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상표현주의를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연구

        이정아,태동숙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3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네일아트 디자인이 트랜드에 민감한 성향을 볼 수 있어 모방에 의한 디자인보다 전문가인 네일리스트들의 다양한 문화적 소재와 색상, 재료, 디자인을 추출하여 트렌드 연구와 함께 디자인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네일아트 재료들은 이미 포화상태가 되어가면서 정형적인 틀을 초월한 비정형적인 디자인이나 자연물에 영감을 얻어 융합을 시도하는 등의 유기적 디자인, 주체성이 애매모호 하고 추상적이며 기이학적인 디자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여 현대미술에서 보여지는 추상표현주의 표현방법과 네일아트의 표현기법을 융합하여 개성있고 창조적인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의 방향성 제시와 네일아트가 추상표현주의 미술적 영향을 받은 하나의 예술임을 규명하고 그 영역을 확대하는 데 있다. 추상표현주의의 드리핑, 타시즘, 색면추상, 서체추상 오토마티즘 등의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회화에 나타난 추상표현주의 유형은 네일아트의 회화기법으로, 조형에 나타난 추상표현주의 유형은 네일아트의 오브제기법으로 나누어 10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네일아트와 추상표현주의의 예술적 연관성이 있는 표현기법 연구를 통해 네일아트와 추상표현주의가 한 장르임을 알 수 있었으며 네일아트 분야의 한계성을 뛰어넘고 독창성과 창의성이 돋보이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예술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네일아트 디자인 영역의 확장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Nail art designs have a tendency of being sensitive to trends, which raises a constant need to develop designs along with trend research by extracting various cultural materials, colors, raw materials, and designs from works by professional nailists rather than design by copying. As nail art materials are already in a saturated state, organic designs have begun to emerge which attempt at fusion by transcending typical frameworks and getting inspiration from atypical designs and natural objects along with abstract and geometric designs whose independence is ambiguous.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ality of research on individual and creative nail art designs, demonstrate that nail art was an art under the artistic influence of abstract expressionism, and expand its area by promoting the fusion of the expressive methods of abstract expressionism in contemporary art and those of nail art. The investigator made a total of ten works by employing various techniques of abstract expressionism including dripping, tachisme, color field abstract, calligraphic abstract, and automatism and dividing the types of abstract expressionism in paintings according to the painting techniques of nail art and the types of abstract expressionism in molding according to the objet techniques of nail art.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nail art and abstract expressionism belong to the same genre based on the research on expressive techniques artistically connected to nail art and abstract expressionism.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diverse future studies highlighting the originality and creativity of the nail art field beyond its limitations, the possibilities of nail art establishing itself as an area of art, and the expansion of nail art designs.

      • KCI등재

        추상표현주의를 활용한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예영(Yhe You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수집한 추상표현주의 패션디자인 사례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미적 가치 측면에서 해석함으로써 창의적 디자인을 위한 참고자료를 마련함은 물론 패션디자이너들의 작품이 담고 있는 철학성을 재고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자료 수집을 위하여 미국 스타일닷컴(www.style.com), 한국의 삼성디자인넷(www.samsungdesign.net), 해외 신문과 잡지 기사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고려대학교 도서관의 멀티데이타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각 사이트에서 ‘abstract expressionism’ 또는 ‘추상표현주의’와 대표적인 추상표현주의 작가 22명의 영문명을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2004년에서 2012년 사이에 발표한 컬렉션 중 추상표현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은 총 17개로 밝혀졌다. 선별된 17개의 컬렉션을 대상으로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총 5 부류로 정리할 수 있었다. 추상표현주의의 형이나 색채를 응용한 텍스타일 프린팅과 염색, 추상표현주의 작품에서 추출한 색채의 소재 이용, 색면회화의 수직과 수평 분할선을 내부 구성선이나 니트의 컬러블럭으로 응용한 방법, 추상표현주의 작품의 형태나 느낌을 소재의 질감으로 표현한 방법, 추상표현주의 작가들의 작품 제작 과정이나 재료를 활용한 표면 장식이 있었다. 내적 의미를 해석한 결과로는 네 개의 미적 가치가 추출되었다. 구체적인 미적 가치는 추상표현주의 작가들의 작업 과정을 응용해 탄생한 유일무이한 패션디자인이 갖는 독창성, 추상표현주의 작품이 갖는 전면성과 무방향성을 담은 텍스타일 프린트의 공간 개방성, 색면회화의 대형 규모, 종교적 성향, 힘의 표현 등이 담고 있는 숭고성, 이성에 대한 회의와 기존 유럽미술의 권위에 도전한 추상적 표현이 갖는 자율성으로 나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 aesthetic values of systematically collected examples of abstract expressionism-inspired fashion designs, to provide fashion students and designers with references for the creative fashion design and to reconsider the philosophical meanings embedded in fashion. 17 fashion collections introduced between 2004 and 2012 were searched from U.S. Style. com(www.style.com), SamsungDesignNet (www.samsungdesign.net), and Korea University`s multi-database system with key words including ``abstract expressionism`` and 22 names of abstract expressionist artists. As a result, 5 categorie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Textile printing and dying inspired by forms or colors of abstract expressionism, selection of fabric colors inspired by abstract expressionism, constructional inner lines and color-blocked knits inspired by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of color-field paintings, fabric textures inspired by forms and feelings of abstract expressionism, and surface decorations inspired by work process and materials of abstract expressionists. The following 4 aesthetic values were interpreted: Originality embedded in fashion designs which applied abstract expressionists` work techniques, openness of textile designs which represent the all-overness and non-directional features of abstract expressionism, solemnity expressed by extreme sizes, religious themes and power, and liberalness of abstract forms which represented the doubts against rationality and the authority of European academic art world.

