 완성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1차 증축은 중심토루의 유실 등에 따라 보수되었는지 아니면 성벽의 확장이 필요한 시대적 배경 때문인지는 알 수 없으나, 중심토루와 크게 시기차가 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4세기 중반경에 2차 증축이 시작되는데, 내 · 외벽에 다시 성토되는 시기이다. 내벽에는 뻘층과 식물유기체 목재구조물도 확인되고, 성벽의 끝을 석축으로 마무리를 하였다. 외벽도 다시 덧붙이기를 하였으며, 역시 성벽 끝을 석축으로 마무리를 하였다. 이 시기가 최종적으로 풍납토성이 완성되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풍납토성은 크게 4단계의 공정으로 축성되었으며, 3세기 중후반부터 축성이 시작되었으며, 중심토루와 1차 증축이 이루어졌다. 이후 어떠한 이유인지는 불확실하나 4세기 중반에는 2차 증축이 이루어져 현재의 풍납토성이 완성되었다. 또한, 각각의 공정 단계마다 당시 最高의 土木技術을 集約하여 축성하였다. Pungnapt-toseong is an earthen fortification site built at the edge of the Hangang River. The excav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site was Wiraeseong in Hanam, the capital of Baekje in the Hanseong Phase recorded in historical sources. This is the earliest extant earthen fortification site to have been discovered in Korea to dat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then rampart of the site using excavated data to have been accumulated to date. The stratigraphic profile shows that the wall was constructed in four-step chronological processes. In order to build the rampart, the foundation, which was leveled by using various methods, began to be built from the late 3rd century AD. The U-shaped foundation trenches built by the Jicao(基槽) technique,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in ancient China, were installed in several sectors. After completing the building of the foundation, the builder began to construct the ladder or trapezoid-shaped central earthwork. In order to build the harden rampart, it was piled up with soils with different elements by using the stamped earth technique; and the slope of the inner wall was covered by highly viscous clay layers. It is hard to know the accurate reason either the lost of the rampart by natural hazards, or the necessity of extension of the fortification, the central earthwork was rebuilt by covering earths on its surface. It seems that the first rebuilt work began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ng the work of the first built earthwork. It can be supposed that the work of the first rebuilt wall was completed in the early 4th century AD. The second rebuilt work began in the mid-4th century AD. The wooden building materials, silt layers, and plant remains were identified in the inner walls. The edge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were enclosed with stone walls.

