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 본 포스트 뮤지엄의 관람객 참여와 소셜 미디어

        이정선(Lee, Jeong Sun),여운승(Yeo, Woon Seu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40

        사람을 중심에 두고 관람객 개인의 목소리와 관점을 수용하여 대중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뮤지엄의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포스트 뮤지엄은 과거 유물을 소유했던 그룹과 오늘날 그들의 후손을 가리키는 ‘소스 커뮤니티’의 개념을 대중으로 확장시켰다. 포스트 뮤지엄은 대중과의 소통을 고민하며 소셜 미디어를 도입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이 시도들은 대중이 언제 어디서나 뮤지엄과 소장품을 접촉지대로 삼아 접근하여 소장품 정보에 그들의 해석과 경험, 인상을 더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뮤지엄 운영과 전시 기획에까지 참여하게 된 대중은 뮤지엄과 소장품, 사회를 잇는 ‘매개자’이자 뮤지엄의 콘텐츠로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는 ‘프로슈머’로 뮤지엄과 협업하 고 있다. 소스 커뮤니티로서 대중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대중과 뮤지엄의 관계를 수평적으로 발전시켰고 대중이 뮤지엄의 중심에 들어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큐레이터도 대중이 뮤지엄의 진정한 파트너와 기여자로 활동할 수 있도록 뮤지엄 경험을 입체적으로 설계하고 그 의미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커뮤니케이터’와 ‘소 셜 엔지니어’로서의 역량을 넓혀가고 있다. 본 논문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대중 의 참여를 유도하는 포스트 뮤지엄의 다양한 사례들을 정리하고, 소셜 미디어가 대중과 뮤지엄, 큐레이터의 역할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관계의 본질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데이터와 대중의 지식, 해석과 일상경험이 통합되고 대중이 뮤지엄에서 최적화된 경험을 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활용방안을 제안하여 포스트 뮤지엄의 관람객 참여를 독려하고자 한다. 이 참여모델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서 진행될 프로젝트로, 뮤지엄 소장품에 문화적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대중에 의해 유물이 새롭게 창작되고 공유되면서 대중과 ‘함께’ 포스트 뮤지엄의 영역을 확장시켜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Post-museum, which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actively and accepts their personal voices and perspectives by placing them at the center, has expanded the theoretical concept of “source community” beyond its traditional scope, i.e., groups of the past who owned relics as well as their descendants nowadays. Concerned with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post-museum has recently performed a variety of experiments utilizing social media, allowing the public to access the museum and its collections anywhere and anytime as well as to contribute by considering the museum and relics as “contact zone” and adding their own experiences including personal interpretations and feelings. By participating in management and curatorial process, the public as source community collaborates with the museum not only as mediators connecting museums and society but also as prosumers creating new work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museum. Such active participations of the public established an equal relationship with museum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step into its center. Likewise, curators are enhancing their capabilities as both “communicators” and “social engineers” who design and share multi-faceted museum experiences with the source community as true partner and contributor. This article reviews selected cases of post-museum to induce public participation by utilizing social media, and analyzes how social media changed the roles of museums, curators, and the public as source community and affected the nature of their relationship. Based on this analysis the article proposes exhibition ideas to utilize social media for visitors’ participation, which integrate information organized by experts with the knowledge, interpretation, and everyday experience of the participating crowd to provide optimized museum experience to the public. These participatory models, which will be applied to exhibitions at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are expected to expand the domain of post-museum together with the public who possesses cultural ownership of museum collections while creating and sharing new relics.