      • KCI등재

        20세기 현대미술에서 표현주의와 신표현주의 연관성

        전민경(Min-Kyung Jun),정경철(Kyung-Chu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독일은 19세기 후반기에 통일을 이루었지만 급격한 도시화와 물질주의 속에서 많은 혼란을 겪으며, 정신적인 혁명을 통해 독일적인 문화를 찾고자 하는 움직임이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현실 속에서 발생하는 분노, 슬픔, 억압 등의 심리적 상태를 본능적인 감성에 충실하며, 그대로 표현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형태가 왜곡되거나 과장되며, 강렬하고 어둡고 내성적인 분위기의 낭만주의적 전통을 잇게 되었다. 파시즘의 나치에 의해 ‘퇴폐미술’ 로 낙인찍히며 막을 내렸던 표현주의 미술이 20세기 말에 다시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났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비록 신표현주의자들이 다양한 오브제와 매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는 하지만, 그들은 인간 내면세계를 표출하고자 과거 표현주의자들이 즐겨 썼던 인물, 신화, 상징을 거친 붓 터치와 풍부한 색채 등으로 다시 화면에 등장시키며 독일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희망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신표현주의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표현주의에 대해 살펴보며 이들이 독일 전통 낭만주의와 어떠한 맥락에서 일치하며 현대 미디어콘텐츠로 계승 발전 되었는지를 논하고자 하였다. Although having only become a unified nation in latter 19th century, Germany saw a movement centered on intellectuals to find culture via mental revolution after experiencing much confusion amidst rapid urbanization and materialism. Having expressed as they are such psychological states as anger, sorrow, repression, etc., which arise in reality, by remaining faithful to instinctive sensibility, the form naturally becomes distorted or exaggerated and continues on the tradition of romanticism of a powerful, dark, and introverted atmosphere. Having been discontinued after being branded as 'decadent art' by the Nazis of Fascism, expressionist art has returned in latter 20th century mainly centered on Germany, and this merits our attention. While neo expressionists actively use various objets and media, they metaphorically express hope about Germany's culture and society by again placing on the screen figures, myths, and symbols using rough brush touch, rich colors, etc., which past expressionists enjoyed using to represent the inner world of humans. As such, by examining expressionism, which can be seen as the origin of neo expressionism, we will discover the context in which these people conform to Germany's traditional romanticism and how they inherited and developed i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레이먼드 카버의 「대성당」과 조해진의「빛의 호위」에 나타난 감각 활용 비교: 표현주의의 새로운 기능을 중심으로

