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식민주의인가, 후기식민주의인가: 김남주, 그리고 한국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 20년에 대한 단상

        황호덕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1 No.-

        The research filed of postcolonialism in Korea spans about twenty years when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related concepts and books. Limiting the history of postcolonialism within the studie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period encompasses about fifteen years. This paper focuses on the various practices of translation related to postcolonialism over the past two decades and the achievements of scholarly research. Studies on postcolonialism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re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poststructuralism, the representation of subaltern in the Third World, and psychoanalysis o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In contrast, the practices of postcolonialism in Korea was adopted as one of several methodologies that criticize modernity, nationalism, and the rules of nation-state, and that finally have overcomethe centro-homogenous writing and cognition on Korean history. In the conceptual mapping, postcolonialism has been translated into post/colonialism(Tʻalsingminjuŭi), postcolonialism(P'osŭt'ŭk'olloniŏllijŭm or Pʻosŭtʻŭkujojuŭi), or post-colonialism(Hugishingminjuŭi)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resistance, ambivalence, and continuity. Post/colonialism by emphasizing the process of decolonization is the translation that precisely includes the aim of overcoming(Tʻal) modernity, such as nation-states or colonialism. The translation of postcolonialism conveys ambivalence that includes historical practices and perspectives on the one hand, and the actual lives and complicated practices of the colonized country on the other. Postcolonialism was chosen as a neutral term in order to combine the poststructuralism theory with the radical ideas of tri-continental’s resistance and the subaltern studies. Lastly, Post-colonialism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rder, experience and cultural mores of the colonized continues to be linked to the liberated country’s system and consciousness and culture. However, such practices of translation and writing could not overcome a kind of ‘memory regime’ that is strongly embedded in each East Asian states. As a result, the translingual, transnational and translational practices were conducted as either trans-macroscopic or trans-microscopic discourse, such as systematic analysis of the order of imperial history or the psychoanalysis of colonialism in Korea. In addition to the current flow of global modernity, the national memory regime belonging to mass-cultural representation tends to privatize or appropriate academic achievements likes the discovery of (post)colonial ambivalence. In this context, postcolonial studies are in a difficult position because scholars decipher their mission to re-articulate the criteria of the social sphere while carrying out their practical performance as critic, translators, and fighters. Hence, this paper describes the difficulties that postcolonial studies face, focusing on a new analysis called for in the study of Kim Nam-ju and post-Kim Nam-ju. 한국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는 해당 개념의 번역 및 관련 서적의 번역사로 보자면 약 20년, 한국근대문학연구사에 국한해 보자면 약 15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지난 20년 간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번역과 학문적 성과를 ‘postcolonialism’ 개념의 번역적 산종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우선 이론 및 문제의식의 상속 관계와 관련해 유로 아메라칸적 맥락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이 포스트구조주의의 번역과 제3세계 서벌턴의 재현 및 (후기) 식민지 지성 정신 분석과 연동되어 있음에 비해, 한국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은 근대성 비판, 민족주의 및 국민국가 비판의 과정에서 일국문화사를 극복하는 방법론으로 채용되었음을 논하였다. 한국의 포스트콜로닌얼리즘은 각각 저항, 양가성, 지속이라는 세 맥락에서 각각 탈식민주의, 포스트식민주의 또는 포스트콜로니얼리즘, 후기식민주의 등으로 번역되었다. 탈식민주의라는 번역적 실천은 주로 “근대 (국민국가/식민주의) 극복”을 목적으로 했기에 ‘탈식민화(decolonization)’라는 과제를 뚜렷이 발산했다. ‘포스트식민주의’ 혹은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은 경우에는 역사적 경험과 전망을 아우르는 말로 사용되는 한편, 식민지의 삶과 실천이 지닌 양가성을 강조했다. 포스트구조주의라는 이론을 트리컨티넨탈의 저항 ‘경험’과 서벌턴 연구라는 급진적 ‘시각’ 속에 종합하려 할 경우 이 중립적 용어가 선택되곤 했다. ‘후기식민주의’는 식민지 경험이 제도와 의식 차원에서 장기지속되었다는 가정 아래, ‘해방’ 후 문화의 식민지적 기원을 함축하려 했다. 그러나 이런 실천들은 강고하게 자리자은 기억 체제(memory regime)를 극복하지 못한 채, 서발턴의 상황에 대한 유물론적 접근이나 제국사라는 큰 질서에 대한 제도 분석, 혹은 식민지성의 정신분석과 같은 초거대, 초미시 담론에 귀착되곤 했다. 국가 단위의 기억 체제가 학문적 성과를 사취/전유하는 작금의 상황과 글로벌 모더니티 속에서 이제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는 비평가, 번역가, 투사라는 실천적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한편, 사회적 장소 ‘내부’에 그어진 분할선들을 다시 그려나가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필자는 이를 김남주와 포스트 김남주 다음에 놓인 새로운 요청으로 암시해 보았다.

