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과 교육적 함의

        이미소(Lee, Mi So),이차숙(Lee, Cha Suk)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1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종합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포스트모던 특성이 드러나는 그림책이 생기면서, 그림책을 읽어주는 교사나 부모가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성의 적용사례를 통해 그 이해를 돕고자 한다. 연구목적에 따라 그림책이 지닌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따른 지도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문헌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국내외 그림책 관련 이론서와 논문 및 학술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였다.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성의 적용사례는 1990년대 이후 출판된 그림책 중 연구자가 임의로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그림책을 고른 후, 포스트모던 그림책으로서 적절한지 그림책 전문가 10인에게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포스트모던 그림책이 지닌 특성을 다음과 같은 열두 가지로 파악했다. 전통관습의 붕괴, 메타픽션, 열린결말, 미장아빔, 경계파괴, 아이러니, 다중서사, 상호텍스트성, 파스티셰, 패러디, 타이포그래피, 파라텍스가 그 특성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picturebooks. While picturebook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are emerging, teachers and parents who read the picture books need to understand the postmodern picturebooks, and try to help them through application examples of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picture books. This study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books and articles related to the theory of picturebook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postmodern picturebooks’ characteristics is that after the 1990s, researchers in published picture books arbitrarily selected a picture book that can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picturebooks, and then a picture book expert on whether or not it is appropriate as a postmodern picturebook. Validity was verified by 10 peopl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welv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picture book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ssolution of The dissolution of traditions & customs , Metafiction , Open-close , Mise-en-Abyme , The destruction of frame , Irony , Multi-narrate , Intertextuality , Pastiche , Parody , Typography , Paratext .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유아과학창의성 관련 내용분석

        김경은(Kyung-Eun Kim),조부경(Boo-Kyung Ch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현대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정치·사회·문화 패러다임의 급속한 변화로 필요한 지식기반 자체가 변화함에 따라 과학교육에서도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분석적 사고를 통해 새롭고 적절한 것을 찾아낼 수 있도록 과학창의성 함양에 주력하고 있다. 과학창의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기존 사고를 벗어난 상상력은 필수적이며, 시각적 은유와 이미지 사용이 필요하다. 한편 포스트모던 그림책은 모더니즘의 한계를 초월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특징을 내포하고 있는 그림책으로서, 기존사고의 재구성을 유발한다. 특히 패러디, 비선형성, 다중성, 아이러니와 같은 특징들로 유아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상상력을 발현시키는 매체로서, 과학창의성과의 관련성을 가름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에 포함된 유아과학창의성관련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내용분석을 위한 그림책 선정은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포스트모던 그림책 관련 선행연구 62편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았던 그림책 166권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이중에서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성한 ‘유아과학창의분석기준’에 따라 3영역별 최소 1개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분석된 29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29권의 그림책을 대상으로 양적, 질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양적분석으로는 유아과학창의영역 세부요소의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질적 분석은 내용분석으로서, 연구자가 각 그림책을 읽으면서 유아과학창의와 관련된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자세히 기술한 뒤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특징적인 부분을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포스트모던그림책에는 6가지의 과학창의요소가 포함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24.14%) 영역별로 산출요소에서는 과학적 지식(42.86%)이, 특성요소에서는 유창성(38.46%)이, 과정요소에서는 사고력(60.47%)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는 직접 글을 통하여 과학창의요소를 나타내는 것에 더하여 그림을 통한 직, 간접적인 방식으로 과학창의요소를 드러내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과학적 지식에서는 유창성과 사고력이, 과학적 현상과 과학적 문제해결 그림책에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사고력, 상상력이 복합적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하여 유아과학창의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knowledge base itself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rapid change of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paradigm, science education also focuses on cultivating scientific creativity so that learners can find what are new and appropriate through analytic thinking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To have scientific creativity, imagination out of the box is essential, and the use of visual metaphors and image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 post-modern picture book is intended to transcends and overcome the limits of modernism. Especially, with its characteristics such as parody, nonlinearity, multiplicity, and irony, it, as a medium, presents new perspectives to young children and induce them to exercise their imagination, indicating its relevance to scientific creativ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post-modern picture books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icture books to be used for analysis of contents were selected in two stages. First, 166 picture books used in 62 previous studies were selected. Next. 29 picture books analyzed to include at least more than 1 element for 3 respective areas according to ‘Criteria for Analysis of Early Childhood Scientific Creativity’ were selected. The 29 selected picture books were analyzed both qual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sub-elements of the area of early childhood scientific creativity were calculat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content which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early childhood scientific creativity and read it repeatedly to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 part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ost-modern picture book included 6 elements of scientific creativity (24.14%) in most cases. And ‘scientific knowledge’ (42.68%), ‘fluency’ (38.46%), ‘thinking power’ (60.47%)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element of output, the element of characteristics, and the element of process element, respectively. In the post-modern picture book, in addition to representing the el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through direct writings, the el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was revealed in a direct and indirect manner through pictures. Specifically, ‘fluency’ and ‘thinking power’, ‘fluency and flexibility’, ‘originality’, ‘thinking power’ and ‘imagination’ appeared in a complex manner in the scientific knowledge; and in the picture book of ‘scientific phenomena’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scientific creativity can be diversified by the use of post-modern picture boo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Lauren Child의 『쉿! 책 속 늑대를 조심해!』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인식