        탁희연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3 외국문학연구 Vol.- No.90

        This thesis analyzes how ‘expressionism’ is used in contemporary literature through reading Cathedral by Raymond Carver and Escorted by Lighted by hae-jin Cho. ‘Expressionism’ is an art period that appeared in the 20th century and has the aim to express a subjective psychological condition of a character. This thesis limits ‘expressionism’ to the ‘senses’ of humans. The first person and the main character of each two short-story portrays vividly the inner world of themselves through the ‘five senses’, especially the ‘sense of touch’ and the ‘sense of sight’. Furthermore, the utilization of ‘sense of touch’ and ‘sense of sight’ have the feature of the medium of the narrator to understand other people. Eventually, the ‘expressionism’ in contemporary literary works has the hopeful function of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nd beyond ‘the connection to the community’. 본 글은 미국의 소설가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소설 「대성당 Cathedral」(1983)과 한국의 소설가 조해진의 단편소설 「빛의 호위(2013)」를 통해 ‘표현주의’ 기법이 현대문학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표현주의’는 20세기에 등장한 예술 사조로써 다양한 형식과 표현, 상징으로 인물의 주관적인 심리 상태를 표현하고자 한다. ‘표현주의 기법’은 주로 전쟁 이후 절망한 인간의 내면세계를 왜곡된 이미지와 형상으로 나타냈다. ‘문학 작품은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이다’라는 말처럼 오늘날의 문학 작품은 새로운 표현주의 기법으로 현대인의 심리를 묘사한다. 본 글에서는 표현주의 기법을 두 단편소설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감각’, 즉 오감(五感)의 묘사로 한정한다. 두 단편소설에서 주인공이자 1인칭 화자들은 ‘오감’, 그중에서 ‘촉각’과 ‘시각’을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생생하게 묘사한다. 또한, ‘촉각’과 ‘시각’이라는 감각의 활용은 주인공들이 화자가 타인을 이해하게 되는 매개체로 작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대성당」의 화자인 ‘나’가 맹인에게 가지고 있던 편견은 ‘눈먼 남자’와 함께 그림을 그리는 촉각적 행위를 통해 해소된다.「빛의 호위」에서 ‘나’가 권은을 위해 선물한 카메라의 빛은 ‘권은’이 다른 세계로 향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나가 ‘권은’에게 선물한 ‘빛의 호위’는 그녀가 다른 사람에게 ‘빛의 호위’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역시도 ‘시각적 행위’를 통해 상징화된다. 궁극적으로 오늘날의 문학 작품 속 표현주의는 연대의 가능성 그리고 더 넘어서서 공동체로의 연결이라는 희망적인 기능을 가진다.

      • KCI등재

        표현미학에서 본 무용예술

        이승건 ( Seung Kun Yi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07 美學·藝術學硏究 Vol.25 No.-

        Ever since Aristoteles, after classical antiquity, before the birth of the concept of beaux-arts(fine-arts) that combine arts into one, the traditional thesis of western art theory that ``art is mimesis of the nature`` had been constructed both speculative and theoretical foundation under the ideology of mimesis saying that art exceed phenomenon of external copying, otherwise it is ``Ausdruck`` from inner world of human being. This situation also existed for dance, thus mimesis as an ideology of art affected big influence over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in terms of art from it`s very beginning until present by saying that dance is not an external reproduction of reality but it`s the internal expression. But, the concept of mimesis as an ideology of art like this, enabled to express the inner secret of itself or ups and downs which were not able to be depicted as a form of art that appeared on late 18th century. And this new form of art overtook the place of mimesis by the modern concept of artistic creativity that embodied itself to the form of material. Especially, at that moment, the concept of mimesis had been absorbed by originality of romanticism period that emphasize spontaneity and self-expression, completely lost its expressional meaning and had been replaced by representation. By this, the concept of artistic expression of present, which was created by this is being used as the meaning of noesis in subjective expression that`s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modern period when it appeared. Furthermore it has the meaning of unconscious self extrusion that wasn`t captured by noesis and since it is sharply confronting with mimesis as traditional artistic concept, it looks as it secured a firm location that`s suitable for concept of modern art in true meaning. Especially Mikel Dufrenne, who tried to contemplate of phenomenology of art by combining the world of aesthetic object and artist(or receptor) by ``l`expression de la subjectivite`` in Phenomenologie de l`experience esthetique(1967), or the viewpoint of Merleau-Ponty about Phenomenologie de la Perception(1945) which was solved by ``le corps comme expression`` in expression of both ``la connaissance incarne`` and ``le corps incarne``. And such thesis by ``art as intuition and expression`` (Esthetica come scienza dell``espressione e linguistica generale, 1910) by B. Croce, who viewed it as ``art as an intuition`` and ``intuition is something that could make itself as an object in terms of expression`` and ``expression is the power that construct an image by a given inner form to emotion`` clearly proves the fact that core problems of estheticians who are whether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sis of modern dance are the concept of ``expression`` that replaces mimesis. As a result, the comment of contemporary aesthetician Morris Weitz that said The concept of expression is a central on in much of modern aesthetics seems to be no longer an exaggeration. Therefore, I``m regarding consideration about ``aesthetics on expression`` in terms of dance art as target of my essay through the ``expression`` concept that emerged as an art ideology in 20th aesthetics. But the aesthetics on expression presented here is as a method of art research in terms of research about general art that is different in usage from traditional meaning of aesthetic, otherwise a general study about both aesthetic and standard of value of aesthetic and aesthetics that means aesthetical opinions in certain period of time like Plato or modern aesthetic.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research intention, I firstly star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modern meaning(whether internal or psychological or external sensual phenomenon of mental process) when the concept of expression appeared as a concept of a theory of art. And I traced it until the these days meaning-not only the subjective self expression by noesis but also a unconscious self extrusion that wasn`t captured by noesis-and took a look for

