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圃隱 鄭夢周 詩의 風格 : 豪放風格을 중심으로

        崔光範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8 No.-

        고려 중기 氣를 강조하는 문풍과 더불어 호방의 풍격이 중시되었으나, 성리학이 정착되면서 점차로 이러한 경향이 약화되었다. 이것을 전대엔 미미했다가 성리학 정착과 더불어 평담의 풍격이 강화되는 것과는 반대 현상이다. 고려중기에 비해 호방 풍격이 다소 약화되고 평담 풍격이 새롭게 부상한 고려말기에 李穡·鄭道傳과 더불어 雄·豪의 풍격을 대표하는 圃隱 鄭夢周는 여타 시인과 달리 시종 豪放의 풍격으로 일관하고 있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 점은 李穡이 다양한 풍격을 두루 갖춘 것이나 鄭道傳이 "豪"는 있으나 "放"은 거의 보이지 않는 것과는 매우 다른 점이다. 포은 시의 豪放 풍격은 내적으로 충일한 자신감과 얽매임 없는 호탕한 선천적 기질에서 연유한 것인데, 그것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가장 핵심적이며 근간이 되는 것은 강한 經世意志가 담긴 豪邁峻壯한 시들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주로 사행시와 변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憂國 愛君의 의지가 혼란한 시대적 환경으로 인해 굴절되면서 불의한 세력에 대한 대립 자세를 보인 것으로 節義精神의 悲憤慷慨가 담긴 시들이 그것이다. 자신의 座主 金得培의 억울한 죽음을 祭하는 시를 통해 젊어서부터 의리정신이 투철했음을 알 수 있었고, 國運과 道가 점점 쇠하여 가는 것을 한탄하며 靑蛇劍을 한번 휘둘러 세상을 평정하려는 壯士의 비장한 기개를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不羈的 風流를 보여주는 豪宕 豪暢의 시들인데, 이것은 특히 포은과 더불어 동시대 豪·雄의 풍격을 대표하는 李穡이나 鄭道傳에게서도 찾기 어려운 포은의 특징적인 면이다. 험난한 사행 중 지은 시에서도 근심이나 조바심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유람하는 듯한 태도로 시와 술을 즐기고 심지어 女色에 깊은 관심과 애정을 보이는 것에서 不羈的 성품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한 낙천성과 풍류정신을 엿볼 수 있었다. 悲慨는 포은의 경세의지가 모순된 현실과 접하면서 굴절되어 나타난 豪放 풍격의 變奏이고, 風流는 豪放의 "放"의 특징 가운데 핵심적인 것으로 시로 표출될 때는 豪宕 豪暢의 풍격으로 나타난다. 표현상 특징으로는 우선 광활하고 웅장한 공간적 배경 묘사와 유구한 역사적 배경의 설정, 그리고 빠른 시공간적 추이를 들 수 있다. 스케일이 큰 이러한 시공간적 배경과 간극으로 인해 세세한 경로의 추보적 기술이나 정밀한 배경 묘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또한 시상이 머뭇거림이 없이 빠르게 전개되고, 과장법과 돈좌를 통해 기세와 감정의 기복을 느끼게 한다. 다음으로 산문적 문투나 시어의 반복도 불사하는 조탁없는 자연스러운 표현을 들 수 있는데, 애써 화려한 수식이나 미려한 표현을 구사하지 않았고 험벽한 전고도 거의 없는 자연스런 시어를 구사하면서도 결구나 시상전개가 절로 공교하고 치밀하다. 또한 심후한 홍취와 격렬한 감정, 다양한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표현상 특징은 豪放 풍격의 일반적 특징을 두루 지니고 있는 것이다. 살펴본 바대로 포은의 시는 거의가 豪放 내지는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풍격으로 일관하고 있는데, 이것은 고려시대 豪·雄의 풍격을 대표하면서도 많은 작품을 통해 다양한 풍격을 보여준 李奎報나 李穡과도 다른 점이고, 호탕한 풍류가 돋보인다는 점에서 동시대 李穡이나 鄭道傳과도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In the middle period of the Koryo Empire the literary atmosphere emphasizing vigor was spotlighted together with broad gusto. But as Sung Confucianism began to take root, such trend was dwindled by degrees. On the other hand the gusto of ordinary and simple style which had been meager before was gaining ground according as Sung Confucianism started to take root. The last period of the Koyro Empire where the broad gusto waned and the ordinary and simple gusto waxed, compared with the middle period, while in the same period Poun Jung Mongju who represents the broad and majestic gusto together with Lee Saek can be safely said to have been holding on to the broad gusto differently from other poets. The broad and unrestrained gusto of Poun's poems resulted from his overflowing self-confidence and his unbridled large-minded nature. It can be roughly categorized into three kinds. His valiant and broad-minded poems soaked in his will to govern the world form the basis and the kernel of his entire poems. Another kind is his poems expressing his indignation erupted by his longing for righteousness. These poems show his attitude opposing the unrighteous power of those times. This attitude flows out of his will to care about his home country and love his king, which is refracted in the confusing environment of that times. The last kind is his unbridled and large-minded poems which show the taste of a unfettered soul. Such aspect is so unique that it cannot be easily traced out in the works of Lee Saek and Jung Dojun who represent the contemporary broad and majestic gusto along with Poun. One of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first of all, is the vast and grand description of spatial background, the establishment of an everlasting historical background, and rapid changes of time and space. Because of such large-scale backgrounds and gaps of time and space, descriptions concerning detailed passage in the order of time or precise descriptions of backgrounds are hardly seen. In addition poetic images are rapidly spread out without hesitation, while hyperboles and refractions reveal to us the fluctuations of flows of vigor and emotion. The second stylistic characteristic of his poems is that his poems have artless and natural expressions not caring about prose style and repetition of poetic diction. He didn't squeeze flamboyant or elegant expressions out of his mind. On the contrary he adopted natural dictions bearing no relation to ancient episodes while using really elaborate and accurate constructions and development of poetic sentiments. Besides profound gusto, tumultuous passions and various sentiments are revealed as they are. As illuminated above, most of Poun's poems steadily stick to the broad gusto or other gusto closely related with it. In this respect his poem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Lee Gyubo or Lee Saek, which had showed various tastes in lots of works standing for the broad and majestic gusto in the Koyro Empire era, and they are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works of Lee Saek or Jung Dojun in that magnanimous tastes are prominent in his poems.