      • KCI등재

        변화하는 뮤지엄: 오르세 뮤지엄의 새로운 실천적 프로그램 분석

        김지선,김설아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4 예술과 과학기술 (Journal of Art and Technology) Vol.20 No.3

        본 연구는 뮤지엄의 정의를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라 보았다. 이에 사회변화에 따라 점차 변화하는 뮤지엄의 정의와 그 역할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로 실천하는 기관의 사례를 분석하며 새롭게 정의된 뮤지엄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문화․예술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는 문화․예술의 공간이 사회 흐름과 변화를 반영하는 공간으로 기능하게 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신박물관학과 포스트 뮤지엄을 통해 더욱 고도화되었다. 이에 본고는 뮤지엄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정의와 그 역할의 진화 과정을 살펴보며 새롭게 정립되는 뮤지엄의 정의를 확인하고, 이것이 프랑스 오르세 뮤지엄을 통해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오르세 뮤지엄의 2019년부터 2022년도 주요 기획 전시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점차 새로운박물관으로의 의미를 자신에게 부여해가는 실천적인 모습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siders the definition of museums not as a fixed concept, but as one that evolves with societal trends. Accordingly, the primary aim is to examine the evolving definition and role of museums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and to analyze the case of an institution that puts this into practice to understand the newly defined meaning of museums. The changing perspective on culture and arts has enabled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to function as reflections of societal trends and changes. This tendency has been further advanced through new museology and the post-museum concept. This paper examines the definition of the social role of museums and its evolutionary process, confirming the newly defined concept of museums as realized by the Orsay Museum in France. By analyzing the key exhibition programs of the Orsay Museum from 2019 to 2022, the study identifies the practical aspects of how the museum increasingly assigns itself the meaning of a new kind of museum.

      • KCI등재

        파퓰러 문화의 수집·공유·소비

        이시타 사에코(石田佐?子),사카자키 모토히코(번역자),정수영(감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3 아시아리뷰 Vol.3 No.1

        일본의 뮤지엄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계속 증가해 왔으며, 그 정점은 2008년이었다. 현재 일본 전국에 있는 뮤지엄 수는 7,000~8,000여 개이다. 특히 1990년대 이후에는 정통 문화를 전시하는 ‘성당(聖堂)’으로서의 박물관이나 미술관뿐 아니라, 파퓰러 문화 또는 하위 문화를 수집하여 전시하는 새로운 유형의 뮤지엄이 눈에 띈다. 이 글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뮤지엄을 ‘파퓰러 문화 뮤지엄’으로 정의하고 그들을 연구하기 위한 분석 틀과 연구 의의를 제시할 것이다. ‘파퓰러 문화 뮤지엄’이 성립하는 데 크게 두 가지 방향성이 작용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하나는 고급문화나 문화유산을 전시해 왔던 뮤지엄이 ‘파퓰러 문화’를 추가로 전시하고 관람객의 체험 또한 ‘파퓰러 문화’가 되어가는 현상이다. 또 다른 하나는 ‘파퓰러 문화’를 수집하여 전시하는 시설과 장소가 ‘성지(聖地)’로서의 뮤지엄을 새롭게 형성해 가는 현상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만화, 드라마, 영화, 음악, 화장 등의 파퓰러 문화가 그 영향력을 확장해 가는 양태는 장르별로 큰 차이가 있다. 또한 파퓰러 문화 뮤지엄이 지역공동체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관광산업과는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는 각각의 장르가 글로벌 시장에서 지니는 경쟁력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일본, 한국, 기타 지역에 있는 파퓰러 문화 뮤지엄 역시 상이할 것이다. 각 국가에서 ‘소프트 파워’를 구성하는 주인공은 어떤 장르의 파퓰러 문화인가. 이들은 해당 국가의 국가적 담론과 연계하여 어떻게 뮤지엄으로 구현되는가. 이에 관한 동아시아 내 비교 연구는 앞으로 파퓰러 문화의 수집과 공유 그리고 소비를 둘러싼 흥미로운 연구 주제가 될 것이다. The number of the museums in Japan has increased steadily since World War II, reaching its peak in 2008. There are roughly 7000-8000 museums in different areas of Japan today. Particularly, a new type of museum came to be recognized since the early 21st century, a type not of the “Temple” art museum displaying the authentic “Culture,” but a type that displays popular cultur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pose a research framework for the museums of this new type, which I term “the popular culture museums,” and examine their significa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opular culture museums” can be expected to take on two different directions. One, the museum, which had been a place for only high arts and cultural heritage, is renewed with “popular culture” displays, with which the visitor’s experience also become a part of the “popular culture.” Two, the museum becomes a kind of a “sacred site,” formed by collecting and displaying popular culture as a change from the tradition. While there are 5 major genres―comics, TV-dramas, movies, music, and fashion industry―they differ in their degree of influence in the global market. Depending on the museum’s relationship to its local community, as well as to tourism industry, each genre holds a different economic value in the global market. Which genres have been representing the soft power of each country? How do they each embody the popular museums with the national discourse of the country they belong to? A comparative East Asian study on these issues provides an interesting research theme dealing with the collecting, sharing, and consumption of the popular culture.