      • KCI등재

        학문 담론의 포스트 식민주의적 권력과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의 메타 분석

        윤선희(Sunny Yoon)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보 Vol.17 No.2

        본 연구는 문화연구가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낸 학문적 성과를 자축하면서도 동시에 문화연구의 미래 발전을 위해 자성적 관점에서 운제점올 중심으로 시행한 메타 분석이다. 미디어 문화연구에 초점을 두었으며, 미디어 연구의 주요 학술지인 『한국언론학보』, 『한국방송확보』, 『언론과사회』에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년간 출판된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진리를 구가하는 학문적 담론도 사실상 사회 문화 내 만연한 권력의 내부에 속하는 것이며, 현재 한국의 미디어 문화연구가 당연한 권력의 핵심은 세계체제의 변방으로서 세계 학문의 거대한 헤게모니에 부속된 현실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때 작용하는 권력은 과거와 달리 지배자가 현시적으로 군림하면서 지배하는 것이 아니고, 피지배자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이루 어지고 있다. 이러한 미시적이고 내밀한 권력의 작용을 파헤치기 위해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가 자발적으로 포스트식민주의적 권력을 지지하고 재생산하는 것은 외국 이론의 자기 성찰 없는 학습, 한국적 컨텍스트를 고려하지 않는 외국 이론과 연구 방법의 모방적 재현을 두드러지게 보이고 있는 텍스트 분석의 만연, 실천을 외면한 정치성의 결여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서구나 동양, 한국과 같은 이론이 발생한 지리적 배경에 따라 포스트식민주의적 권력이 존재하거나 부재 한다는 입장은 아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외국 이론을 활용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 성찰적 과정으로 토착화시키지 않고 절대 지식처럼 남의 이론을 단순 소개하는 학문의 풍토나, 외국 이론의 전제나 과정, 발견물과 결론까지 전 과정을 그대로 모방하여 한국의 텍스트와 수용자를 자의적으로 맞추는 분석 양식에 대해 문제제기 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에 담지된 포스트식민주의적 권력이 미시적으로 침투하여 아메바적 자기 재생을 거듭하고 있다고 해도 미래가 암담한 것만은 아니다. 포스트사상의 전제에 의하면, 실상 현실의 문제점 내부에 이미 해결 방법이 도사리고 있는 현실의 양면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가 현실적 한계 내에 권력의 지지대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포스트식민주의 이론들이 전제하고 있듯이 학문 담론내의 치열한 투쟁을 통한 일상적 노력을 통해 권력은 새로운 방향으로 기틀 잡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한국 문화연구가 포스프식민주의적 권력의 맥을 서서히 끊고 독립적인 학문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적 사례에 대한 부단한 연구, 아론에 대한 자기 성찰적 개발 및 적용, 권력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성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미디어 문화연구들이 개별 연구로 보면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고, 한 연구가 모든 것을 완벽하게 완수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이 축적적으로 모여 현실의 만연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변화의 방향을 끊임없이 추구한다면 한국의 마디어 문화연구의 방향은 밝게 다가올 것이다. 현재 문제가 있다고 하여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한국적 문화이론의 도래를 기대하는 것은 해결점이 될 수 없다. 포스트식민주의적 권력에 저항하기 위해 학문 담론 자체에 참여하기룰 거부하고 기존 학문적 연마를 포기하면서 내생적 이론의 탄생을 기다리기 보다는, 다양한 한국의 사례 연구를 통해 권력의 실체를 축적적으로 드러낸다면, 한국 문화연구의 성숙과 독립도 차츰 다가올 것이다. Korean cultural studies have been developed by drawing strong attention and serious criticism altogether for over a decade. This research attempts to review Korean cultural studies and assess their present and the future. This study views that theories of post-colonialism can provide a useful framework to disclose the complex power relations in academic discourse. Korean cultural studies have formed confused cultur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adopting Western theories. I have reviewed the three, most well known Korean journals in the communication field: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KJC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KJB); and Media & Society(MS). For five years, from 1998 to 2002, First, the problem that Korean cultural studies are facing is that they do not look into Korean culture per se. It is not only textual analysis, but also audience studies that show the problem with Western ethnocentrism. Second, a more serious problem that Korean cultural studies pertain is that many researchers simply introduce foreign theories. What is lacking in these studies is self-reflection. Third, related to the problems above, the minor point of Korean cultural studies is that there is no politics, hence no practic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with Korean media cultural studies, first, we have to deal with Korean cases as many as possible despite the problem. Second, in order to overcome post-colonial dominance in academia, Korean cultural studies have to develop theories for their own. Rather than the geographical origin, a more important point is in the fact that whether a theory inspires self-reflection or to view human subjects and society critically. Third, experiencing such pervasive power in society including public, private and academic fields, Korean cultural studies should go back to the structure, and scrutinize the Korean context.