      • KCI등재

        『惺叟詩話』속 風格 用語를 통해 본 許筠의 ‘淸’ 系列 風格 硏究 -­ ‘淸勁’ㆍ‘淸切’ㆍ‘淸楚’ㆍ‘淸越’을 중심으로

        尹載煥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3

        이 글은 허균의 『성수시화』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풍격 용어 중‘淸’계열에 주목하여 ‘淸’계열에 해당하는 풍격 용어가 지니는 각각의 변별적 지점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허균의 『성수시화』에는 “淸勁, 淸亮, 淸麗, 淸贍, 淸卲, 淸越, 淸壯, 淸絶, 淸切, 淸鬯, 淸楚” 등 ‘淸’계열의 풍격 용어가 모두 11종류 사용되었는데, 이 글에서는 실제 작품을 거론하여 그 풍격을 제시한 ‘淸勁’, ‘淸切’, ‘淸楚’, ‘淸越’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성수시화』에 나오는 ‘淸’계열의 풍격 용어 ‘淸勁’⋅‘淸切’⋅‘淸楚’⋅‘淸越’은 모두 제1자인 ‘淸’의 이미지를 공통 속성으로 하면서도 제2자에 의해 구분되는 변별적 자질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4개의 풍격 용어들은 모두 맑고 깨끗함을 뜻하는‘淸’의 이미지 속에 각각의 개별적 특성에 해당하는 제2자의 속성을 두었다.‘淸勁’은 강직하고 굳셈을 의미하는‘勁’의 이미지를 투사하여 맑은 시의 경계 속에 강직하고 굳건한 시인의 기상이 엿보이는 시를 뜻하고, ‘淸切’은 절박하고 절실함, 또는 애처롭고 서러움을 의미하는‘切’의 이미지를 투사하여 맑고 깨끗한 시의 경계 속에 절박하고 애처로운 시인의 정서를 담고 있는 시를 뜻하며, 淸楚’는 여리고 고움, 또는 가늘고 부드러움을 의미하는‘楚’의 이미지를 투사하여 맑고 깨끗한 시의 경계 속에 화려하지 않은 아름다움이나 섬세하고 부드러운 시인의 정서를 담고 있는 시를 뜻하고, ‘淸越’은 탈속적이고 빼어남을 의미하는 ‘越’의 이미지를 투사하여 맑고 깨끗한 시의 경계 속에 세속을 뛰어넘는 빼어난 풍모와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시를 뜻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허균이 사용한 풍격 용어의 제1자가 가지는 속성에 비해 제2자의 속성은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제2자가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을 경우 그 범주를 명확히 하기는 더욱 쉽지 않다. 따라서 풍격 용어의 명확한 변별적 자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자를 중심으로 풍격 용어들의 계열을 구분하고, 이후 이렇게 구분된 동일 계열의 풍격 용어를 다시 제2자를 중심으로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경우 풍격 용어 각각의 제2자가 지칭하는 내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것은 풍격 용어가 작품의 美的 特質과 함께 作家의 個性을 동시에 설명하는 것이고, 작품의 미적 특질에 대한 설명은 작품이 만들어 낸 최종적인 詩境 또는 意境 뿐만 아니라 작품의 형성 과정과 표현 기법까지도 포괄하기 때문이다. 『성수시화』에서 허균이 사용한 풍격 용어들을 보면, 허균은 표현 기법이나 창작 방법보다 시 속에 드러난 작가의 기상과 시가 만들어낸 최종적인 意境에 주목하여 시를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허균의 풍격 비평이 지니는 전반적인 양상에 대해서는 앞으로 자료를 보다 확충하여 더 자세하게 확인해 나가도록 하겠다. This paper focuses on ‘clean(cheong: 淸)’ kinds of style terminologies among various style terminologies appearing in Heo Gyun’s Seongsushihwa(『惺叟詩話』) and tries to analyze the distinctive points which ‘clean(cheong: 淸)’ kinds of style terminologies include. In Heo Gyun’s Seongsushihwa, 11 of ‘clean’ kinds of style terminologies, such as “cheonggyeong(淸勁), cheonghryang(淸亮), cheongryeo(淸麗), cheongseom(淸贍), cheongso(淸卲), cheongweol(淸越), cheongjang(淸壯), cheongjeol(淸絶), cheongjeol(淸切), cheongchang(淸鬯), cheongcho(淸楚),” were used. This paper focuses and analyzes ‘cheonggyeong(淸勁)’, ‘cheongjeol(淸切)’, ‘cheongcho(淸楚)’, and ‘cheongweol(淸越)’ that he suggested through applying to real literary pieces.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s that ‘clean’ kinds of style terminologies ‘cheonggyeong’, ‘cheongjeol’, ‘cheongcho’, and ‘cheongweol’ share the same 1st character ‘clean(淸)’, yet have distinctive qualities by the 2nd characters. These 4 style terminologies all share ‘cheong(淸)’ image which means clear and clean, yet each one has the attribute of the 2nd character that indicates each one’s individual characteristic. It is apparent that ‘Cheonggyeong(淸勁)’ reflects the ‘gyeong(勁)’ image meaning upright and solid and implies poems of poets’ steadfast spirit within clear boundary; ‘cheongjeol(淸切)’ reflects the ‘jeol(切)’ image meaning either desperation and imminence or pitifulness and sorrow and implies poems of poets’ urgent and pitiful emotions within clear and clean boundary; ‘cheongcho(淸楚)’ reflects the ‘cho(楚)’ image meaning either delicacy and fineness or slenderness and tenderness and implies poems of poets’ beautiful but not luxurious, delicate and tender emotions within clear and clean boundary; and ‘cheongweol(淸越)’ reflects the image of ‘weol(越)’ meaning unworldliness and excellency and implies poems, within clear and clean boundary, of excellent appearance and mentality surpassing mundane world. Compared with the 1st character’s attributes of the style terminologies which Heo Gyun used, the 2nd characters’s attributes do not appear that vivid. Especially, in the case that the 2nd characters have similar meanings, it is not easy to clarify the categories. Indeed, in order to grasp clear and distinctive qualities of style terminologies, the kinds of them need to be initially categorized by the 1st characters, and then sorted by the 2nd characters. In this case, the contents which the 2nd characters of style terminologies indicate should be considered. It is because style terminologies explain both literary pieces’ aesthetic qualities and writers’ personalities, and because explanations about literary pieces’ aesthetic qualities includes not only the conclusive poetic or semantic boundaries which literary pieces’ created but also literary pieces’ creation processes and expression techniques. Through the style terminologies with Heo Gyun used in Seongsushihwa, it can be aware that he evaluated poems focussing more on the conclusive semantic boundaries that poets’ spirits and poems created than expression techniques or creation methods. The overall aspects Heo Gyun’s such style criticism has will be checked out in more detail through further studies by examining more materials.