      • KCI등재

        한성기 백제 평기와 제작기법 검토

        이주업(LEE Joo-up)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5 No.-

        최근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한성백제 기와를 대상으로 한 보고서와 연구논문에서는 새로운 한성기 백제 기와 제작기법이 확인되었으며, 기와의 생산과 유통에 관한 문제도 언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풍납토성 출토 기와에 대한 새로운 연구 성과에 비해 석촌동 4호분 출토 기와의 연구는 소수의 자료를 대상으로 한 개략적인 관찰결과에 머물러 있는 수준이다. 한성기 백제기와로서 석촌동 4호분 출토 기와가 풍납토성 출토 기와와 비교되어 제대로 관찰분석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의 전체 자료를 대상으로 그 제작기법상의 특성을 한성기 백제기와를 대표하는 풍납토성 출토 평기와와 비교분석하여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평기와의 외ㆍ내ㆍ측면에서 확인되는 제작흔에서 제작기술적 속성을 관찰하여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의 제작기법을 살펴보았다. 그 후 풍납토성 출토 평기와와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의 제작기술적 속성을 비교하면서 기존에 낙랑과 고구려적 요소로 파악되었던 제작기법들을 재검증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가 풍납토성 출토 평기와에서 보이는 한성기 백제기와 제작기술적 전통을 공유하는 한편 정형화되고 공들여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풍납토성 출토 평기와와 동일한 제작기법에는 2∼3㎝의 소지 간격, 점토띠 소지, 내면 재타날법, 형식적인 지두흔, 내면이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튀어나온 한 줄 엮기 통쪽 연결흔 등이 있었다. 풍납토성 출토 평기와에서는 하나의 제작기술적 속성이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었으나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에서는 풍납토성과 동일한 제작기술적 속성을 공유하나 그 형태는 통일되는 정형성이 보였다. 이것은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에서 보이는 회색계 위주의 정선된 점토질 태토, 격자문, 수키와의 완전 무문화 정면법, 6㎝ 내외의 동일한 통쪽너비, 동일한 d형 타법(외면 타날흔이 남아 있거나 지우고 내면 마포흔이 있거나 마포흔을 지우는 제작방식), 1㎝ 내외의 두께 등의 제작기법에서 엿볼 수 있었다. 한편 새로이 확인된 제작기술적 속성에는 단면과 단부 내ㆍ외면의 조정ㆍ정면법, 수키와의 통쪽와통제작흔, 내면이 볼록하게 튀어나온 한줄엮기 통쪽 연결흔 등이 있었다. 그리고 회색계 위주의 정선되고 강한 점토질 태토, 1㎝ 내외의 얇은 두께, 6㎝ 내외의 동일한 통쪽너비, 단면과 단부 내ㆍ외면의 조정ㆍ정면법, 여러 번에 걸친 측면 깎기 조정 등의 제작기법은 풍납토성과 비교되는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제작기법 중에서 1㎝ 내외의 얇은 두께, 단면과 단부 내ㆍ외면의 조정ㆍ정면법, 여러 번에 걸친 측면 깎기 조정 등은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가 공들여 제작되었음을 반영하였다.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에서 보이는 정형화된 제작기법들은 풍납토성 출토 평기와의 제작기법들이 세부 형태면에서 다양한 변이를 보여주는 것과 비교되었다. 이는 풍납토성 출토 평기와가 한 번에 많은 양의 기와를 제작한 것이 아니라 적은 양을 여러 번에 걸쳐 제작했음을 반영하나,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는 한 번에 무덤용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한 번에 제작되지 않았다하더라도 제작횟수가 많지 않고 사용 시기도 길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에서 보이는 활석이 혼입된 태토, 돌대형 준미구 수키와, 내면 승문의 제작기법 등은 기존의 견해처럼 낙랑적 요소가 아니라 풍납토성 출토 한성기 백제 기와 제작기술적 전통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측면 분할흔은 고구려적 요소임을 기존의 견해와 같이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구려 암키와에서 주로 보이는 귀접이 기법을 석촌동4호분 출토 암키와에서 새로이 찾을 수 있었다. 측면 분할흔은 풍납토성 출토 평기와에서는 다양한 기법이 나타났으나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에서는 모두 깎기 조정만이 확인되었으며, 여러 번에 걸쳐 재처리되는 점에서 고구려적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에서 보이는 귀접이는 형식적인 풍납토성의 것보다 발전된 것으로 고구려의 귀접이와 유사하였다. 풍납토성 출토 평기와의 제작기법과 구별되며 공들여 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회색 위주의 색조, 강한 점토질 태토, 여러 번에 걸친 측면 깎기 조정, 귀접이 기법 등은 고구려계 적석총인 석촌동 4호분의 무덤 구조와 함께 고구려적 요소를 강하게 반영하였다. 이는 석촌동 4호분 출토 평기와가 낙랑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기보다는 한성기 백제기와로서 풍납토성 출토 기와의 제작기술적 전통 속에서 발전하는 가운데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한편 석촌동 3호분의 무덤 구조와 출토 유물상을 석촌동 4호분의 무덤 구조와 기와에서 보이는 여러 제작기술과 양식적 요소와 고려하면, 석촌동 4호분의 축조 연대와 평기와의 제작시기는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반보다 이를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 investigation on the total data of plain roof tiles excavated from Seokchon-dong 4th tomb as the object, comparatively analyzes the plain roof tiles from Pungnap Earthen Fortifications, which show the original pattern of tiles in Hanseong Baekje, and the attributes in terms of the production skills so a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production skills of plain roof tiles excavated from Seokchon-dong 4th tomb as tiles in Hanseong Baekje. It turned out that the plain roof tiles excavated from Seokchon-dong 4th tomb were produced with the same traditional skills used for tiles in Hanseong Baekje just as the plain roof tiles excavated from Pungnap Earthen Fortifications, and elaborate products with fixed patterns. as for the same production skills with plain roof tiles from Pungnap Earthen Fortifications, 2-3cm interval of Soji(素地), clay-banded Soji, formal finger traces in the inner part, and cavity connecting traces swollen inside, which was newly found. The formative production skills used for plain roof tiles from Seokchon-dong 4th tomb were uniqu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plain roof tiles found at Pungnap Earthen Fortifications in that they showed variations in terms of specific patterns. This reflects that plain roof tiles from Pungnap Earthen Fortifications were not produced in bulk but small quantity at a time, whi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lain roof tiles from Seokchon-dong 4th tomb might have been produced at once for a tomb. Even though they were not produced at once, it is suggested that the times of production was not many, and the term was not long either. On the other hand, it turned out that the division traces on the side were originated from the pattern of Koguryeo just as the existing view, and some other elements of Koguryeo style were newly found from plain roof tiles found in Seokchon-dong 4th plain roof tiles. The gray tone, strong clay soil, side cutting over several times, rounding edges off, etc, which show that they were different from plain roof tiles of Pungnap Earthen Fortifications and elaborate products, reflect the Koguryeo style just as the tomb structure of Seokchon-dong 4th tomb, Stone-mounded Tomb originated from Koguryeo. This shows that the plain roof tiles from Seokchon-dong 4th tomb were affected by Goguryeo while tiles in Hanseong Baekje were being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production skills. In comparison with the tomb structure and relics of Seokchon-dong 3rd tomb, a type of typical Koguryeo stone-mounded tomb,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roduction period of tiles from Seokchon-dong 4th tomb were produced earlier than those.

