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유해매체물 이용이 폭력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윤호,정의롬 한국범죄심리학회 201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8 No.3

        오늘날의 매체는 단순히 정보, 지식 전달자가 아니라 일상생활의 주요 환경으로서 한 사회의 가치나 문화체계를 창출하는 주체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욱이 오늘날의 영상매체는 우리의 생활에 깊숙하게 파급되어 지식·태도·정서 등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매체에 가장 직접적이고 쉽게 영향을 받는 청소년들은 일상생활, 가치 및 문화체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향을 받고 있다. 실제 여러 연구들에서 음란물이나 폭력적 성향의 게임 등의 유해매체물이 청소년의 비행행위를 유발한다는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0년도에 실시한 「청소년 안전(보호)실태조사 2010」자료를 활용하여 이러한 유해매체물의 이용이 청소년의 폭력행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을 유해매체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해결책을 강구해 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청소년유해매체물 가운데 청소년들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음란사이트, 사행성 게임, 폭력성 게임의 이용과 폭력행위 간의 관계를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이 연구에서 측정한 유해매체물 중 폭력성 게임을 자주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폭력행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해매체를 이용하는 친구들을 의식적으로 기피하는 청소년일수록 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에 폭력적 인터넷게임의 유해성에 대한 집중적 교육을 실시하고, 청소년들이 자주 접하는 인터넷 환경을 고려하여 폭력적 게임의 유해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Today, the media is not a simple conveyer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but rather has a leading role in creating social values and cultural systems, which has become a significant part of our environment in everyday lives. Moreover, video media today has become a deep part of our way of life, and it is bringing enormous change to our knowledge, attitude and emotions. Especially juveniles, who are most directly and easily influenced by these media, are affected by various influences, such as everyday life, value and cultural system. In fact, results from relevant research indicate indecent media such as pornographic material and violent games cause juvenile delinquency.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s Juvenile Safety Status Survey 2010, which was conducted in 2010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o see whether use of indecent media affects juvenile viole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olutions to protect juveniles from indecent media.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ecent media most frequently used by juveniles on violence. Most frequently used indecent media by juveniles are porn sites, gambling games, violent games, Results indicate juveniles who often play violent games are more likely to be violent, and juveniles who intentionally avoid peers who use indecent media are more likely to be violent. The study recommends emphasizing harmfulness of violent internet games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Considering that juveniles access the Internet quite often, the study also recommends spending efforts to persistently promote harmfulness of violent games.

      • KCI등재

        폭력적 영상물에의 노출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우준 한국치안행정학회 201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8 No.1

        기본적으로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매체는 어린이 및 청소년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며 여가생활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출연자의 폭력행위, 노출, 음란행위 등의 유해성 요인들은 청소년들에게 모방심리를 부추겨 비행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폭력적 영상매체(TV)에의 노출 수준과 청소년 비행 행동을 살펴보았는데, 텔레비전에서 시청하는 프로그램 중 구체적으로 폭력성의 장면적 요소가 많은 프로그램의 선호하는 정도를 응답하게 한 후, 그 영상매체의 노출정도와 직접적인 폭력비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폭력적 영상매체에의 노출이 증가하면 청소년의 폭력적 비행 행동 수준이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고등학생인 청소년들의 주중 TV시청 시간은 30분 미만으로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1-2시간, 그 다음은 30분-1시간 미만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프로그램의 폭력성 여부에 관계없이 부모는 시청 지도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폭력행동 수준의 측정에 있어서는 물질적, 실체적 폭력에 비하여, 언어적 폭력 행동 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가설의 검증은 폭력물 노출도가 폭력적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는 폭력물 노출도와 폭력적 비행행동 그 자체의 단일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 폭력물 노출도(β=.144, t=3.136, p<.01)는 폭력적 비행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연구가설은 채택되었다. 이 연구는 실증 조사를 통하여 청소년의 텔레비전 시청 시간과 시청 환경을 살펴보고, 특히 폭력물에의 노출도를 확인하였으며, 양자의 관계를 밝힌 점에 의의가 있으나, 설문 문항 설계상의 복잡성, 서울 지역에 한정하여 조사한 점 등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하여 보완되어야 할 점이다. The Influence of Media occupies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the life of children or adolescents. Media is a kind of something special to watch and family activity seems to provide parents and children opportunities of interaction, but this interaction is unhealthy in general. It is because parents and children can experience conflicts between them with the issue of time and quantity of TV watching. In particular, violent program of visual media bring negative effects to the mind and body of adolescents and therefore watching on it needs parents' proper guid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of violence and routine acceptance if it and then present some improvement strategies of it, focusing on their exposure to the violent program of visual media.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nd a study hypothesis was established. It seems that when adolescents' exposure to visual media increases, their imitative disposition increases too in averag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Regarding adolescents' of violence and violent TV programs, the acceptance of violence in everyday life is corresponding to the extent of exposure to violent visual media. This finding shows that adolescents definitely need parents' guidance and concern for their watching on violent TV. In conclusion, adolescents' watching on visual media for violent TV program has great influence upon their acceptance of violence. Therefore, teachers and parents must properly guide adolescents for their TV watching. Media education must be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school in order for adolescents to use media correctly. In addition, a family control is also important. These measures are necessary to form adolescents' appropriate personality and will be greatly effective in preventing adolescents' violence which increases its severity day after day.