      • KCI등재

        『정언묘선』과 율곡(栗谷)의 풍격(風格)

        박경신 ( Kyung Shin Park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本 論文은 성리학적 체계에 기반을 두고 있는 栗谷이 『精言묘選』에서 제시한 風格을 통해 율곡의 심미의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栗谷 李珥(1536~1584)는 당시 문단 상황에 대한 문제점 극복과 문학의 본질을 확립해야한다는 시대소명을 가지고 『精言묘選』이라는 詩選集을 편찬하였다. 그는 『精言묘選』을 통해 풍격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詩的 典範의 提示와 作詩의 現實 收容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詩的 典範의 提示는 율곡이 추구한 문학적 理想이자 문학에 대한 이상적 전범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作詩의 現實 收容은 훈구파의 문학적 견해를 수용함으로써 기존 문단의 경향을 절충 융합하였다는 의미와 作詩의 방법 연마를 통한 시의 학습이라는 현실을 감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詩的 典範의 提示에 해당하는 풍격은 沖澹蕭散·閒美淸適·淸新灑落이다. 沖澹蕭散의 기준은 不事繪飾과 妙趣이다. 沖澹蕭散은 시인의 가슴에 가득한 기운이 절로 流出된 것으로써 아무런 꾸밈이 없는 풍격이라고 할 수 있다. 閒美淸適은 천지자연의 관조를 통해 天人合一의 경지에 이르러 자연과 하나가 되어 절로 일어나는 흥에서 나오는 풍격이다. 淸新灑落은 맑고 새로우며 속되지 않은 것이다. 세속에 물들지 않고 몸을 깨끗하게 보존함으로써 속세 인간의 俗氣가 없는 탈속적 경지를 의미하는 풍격이다. 作詩의 現實 收容에 해당하는 풍격은 用意精深·情深意遠·格詞淸健·精工묘麗이다. 用意精深한 풍격의 가장 큰 특징은 造묘之論이다. 句語鍛鍊이 되어 詩語가 정교하고 다의적이며, 格度嚴整하여 섬세한 詩情을 담아낸 풍격이다. 情深意遠은 외적인 자극에 반응한 내적 정서의 표출로 지어지되 ``怨而不悖 哀而不傷``한 詩情을 담아 깊고 고요한 마음에서 나오는 풍격을 의미한다. 格詞淸健은 勁健하고 급박함 없는 천성이 문장의 내면에 바탕을 이룸으로써 표출되는 풍격이다. 精工묘麗는 시인의 정신에서 천연스럽게 우러나 正氣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사적인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는 풍격을 의미한다. 栗谷의 風格論이 한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江西詩派의 이론을 토대로 한 훈구파의 문학 이론을 일부 수용함으로써 15세기와 16세기 초에 걸친 문학 이론을 종합 정리하였다. 둘째, 사림파의 미의식을 체계화시키고 종합함으로써 사림파의 문학 이론을 정립시켰다. 셋째, 16세기 중반이후 詞壇에 일게 되는 學唐의 단초를 제공함으로써 17세기 이후 문학론에 先聲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넷째, 율곡의 『精言묘選』은 17세기 이후 주자의 시론을 계승하고자 하는 각종 시선집의 선편이 되었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Yi, Yi`s aesthetic consciousness represented on his 『Fine Selection of Essential Words』. He compiled 『Fine Selection of Essential Words』, a selection of poems, with the summon of the times that overcoming problems at that times and establishing true nature of literature. Through this, he suggested an opinion about distinctive styles. This could be understood as two sides of suggesting a poetic standard and accepting the situation of composing poems. Suggesting a poetic standard has its meaning as this was his ideal literature that he had been pursued. It took into account the reality of learning poetry through practicing the way to write poems and compromised and united existing tendencies of the literary world by accepting literary views of the national school party at that times. Touching sceneries that fall under the suggesting a poetic standard are Pure and Clean Farewell, Beautiful free welcoming, and New Freshness and Clearness. The standard of Pure and Clean Farewell is not regarding embellish their style importantly and poetic inspiration that can not be talked. We can say Pure and Clean Farewell has the touching scenery that are not embellished at all. Beautiful free welcoming is the scene that comes from spontaneous pleasure that reached to a state of the nature and a man became one while he look around the sky, the earth and the nature quietly. New Freshness and Clearness shows a style that means the state of unworldliness that has no mood of this world by preserving one`s body clearly, without tainting with secular affairs. The characters that accept the reality of writing poems were expressed as four traits of his writing like, refined attitude ; polished and delicate writing, deeply cultured mind and distant will ; expressions of inner emotion as reactions of external stimuli that come from deep and still, sad but not hurted mind, right words and devotion ; inner flow of his strong and composed personality on his sentences, and moderate rhetorical beauty ; rhetoric in not an excessive range. As his pla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first, we can say he integrated and arranged theories of literature of 15th and early 16th centuries by partial acceptance of the national school party`s opinion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the west river poetry school. Second, he established Confucian scholars` literature theories through synthesis and systematization of the Confucians` aesthetical senses. Third, he asserted literary tendencies of post 17th century first as suggesting the beginning to study the Tang ages poems that arose after mid 16th century. Fourth, his 『Fine Selection of Essential Words』became the start of various selection of poems that succeeded Juhui (a Chinese Confucian of the Song ages) `s theories on poetry after 17th century.