        전연우(Jun Yeon-Woo),조희숙(Jo Hea-Soo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P지역과 K지역의 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이 두드러지는 Lauren Child의 『쉿! 책 속 늑대를 조심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처음 접해 보는 낯선 그림책, 재미있지만 어려운 그림책, 다양한 종류로 정의되는 그림책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포스트모던 그림책이 유아교사에게 다양한 영향력을 줄 것이므로 유아교사가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셋째, 유아교사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이 유아에게 웃음을 자아내고, 유아들의 다양한 반응을 이끌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열린 사고를 하도록 도와주고 훌륭한 놀이로 승화시켜주어 다른 책에 관심을 갖도록 해 줄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논의를 통해, 유아교사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통해 그림책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나, 포스트모던 그림책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이해가 필요하며, 이러한 그림책들이 유아의 내면을 이해하고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임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Lauren Child’s 『Beware of the Storybook Wolves』, a picturebook with notable postmodern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2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gions of P and K.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escribed the postmodern picturebook as a strange picturebook to which they were exposed for the first time, as an intriguing yet difficult picture book and as a picturebook that could be defined in diverse ways. Second, they fel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know about postmodern picturebooks as those books might impact teachers differently.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 books like this as necessary for preschoolers. Underlying this point is their belief that postmodern picturebooks would enable preschoolers to laugh, to respond in diverse ways, to be open-minded, and to view reading as great play, thereby driving their interest in reading other books.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ir way of looking at picturebooks when they read a postmodern picturebook. But these teachers still perceive a need for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postmodern picture books. The Postrnodern picturebooks are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teachers to better understand the inner world of preschoolers and improve their mutual communication.

      • KCI등재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 반응연구: Sipe의 반응범주를 중심으로

        이석금,이진희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s responses to repeated read-alouds with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using Sipe’s response categories (2008/2011) depending on the two different types of Picture books and the number of read-alou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five-year-old children. The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were used as the research materials, and the repeated read-alouds were videotaped for a total of three tim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for the frequencies of responses and the Chi-square test by the times of repeated read-alouds. Based on the results, first, the frequency of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decreased repeatedly by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read-alouds. Second, the order of the highest response of response categories to repeated read-alouds varied to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Third, the highest responses for the response categories by each of the repeated read-alouds times for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indicated commonly analytical response for once, intertextual response for twice and personal response for three times. Lastly, the highest response of response categories regarding the type of books showed personal response for fantasy picture books and analytical, intertextual, transparent, performative responses were shown for postmodern picture books. The study suggests the analysis of the response categories of children’s response to the read-alouds for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And also the results call for further studies on the degree of fantasy in fantasy picture books and active comparison of genres including the postmodern picture books 본 연구는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어주었을 때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을Sipe(2008/2011)의 반응범주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두 그림책 유형과 반복적 읽어주기 회차에 따라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6명이고,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각각 2권씩 유아에게 반복적 읽어주기를 하고 반응을 녹화 후 전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환상, 포스트모던 그림책 반복적 읽어주기 회차에 따른 결과에 대해 반응빈도를구하고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반응빈도는 책 읽어주기 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둘째, 반복적 읽어주기에 관한 반응범주별 최다반응의 순서는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반복적 읽어주기 회차에 따른 최다반응빈도는 1회에서 분석적 반응, 2회에서 상호텍스트적 반응, 3회에서 개인적 반응이 나타났다. 넷째, 그림책별 최다반응은 환상그림책에서 개인적 반응,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분석적, 상호텍스트적, 동화된, 연행적 반응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환상, 포스트모던 그림책 반복적 읽어주기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유형을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환상 그림책에서 환상성의 정도에 따른연구와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포함하는 장르별 비교연구가 활성화되길 제안하였다.