      • KCI등재

        지구화 시기 주체 구성의 물적 토대 복원을 위한 시론

        김수미(Sumi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0 No.2

        포스트식민주의는 근자의 글로벌 사회 문화 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자원으로 자리잡아 왔다. 문화가 갖는 보편성이나 초월적 진정성을 부정하는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은 근본주의적 가정을 벗어나 주체와 정체성이 재개념화되는 길을 열어 주며, 지리적 경계를 가로질러 부유하는 디아스포라의 혼종적 문화 경험을 통해 기존의 지배적인 문화적 상상과 사회관계에 대한 담론 질서를 전복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그려 내기도 한다. 그러나 전 세계 문화의 차이와 다양성을 강조하는 포스트식민주의 서사는 변화와 재조정 과정에 있으나 여전히 강고하게 자리 잡고 있는 중심부와 주변부 국가들 간 불평등한 권력 관계 속에서 특정한 지역민들과 이주민들이 새로운 형태의 피착취 집단으로 구성되고 있는 현실을 제대로 조명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 글의 목적은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이 전개되고 전유되어 온 과정에 대한 비판적 리뷰를 통해 지금 시기 글로벌 수준에서 발생하고 있는 부정의의 문제들을 보다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Postcolonialism, as a school of thought, has become enormously influential for understanding the recent phenomena of globalization. While rejecting the universalizing categories of the Enlightenment, postcolonialism has called into question the old idea of culture and identity as a transcendent regime of authenticity and purity. It has also celebrated the diasporic experiences that entail porous and hybrid cultural identities as a potential site of struggle and resistance against the dominant cultural and discursive order. It is argued, however, that postcolonial theory’s emancipatory claims relating to the diversified global culture tend to be complicit with transnational capitalism that brings about global issues of material as well as cultural injustice. This article, through a thorough review of the ways the postcolonial theoretical framework has been developed and appropriated by main figures in postcolonial scholarship, seeks for a theoretical and critical strategy to grasp the complex conditions of global inequality.

      • KCI등재

        스포츠 사회학의 학제적 주제로서 포스트/식민주의 이론: 문학연구/비평 및 역사 사회학 관점의 탐색과 전유

        서재철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2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5 No.3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udy of sport & post/colonialism as a newly emergent and promising toolkit through which to understand and explore so-called the Korean sporting social within the global context. To be more specific I firstly introduce the concept of post/colonialism, focusing on its three components: 1) colonialism, 2) a prefix of the ‘post-’, and 3) the slash or solidus of ‘/’ along with its background of the Humanities. Second, I introduce Gurminder Bhambra’s works as a useful way of understanding how post/colonialism has been embraced into the field of sociology. Third, I detail how sport scholars have incorporated it into the field of Sport Studies, mostly focusing on Ben Carrington’s works and Bale & Cronin(2022). Finally, I suggest the study of sport & post/colonialism as a critical paradigm and perspective for studying Koreans sporting reality within the global context. 이 연구는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의 학제적 가치와 유의미성에 주목하고, 그것을 스포츠사회학의 학제적 비전을 확장하는 이론적 주제/틀/관점으로 포섭, 수용, 전유하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나아가 포스트/식민주의를 이론적 구심점으로 하는 체육·스포츠 인문/사회과학의 학제적 연구로서 ‘스포츠 & 포스트/식민주의 연구’를 제안하는 작업이다. 구체적으로, 포스트/식민주의가 무엇인지의 쟁점을 ‘식민주의’, ‘포스트’, ‘사선(/)’의 요소로 분리하여 검토, 논의하였고, 포스트/식민주의와 사회학의 접점을 파악하는 경로이자 렌즈로서, Gurminder Bhambra의 연구들을 분석, 해석하여소개하였다. 이어서, 포스트/식민주의를 체육·스포츠 인문사회과학 클러스터 속으로 유입, 수용, 전유하는 것을 주장하고 또 촉구한 체육·스포츠 학자들의 작업을 파악하는 일환으로, Ben Carrington의 연구들과 Bale & Cronin(2002)이 자신들이 편저한 단행본에 수록한 서문에 초점을 두고 요약, 정리하였다. 끝으로, 향후 스포츠사회학의 분과학문이 주도하고 선도해나갈 필요와 가치가 있는 체육·스포츠 인문/사회과학의 학제적 연구로서, ‘스포츠 & 포스트/식민주의 연구’의 기본 윤곽, 방향성 및 지향성 등을 결론으로 삼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비서구사회의 존재방식과 그 인식의 문제 — 포스트식민주의 사회이론의 가능성