      • KCI등재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정언묘선(精言妙選)』 풍격론(風格論)

        박수천 ( Park Soo-cheo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79

        『정언묘선(精言妙選)』은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자신의 문학 인식에 따른 시학의 전범(典範)을 보여주기 위해 찬집한 중국시 선집이다. 율곡은 『정언묘선』에서 시적 전범을 간결하게 요약된 풍격(風格)으로 제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선별해 수록하고 있다. 「원자집(元字集)」에서 주로 선발해 모은 작품은 충담소산(沖澹蕭散)의 풍격을 가진 것이라 하였다. 여기서의 중심 개념은 당연히 충담(沖澹)이며 소산(蕭散)은 이 충담(沖澹)함을 부연 설명해 놓은 말이다. <정언묘선서(精言妙選序)>에서도 충담소산(沖澹蕭散)을 다시 요약해 충담(沖澹)이라 기술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율곡은 충담(沖澹)을 여러 시적 전범들 중 가장 대표적 풍격으로 인식하였다. 「형자집(亨字集)」에서 표방한 한미청적(閒美淸適) 풍격은 한가로운 아름다움으로서의 ‘한미(閒美)’가 중심적인 의미라 할 수 있다. 율곡 자신의 정신적 지향의 한 면모가 ‘한가로움’이었기 때문에 문학에서도 전범으로 삼을 만한 하나의 문학성을 ‘한미(閒美)’라 말한 것이다. 「이자집(利字集)」에서 표방한 청신쇄락(淸新灑落)의 풍격도 ‘청신(淸新)’ 중심의 문학성을 지목한 것이라 여겨진다. ‘쇄락(灑落)’은 ‘청신(淸新)’의 이미지를 더욱 잘 드러내기 위해 부연된 말이라 하겠다. 『정언묘선』 각 권에서 제시한 풍격들을 살펴보면 율곡은 문학비평의 주요 준거를 의경(意境), 사어(辭語), 격조(格調) 등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그는 의경을 가장 중심적 요건으로 파악했다. 『정언묘선』의 「정자집(貞字集)」은 용의정심(用意精深)을 기준으로 선집한 것이라 하였다. 선발된 작품은 ‘정심(精深)’함이 두드러진 풍격으로 구현되었는데, 바로 작가의 의경이 ‘정심(精深)’함을 파악한 것이다. 「인자집(仁字集)」에서는 정심의원(情深意遠)한 작품들을 가려 뽑았다고 했는데, 그것은 작가의 ‘정과 뜻[情意]’이 ‘심원(深遠)’한 작품들을 중점적으로 선발했다는 말이다. 「정자집(貞字集)」의 용의정심(用意精深)한 풍격은 의경 중심의 작품 선발 기준이면서 한편으로는 작품 창작기법의 한 측면을 거론한 것으로 보인다. 즉, 시인이 작품을 창작할 때는 그 의경이 정밀하고 깊게 표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인자집(仁字集)」에서 표방한 선발 기준인 정심의원(情深意遠)의 경우도 작품의 창작방법을 함께 말하고 있다. 작품이 지향해야 할 바의 깊은 서정과 길게 이어지는 의경은 훌륭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 시인이 작품을 창작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기도 하다. 「의자집(義字集)」에서는 격사청건(格詞淸健)을 말했는데 작품의 격식과 사어(辭語)의 측면에서 맑고 굳센 면모를 평가한 것이다. 여기서는 작품 비평의 층위로서 격식과 사어를 들고, 본받아야 할 문학성과 창작방법으로서 격사(格詞)의 청건(淸健)함을 보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자집(禮字集)」 작품들의 대표적 풍격은 정공묘려(精工妙麗)라 했는데, 이 말은 ‘정공(精工)’에 의미 비중이 더 있고 ‘묘려(妙麗)’는 ‘정공(精工)’의 효과를 부연해 설명한 풍격이라 보여진다. 작품에서 이루어진 정공묘려(精工妙麗)한 풍격은 율곡이 생각한 또 하나의 시적 전범이면서 창작방법의 일면이기도 하다. 율곡은 『정언묘선』의 여덟 편에 각각 기준으로 삼은 작품의 풍격을 제시해 놓았다. 「원자집(元字集)」에서 ‘충담(沖澹)’의 풍격을 먼저 거론해 그것을 가장 중시하는 태도를 보이면서도, 나머지 일곱 편에서 기준으로 삼은 풍격들이 모두 학시(學詩)의 전범이라 하였다. 시문학 작품이 지닌 여러 층위들 중에 율곡은 특히 의경의 측면을 중시하여, 그것을 올바르게 구현하는 창작방법을 각 편의 표제적인 풍격으로 나타내 보였다. 율곡은 이러한 시학을 통해 『정언묘선』이 학자들의 존심양성(存心養性)을 위한 하나의 교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 것이었다. 『Jeongeunmyosun(精言妙選)』 is an anthology of Chinese poems which was made by Yulgok(栗谷) Lee-yi(李珥) for showing the best model of poetry. He presented several short name of style and collected many equivalent works. The poems of 「Wonjajip(元字集)」 have the style as Clean-light(沖澹). Yulgok(栗谷) thought that the Clean-light(沖澹) were the representative style as the best model of poetry. The poems of 「Hyungjajip(亨字集)」 have the style as Leisure-beauty(閒美). Yulgok(栗谷) intended ‘Leisure’ mentally, so he mentioned Leisure-beauty(閒美) as a model of poetry. The poems of 「Leejajip(利字集)」 have the style as New-clean(淸新). New-clean(淸新) is the literariness of neat and tidy. Studying the showed style of 『Jeongeunmyosun(精言妙選)』’s each part, we can know that Yulgok(栗谷) recognized important matters of literary critique such as Intention(意境), Words(辭語), Forms(格調). Especially Yulgok(栗谷) understood that Intention(意境) was the most important matter. The mentioned style of 「Jeongjajip(貞字集)」 is deep precisely Using-Intention(用意精深). That is a standard of collecting poems focus on Intention(意境), also that seemed an aspect of work-writing skill. The mentioned style of 「Injajip(仁字集)」 is deep-emotion and long-intention(情深意遠). It showed an aspect of work-writing skill as well. The mentioned style of 「Eujajip(義字集)」 is Form-word’s clean and sound(格詞淸健). It estimated the aspect of poem’s form and words. The mentioned style of 「Lyejajip(禮字集)」 is skillful-elegant(精工妙麗). Yulgok(栗谷) also insisted that it is another model of poetry and an aspect of work-writing skill.