      • 「파사(婆娑)」,「난파(難破)」,「산돼지」 속에 나타난 표현주의 기법연구

        정갑준 시학과언어학회 2009 시학과 언어학 Vol.0 No.17

        이 글은 현재 새로운 연극형식 또는 실험극이라 불리는 작품들에 쓰인 표현방식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시작한다. 이 작품들에 쓰인 표현 방식은 완전히 새로운 것이라기보다는, 표현주의에서 쓰였던 방식의 차용, 변형 혹은 발전으로 보인다. 이러한 표현방식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 1910년에서 1925년까지의 표현주의 희곡의 특징과 그 기법에 대해 연구하고, 우리의 경우를 조명희와 김우진의 희곡을 통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일에서 번성했던 표현주의에 대해, 사회문화적인 측면과 사상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그 출현 배경을 밝혔고, 표현주의 희곡의 특징을 몽환적 극의 분위기, 유형화된 등장인물, 삽화적 구성, 열정과 절규의 대사, 비사실주의적 무대장치, 그리고 비사실주의적 연기양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표현주의가 우리에게 소개, 수용되었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작품이 창작되었다는 것도 알아보았다. 김우진의 「난파」는 작품 전반에 걸쳐 표현주의 양식을 가지고 창작되었다는 것을 작품을 통해 볼 수가 있었다. 김우진 자신이 표명한대로「난파」는 표현주의 희곡이라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산돼지」는 표현주의의 특징들을 여러 곳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표현주의의 특징뿐만이 아니라 다른 요소들도 많이 섞여 있는 작품이다. 조명희의 「파사」도 마찬가지이다. 표현주의적 특징들이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그러한 특징이 극의 전체를 좌우하고 있지는 않는다. 오히려 당대의 혼란한 사회 실정을 은나라 말기를 통해 보여주려는 알레고리극의 보는 기존의 견해가 더 타당한 듯이 보인다.

      • KCI등재

        바넷 뉴먼의 미국적 숭고: 추상표현주의의 태동기(1946-1950)를 중심으로

        이상윤(Lee, Sangyoon) 서양미술사학회 202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2 No.-