        채오병 한국사회사학회 2019 사회와 역사 Vol.0 No.124

        What do the recent outpouring of postcolonial or decolonial literature on Korean social theories suggest? How can the problem of intellectual colonialism be approached, and how applicable is postcolonial social theory to Korea? This article addresses both questions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recent postcolonial scholarship and decoloniality. The research begins with a focus on four representative scholars—Gurminder Bhambra, R. W. Connell, Walter Mignolo, and Julian Go—who have contributed to the discussion both within sociology and through social scientific contexts in recent years. Next, this article attempts to locate persistent limits and problems that cut across these works and uses them as a starting point to enrich the debate. It argues that more discussion on the issue of why theories and concepts produced in core countries are simultaneously inappropriate and inevitable in the context of peripheries. Based on this ontological recognition, it explores a possibility of enriching postcolonial social theories. 최근 성장하고 있는 포스트식민주의 혹은 탈식민주의 사회이론이 한국의 사회이론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지적 식민성의 문제는 어떻게 접근될 수 있으며, 한국에서 포스트식민주의 사회이론은 어떤 가능성을 부여받을 수 있을 것인가? 이글은 최근 간행된 포스트식민주의·탈식민성 논의에 대한 비판적인 리뷰를 통해이 질문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우선 이 글은 사회학 혹은 사회과학 내부에서 최근대단히 생산적으로 진행되어 온 포스트식민주의와 탈식민성 논의를 대표적인 네명의 사회이론가인 거민더 밤브라, 래윈 코넬, 월터 미뇰로, 그리고 줄리언 고의작업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다음으로 이 글은 이들의 작업에서 발견되는 일관된한계 내지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이를 포스트식민주의 혹은 탈식민성 논의의 풍부화를 위한 단초로 활용한다. 이 글은 포스트식민주의적 사회이론이 좀 더 풍부해지기 위해서는 제국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제국 혹은 핵심부 국가에서 생산된 개념과이론이 왜 부적절하고 불가피한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이 존재론적 논의의바탕 위에서 포스트식민주의 사회이론의 인식론적 전략의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제국의 곤경과 저항의 논리: 포스트식민주의 연구 리뷰

        이영진(LEE Yungji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1

        포스트식민주의 연구는 제국의 심장부에서 싹트고 또 인식되기 시작한 내적 곤경들(predicaments)의 정체를 확인하고, 이러한 곤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모색하는 일련의 연구 경향성을 총칭하는 명명이다. 이 글은 콘래드의 『암흑의 핵심』으로부터 출발하여, 포스트식민주의라는 문제설정을 이해하는 주요 키워드로서 푸코와 이를 계승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논의의 핵심인 ‘지식권력과 통치성’, 그람시의 헤게모니 이론을 둘러싼 논란, 혼종성(hybridity), 그리고 은닉대본(hidden transcript)과 저항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논의들을 리뷰한 것이다.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이 내포하고 있는 비관주의에 대해서는 그 이론이 나온 초기부터 많은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스트식민주의 논의들을 리뷰하는 것은 포스트식민주의라는 문제설정이 여전히 지니고 있는 분석적 통찰력을 확인함과 동시에 포스트식민주의에 드리워져 있는 암울한 전망을 타개해나가고자 하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함이다. 포스트식민주의가 단순한 역사적 분석을 넘어, 글로벌한 현 제국의 정치 질서 속에서 재편되고 있는 통치성의 전략을 제대로 읽어낼 수 있을때, 그 이론은 진정한 탈식민주의적 전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Post-colonialism is a collective name for a set of research trends that identify the internal predicaments that sprouted and began to be recognized in the heart of the empire and seek a theoretical framework to escape from these predicaments. Starting with the critique of Conrad’s Heart of Darkness, this article reviews a series of discussions that lead to Foucault’s “knowledge power and governmentality,” Gramsci’s hegemony theory, hybridity, and hidden transcripts and resistance, as keywords for understanding post- colonialism. A lot of criticism has been rais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theory on pessimism implied by postcolonialism. Nevertheless, reviewing post-colonial discussions is to identify the analytical insights that the problematic setting of post-colonialism still holds, while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breaking through the gloomy prospects of postcolonialism. When post-colonialism can go beyond mere historical analysis and properly read the strategy of governmentality that is being reorganized in the political order of the current global empire, the theory will secure a truly decolonialistic outlook.