      • KCI등재

        국내 뮤지엄 개념 사용현황 분석과 미래 발전방향

        오정심(Jung-Shim Oh)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글의 목적은 국내에서 뮤지엄이 문화시설 개념을 중심으로 이해되어 관련 제도와 사업이 운영되고 있는 문제점을 밝히고, 이러한 경향이 일제식민지시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추진된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의 설립 때부터 생겨났음을 분석하는 데 있다. 나아가, 국내 뮤지엄의 발전을 위해 시설 개념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그 방안 중 하나로 콘텐츠 개념을 활용하여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제일 먼저, 뮤지엄 개념과 발전과정을 고찰해보았다. 다음으로, 제3장에서 국내에서 뮤지엄이 시설 개념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황을 국내 뮤지엄 정책 입안자와 실행자의 업무계획서를 통해 살펴보고, 이러한 경향이 일제의 식민지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제실박물관의 설립과정에서 생겨났음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뮤지엄의 특징이 콘텐츠의 속성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콘텐츠 개념을 활용한 뮤지엄의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blems that a museum is typically understood as one of cultural facilities in Korea and this phenomenon has been caused from the continued use of the concept of a museum t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ade and indoctrinated. Furthermore, it aims to suggest a new development way of museums through planning the concept of a museum using the concept of contents. Chapter 2 explains a definition of the museum concept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from a facility into an institution in modern times. Chapter 3 examines the Korean administrators perception of a museum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a facility and this state stems from habits indoctrina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astly, chapter 4 examines recent changes of museum concepts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sm, post-modernism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suggests a development plan of a futuristic museum through planning the concept of a museum using the content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뮤지엄 온라인 전시 유형에 관한 연구

        김보름(Kim, Boruem),용호성(Yong, Hoseo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문을 닫은 뮤지엄들이 오프라인 전시의 대안으로 활용해온 온라인 전시의 다양한 유형을 살펴보고, 각각의 유형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어떤 의미와 역할을 하며 그 시사점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내외 주요 뮤지엄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온라인 전시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전시의 유형은 첫째 보조적 전시, 둘째 병행적 전시, 셋째 독립적 전시, 넷째 대안적 전시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보조적 전시는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과는 무관하게 뮤지엄의 홍보와 교육 등을 위하여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병행적 전시, 독립적 전시, 대안적 전시 등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오프라인 전시의 대안으로 좀 더 적극적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특히 오프라인 전시와는 무관하게 기획되는 독립적 전시나 다양한 방식으로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대안적 전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적으로 각광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대안적 전시는 전통적인 뮤지엄 전시와는 전혀 다른 방향과 내용으로 기획되는 형태로서 향후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갈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various types of online exhibitions that museums, inevitably closed due to the worldwide pandemic situation of COVID-19, have used as alternatives to offline exhibitions, and to examine what each type means and plays in the post-corona era and what its implications are. The types of online exhibition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First supportive exhibitions, second parallel exhibitions, third independent exhibitions and fourth alternative exhibitions. Among them, auxiliary exhibitions have been used to promote and educate the museum regardless of the coronavirus pandemic. However, parallel exhibitions, independent exhibitions, and alternative exhibitions are being considered more actively as alternatives to offline exhibitions due to corona pandemic, and it is expected that alternative exhibitions that are planned independently of offline exhibitions and induce visitors to participate in various ways will continue to be in the spotlight even in the post COVID-19 era. Furthermore, alternative exhibitions are planned in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and content from traditional museum exhibitions,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will be able to develop into various forms in the future.