      • KCI등재

        17세기 말~18세기 초 風格批評의 중국 詩話 수용 양상 - 金錫胄, 洪萬宗, 金漸의 비평을 중심으로 -

        조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장서각 Vol.- No.50

        중국에서 시작된 風格批評은 중요한 문학 비평 방식으로, 한국의 한시비평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金錫胄, 洪萬宗, 金漸 등의 비평가들은 宋代 敖陶孫의 「臞翁詩 評」과 明代 王世貞의 「國朝詩評」을 비롯한 중국 詩話를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리하여 집중적이고 연속적인 비유를 사용한 형상적인 풍격비평을 전개했다. 본고는 김석주, 홍만종, 김점의 풍격비평을 대표하는 『玄湖鎖談』, 『小華詩評』, 『西京詩話』 등의 시화서에 주목하고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의 한시 풍격비평에서 나타난 중국 시화의 선택적 수용과 변주를 검토하겠다. 그리하여 이전 시대의 풍격비평과 구별되 는 새로운 비평의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排比와 博喻 수법을 통한 대규모의 일관적 비평 방식은 당대 조선 시화서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홍만종과 김석주의 시평은 한결같이 四言二句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기에 형식미와 운율미를 느낄 수 있다. 김점의 시평이나 南龍翼의 시론은 ‘如~+又如~’의 구조를 보이는 박유의 방식으로 복합적 意象을 사용하여 풍격 특징의 복잡한 성격을 제시하면서 작품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미감을 보여주었다. 또한, 비평가들은 추상적인 풍격과 생동적이고 구상적인 의상을 연결하여 비평 대상의 내적 風神과 작품 전체의 운치를 비유적으로 표현했다. 추상적 개념어를 통해 야기되는 의미 전달의 모호성을 보완하면서 비평가의 다양한 심미적 인식을 독자에게 섬세하게 전달했다. 끝으로, 비평가들은 自然·典故·人物 등 구체적인 의상을 활용하여 형상적인 풍격비평을 전개했다. 특히 복잡한 인물이나 전고 등의 의상이 다양하게 인용됨에 따라 더욱 복합적인 풍격비평이 부각되었다. 이는 풍격비평이 더욱 원숙한 단계에 들어섰 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17세기 말~18세기 초의 풍격비평은 집중적·연속적으로 비평하면서 구체적인 의상을 활용하여 구상적인 비평을 본격화했다. 무엇보다 이러한 비평 방식은 漢詩·時調 등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조선의 시문을 대상으로 한 문학비평 외에도 서예·회화 등 다양한 영역의 비평으로까지 확장되었다. 이런 점에서 17세기 말~18세기 초의 풍격비평은 매우 독자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Stylistic criticism, which originated in China, became an important method of literary criticism and had a profound influence on Korean classical poetry criticism. In particular, critics such as Kim Seok-ju (金錫胄), Hong Man-jong (洪萬 宗), and Kim Jeom (金漸) adopted Chinese poetic discussions, including Ao Taosun’s (敖陶孫) Quwengshiping (臞翁詩評) from the Song Dynasty and Wang Shizhen’s (王世貞) Guochaoshiping (國朝詩評) from the Ming Dynasty, and incorporated them positively into their work. They used intensive and continuous metaphorical style criticism to depict the figurative elements of poetry. This paper examines the selective adaptation and variation of Chinese poetic elements in Korean poetry criticism, focusing on works such as the Hyeonhosoekdam (玄湖鎖談), Sowhashipyung (小華詩評), and Seokgyeongsihwa (西京詩話), which are representative of the style criticism of Kim Seok-ju, Hong Man-jong, and Kim Jeom. The aim is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new form of criticism, which emerged in the late seventeenth and early eighteenth centuries, and to distinguish it from earlier stylistic criticism. First, in the field of Chinese poetry criticism, there is a notable presence of large-scale and concentrated style criticism that employs parallelism and sustained metaphor. This style of criticism first found expression in Korean poetry. In particular, the criticism of poets such as Hong Man-jong and Kim Seok-ju is composed of meticulously structured four-character sentences that re imbued with the beauty of form and poetic rhythm. Meanwhile, the poetry criticism of Kim Jeom and the poetic theories of Nam Yong-ik (南龍翼) use a structure characterized by phrases such as “such as ~ + another such as ~” to create expansive metaphors. This technique allows them to unravel the intricate aspects of stylistic features and reveal a variety of aesthetic nuances in the works. In addition, critics combine abstract poetic styles with vivid and concrete imagery, which vividly reveals the inner spirit of their criticism and the overall charm of the works. The ambiguity resulting from the abstract nature of the concept of style is refined, and the critics’ rich aesthetic knowledge is delicately conveyed to the readers. In particular, the critics not only actively show the diversity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oetic styles, but also point out the shortcomings of these styles, providing a critical perspective that illuminat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ir craftsmanship. This reflects the critics’ keen awareness of the critical process. In the field of Chinese poetry criticism, critics have used a variety of specific images, often drawing from nature, using allusions, and dissecting characters to engage in image-style criticism. By citing a variety of intricate character images and classical references, they have emphasized a more comprehensive and three-dimensional approach to style criticism. This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style criticism tended toward greater maturity and perfection. In conclusion, from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o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style criticism used specific images to construct vivid metaphors, leading to more precise and sustained representational criticism. Significantly, this method not only had a lasting impact on literary criticism, but also extended its influence to Korean poetry. It also left its mark on criticism in various artistic fields, including calligraphy, painting, and music.