      • KCI등재

        1970년대 오키나와를 통해 본 한국의 포스트 식민주의 - 김정한의 「오키나와에서 온 편지」(1977)를 중심으로 -

        이명원(Lee Myoung-Won)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9 No.-

        이 논문은 김정한의 단편소설 「오키나와에서 온 편지」를 중심으로 1970년대 한국의 포스트 식민주의를 논의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1970년대 중반의 상황에서 오키나와는 일제하의 식민주의와 동시대의 포스트 식민주의를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 역할을 했다. 「오키나와에서 온 편지」를 통해서 김정한이 묘사한 한국적 현실의 모순은 무엇이었으며, 한국인과 오키나와인의 만남이 함축하고 있는 쟁점들은 어떤 것이었는가가 이 논문에서 검토된다. 이것을 필자는 식민주의의 역사적·표상적 장소로서의 오키나와에 대한 소설적 서술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통해 밝히고자 했다. 동시에 필자는 오키나와에서 직면하게 된 한국인들의 역사적 기억과 현실적 비극의 함축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했다. 그런 과정에서 가시화되는 한국의 고통스런 현실과 비가시화되는 오키나와의 전후사는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분석했다. 소설가 김정한은 오키나와에서 한국인과 오키나와인을 만나게 함으로써, 식민주의와 포스트 식민주의를 둘러싼 동아시아 민중·시민의 공통의 인식과 실천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서 필자는 동아시아 문학의 정치성과 정체성의 문제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것의 연장선상에서 한국문학과 오키나와 문학을 비교문학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discussing post-colonialism in Korea in the 1970s, focusing on Kim Jeong-han"s short story "Letter from Okinawa". In the mid-1970s, Okinawa served as a mirror of Japanese colonialism and contemporary post-colonialism. What was the contradiction of the Korean reality that Kim Jeong-han described in "Letter from Okinawa" and what issues the meeting between Koreans and Okinawaans implied are examined in this paper. I wanted to reveal this through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fictional description of Okinawa as a historical/representative place. At the same time, I wanted to analyze the historical memories of Koreans faced in Okinawa and the implications of real tragedy. In the process, we analyzed the reality of Korea that is visible and the history of Okinawa that is invisible. Kim Jung-han raised the need for common awareness and practice of East Asian people and citizens surrounding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by meeting Koreans and Okinawaians in Okinaw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I confirmed that it was connected to the political and identity issues of East Asian literature, and as an extension of this, I raised the need for a comparative literary review of Korean and Okinawan literature.