      • KCI등재

        뮤지엄 기반 협업의 가치와 방법론에 대한 연구

        양지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4

        이 논문은 뮤지엄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협업이 중요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견되는 상황에서 협업의 개념과 가치, 방법론을 고찰하고, 뮤지엄 기반 협업의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1980년대 이후 뮤지엄은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로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고 지식의 생산과 활용을 위해 다양한 주체들과 함께 일하는 외부 지향성을 강화해 왔다. ‘협업’은 이러한 뮤지엄의 변화된 역할에서 강조되는 활동이자 존재 방식이다. 한편, 국내에서 뮤지엄에 기반한 협업은 아직 그 개념과 가치, 그리고 방법론에 있어서 체계적인 논의가 진전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에서는 뮤지엄의 변화된 패러다임 안에서 협업이 지니는 의미를 짚어보고, 문헌 분석을 통해 최근 사회 여러 분야에서 논의가 확대되고 있는 협업의 개념을 규명하였다. 더불어 이론적, 실증적으로 제시된 협업의 혜택과 도전을 살펴보고, 협업을 촉진하고 성공을 담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협업의 구조화와 협업 과정 설계 등 협업의 방법론적 측면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뮤지엄 기반 협업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협업은 일반적인 협력, 협조 등과 구분되는 보다 더 적극적이고 상호적인 관계이다. 그만큼 협업을 수행하는 데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나, 협업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효과적인 방법을 통해 뮤지엄은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며, 이용자들에게 창의적이고 질 높은 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value and methodology of collaboration in a museum context. As the paradigm shift of museums presents the expanding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cept, values, and effective method of collaboration. Since 1980s museums have strengthened social relationship and worked together with diverse institutions and communities.‘Collaboration’has been stressed as the essential activity and way of being for museums to meet changing roles of museums. Yet, the meanings, values, and method of collaboration have not been fully studied in museum field in Korea. In this context,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literature,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collaboration, examined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collaborations. Also, major factors to facilitate successful collaboration and effective methods of collaboration including the aspects of structure and process were analyzed. Finally, directions for museum based collaborations were suggested. Collaborative efforts require participating institutions of more time and energy as well as mutual understanding. However, by recognizing the collaborative value and devising effective method of collaboration, museums would be a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sources, create new knowledge, and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s for museum users.