      • KCI등재

        풍납토성 보존 및 복원사업의 가치 측정

        양창영,이주석,유승훈 한국지역학회 2010 지역연구 Vol.26 No.3

        풍납토성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토성 유적으로, 다량의 백제 토기 등이 발견되고한성백제의 수도인 위례성이 위치했던 곳으로 추측되면서 중요한 고대 백제의 역사유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풍납토성 보존 및 복원은 고대 백제문화유적의 복원이라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사업이지만 지역주민들의 사유재산 침해 문제로 이해당사자간의 갈등이 첨예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풍납토성의 보존 및 복원을 둘러싼 지역적․사회적 갈등은 소모적인 논쟁이 되지 않도록,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풍납토성의 보존 및 복원사업의 가치평가를 통해 조속히 결말지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풍납토성의 보존 및 복원사업의 경제적가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1.5 경계모형과 스파이크모형을 결합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풍납토성의 보존 및 복원사업을 위한 연간 가구당 평균 지불의사액이 965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서울시 전체로 환산한 풍납토성 보존 및 복원의 경제적 가치는 연간 33.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풍납토성의 보존 및 복원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정량적 정보로서 활용가능하며, 본 연구의 분석방법론은 향후 유사 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에 적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case of the Pungnap castle restoration project, there are conflicts between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private property preservation of residents. For solving these conflicts,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economic value of the Pungnap castle restoration project. This study attempts to assess the economic value of the Pungnap castle restoration project by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especially the one and one half bound dichotomous choice spike model. This model has the benefit of higher efficiency in benefit estimates than the single bound dichotomous choice model and it reduced the potential response bias of double bound dichotomous choice model. According to estimating ways, annual mean willingness to pay per household for the Pungnap castle restoration project is 965 Korean won. Consequently, the annual benefit of the Pungnap castle restoration project is about 1.3 billion Korean won. This paper contributes to providing policy-makers with useful methodological framework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the policy of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project.

      • KCI등재

        풍납토성 기초 토목기술 비교연구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세원(Seh Won Jeon),임영재(Young Jae Lim) 한국고고학회 2024 한국고고학보 Vol.- No.130