      • KCI등재

        유럽 (대륙) 철학의 자기 성찰과 포스트식민주의 아프리카 철학

        김정현(Kim Jung hyun)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1 No.-

        유럽 철학은 유럽 중심적 역사 철학을 통해 식민주의를 정당화한 과오가 있다. 이 글은 식민주의 극복을 위한 포스트식민주의 아프리카 철학의 노력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포스트식민주의 아프리카 철학은 아프리카의 철학을 유럽 철학의 규정으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유럽 철학이 제시한 철학의 규정을 문제시하여 재검토한다. 아울러, 아프리카 철학의 특수성과 일반성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지 논구한다. 포스트식민주의 아프리카 철학의 등장은 그 자체 유럽 철학에 대한 도전과 질문의 성격을 지닌다. 포스트식민주의 아프리카 철학의 이러한 도전에 유럽 철학이 자신을 개방할 때, 비로소 두 철학 전통 간에는 바람직한 관계 형성을 위한 대화의 여지가 마련될 것이다. 유럽 철학이 자신을 개방하는 것은 오랜 세월 보는 위치에 있었던 특권을 버리고 자신을 다른 사유의 시선에 노출시키고 판단을 받는 것이다. 포스트식민주의 아프리카 철학은 식민주의 경험과 그 극복의 과제를 마찬가지로 지니고 있는 우리에게도 여러 가지 질문과 도전을 제기한다. European philosophy helped to justify colonialism through a philosophy of history that privileged Europe. This paper reviews and examines postcolonial African philosophy's efforts to overcome colonialism. Postcolonial African philosophy has been trying to reexamine the essence of philosophy determined by European philosophy for freeing African philosophy from that determination. The emergence of postcolonial African philosophy itself has been a challenge to European philosophy. When European phil. will open itself to this challenge, there will be a possibility of dialogue for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wo philosophical traditions. For European philosophy to open itself is to be seen and judged by the non-european, ie, African philosophical regard. Postcolonial African philosophy's efforts to overcome colonialism give questions and challenges to us who experienced and are remain to be under the influences of colonialism and has the task of overcoming it.

      • KCI등재

        노란 피부, 흰 가면

        정명호(Myung-Ho Ch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인사조직연구 Vol.18 No.4

        본 논문은 포스트식민주의 이론(postcolonial theory)에 기초하여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의 인사관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포스트식민주의는 식민주의적 사고와 인식에 반대하는 사고방식/관점을 말한다. 해외진출 한국기업들은 피식민자의 종속적 위치와 식민자의 우월성이라는 이중성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연구대상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베트남 진출기업 경영자 대상의 구조화된 인터뷰, 현지인 근로자에 대한 면담과 방문관찰, 그리고 기타 담론자료에 대한 비판적 분석(critical analysis)을 통해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들의 인사관리 특성과 문제점을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가능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기업들의 인사관리는 현지 근로자를 저임금의 생산도구로 타자화 하는 도구적 관점, 현지인과 현지문화를 주변적이고 비합리적이며 열등한 것으로 보는 이분법적인 인식(오리엔탈리즘), 현지인의 다양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단선적 문화관에 기초해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과 관점이 인사관리의 핵심인 동기부여의 혼선, 현지화의 빈곤, 전근대적인 통제로 연결되고 있었다. 서구와 베트남을 전혀 다르게 대하는 한국기업의 모순적 이중성은 인사관리에 대한 현지인의 수용도를 저하시키며, 창조적인 혼성적 경영방식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포스트식민주의가 제도적 정당성을 부여받고 하나의 자원으로 인식되는 최근의 경영환경에서, 한국기업들은 과거의 식민주의적 경영방식을 모방하는 퇴행적인 모습을 벗어나서 혼성적 경영지식과 실무에 기반 한 새로운 인사관리를 모색해야 한다. 혼성적 정체성의 창조, 문화의 탈맥락화, 경영방식의 혼성화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조직연구와 국제경영 분야에 미치는 함의를 논의 하였다.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discourse of postcolonialism has been widely disseminated into various disciplines such as literary critics, politics, sociology, feminism and media studies (Calás & Smircich, 1999). Postcolonialism is a term coined to describe a period of time that resist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constructions of colonialism. It focuses attention on the marginalized voices, suppressed identities, the situations of colonized people, the emergence of hybrid identities, and the decontextualization of culture. It also has ideological and theoretical affinity with postmodernism. In this sense, postcolonial analysis is useful in unveiling the persistent imprint of colonialist ways of thinking in international management (IM) and multinational corporation (MNC) studies (Prasad, 2003). However, it has rarely been introduced to IM and organizational studies. Recently, a new breed of MNCs has emerged from ex-colonized countries like Korea and India. MNCs in these countries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colonial) MNCs in their basic duality and ambivalence:once the inferior, ‘ex-colonized’ by the developed Western countries, but wanting to become ‘colonizer’ to the developing countries. In this paper, I draw on postcolonial discourse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of Korean firms in Vietnam and suggest possible alternatives to current HRM theory and practices. This paper has three methodological orientations. First, I emplo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ase analysis. Instead of testing hypotheses using empirical data, I analyze seven cases of Korean firms in Vietnam. Second, this paper is based on critical perspective that tries to reveal hidden ideology, structure, and power relations in work practices and management theories (Alvesson & Deetz, 2000). Third, it focuses on discourse and discursive data-structured interview with CEOs and HR managers, group interview with local employees, analyses of company documents, etc. The author visited Vietnam in 2007 and collected various discursive data from seven companies in Ho Chi Minh City. The research sites (firms) include various industries such as textile, shoes, electronics, transportation vehicle components, construction, etc.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 considered three major elements of postcolonial theory suggested by Edward Said, Homi Bhabha, and Gayatri Spivak-mimicry, hybridity, and the third space. Western colonialism attempted to subjugate its colonies in the realm of culture and ideology. Colonial discourse sought to encourage the ‘colonized’ to adopt the culture, values, and assumptions of the ‘colonizer.’ This is the process of mimicry whereby the elite among the ‘colonized’ imitate the values, beliefs, and cultural practices of their colonizers. However, this mimicking process is not perfect. It is “almost the same, but not quite” (Bhabha, 1994). The mimicry of the ‘colonized’ is therefore both a site for the creation of new hybridity and a potential source of instability and ambivalence in postcolonial discourse. Likewise, MNCs of ex-colonized countries (i.e., subaltern MNCs) tend to imitate the conventional multinational corporations with contradicting emotions, both envy and hatred, toward imperialist MNCs at the same time. They even enthusiastically pursue “reverse colonization” of ex-colonizer countries. This duality or ambivalence raises very interesting questions:Are the subaltern MNCs simply the victims of false identity entrapped with epistemological dichotomy of West/Non-West and core/periphery? Or can they be a fertile ground for creative heterogeneity coming from hybrid identity? My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to what extent are Korean firms in Vietnam sites for the ambivalent discourse of postcolonialism? Given the decontextualization of culture, what is the role of the these firms in the emergence of cultural hybridity?