      • 뮤지엄 재 개념화를 통한 역사체험 학습생태계 개념적 모형에 관한 연구

        한지연(Han, Ji Yeon),유영만(You, Young-mah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역사체험 학습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뮤지엄의 재 개념화를 시도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역사체럼 학습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을 제안한다. 우선 역사적 유·무형의 자원을 갖고 있는 지역 그 자체를 뮤지엄으로 재 해석한다. 연구를 위한 구체적 장소로는 서울에서 근대문화유산이 집결되어 있는 정동으로 설정하고 참여관찰을 통해 정동에 분포하고 있는 역사적 공간들과 각각의 공간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 체험프로그램 등의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정동 그 자체를 뮤지엄으로 재 해석하고 역사체험 학습을 위해 재 개념화시킨 뮤지엄의 전시물, 즉 역사적 공간 기반 역사체험 학습의 개념적 모형은 주제에 따라 공간들을 유닛 구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학습콘텐츠를 무한히 해체, 재생, 재구축 시키게 된다. 이는 학습자와 학습콘텐츠가 공진화하는 학습생태계의 모습으로 확장 구현 될 수 있을 것이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는 사료 중심을 통한 사실의 역사가 아닌 일상사 및 기억 등을 역사적 사료 범주에 포함시키는 삶의 역사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이에 상응한 역사체험 학습생태계 또한 현재의 삶 속에서 과거를 되돌아보게 하며 현재의 의미를 새롭게 창출시키는 삶의 학습으로 그 의미를 가질 것이다. This study undertakes the re-conceptualization of museum aims to design the learning ecosystem for historical experience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and propose conceptual model of the learning ecosystem for historical experience. First of all, reinterpret the district inherent which have tangible or intangible properties as the museum. For the detail study, select a site, Seoul Jeong-Dong concentrated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research experience programs based on each of historical places as case study t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Reinterpret Jeong-Dong, in itself, as museum and re-conceptualized the historical places as exhibits. The conceptual model for the learning historical experience is to be designed by unit sites under the theme, and the 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se could be dissolved, regenerated, reconstructed. They let co-evolve learners and learning contents and reify the learning ecosystem. The history of Post-Modern perspective is not centered by permanent truth but included affair of everday life and diverse memories in the historical materials. This means, histories are not a dominant discourse but a life, in itself. Corresponded to this perspective, the learning ecosystem for historical experience could make reflect the past as of today and recreate the meaning of present.

      • KCI등재

        포스트 뮤지엄 : 럭셔리 패션 브랜드를 문화콘텐츠로 향유하는 새로운 관객성 연구 - [레전더리 루이비통 트렁크 展], [구찌 가든 아키타이프: 절대적 전형]을 중심으로 -

        박성연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7 No.3

        This study is a discussion of the digital media generation spectators who enjoy luxury fashion brand as cultural contents in the ‘post museum’, a space to be newly recognized. Post museum means “museum after museum” and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one’s perspective. In recent years, luxury fashion brands have attracted a great deal of interest due to the fact that their contents, which include each brand's history, identity, and narrative, are highly valued for their economic and cultural significance. Consequently, this study examines luxury fashion brand exhibitions in the age of digital media through the lens of spatiality-based cultural contents in relation to spectatorship. In addition to experiencing the arts, a new generation desires to identify with them. This study examined the spectatorship of <Legendary Louis Vuitton Trunk Exhibition> and <Gucci Garden Archetype: An Absolute Archetype Exhibition> presenting the luxury fashion brands Louis Vuitton and Gucci, respectively, by applying such spectator characteristics. Existing luxury brand-related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dentity of brands and their associated stories or histories, whereas this study focuses on brands as cultural content as well as the attempt at and format of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about their values. Moreover, aspects of the rapidly changing consumer classes are evaluated and considered in light of the alterations in spectatorship. In an era in which the line between the arts and daily life is blurring, i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broaden the cultural content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to view society and humanity by advancing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diversification of art marketing activities of luxury fashion brands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and to interpret the aspects of spectators who assertively participate in such activities as the emergence of a new spectatorship. 본 연구는 ‘포스트 뮤지엄(post museum)’이라는 새롭게 인식될 공간에서 럭셔리 패션 브랜드를 문화콘텐츠로 향유하는 디지털미디어 세대 관객에 관한 논의이다. 포스트 뮤지엄은 ‘뮤지엄 이후의 뮤지엄’을 뜻하는 것으로 보는 측면에 따라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는 브랜드별로 역사와 정체성, 그리고 스토리텔링이 있는 콘텐츠로서 최근 들어 경제적이고 문화적인 가치를 높게 평가받으며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이 둘의 융합된 형태인 럭셔리 패션 브랜드 전시를 장소성에 기반한 문화콘텐츠의 관점으로 보고 디지털미디어 시대 관객성과 연관하여 고찰한다. 예술의 역사와 함께 진화한 관객들이 이제 예술 공간에서 단순히 관극하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작품에 참여하고 소통하며 생산자의 관점에서 예술을 경험하기를 희구한다. 또한, 경험에 더해 예술을 자신과 동일시하기를 바라는 욕구도 생겨났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관객의 특성을 적용하여 럭셔리 패션 브랜드 루이비통의 <레전더리 루이비통 트렁크 展>과 구찌의 <구찌 가든 아키타이프: 절대적 전형>의 관객성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럭셔리 브랜드 관련 연구가 브랜드 정체성과 그에 관련된 스토리나 역사에 주목하였다면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의 브랜드와 그 가치에 대하여 소비자와 소통을 하는 시도와 그 방식에 초점을 두었으며 급변한 소비자층의 면모를 관객성의 변화로 파악하고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크게 증대된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다양한 방식의 아트마케팅 활동을 하나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보고 그러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관객의 양상을 새로운 관객성의 등장으로 해석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일상의 예술화로서 포스트 뮤지엄 - 스트리트뮤지엄을 중심으로 -