        서울 풍납토성의 기초 토목기술과 중국 토성의 사례를 분석하여 각 요소별 특징을 비교·검토하였다. 그동안 주목되지 않았던 토성의 입지와 구조를 살펴보고, 기조·잡석지정·말목지정·토제·내외부부석 등의 요소에서 공통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풍납토성 축조 기술의 유입과정을 추론해 보고 기초 토목기술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풍납토성 축조에 사용된 기초 토목기술 요소 중 상당수가 당시 중국에서 토성·교량·접안시설 건설 등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기술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요동군과 현토군 지역에서도 이러한 기술 요소들이 확인되고 있는 점은 풍납토성 기초 토목기술의 연원과 유입경로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밖에도 토제를 사용한 축조방법은 중국에서는 적절한 비교사례가 많지 않아, 백제 자체적으로 발전한 기초 토목기술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즉, 백제는 외래 기술을 도입하고 토착 기술을 활용하여 풍납토성이라는 대규모 건축물을 완성한 것이다. 풍납토성 축조에 사용된 토목기술은 백제 후기의 도성과 산성에도 계속해서 활용·발전되며, 이후 일본에도 전파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foundational construction techniques of Pungnap Earthen Fortress in Seoul and compares them with examples of Chinese earthen fortresses, exploring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Elements such as the 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fortresses, which had previously been overlooked, were examined, and commonalities were derived from components such as foundational planning, stone or gravel bedding, wooden pilings, use of the earthen mound method, and the use of stone facings on walls. Through this, we inferred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Pungnap Earthen Fortress's foundational techniques and inspected the progression of foundational engineering. A significant number of foundational construction technique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Pungnap Earthen Fortress were identified as techniques commonly used in China at the time for the construction of earthen fortresses, bridges, and harbor facilities. Especially, the discovery of these techniques in the regions of Liaodong and Xuantu provides clues about the origin and transmission routes of the foundational techniques of Pungnap Earthen Fortress. Furthermore,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earth mound method is not found frequently in China as a comparable case, leading to the assessment that it evolved as a unique foundational technique within Baekje. In essence, Baekje adopted foreign techniques and combined them with indigenous methods to complete the large-scale structure known as Pungnap Earthen Fortress. The foundational techniques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of Pungnap Earthen Fortress continued to be applied and developed in the outer city wall, Buyeo and the mountain fortresses of the later periods of Baekje, and were eventually transmitted to Japan.

      • KCI등재후보

        풍납토성(風納土城) 토기유물군(土器遺物群)의 연대(年代)와 백제토기(百濟土器) 한성양식(漢城樣式)의 성립(成立)

        이성주 ( Sung Joo Lee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49 No.-

        풍납토성 城牆의 구축과 백제토기 한성양식의 성립은 백제 초기국가 형성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역사적 계기, 혹은 그 성과물로 다루어져 왔다. 풍납토성의 발굴조사 자료는 그러한 역사적인 변동을 검토하기에 최적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신뢰할만한 편년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간 풍납토성의 층서와 토기유물군의 연대에 관한 해석에는 상당한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첫째, 발굴보고서에 층서관계로 보고된 자료를 분석하여 층서에 따른 토기유물군의 기종과 형식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둘째, 주거지의 형식이 변화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풍납토성의 유구 및 유물군을 5단계로 구분하였다. 셋째로는 동반관계가 명확히 정의되는 일괄유물을 상호 비교하여 풍납토성 내 가장 이른 시기부터 늦은 시기까지 단계별 토기유물군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연대를 추정해 볼만한 동반 자료를 근거로 토기유물군의 대략적인 연대를 비정해 보았다. 그결과 풍납토성 내 가장 이른 주거지와 토기유물군은 AD 3세기 후반까지 연대가 올라갈 수있으며 城牆의 축조연대는 육각형주거지 단계로 AD 4세기 후반 이전으로 보기 어렵다. 그리고 백제토기 한성양식의 기종이 등장하는 시점은 4세기 후반부터이며 완비되는 것은 5세기 중엽으로 추정해 볼 수 있었다. The construction of the Pungnap walled-town an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highly patterned central style of ceramic group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diagnostic material traits which had appeared along with the formation of the Early-state, Baekj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various features including houses and storage facilities is too complicated to discern the welldefined depositional history of Pungnap walled-town. The distinctive periodic layers, therefore, must be defined from the massive distributional mapping data acquired from the almost annual excavations during the last 20 years, to clarify the important occupation events, such as the abandonment of the triple ditch-enclosures, the largescale earthworks of Pungnap wall, and the creations of urban districts, and their temporal durations. It would be, however, disappointingly impossible to describe the temporal variations observed along the stratigraphic orders of Pungnap archaeological data. On the current chronologies of Hanseong-Baekje, have the serious problems already been indicated by the several time measuring researches. The chronology based on the ordering of ceramic assemblages from the Mongchon fortress has been used to date the settlements and burials of the Early Baekje. Although the occupation history of Mongchon had been largely restricted within the last several decades of Hanseong-Baekje, the ceramic chronology was designed to cover the whole periods of it, about two hundred year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temporal variations in the ceramic assemblages and the pit-house structures in order to acquire the correct seriations of the material remains discovered from the Pungnapw alled town.