      • 대중매체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경자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9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대중매체가 아동의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ㅇㅇ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TV시청시간, 폭력물 선호도, 폭력행동모방, 선호비디오, 공격성에 대한 검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2.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TV시청시간과 폭력물 선호도, 폭력 행동 모방을 t-test와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첫째, 폭력물 선호도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폭력물을 좋아하는 아동일수록 더 공격적인 성향을 보여 이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둘째, 폭력적인 영상물인 공포영화, 폭력물, 애니메이션, 판타지, 게임비디오 등에 많이 노출된 아동들이 더 공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대중매체와 공격성과의 상관관계(pearsonr)를 분석해본 결과 모두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폭력적인 대중매체에 많이 노출될수록 아동의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대중매체 중에서 폭력물에 대한 노출과 폭력물 선호도가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이 폭력적인 대중매체에 노출되는 것을 보호해야 하고 반복적으로 폭력물을 보는 것은 폭력을 학습시킬 뿐만 아니라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함으로 이에 대한 규제와 사회복지적 실천 방안이 다각도에서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부모의 사이버매체 이용 중재수준이 청소년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 피해, 가해, 중첩 경험을 중심으로

        문인수(In Soo, Moon)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부모의 사이버 매체 이용 중재 수준이 청소년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피해, 가해, 중첩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COVID-19로 인한 펜데믹 상황은 청소년의 일과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 많은 변화 중 청소년의 사이버 매체를 이용하는 시간이 COVID-19의 확산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바, 청소년들은 사이버폭력의 피해, 가해 상황에 노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 가정 내에서 인터넷 이용에 대한 부모의 중재 역할이 중요하게 여겨지며, 실제 부모의 사이버 매체에 대한 중재 수준에 따라 사이버폭력에의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이버폭력의 유형을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 그리고 중첩 경험으로 구분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5 청소년 사이버폭력 유형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자료 중 초등, 중등, 고등학년까지의 청소년 모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그중 부모의 중재 요인과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 중첩 경험 경험을 분류하여 총 4,558개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의 사이버 매체 이용 중재 수준은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 사이버폭력 중첩 경험 모두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사이버폭력의 가해행위를 방지하고 사이버폭력 피해 상황을 예방하고자 하는 부모의 올바른 사이버 매체 중재에 대해 구체적 정책적 제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The study aims to focus on the experience of avoiding, perpetrating, and overlapping the influence of parents intervention in using cyber media on youth cyberbullying. The Pen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has brought about a lot of changes in adolescents routines. Among the many changes, youth s time using cyber media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ince the spread of COVID-19, and teenagers are exposed to cyberbullying damage and perpetration. In this situation, the role of parental mediation in Internet use in the home is important, and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 effect on cyberbullying according to the actual level of parental intervention on cybermedia, the type of cyberbullying was divided into experience. To this end, among the 2015 Study on the Type and Response of Youth Cyber Violence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riminal Policy, 4,558 of them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parents intervention factors, cyberbullying experiences, cyberbullying experiences, and overlapping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parents level of intervention in using cyber media has a valid impact on both cyberbullying experience, cyberbullying damage experience, and cyberbullying overlapping exper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would like to explore specific policy suggestions for parents correct intervention of cyber media to prevent teenagers from committing cyberbullying and preventing cyberbullying damage.