        나선엽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effects of esthetics experience of ‘street museum’ which is creating the whole area of Pil-dong, Jung-gu and Namsangol Traditional Korean Village in Seoul as a nonprofit exhibition space. The research period was total 6 months from November, 2016 to April, 2017. This study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to examine residents and visito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 on director, docent, visitors, and residents, and conducted museum experiential program with students based on literature and data analysis to understand communication between visitors and artists and connection between artists’ works and street museum. Residents were inspiring energy and stimulating gradually decaying village with art work and culture and art events through many years of preparation period, and were experiencing artification of everyday life in alleys with dynamic, playful, and witty works in everyday life. Visitors were extending the boundary of museum and realms of experience through conversation, discussion, memory, recollection, and emotion by viewing artworks in an open space. Various methods and places where visitors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artwork and artist were prepared in various places of exhibition space.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 전시공간으로 서울 중구 필동과 남산골한옥마을 일대를 문화공간으로 조성하고 있는 ‘스트리트뮤지엄’의 공간의 미적 체험이 갖는 특성과 그 구체적인 효과를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기간은 2016년 11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총 6개월간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주민과 관람객을 들여다 보기위해 참여관찰을 하였고, 총괄디렉터, 도슨트, 관람객, 주민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관람객과 작가의 소통, 작가의 작품과 ‘스트리트뮤지엄’과 관련성을 이해하기 위해 문헌 및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학생들과 미술관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점점 쇠락해 가는 마을을 주민들이 함께 여러 해의 준비기간을 거쳐 예술작품과 문화예술행사로 에너지와 활기를 불어 넣고, 일상생활 속에서 동적이고 유쾌하며 위트가 담긴 작품으로 골목길에서 일상의 예술화를 직접 경험하고 있었다. 관람객은 열린 공간에서 작품을 관람하며 대화, 담론, 추억, 기억, 정서 등을 통해 뮤지엄의 경계와 경험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었다. 관람객이 작가와 작품과 소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과 장소가 구안되어 전시공간 곳곳에 마련되어 있었다.

      • KCI등재

        뮤지엄 이후의 뮤지엄: 일본 만화뮤지엄의 사례와 전망

        김효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비평 Vol.- No.21

        Around the 21st century, the museumization of popular culture and the popularization of museums have developed in the world.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anga culture and manga media in Japan as popular entertainment, and explore the potentialities of manga museum as post-museum by focusing on manga museums in Japan as an example of museumization of popular culture. First, manga as an example of the museumization of popular culture enables museu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rhizomatic organization and representation by revealing the limitations of old-fashioned museums that embody the tree system of knowledge. Second, the current circumstances that museums started collecting, preserving, and utilizing manga have uncovered problems and contradictions of modern musums, which often open the space for exploring the meaning of manga and manga culture in Japan, and improving manga studies. Third, while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ational manga museum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order to collect, preserve, and utilize manga in a more systemic and effective way is elevated, the variety of small manga museums, such as micro-libraries, should also increase, where people can easily access manga in their everyday life. In conclusion, manga museums in Japan will be expected to work as a space that makes it possible to explore the potentialities of rhizomatic museum, where people can share plural and diverse knowledge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