      • KCI등재

        건축에너지 관점에서 본 풍납토성 축조의 사회정치적 함의

        허진아(Heo Jina) 한국상고사학회 2018 한국상고사학보 Vol.102 No.102

        본고의 목적은 전쟁으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화라는 특수한 조건 속에서 백제 지도자들이 행사한 정치적 리더쉽과 그것의 사회정치적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풍납토성이라는 거대한 기념비적 건축물이 장기간에 걸쳐 조성된 이유를 건축에너지 관점에서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풍납토성의 구체적인 건설 공정과 동원된 노동력의 수준을 살펴보고 당시의 인구 수준을 검토하였다. 한성백제 중앙의 지배층에게는 건설 활동에 수반되는 특정 조직 형태의 노동(즉 건축에너지)을 창출하고 유지하는 사회정치적 권력이 존재하였으며 동원된 노동력의 수준은 새로 편입된 지방사회(멀리 전라지역까지 아우르는)를 포함하는 수준이었음을 밝혀냈다. 그리고 풍납토성 건설 기간 동안 지방사회로 확산된 한성백제양식의 분포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백제 지도자들이 이중적 전략, 즉 차별화와 통합을 동시에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풍납토성 축조가 방어적 기능과 중앙의 권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단일한 정치적 틀 안에서 지방사회를 통합하고자 했던 통치자의 국가운영전략의 일환에 해당한다고 본 것이다. 결과적으로, 풍납토성과 같은 기념비적 건축물은 전쟁 후 인구와 영토가 늘어나면서 새로운 사회조직과 질서를 구축해야 할 과제에 직면한 백제 지배층이 선택한 통치 수단이자 중앙집권화를 이끌어 낸 사회정치적 토대로서 백제가 고대 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Pungnap-toseong’s rampart construction could reflect a varied political strategy utilizing both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Post-war administration of newly acquired and integrated territory likely required that rulers establish a new order of social relations or new rules to strengthen central authority over local areas, even if elements of local political decision-making and autonomy were left intact to varying degrees. Additionally, while masking any political attempts to deconstruct such local power and autonomy, it would be necessary to devise Sociopolitical mechanisms to build region wide commonality for the new social order. I propose that the construction of Pungnaptoseong, as part of a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social reorganization, ultimately contributed to the legitimacy of new forms of social order and political authority. At the same time, such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efforts would have also served as a tool for integration. Pungnap-toseong may have played a vital role as an integrative focus for different social members forced into alliances through the threat of force and warfare. This case highlights the ways in which a large-scale monumental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organization of labor are intimately related to leadership strategies during times of state development.

      • 風納土城 출토 文字와 符號 探論

        신희권(Shin, Hee-kwe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3 한국고대사탐구 Vol.15 No.-