      • 청소년 폭력행동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가정폭력경험과 대중매체폭력경험을 중심으로

        이경숙,홍영근 한국법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 variables of adolescent's violent behavior. 518 adolescents in Youth Detention Center of the whole countr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experiences of mass media violence, Impulsivenss and violent behavior.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sed using Amos 18.0 and a maximum likelibood mimimizati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TLI,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experiences family violence, experiences of mass media violence, Impulsiveness on violent behavior on adolencent's violental behavior was significant. Second, the direct effect of experiences family violence, experiences of mass media violence on impuliveness was significant. Finally, th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and mass media violence was mediated by impulsiveness.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비행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폭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소년원 학생 중 51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검사를 실시하여 가정폭력경험과 대중매체폭력경험, 충동성 간의 관계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폭력경험, 대중매체폭력경험, 충동성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폭력경험과 대중매체폭력경험이 충동성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경험과 대중매체폭력경험이 충동성을 매개로 하여 폭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폭력행동의 원인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고, 연구결과를 폭력관련비행경험을 가진 청소년에게 적절한 개입을 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폭력매체 영향평가 측정도구 개발

        김헌수,김현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연구목적: 청소년 비행 및 범법행동의 주요요인으로 최근 인식되고 있는 청소년에 대한 폭력매체의 영향정도를 평가하는 도구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방 법: 서울 및 지방의 소아·청소년 정신과 외래 방문 청소년 4명과 중·고교에 재학중인 학생청소년 4명, 분류심사원 및 소년원에 재소중인 비행청소년 4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인면담 내용과 관련문헌 고찰을 근거로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 4개 영역의 총 41개 문항을 구성된 예비도구를 작성하였다. 다음 단계로 본 예비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는데 도구의 타당도 검증은 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와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은 검사-재검사 신뢰도, 내적 일관성 정도 및 각 문항과 요인간의 상관계수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검증과정을 통하여 문항의 내용이 중복되거나 측정하고자 하는 주체와 관련성이 없는 4개 문항을 제외시킨 37개 문항을 청소년에 대한 폭력매체의 영향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최종도구로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상황에서의 최종도구의 변별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 2,177명을 대상으로 본 도구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t 검정을 하였다. 결 과: 1) 최종 확정된 도구는 총 37개 문항 4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요인들의 총설명변량은 44.9%였다. 또한 37개 문항들은 모두 각 요인에 40 이상의 유의한 적재량을 보였다. 2) 4개 요인중 요인 Ⅰ은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정도"로 명명하였고 총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인 Ⅱ는 "폭력매체에 관한 관심도" 로 총 14개 문항, 요인 Ⅲ은 "폭력매체에 대한 노출정도"로 총 5개 문항 그리고 요인 Ⅳ는 "폭력매체에 의한 공격성 순화 정도"로 총 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본 도구의 37개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 coefficient alpha값이 0.932였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는 요인Ⅰ이 .900. 요인Ⅱ가 .906. 요인 Ⅲ이 .737. 그리고 요인 Ⅳ는 .614이었다. 4) 본 도구의 변별력을 확인하기 위해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인별 차이 검정 결과 요인 Ⅰ, 요인 Ⅱ, 요인 Ⅲ 및 요인 Ⅳ 모두에서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1)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를 다른 대상자에게도 반복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계속적인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필요하다. 2) 이상적인 도구평가 기준은 신뢰도와 타당도 뿐만 아니라 단순성, 효율성, 객관성 등까지도 고려되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본 도구는 계속적 수정, 보완이 필요하며 이 과정을 통하여 측정오차를 최대한으로 줄인 보다 실제에 근접한 도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3) 유해사회환경의 일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는 폭력영상매체 및 인쇄문화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인간의 행동과 생활에 미치는 그 파급효과는 실로 지대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도구는 계속적인 발전과 검증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만이 폭력 매체의 악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기에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Objectives: The concern about possible links between media violence in such as TV, video and real violence has been most pointedly voiced by parents, teachers and social scientists. The result of social science research also has been consistent with the conclusion that viewing criminal and violent behavior on television can, under some conditions, cause some children and young adults to behave aggressivel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influence of the media violence on juvenile delinquency. Methods: This study was methodological research for developing the measuring instrument for assessing media violent factor related to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and personal interview using open-ended question with 12 adolescents in schools, outpatient clinics and juvenile corrective institutions, the author develop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ith 37 items for measuring media violence factor influenced upon juvenile delinquency. For evaluating this questionnair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ere test-retest reliability, factor analysis for construct validity and t-test for mean difference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using SAS program. Subjects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177 adolescents including 1,206 students and 971 delinquent adolescents by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Results: 1) Four stable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se contributed 50.2% of the variance in the total score. All 37 items loaded above. 40 on each respective factor. 2) FactorⅠ was named as modelling to media violence(13 items), factor Ⅱ was named as exposure to media violence(14 items), factor Ⅲ was named as interest to media violence(5 items), and Ⅳ was named as catharsis due to media violence(5 items). 3) Comparison of these factors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 Ⅰ[t=-29.71(student),-30.24(delinquent), p=0.0001], factor Ⅱ[t=-22.42(student),-22.07(delinquent), p=.0001], factor Ⅲ[t=-5.47(student),-5.39(delinquent), p=.0001], and total score [t=-24.33(student),-24.24(delinquent), p=.0000]. 4) Cronbach`s alpha coefficiency for internal consistency was .93 for total 37 items, and .900, .906, .737 and .614 for each 4 factors of media violence related to juvenile delinquency. Conclusions: hrough comparison study using this scale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the delinquent adolescent showed higher score in media violence factors than student adolescents. Therefore, the author suggested that this scale has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suitable for measuring the influence of media violence upon juvenile delinquency.