      • KCI등재

        최경창(崔慶昌)의 시세계와 특성

        선지영 ( Sun Ji-young )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8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1539∼1583)이 생활했던 시기는 사대사화로 인한 붕당정치와 훈구파를 중심으로 화려한 시적 기교와 난삽한 수식으로 관료적 문학관이 배태되었고 신진 사림파를 중심으로는 기교를 반대하고 청징한 처사적(處士的) 문학의 정신세계를 추구하였으나, 이들은 도학적 자유로운 성정을 표현하고자 하였던 시기다. 본 논문에서는 최경창의 작품세계를 통해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인생관 및 가치관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풍격(風格)을 구하고자 한다. 풍격이란 작가의 인품이나 사상 등이 작품 속에 복합적으로 구체화 된 양상이기 때문에 최경창의 문학적 위상도 규명될 수 있다고 본다. 작품세계는 주제에 따라 연모에 정한, 선경의 동경, 현실에 대한 비판으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먼저 최경창의 작품 속에는 연정(戀情)을 대상으로 한 시가 상당히 있는데 이와같은 작품을 창작하게 된 동기는 아마 풍부하고 섬세한 여성의 감정에 자신의 낭만적 감정을 표출하는데 부합되어 자연스럽게 시적 표현의 대상이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선계(仙界)를 동경하게 된 것은 당시 문단의 하나인 유선시(遊仙詩)를 모작(模作)하게 된 소단(騷壇)의 흐름과 관계가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되며, 현실의 좌절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초월적 선계를 동경하고 찬미하였다고 본다. 최경창(崔慶昌)시의 풍격(風格)은 청신(淸新)한 풍격에 있다. 청(淸)은 대체로 맑고 깨끗할 뿐만 아니라 산뜻하며 순수한 자연의 산천경개, 나아가 일상세계를 초월한 선경(仙境)이나 선취(仙趣)를 느낄 수 있는 맑고 아름다운 정경을 묘사한 것과 관련된 시의 풍격(風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에 쓰인 시어(詩語)는 일반적으로 2자의 용어법, 이미지 어휘의 사용, 악부시(樂府詩)계열 작품의 일상어 활용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라고 본다. The Old Meritorious Faction had bureaucratic literary view because of factional politics due to elite society splendid poetic techniques and difficult and distracted modification and new Neo-Confucian literati were opposed to techniques and sought the spiritual world of clear and clean literature of reclusive scholars (處士的) in the period that Gojuk (孤竹) Choi, Gyeongchang (崔慶昌,1539∼1583) lived. However, they tried to express ethical and free nature in the period.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the situations of the time, people's view of life, and values through Choi, Gyeongchang's works and seek his style (風格) shown in them. Because styles are the aspect that writers' personality or ideas are complexly embodied in their works, it is thought to investigate and reveal writers' literary status The works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them into a limited time of love, longing for fairylands, and criticism on reality according to subjects. First, there are many poems targeting love (戀情) in the works by Choi, Gyeongchang. The motive for creating the works like this is thought that women's delicate and rich feelings are naturally target of poetic expression because they accord with expression of his own romantic feelings. And the point that he longed for the heavenly world (仙界)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flow of Sodan (騷壇) that got to imitate (模作) poems of wandering immortals (遊仙詩), one of literary circles of the time. And it is thought that he longed for and praised the transcendental realm as a way to solve frustrations and conflicts of reality. Choi, Gyeongchang (崔慶昌)'s poems have a clean and new (淸新) style (風格). Cleanness (淸) is generally fresh as well as clear and clean and is the style (風格) of poems related to descriptions of scenery or landscape or pure nature and furthermore, clear and beautiful scenes to feel the realm of immortals (仙境) or Seonchwi (仙趣) that transcended the everyday world. And poetic diction (詩語) used in the poems is thought to be characterized by the general use of pleonasm of two letters and image vocabularies and the utilization of everyday words in the works of music bureau ballad (樂府詩) series.

      • KCI등재후보

        동래학춤에 담긴 풍격(風格)의 미(美)

        강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3

        Dongraehak dance is a type of dutbaegi dance in Dongrae area and it reflects the behavior of a crane and unique topography of Dongnae. This study shows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by analyzing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in Dongraehak dance by three aspects, which are suggested in Twenty-four Poems made by Sagongdo(837∼908).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in Dongraehak dance are clear, antique, which are introduced in Twenty-four Poems.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aesthetics through linear motion in clear, swaggering motion in antique and a bamboo basket motion in antique. The following can be known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First,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in Dongraehak dance is a beauty of clear oriented a classical scholar. It can be seen in a classical scholar with linear motion. Second, it is a beauty of antique soaring up to the sky. It can be seen in soaring behavior of swaggering motion. Third, it is a beauty of proud loneliness of a crane dance. It contains a proud loneliness of a crane, and gentility by rising above the world. A bamboo basket motion shows dignified figure of a crane which does not have a hair outofplace. The study determines that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in Dongraehak dance is reflected in the motion of Dongraehak dance as clear, antique and proud of loneliness. Also, this classifies a beauty of motion oriented a classical scholar, soaring behavior and a figure like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rising above the world and suggests each aspect. 동래학춤은 동래 지역 덧배기춤의 한 유형으로, 학의 거동과 동래 지역의 독특한 지형 등이 춤으로 반영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래학춤의 풍격의 미를 사공도(837∼908)가 지은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에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여 풍격의 미의 양상들을 제시해 보았다. 동래학춤의 풍격의 미를 『이십사시품』에서 소개된 충담(沖澹), 표일(飄逸), 고고(高古)로 들 수 있다. 또한 충담에서는 일자 사위(一字사위)를, 표일에서는 활갯짓 뜀사위(날음새), 고고(高古)에서는 소쿠리 사위를 통해 동래학춤의 풍격의 미를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동래학춤의 풍격의 미는 선비를 지향하는 충담의미이다. 일자사위에서 보이는 선비의 모습에서 춤담의 풍격 미를 볼 수 있다. 둘째, 하늘을 비상하는 표일(飄逸)의 미이다. 활갯짓 뜀사위(날음새)에서 볼 수 있는데 표연히 허공을 향해 날아가는 모습에서 풍격을 표일에서 볼 수 있다. 셋째, 고고한 학춤의 고고(高古)의 미이다. 학의 고고한 자태를 풍격있게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세속을 초월하여 고상하고 고풍스러움이 있다. 큰 소쿠리를 받히고 있는 무태(舞態)를 하고 걸어가는 춤사위는 흐트러짐 없는 학의 고고하고 기품있는 모습을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동래학춤의 풍격의 미를 충담, 표일, 고고(高古)의 미학 범주로 구분하여 동래학춤의 춤사위에 반영되어 있음을 밝혔다. 첫째, 선비를 지향하는 몸짓의 아름다움 둘째, 허공을 향해 날아가는 자태 셋째, 흐트러짐이 없이 속세를 초월하는 신선다운 풍격을 분류하고 각각의 양상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惺수詩話』의 風格批評 양상 : 許筠의 唐詩風的 대안의 특징