        백제의 첫 도읍인 ‘하남위례성’으로 인정되고 있는 풍납토성에서는 백제 한성기의 문자와 부호 자료가 다량 발굴되었다. 풍납토성의 발굴조사 결과 ‘道’자로 추정되는 글자가 새겨진 벽돌이나 ‘大夫’ 및 ‘井’자가 새겨진 항아리, 그리고 ‘X’자 모양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부호들이 발견됨으로서 해서 당시의 문자 생활에 대한 일말의 추론이 가능하게 되었다. ‘道’자가 새겨진 벽돌이 출토된 유구는 제의와 관련된 폐기 수혈로서, 함께 출토된 유물의 연대를 고려할 때 ‘道’자명 벽돌은 늦어도 3세기 후반 이전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道’라는 글자는 지금까지 발견된 백제시대 최고의 문자에 해당된다. 이는 백제가 문자로 역사를 기록했던 근초고왕대보다 이른 시기에 문자를 사용하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이와 인접한 수혈에서 ‘大夫’와 ‘井’ 등의 글자가 새겨진 항아리들이 출토되었다. 이 수혈 또한 제의와 관련된 폐기장으로 추정되며, 여기서는 水神에 대한 제사나 祈雨 등을 목적으로 한 제의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大夫’는 중국이나 고구려 등의 기록을 비교한 결과 관련 제의를 수행한 관직명을 가리킬 가능성이 높고, ‘井’은 그러한 제의와 연관된 우물을 뜻하는 글자로 보는 것이 타당하리라 판단된다. 이밖에 토기의 바닥이나 몸체 일부에 ‘X’, ‘D’, ‘ll’ 등 다양한 모양의 부호를 새긴 예들도 다수 발견되고 있는데, 이러한 부호들은 대체로 토기의 제작자나 사용자, 관리자 등을 표시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use of chinese character during the Baekje Period by examining characters and marks inscribed on the archaeological objects, which have been excavated from ‘Pungnabtoseong’ (which is known as ‘Hanam Wiryeseong’), the first capital city of the period. The extensive numbers of characters and inscriptive marks on the excavated objects, such as characters of ‘道’ on brick objects, of ‘大夫’ and ‘井’ on jars, and ‘X’-shaped mark on other objects, have provided relevant information of understanding and reconstructing the way of using characters during the period. The brick objects which inscribed ‘道’ were found in a waste pit for executing a certain ritual during the period. Considering that other objects from the same pit belongs to the 3rd century late, the brick was made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have been no object with character of the earlier period ever found before, so the bricks has become the earliest example, which proves that Baekje people had already been using chinese character from the 3rd century at least. Such information also reveals that Baekje people had used characters earlier than King Geunchogo’s period when the historical information was recorded. The characters of ‘大夫’ and ‘井’ which were inscribed on jars from a neighboring pit, which is a waste pit as well for ritual, display that the ritual was dedicated to the God of water praying for rain. Comparing with the records of Chinese and Goguryeo Kingdom of the period, the character of ‘大夫’ refers to the name of an official who had conducted the ritual related to water or rain. and so as the character ‘井’ meaning a ‘well’. In addition, the marks of ‘X’, ‘D’ and ‘ll’ on the bottom or surface of a pottery are the signature of manufacturer, user and manager of the potteries.

      • KCI등재

        풍납토성의 성벽 축조기법 및 축조시기 검토

        박중균 ( Park Jung-gyun )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3

        이글은 1999년과 2011년에 이루어진 풍납토성 동성벽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풍납토성 성벽 축조기법 및 축조시기, 증축 양상을 파악한 것이다. 풍납토성 성벽의 축조는 版築技法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보이며, 그 축조공정은 기저부 조성-중심토루 축조-중심토루의 내외에 分段式으로 몇 개의 토루를 덧 붙여 성벽 완성-완성된 성벽의 내외 벽면에 자갈을 피복하여 마감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저부의 조성 방법에서는 성벽 진행방향을 따라 溝를 굴착하거나 지면을 얕게 굴착하여 지면과 성벽의 밀착을 강화시켰으며, 중심토루에서 내벽쪽으로는 점토(뻘)를 깔아 성벽 기초를 보강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토루의 축조와 관련한 판축틀(거푸집)의 설치는 수직으로 설치하여 토루를 축조한 후 벽면을 斜方向으로 깎아 냈다는 견해가 일반적이었는데, 당초부터 벽면의 기울기에 맞게 비스듬히 설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초축성벽에 대한 증축은 내벽쪽으로 한 차례, 외벽쪽으로는 두 차례 정도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기존 내벽의 2차 증축부로 판단한 Ⅴ토루는 1차 증축토루로 파악한 Ⅳ토루와 공정상의 선후관계에 의해 동일시점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풍납토성의 축조시기는 2세기대 축조설, 3세기 후반설, 4세기 전반~중반설, 4세기 후반설 등이 있는데, 초축성벽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볼 때 4세기 중엽~후엽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Pungnaptoseong Fortress(風納土城) in terms of its wall construction technique, time of construction, and extension pattern, based on the excavation survey results of the eastern wall in undertaken in 1999 and 2011. It appers that the walls of Pungnaptoseong Fortress were built using the panchuk (stamped earth) technique (版築技法). The construction process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which was followed by the central earthwork (土壘) and the addition of more earthwork to partition inside and outside the central earthwork to complete the fortress walls. The finishing touches involved the covering of completed internal and external walls with gravel. The foundation was built by digging pits along the direction of the fortress walls or by digging the ground shallow to reinforce the contact between the ground and the fortress walls. Clay was laid out from the central earthwork to the internal walls to reinforce the basis of the fortress walls. The dominant opinion had been that the wooden frame (mold) wa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earthwork by cutting the walls of the completed earthwork in a slanted direction. The inclination of the walls, however, indicates that it had been installed obliquely. It is estimated that the original fortress walls were extended once in the case of the internal walls and twice in the case of the external walls. Earthwork V,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second extension of the old internal walls, seems to have been built at the same time as Earthwork IV,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extension. Finally, there are different theories about the construction period of Pungnaptoseong Fortress, including the second century, the latter part of the third century, the early to middle part of the fourth century, and the latter part of the fourth century.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built in the latter part of the fourth century based on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original fortress walls.