      • KCI등재

        TV 애니메이션 매체의 폭력성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니 베어>를 중심으로-

        낙곤,김홍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8

        Media violence has always been a hot issue in media effect research.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globalization, the whole mass media is full of a large number of violent content, even cartoons have violent scenes that seriously affec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children. As an important form of visual culture with its unique audio-visu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TV animation conforms to needs of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creation and is deeply loved by children. Animation is able to develop children's thinking, cultivate their imagination, satisfy their thirst for knowledge, purify their minds and promote their socialized development. While enjoying the happiness brought by animation, children are also impacted by some negative factors, such as the imperfect broadcast censorship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spreading channel of animation, excessive violent scenes in animation content, and excessively adult plots involved in anim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watching violent content of animation (physical violence, verbal violence, violence, horror music), can increase the aggressive behavior of children. Young children have the feature of imitation ability, and imitation during this period is children’s main way to study, in which they obtain learning content by imitation of things. This kind of imitation is conscious imitation, and proactive, and the main way is to “see“ and “hear“. But children in this period lack the ability to distinguish things, so they cannot distinguish and control the content of imitation. At present, the Chinese animation market presents a lot of commercial atmosphere, which makes the concept of children-oriented missing. Too many adult language and violence elements appear in the animation, which violates the original beauty and purity of the animation. The boundary between children and distinguishing information is fuzzy, and animation not only affects children's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children's outlook on life and values.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children's imitation characteristics, the society, the government, the school and the guardian should work together to conduct conscious guidance so that children can distinguish right from wrong. In this Article, we will take the recent Chinese popular animation "Boonie Bears" as an example, take samples of and analyze the content of the series, and objectively and clearly illustrate the "high risk" violence content in "Boonie Bears" in the form of charts. According to the national TV violence research report of the United States, there may be high-risk violence against preschool children in animation. Its main characteristics include: heroization of the subject of violence, surface justice of violence, impunity of violence, no harm to the victims, and very real violence.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analyzes the subject and frequency of violence, the means and nature of violence, whether the perpetrator is punished, and whether the perpetrator is hurt. In order to explore the impact of violence content in the animated work "Boonie Bears" on children's high-risk violence, and summarize the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매체의 폭력성은 매체 효과 연구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보 글로벌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대중 매체에 폭력적인 내용들이 대량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심지어 아이들이 주요 시청층인 애니메이션에도 폭력 화면들이 포함되어 아동의 심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TV 애니메이션은 중요한 시각 문화의 한 장르로서 독특한 시청각 및 미학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특히 아동 심리 발전 단계에 맞춰 아이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콘텐츠로 창작되어 왔다. 애니메이션은 아이들의 시야와 사고의 폭을 넓히고 상상력을 키워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식에 대한 호기심을 해결시켜주고 순수한 동심을 채워주며 아이들의 사회화 과정에도 도움이 된다. 이처럼 애니메이션은 아이들의 성장과정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주는 반면 심리 건강 및 행동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부정적인 영향의 주요 원인으로 애니메이션 심사 등급 제도의 미비에 따른 폭력적 화면에 대한 필터링 부족, 성인 수요에 맞춰진 애니메이션 스토리 등을 들 수 있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폭력적인 내용이 포함된 애니메이션(신체적 폭력, 언어적 폭력, 외적인 폭력, 공포 음악)은 아동의 공격적 행동 성향을 키울 수 있다고 한다. 모방능력이 뛰어난 저연령 아동은 주로 모방을 통해 사물을 인지하고 내용을 이해하는데 흔히 “보고”, “들은” 정보에 대한 분별력이 부족하여 무조건 따라하려는 경향이 있다. 현재 중국 애니메이션 시장을 살펴보면 상업적인 성격이 짙고 아동용 애니메이션임에도 불구하고 아동 중심의 제작 이념이 결여되어 있는 상황이다. 또한 성인화 된 언어와 폭력적 요소가 애니메이션에 대량으로 포함되어 있어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효과가 약화되고 있다. 애니메이션은 아이들의 인지 능력, 감정, 행동뿐만 아니라 인생관 및 가치관 형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모방능력이 뛰어나지만 정보의 좋고 나쁨을 구분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는 아동의 특징을 감안하여 아이들이 올바른 방향으로 성장하고 옳고 그름을 가리는 능력을 갖도록 사회, 정부, 학교, 보호자 등 관계자들이 힘을 모아 함께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는 최근 중국에서 인기를 누리고 있는 <부니 베어>를 사례로 해당 애니메이션의 내용 및 형식에 대한 샘플링 분석을 통해 고위험적인 요소 폭력성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그래프 형식으로 설명하였다. 미국국가TV폭력연구 보고에 따르면 취학 전 아동에게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폭력 표현의 특징으로 폭력 가해자의 히어로화, 폭력 형식의 정당화, 폭력 가해자에 대한 처벌 부재, 피해자의 피해에 대한 생략, 폭력성의 리얼리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가해주체 및 가해빈도, 폭력 수단과 성격, 가해자에 대한 처벌 여부, 피해자의 피해 여부 등 네 가지 차원에서 <부니 베어> 애니메이션 작품 속 폭력적인 내용이 아이들에게 고위험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논의하고 그에 따른 대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暴力媒體에 의한 非行行動의 構造模型開發