        추상표현주의를 냉전 이데올로기의 시각에서 분석한 1970년대의 수정주의는 지금까지도 후속 연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1950년대 후반에 한정되었으며, 직접적으로 추상표현주의의 작가, 작품을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를 보였다. 이와 달리 1960년대 비평가들은 1946-1950년까지 추상표현주의의 태동기에 나타났던 다양한 형식적 실험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논문은 추상표현주의의 태동기에 있었던 조형적 변화를 검토하고, 이 변화의 이면에 자리한 숭고가 어떠한 개념이며, 작품에서 어떻게 시각화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당시 바넷 뉴먼에 의해 제시된 숭고는 그의 글 「숭고는 지금이다」를 통해 알려지게 되었다. 이 글에서 뉴먼은 현대 미술의 지향점을 아름다움이 아닌 숭고의 성취로 설명하였고, 유럽의 모더니즘은 숭고의 성취에 실패함으로써 성공적인 현대 미술로 평가할 수 없으며, ‘지금’의 미국이야말로 숭고를 통해 유럽 미술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뉴먼이 제시한 숭고는 이러한 목적에서 ‘미국적 숭고’로 이해할 수 있다. 논문에서는 우선 뉴먼의 미국적 숭고가 어떠한 개념이며, 어떠한 배경에서 형성되었는지를 밝히고, 다음 뉴먼이 선(先) 콜럼버스시대의 인디언 문화와 19세기 낭만주의 풍경화, 20세기 정밀주의의 작품과의 연계 하에 어떠한 미국적 특성을 적용하였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숭고성이 추상표현주의의 작품에서 어떠한 형식들로 나타나고 있는지에 관하여 서술한다. 숭고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된 규모의 지각과 즉각성, 현존성, 즉자성 등에 일찍부터 몰두하였던 추상표현주의자들은 1950년대 초반 미국적 숭고를 시각화할 수 있는 자신만의 형식을 갖추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dea of sublimity that was put forward by Barnett Newman as the new standard for Abstract Expressionism. In his 1948 essay titled The Sublime is Now, Newman proclaimed that American artists, free from the weight of European culture, should assert the man’s desire for the exalted (or the sublime), thus setting forth a new goal untethered to European modern art’s habitual pursuit of beauty. In this context, the sublime as proposed by Newman is indeed the American sublime. Most studies on Abstract Expressionism so far have focused on works of the late 1950s when the movement reached its mature form. Some revisionist studies were published during the 1970s, but they were criticized either for their failure to divide the original purpose and aesthetic intent of Newman from their Cold War ideological benefit. This paper, in contrast, analyzes the development of the forms in Abstract Expressionism during its nascent period from the late 1940s to the early 1950s. The background of Newman’s idea of sublimity and how this idea got accepted as the standard for American Abstract Expressionism are investigated. How the American sublime was manifested in the mature form of Abstract Expressionism is also examined.

      • KCI등재

        임노월의 예술론적 실천 양상과 그 의미 : 동시대 문단과의 관련성과 표현주의 수용을 중심으로

        김선 ( Kim Se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6 No.-

        임노월이 5년여의 짧은 기간 동안 보여준 문학과 그의 예술론은, 근대라는 시기와 함께 태동한 창작자이자, 개별 주체로서 인간의 ‘감정’을 적극 옹호하고 그것을 자신의 문학적 근거로 삼았던 독자성을 보여주었다. 자연미의 모방이라는 전통적 예술의 개념이 지향했던 보편성과 객관성의 가치에서, 주관적 감정으로의 미의식의 가치 이행은 서구 예술 사조를 매개로 하여, 근대의 미의식에 대한 개념과 감각을 인식하고 독자적 예술론을 꿰려했던 임노월의 시대감각을 말하는 지점일 터이다. 그러나 동시에 주관화된 미의식 개념을 임노월이 우리나라 문단내에 적용할 때, 실상 그가 당면하고 있던 시급한 과제는, 예술 전반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나 기준상의 정립조차 되어 있지 않았던 당대의 빈곤한 상황에 우선해 있기도 했다. 이에 따른 문제의식은 임노월의 글 전반에서 전통적 미의식의 가치인 ‘객관’과 ‘보편’, 근대적 예술의 가치인 ‘개성’과 ‘주관미’를 공립하는 것에서, 근대 예술의 원리와 개념들을 규정하고 제시하는 것에 대한 고민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이는 예술이 주는 주관적 감정 효과에 있어 독자가 가지는 수용적 효과를 강조하는 것과 더불어 나타났다. 이처럼 근대적 예술의 창조와 그 원리를 중심으로 탐구했던 그의 예술론은, 최초문예잡지였던 『창조』를 필두로 하여 보여주었던 예술론적 실천 양상과, 우리나라 근대 문학의 중심과 그 도정 속에서 충분한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rtistic practice of Lim Ro Wol and its im-plications by examining its relation with contemporary literature and acceptance of expressionism. Lim Ro Wol i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artist of aestheticism in the 1920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Lim Ro Wol’s art does not directly reflect con-temporary literature and expressionism, but shows appropriation of them. In this thesis, I examine the re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iterature and expressionism with aesthetics of Lim Ro Wol,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Lim Ro Wol’s artistic practice. This thesis starts from the fact that the existing study of Lim Ro Wol only focuses Oscar Wilde’s aestheticism. Aesthetics of Lim Ro Wol is not only limited to aesthetics of Oscar Wilde but it also ha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contemporary arts of Kandinsky, Baudelaire and Poe and the ideas of Kant, Hegel, Schopenhauer and his contemporary lit-erature, Chang-jo and Yeong-dae. It was in accord with his own understanding of modern-ity and his sense of times. I examined aesthetics of Lim Ro Wol based on its relation with contemporary literature and its acceptance of expressionism to build a multi level per-spective that includes Oscar Wilde’s aestheticism but also transcends it. The organic relationship of emotion and expression is important for Lim Ro Wol’s aes-thetical perspective. Throughout his writings, his interest in the emotions that can be felt only in art and expressions that can evoke them can be perceived. In particular, he appro-priates the concept of expressionism of painting represented by Kandinsky in his artistic methodology. He especially focuses on the constructive elements of expressionism and how colors can leave impressions. Appropriating expressionism, he is in accord with Oscar Wilde’s aesthetics, and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literature such as Chang-jo or Yeong-dae and contemporary ideas. Lim Ro Wol deviates from the aesthetical under-standing of art as imitation of nature, and recognizes artistic emotion and independent expression in modern art. The formation of his own artistic logic and methodology can be typified as follows with his work.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aesthetical point of view of Lim Ro Wol is a result corresponding to comtemporary literature such as Chang-jo and Yeong-dae which were born from modernity and expressionist modern art. His artistic concepts do not reach to the establishment of a concrete methodology or an independent aesthetics by the short period of activity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 Therefore, I confirm the aspects of Lim Ro Wol’s attitude and viewpoint to modern art and his efforts.