        조융희 한국고전연구학회 2002 한국고전연구 Vol.8 No.-

        이 논문에서는 허균이『성수시화』에서 보여준 풍격비평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허균은 晩唐風을 극복하고 盛唐風을 추구한 시인과 성당풍이 구현된 시를 높이 평가 했다. 허균에게는 '纖麗' 또는 '纖靡' 풍격으로 대표되는 晩唐의 시풍이 극복의 대상이었다. 성당풍이라고 하여 허균에게 주목받은 대표적인 풍격은 '沈着'이었는데, 이 풍격이 동시대의 신홈과 같은 비평가에게서 그다지 중시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할 때, 허균의 이러한 관심은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 그리고 허균은 '纖靡'·'纖麗' 등 晩唐風에서 발견되는 부정적인 면모들을 일신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宋詩風에서 구사되었던 '淡雅'·'勁悍'·'奇杰' 등의 풍격에 대한 수용도 고려하고 있었다. 이들 풍격은 경박하지 않고 차분한 정서 또는 나약하지 않고 강한 기상을 표현한 것들이었기 때문이다. 동시대 시단에 대한 허균의 비평을 통해서는 그가 '淸'과 같이 唐詩風 계열의 작품에서 일반적으로 구현되던 풍격까지도 새롭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허균은『鶴山樵談』에서『성수詩話』로 오는 과정에서 '淸麗' 보다는 '淸勁'이, '淸勁'보다는 '悍勁'이 唐詩風의 본령, 즉 성당풍의 범주에 가까운 풍격이라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濂洛風의 詩格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枯淡' 풍격도 唐詩의 본령 안에 두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풍격이 萎弱함과 결합될 경우 시의 본령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This thesis examines Seongsu-Shihwa, Heo Gyoon's remarks on poetry, focusing on its aspects of stylistical criticism. Heo Gyoon highly praises the High-Tang Chinese styles of poetry to overcome the Late-Tang styles such as the 'Delicate-Weak'. He especially notes the 'Firm and Self-Possessed' as a High-Tang style while Shin Heum, Heo Gyoon's contemporary critic, does not consider it as an important style of poetry. Heo Gyoon also reveals the standpoint that the merit of Sung Chinese style should be taken for the better embodiment of Tang Chinese style.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ate-Tang style which was too frail and delicate, the styles of the 'Calm-Dignified', the 'Strong-Sturdy' and the 'Wondrous-Outstanding' containing the calm and moderate emotion are emphasized by Heo Gyoon. Heo Gyoon commented his contemporaries by subcategorizing the 'Lucid' style which was recognized as a main element for the poetry writing of Tang Chinese styles in his days. This thesis traces that Heo Gyoon's favorite poetic style changes from the 'Lucid-Beautiful' to the 'Lucid-Strong', and then to the 'Strong-Sturdy', which means his view point of boundary for the High-Tang style heads for stronger tendency. The 'Washed-Calm' style derived from the Neo-Confucian poetry also interests Heo Gyoon on condition that it does not join the poetic styles of weakness and fragility.

      • KCI등재

        蘇東坡散文風格硏究

        박노현 한국중국문화학회 2013 中國學論叢 Vol.40 No.-

        中國 古典文學에서 散文이 차지하고 있는 전통적인 위상에 비해 散文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미한 형편이다. 그 결과 중국산문사상 가장 우수한 작가로 평가되어지고 있는 蘇東坡(1036~1102)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의 산문 작품 자체에 대한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여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문 분야에 대한 연구의 일부분을 수행하려는 취지하에, 그 표본적 의의가 충분하다고 보여지는 蘇東坡를 택해 그의 산문 작품중에 나타난 풍격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蘇東坡散文을 총체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어 그 과정에 해당되는 蘇東坡散文硏究중 風格을 중심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蘇東坡散文이 中國文學史에 점하고 있는 意義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초로하여 蘇東坡 산문 작품속 나타난 그의 산문내용적 특성, 文學理論 및 그 형식적 특징등에 대한 분석은 차후에 계속 연구할 계획이다. 蘇東坡 散文의 風格 特徵을 1) 平易自然, 2)奇妙創新, 4)雄渾豪放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風格의 하나인 平易自然의 경우 散文理論중 ‘自然成文論’의 ‘行雲流水’·‘常行於所當行,常止於所不可不止’와 내용적으로 一脈相通하고 있다. 이와 상반된 風格 特徵이 奇妙創新이다. 또 雄渾豪放 즉 자유분방하여 거침없이 호쾌한 필치로 자신이 의도하는 바를 호방하게 글로 쓴 蘇軾은 가히 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불릴 만큼 그 風格 特徵이 다양하기 그지없다. 蘇東坡의 散文 風格은 豪放스러운 필치를 구사하고, 또 奇妙하기도 하면서 自然스럽고 平易한 文體를 사용하여 오랫동안 침체되었던 中國 散文의 藝術性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어 後代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즉 蘇東坡는 앞 시대의 散文家들의 여러 장점들을 두루 수용하면서 자신의 개성과 잘 조화시켜 독창적인 美를 구현해 냄으로써 내용이 알차면서도 문학성이 풍부한 산문을 창작했다고 보겠다.