        김헌수,김현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3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to build up of final modified model for explaining juvenile delinquency by media violence. Method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537 respondents including 217 delinquent adolescents and 320 student adolescents in Korea using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A total of 18 instruments were used to operationalized concepts in this model.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as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It was found that media violence served as the most direct contributor to juvenile delinquency.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d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ling impulsiveness and model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they showed the more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e single most powerful contributor by total(direct+indirect) effect to the development of delinquent behavior identified in this study was the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d the more unstable family dynamic environment, consequently they behaved the higher misconduct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media violence. Conclusions:The authors recommended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 against delinquent behavior influenced by media violence among Korean adolescents. 연구목적: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설명, 예측하기 위하여 복합연합이론(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사회학 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및 문제행동이론(problem behavior theory)을 근거로 폭력매체와 비행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검정하여 수정모형을 구축한 후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수들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방 법:표본추출방법은 지역(서울-지방) 및 조사기관의 유형(중학교, 고등학교, 소년원, 분류심사원)을 함께 고려한 비례층화표본추출법을 적용하였으며 총연구대상자는 1,943(비행청소년:707, 학생청소년; 1,236)이었으나 설문지 응답에 있어서 완벽하게 반응 안한 1,406명은 제외하였다. 따라서 실제 연구대상자 는 537명(비행청소년 217명, 학생청소년:3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는 설문지법과 면담법, 학생생활 기록부, 기타 재원 생활기록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구조모형(LISREL 7.16)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연구에서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설명하는 내생변수는 욕구충족 / 좌절정도, 사회성성향, 반사회적 성격양상,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 우울성향 및 폭력매체요인 등이 포함되었으며 외생변수로는 가정 역동적 환경변수를 설정하였다. 이들 이론변수에 대한 측정변수는 모두 18개이다. 결 과:가설적 모형설정 단계에서는 연구변수들간의 가능성있는 인과관계를 모두 설정하여 포화모형이 이루어졌으나 p값이 0.05이상의 beta값을 보여 변수간의 인과관계에 의미가 없는 변수는 제거하거나 의미 없는 통로는 폐쇄하였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하여 가설적 모형에 비하여 적합도와 간명도가 보다 개선된 수 정모형을 형성하였다. 수정모형에서 제시한 결과를 보면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가장 큰 직접적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은 폭력매체 요인이었으며, 총체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가정역동적 환경요인이었다. 결 론: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폭력매체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고 폭력장면을 모방하 고 싶은 충동이나 실제 모방횟수가 많을수록 비행(범죄)행동을 많이 하였고 가정환경이 불안정할수록 청소 년들은 그들의 가정에서 파생된 욕구좌절이나 정신신체증상을 텔레비젼, 라디오, 영화, 만화, 비디오 등과 같 은 매체를 통해서 결국 비행행동화의 경로를 밟았다. 따라서 폭력매체 요인은 청소년들이 비행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뿐만 아니라 가정환경이나 청소년 개개인의 성격특성들에 의해서 영향받아 비행행동을 유발하는데 매개적 역할도 하였다.

      • KCI등재

        Structural Model of Delinquent Behavior Influenced by Media Violence in Korea

        Kim, Hun-Soo,Kim, Hyun-Sil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3

        연구목적 :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설명, 예측하기 위하여 복합연합이론(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및 문제행동이론(problem behavior theory)을 근거로 폭력매체와 비행행동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검정하여 수정모형을 구축한 후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수들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방법 : 표본추출방법은 지역(서울-지방) 및 조사기관의 유형(중학교, 고등학교, 소년원, 분류심사원)을 함께 고려한 비례층화표본추출법을 적용하였으며 총연구대상자는 1,943(비행청소년 : 707, 학생 청소년 : 1,236)이었으나 설문지 응답에 있어서 완벽하게 반응 안한 1,406명은 제외하였다. 따라서 실제 연구대상자는 537명(비행청소년 217명, 학생청소년 : 3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는 설문지법과 면담법, 학생생활기록부, 기타 재원 생활기록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볍량구조모형(LISREL, 7.16)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연구에서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설명하는 내생변수는 욕구충족/좌절정도, 사회성성향, 반사회적 성격양상,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 우울성향 및 폭력매체요인 등이 포함되었으며 외생변수로는 가정역동적 환경변수를 설정하였다. 이들 이론 변수에 대한 측정변수는 모두 18개이다. 연구결과 : 가설적 모형설정 단계에서는 연구변수들간의 가능성 있는 인과관계를 모두 설정하여 포화모형이 이루어졌으나 p값이 0.05이상의 beta값을 보여 변수간의 인과관계에 의미가 없는 변수는 제거하거나 의미없는 통로는 폐쇄하였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하여 가설 모형에 비하여 적합도와 간명도가 보다 개선된 수정 모형을 형성하였다. 