      • KCI등재

        네덜란드 작가의 남아프리카 여행문학 - 연루된 주체와 포스트식민주의 혼종성 -

        문지희 ( Moon Jihie ) 세계문학비교학회 202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0 No.-

        이 글에서는 포스트식민주의 여행문학의 특성과 이론을 바탕으로 네덜란드작가의 남아프리카 여행문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포스트식민주의 방법론은 타 지역과 문화에 대한 지식을 어떻게 획득하고 소비하는지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문화 간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그리고 여행지와 타문화와의 소통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여행문학은 이러한 연구의 중요한 소재가 된다. 이 글에서는 포스트식민주의 여행문학의 기제로서 ‘카운터 여행문학(Countertravel writing)’과 ‘접촉지역(Contact Zone)’ 등의 개념을 이용해 네덜란드 작가들의 남아프리카 여행문학인 『약속의 땅』(1990)과 『도와주세요. 내가 백인이 되었어요』(2009)에 나타난 위치화와 정체성의 정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식민종주국인 네덜란드인으로서의 정체성, 그리고 남아프리카라는 공간이 부여하는 ‘백인’이라는 정체성은 이들 작가들로 하여금 지속적인 자기성찰과 타협을 요구한다. 식민주의 역사가 어떻게 아프리카너(Afrikaner) 정체성과 네덜란드인 정체성에 작용하는지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마이클 로스버그의 ‘연루된 주체(implicated subject)’ 개념은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된다. 이들 작품은 정치적 전환기 남아프리카에서 기존 질서의 잔재와 교차점을 발견하고, 나와 타자 사이의 변증법적 작용을 통해 공생이 가능한 혼종성의 공간을 상상하고 있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outh African travelogues of Dutch writer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postcolonial travel writing. Postcolonial theory has drawn attention to the various forms of interaction between cultures, and how knowledge is acquired and consumed in different regions and societies. Travel writing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because travel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and communicate with a new world, and to reflect on one’s self and identity formation. In this article, the South African travelogues by Dutch writers, Het Beloofde Land (The Promised Land, 1990) and Help, Ik Ben Blank Geworden (Help, I’ve Become White, 2009) are discussed, along with concepts such as ‘countertravel writing’ and ‘contact zone’. Focusing on Micheal Rothberg’s concept of the ‘implicated subject’, this study observes how the history of colonialism simultaneously influences both the Afrikaner and the Dutch identities. Advocating postcolonial hybridity, these works try to reproduce South Africa as an organic and hybrid space, where the hierarchical and asymmetrical power relations of political transformation are disrupted and overturned through the dialectical ac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