      • 영화 〈M〉의 표현주의적 영상미학

        이경아(Lee Gyeonga),백해린(Baek Haelin)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21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영화 〈M〉(2007)의 그로테스크하고 과장된 표현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이명세 감독의 표현주의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영상미학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간, 조명, 편집을 중심으로 영화 〈M〉에 나타난 표현주의 기법을 분석한 결과 조명과 세트장, 다양한 편집 기법 등을 통해 인물의 내면 속의 혼란과 불안을 극대화하여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화는 카메라와 조명을 이용하여 감정을 시각적으로 묘사함으로써 표현주의적 영상을 구성하였으며, 집, 바, 일식집과 같은 공간을 통해 표현주의 영화의 그로테스크하고 독특한 공간적 특징을 재현하였다. 영화 속에서 민우의 집은 어두운 조명에 미로와 같이 혼란스럽게 구성되었으며, 루팡 바는 꿈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담아내기 위해 몽환적이고 신비롭게 표현하고 있다. 또한 그림자를 통해 심리를 표현하거나 강한 조명의 대비 등 다양한 효과를 넣은 조명과 색감을 통해 과장된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M〉은 현실 세계를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내면을 시각적으로 묘사하는 등 표현주의적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현주의 영화적 특성과 함께 이명세 감독의 다중이미지, 인공적인 세트장, 조명들을 더하여 〈M〉만의 독특한 영상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odern interpretation and visual aesthetics of director Lee Myung-se"s expressionism by analyzing the grotesque and exaggerated expressions of the movie 〈M〉 (2007). To this end, an analysis of expressionist techniques in the movie 〈M〉 centered on space, lighting, and editing confirmed that they maximize the confusion and anxiety inside the character through lighting, set, and various editing techniques. The film consists of expressionist images by visualizing emotions using cameras and lighting, and reproduces the grotesque and unique spatial features of expressionist films through spaces such as houses, bars, and Japanese restaurants. In the movie, Min-woo"s house is composed of dark lights and maze-like maze, and Lupangba is dreamy and mysterious to capture the symbolic meaning of dream. It can also be seen from shadows that they express psychology or exaggerated images through lighting and color sense with various effects, such as contrast of strong lighting. As such, it can be seen that 〈M〉 actively utilizes expressionist techniques such as visually portraying the inner side of the character, rather than reproducing the real world as it is. In addition, along with the expressionist cinematic characteristics, director Lee Myung-se"s multiple images, artificial sets, and lighting show 〈M〉"s unique visual a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