수정모형에서 제시한 결과를 보면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가장 큰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폭력매체 요인이었으며, 총체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가정 역동적 환경요인이었다. 결 론 : 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폭력매체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고 폭력장면을 모방하고 싶은 충동이나 실제 모방횟수가 많을수록 비행(범죄)행동을 많이 하였고 가정환경이 불안정할수록 청소년들은 그들의 가정에서 파생한 욕구좌절이나 정신신체증상을 텔레비전, 라디오, 영화, 만화, 비디오 등과 같은 매체를 통하여 결국 비행행동화의 경로를 밟았다. 따라서 폭력매체 요인은 청소년들이 비행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뿐만 아니라 가정환경이나 청소년 개개인의 성격특성들에 의해서 영향받아 비행해동을 유발하는데 매개적 역할도 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to build up of final modified model for explaining juvenile delinquency by media violence. Method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over a period of 2 months. The subjects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943 adolescents including 707 delinquent adolescents and 1,236 student adolescents in Korea, sampled from Korean student population and delinquent adolescent population in juvenile correctional institions, using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But, only 537 respondents including 217 delinquent adolescents and 320 student adolescents among 1,943 that replied perfectly to questionnaires was employed for this study. In this study, exogeneous variable was family dynamic environment,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character of adolescents including need satisfaction/frustration, sociability,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d depressive trend,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and media violence themes including the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ling impulsiveness and model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A total of 18 instruments were used to operationalized concepts in this model.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as covariance structural modelling. Results : For build up of the best fit model, the authors proceed by saturating the model that is, including an arrow for all the possible relationships among all the variables. Afterward, a progressive elimination of the nonsignificant relationships, based on the betas that did not show a p〈0.05 levels, was performed, this level was chosen for reasons of parsimony since the size of sample implied many statistically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were as follow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itness of theoretical model to our data, Chi-square and goodness of fit index were identified. These results of chi-square value and fitness index score did not to be fit to the theoretical model which hypothesized the causal effect among various variable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refore the authors removed the endogeneous variable, sociability among character of adolescent because of being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delinquent behavior for constructing the best fit model. The parsimonious best fit model included the various constructs defining family dynamic environment, need frustration, antisocial personality pattern,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depressive trend and media violence themes as direct paths to delinquent behavior. This final modified model yielded a very definitely improved goodness of fit indices. According to final modified model,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media violence,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on juvenile delinquency were significant positively higher. Especially, the most exerting influential variable on delinquent behavior in this model was media violence themes. The family dynamic environment also, as direct and /or indirect paths, was assumed a positive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as well as media violence themes. Conclusion : In brief, it was found that media violence served as the most direct contributor to juvenile delinquency.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d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ling impulsiveness and model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they showed the more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e single most powerful contributor by total effect to the development of delinquent behavior identified in this study was the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d the more unstable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ey became the more frustrated to their psychological need, and revealed the more maladaptive personality pattern, consequently they behaved the higher misconducts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media violence.