      • KCI등재

        세대 교류를 위한 공간 제안과 프로그램 만들기

        김경희(Kim, Kyung Hee)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50

        이 논문은 ‘구비문학과 사회적 약자: 소통, 치유, 공생’이라는 기획주제의 하나로 발표된 것이다. 특히 ‘구비문학을 통한 연대와 복지의 실현’이라는 부분에서 2018년 여름 폭염이 연일 지속되는 가운데 노인, 장년, 어린이의 세대교류를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게 되었다. 논의의 대상이 된 지역사회인 풍납동은 문화재의 복원, 보존 정책과 거주민의 행복 추구권이 갈등하는 지역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거주민들을 위한 복지 공간이 부족한 곳이다. 이에 두 갈등을 해소하는 대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첫째, 노인과 어린이들이 백제 이야기 그림책을 읽고, 내용을 숙지한 후에 사진을 찍어 내용을 저장하고 이를 QR코드로 제작하여 서로 공유하는 방법으로 풍납토성과 백제의 이야기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둘째, 지역 활동가들이 한성백제박물관 유물의 내용을 관람하고 풍납토성이 지닌 역사문화환경의 의미를 이해하고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역사를 이해함으로써 지역 활동가로서의 자질을 함양시키는 것이다. 셋째, 문화재 복원을 위해 철거된 빈 공간에 풍납토성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이야기를 구연할 수 있는 원형 이야기무대, 전래놀이를 할 수 있는 마당, 풍납토성 모형을 만들어 실제로 토성에 올라가서 놀 수 있는 체험, 풍납토성을 쌓을 때 사용한 판축기법을 사용해 볼 수 있는 흙 놀이터 등을 조성하여 자연친화적인 한성백제전래문화마당을 구성한다. 한성백제전래문화마당은 주민의 복지공간으로 노인, 장년, 어린이가 함께 즐기고 문화를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다. 적극적인 지역민의 참여와 이를 수용하는 정책은 발굴 현장을 보존하기 위해 지역주민의 생존 공간을 보상하고 철거하는 소극적인 문화재 보존정책을 새롭게 전환시키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길을 만들 것이다. This paper concerns the theme of ‘Literature and Social Weakness: Communication, Healing, and Coexistence.’ Particularly the field of ‘solidarity and welfare through the literature of obedience’, in the summer of 2018, the great heat led to proposals of spaces and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children. Pungnapdong, the community that is the subject of discussion, is a place where policy on the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right of the residents to pursue happiness are in conflict, and there is a lack of public space for residents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refore, it was decided to take measures to resolve the conflicts. First, the elderly and children will read a Baekje story book, and examine the contents of the pictures, take pictures and save the contents, and make QR code to share them with each other. Second, local activists would be able to see the contents of the Hanseong Baekje Museum relics,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the Pungnaptoseong, and learn the history of the space where they live. Third, we can create a prototype story stage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Pungnaptoseong in the empty space demolished for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 place where we can play traditional games, Moreover, a soil playground like that used for the plate-making technique used to build the earthen Pungnaptoseong can be built to form the nature-friendly Hansung Baekje Traditional Culture Park. The Hanseong Baekje Traditional Culture Park will be a public space for residents, where seniors, senior citizens, and children can enjoy themselves together and exchange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