      • KCI등재

        栗谷 李珥의 漢詩와 ‘淸’의 文學性

        박수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4 石堂論叢 Vol.- No.88

        栗谷 李珥는 한국 유학 사상사에서 가장 손꼽히는 인물이다. 그의 氣 중심 理氣論과 그에 기반을 둔 人心道心說은 조선 중기 성리학의 깊이를 보여주는 주요한 논의로 평가된다. 또한 그는 우리나라의 문학사에 있어서도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인 문인이기도 하다. 율곡은 한 사람의 문장가이자 시인으로서 상당히 많은 문학 작품을 저작하였다. 율곡은 자신의 문학 인식을 여러 글에서 두루 기술해 놓았다. 『精言妙選』에서는 모두 중국의 시작품을 가려 뽑아 수록했지만, 율곡은 『精言妙選』의 찬집에서 우리나라 시학의 바른 길을 제시해 보이고자 했다. 율곡은 도학의 기반 위에 문학을 수용하며 문학이 지향해야 할 바는 도를 구현한 성현의 문이란 생각을 말했다. 나아가 성현의 문장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천지의 문장을 말하며 천하의 지극한 문장은 바로 꾸밈없는 자연스러운 문장이라 논의하였다. 율곡은 『精言妙選』의 찬집 작업에서 ‘淸’의 문학성을 가장 중시하였다. 그가 『精言妙選』의 첫 권인 「元字集」에는 ‘沖澹蕭散’한 작품들을 실어 시학의 원류를 밝혀 보이고자 했는데, 맑고 담박함을 지칭한 ‘沖澹’은 기본적으로 ‘淸’의 이미지가 내재된 풍격이다. 또한 「亨字集」의 ‘閒美淸適’과 「利字集」의 ‘淸新灑落’은 모두 ‘淸’의 문학성을 작품 비평의 중요한 요건으로 제시한 풍격이기도 하다. 天得의 자연스러움에서 구현되어지는 ‘淸’의 문학성은 여러 비평가들이 시문학에서 도달해야 할 수준 높은 경지로 꼽는 풍격이다. 「仁字集」에서 표방한 ‘格詞淸健’의 경우도 詩格과 詞語의 측면에서 맑고 굳센 문학성을 보인 작품을 가려 모은 것이라 하니, 율곡이 시문학에서 ‘淸’의 문학성을 지향했고 그것을 『精言妙選』 작품 선발의 핵심적 준거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자연스런 ‘淸’의 문학성은 唐風의 시문학이 지향하는 하나의 대표적인 풍격이면서, 동시에 宋風의 시문학에서도 도외시하지 않는 중요한 풍격이기도 하다. 시문학 작품은 唐風과 宋風을 막론하고 일단은 인위적 꾸밈이 없는 자연스러움을 높이 평가한다. 載道의 문학론에 의해 창작된 시문학은 성리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대개가 宋風的 경향을 띠는 것이 일반적이다. 율곡의 경우도 도학을 사상적 토대로 삼고 있어 시문학에 대한 인식도 우선적으로 宋風의 경향을 지닌다. 그러나 율곡은 문단의 주도적 흐름이 宋風에서 唐風으로 전환되는 시기를 살면서, 宋風의 문학성 중에 특히 차분하고 깔끔하면서 맑고 담박한 ‘淸’의 문학성을 지향했다고 할 수 있다. 율곡이 생각한 시적 지향이 ‘淸’의 문학성이었던 만큼 그의 실제 작품 세계에서도 ‘淸’의 문학성을 실천적으로 구현해 내고 있다. 沖澹蕭散과 閒美淸適도 ‘淸’의 문학성을 바탕으로 하는 풍격이지만 율곡의 시작품에서는 淸新灑落한 풍격이 비교적 많이 나타나 보인다. 『栗谷先生全書』의 詩稿를 살펴보면 ‘淸’의 문학성을 구현한 시작품을 율곡의 생애 전 시기에 걸쳐 두루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淸’의 문학성은 평소 存心養性을 통해 심성을 깨끗하고 고결하게 지니고자 한 율곡의 시적 태도에서 기인한 것이라 하겠다. 율곡은 그의 한시작품에서 ‘淸’의 문학성을 실천해 보였다. 『精言妙選』에서 표방한 沖澹蕭散, 閒美淸適, 淸新灑落의 풍격은 곧 ‘淸’의 문학성을 높이 평가해 강조한 것이기 ... Yulgok(栗谷) Lee-yi(李珥) is a famous philosopher of Korean confucianism history. And also he is one of presentative writer on Korean literary history. He wrote several articles about his literary thought. Yulgok(栗谷) wanted to show the proper way of poetry making 『Jeong- eunmyosun(精言妙選)』. He insisted that Confucian ethics must accept literary. And he wrote that the aim of literary was the saint’s literary presenting Confucian ethics. Yulgok(栗谷) attached importance to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on the making 『Jeongeunmyosun(精言妙選)』.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which is presented by Natural come from haven(天然) is the high level of literary works. Such the natural literariness of ‘Clean(淸)’ was one of main T’ang style(唐風), as well as one of main Song style(宋風). Yulgok(栗谷) lived the period of a turning point Song style(宋風) and T’ang style(唐風). He intended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as clean and light one of the literariness of Song style(宋風).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was Yulgok(栗谷)’s poetic intend, and he practiced that on his own poem works. We can find many poems the style of New-clean(淸新) on Yulgok(栗谷)’s works. On the collection of Yulgok(栗谷)’s poems(『栗谷先生全書』) there are many works presenting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during his all life. Such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was caused by Yulgok(栗谷)’s poetic attitude which always wanted to have highly-clean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