      • KCI등재

        청소년 모바일매체 이용 상의 문자폭력 원인: 세 주요 요인들의 통합적 모색

        이성식,박정선 대한범죄학회 2014 한국범죄학 Vol.8 No.3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ffects of major theories upon juvenile text bullying. It focuses on three main factors of individual propensity, social environment, and opportunity, out of which we respectively derived three major variables of low self-control, contact with text-bullying friends as a social learning factor, and finally mobile media opportunity. Furthermore, three factors each need to be functioned integratively for a better explanation of mobile text bullying so that we examined not only the independent effects of each theoretical factor but also the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se three factors. We sampled 640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possessing their own mobile media devices and found that those three factors of individual propensity, social learning and mobile media opportunity appeared to be the major reasons why they commit mobile text bully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low self-control and media opportun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other interaction effects, such as one between low self-control and social learning and the other between social learning and opportunity, did not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if this is the case, we still found that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se thre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ying that the mobile text bullying can be explained when we consider these three factors simultaneously.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모바일매체 이용상의 문자폭력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의 주요 요인들을 크게 개인성향요인, 사회환경요인, 그리고 기회요인 셋으로 구분하여 그로부터 각각 낮은 자기통제력, 사회학습요인으로서 모바일 문자폭력 친구와의 접촉, 그리고 모바일매체 기회요인들을 상정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이 연구에서 주목하는 것은 모바일 문자폭력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요인들이 서로 필요충분조건이 되어 통합적으로 작용해야 할 것이라는 점에서 세 요인의 독립효과 및 그 요인들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울에 거주하는 모바일매체를 소유한 중학생 남녀 청소년 640명을 분석한 본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고려한 개인성향요인, 사회학습요인, 그리고 모바일매체 매체기회요인 모두 모바일 문자폭력의 주요 원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낮은 자기통제력과 매체기회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예측과는 달리 낮은 자기통제력과 사회학습요인간이나 사회학습요인과 기회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위의 세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여, 개인성향으로서 낮은 자기통제력, 사회학습요인으로서 문자폭력 친구와의 접촉, 그리고 매체기회요인이 모두 고려될 때 모바일 문자폭력을 잘 설명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