      • KCI등재

        폴란드 그림책 작가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Iwona Chmielewska)의 포스트모던적 작품세계 연구

        이지원(Jiwone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2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Iwona Chmielewska, 1960~ )는 폴란드에서 태어난 그림책 작가이다. 대한민국의 창비 출판사가 판권을 가지고 있는 『마음의 집』(2011)과 『눈』(2013)으로 두 번씩이나 어린이책의 노벨상이라고 일컬어지는 볼 로냐 라가치 대상(Bologna Ragazzi Award)을 받은 바 있는 이보나 흐미엘레프 스카는 2004년 한국 데뷔이후 한국 독자들의 사랑을 바탕으로 전세계 독자들과 소통하고 있는 국제적인 작가이다.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작품은 그림책이 가지고 있는 실험성과 독창성의 극대화, 독자에게 해석과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내러티브의 사용, 글과 그림의 파편화와 쌍방향성, 다양한 독자들에게 다양하게 읽힐 수 있는 다중 의미의 적 용 등이 특징이다. 이 연구는, 오늘날 한국에서 발간되고 있고 전 세계가 주목 하고 있는 작가인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책의 포스트모던적 특성을 밝혀, 포스트모던 그림책 비평의 요소들에 근거한 분석을 통해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우선 미쉘 앤스테이(Michelle Anstey 2008/2010)의 포스트모던 그림책들을 하나의 공예물, 역사적 유물로서 취급했을 때의 접근방식을 다루고 있는 고고학적 방법론을 적응하였다. 그림책을 접하게 되는 독자가 한 사람의 고고학자가 되어 그림책이라는 한 유물을 들여다보게 하는 이 방식 에 따라, 앤스테이는 여덟 가지의 영역에서 책이 지닌 포스트모던 적 기제를 조 사한다. 책이 어떠한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맥락을 통해 존재하게 되었는지 어디서 누구를 위해 만들어졌는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따져보는 앤스테이의 고고학적 방법론은 한국에서 만들어진 폴란드 작가로서의 저자 이보나 흐미엘 레프스카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태생적인 포스트 모던적 특징을 드러내고, 이 그림책들을 사회적 산물이며 한국 그림책의 발전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메타픽션적 장치와 기법을 살펴보았을 때, 흐미엘레프스카의 작품들은 그림과 글 텍스트의 상호 대립적 관계과 경쟁적인 담론, 독자 참여와 유희성, 다층적 읽기와 의미 적용의 가능성, 상호 텍스트성과 패러디성, 텍스트와 일러스트레이션, 플롯과 인물, 배경의 미결정성 이라는 확연한 특징들 을 모두 보여주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을 보충하기 위해 쓰이고 있는 급 진적 변화이론에서의 변화적 경계라는 측면에서도 작가의 작품은 이전까지 다뤄지지 않았던 주제나 간과했던 배경들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 경계선에 위치 한다. 그림책이 나타내는 사회적 메시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작가로, 문학적 실험에만 그치지 않고 대중의 사랑을 받는 이러한 흐미엘레프스카의 작품들은, 어른 뿐 아니라 어린이들도 이해할 수 있는 대중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작품의 발현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Iwona Chmielewska is a Polish picturebook author, who won Bologna Ragazzi award (so called the Nobel Prize for Children’s picture book) twice with books published originally in Korea. Publishing more than 20 picturebooks in 10 years in Korea, Iwona Chmielewska is now a well knwon figure in Childnren’s picturebook world, with her unique philosophical, experimental picturebooks. This study is about postmodernistic characteristics in Iwona Chmielewska’s picturebooks, assuming this as the specificity of this creator’s picturebooks. Postmodern characteristics are indeed one of the main issues of contemporary picturebooks, 1980’s onward. Of those characteristics, the compatibility between text and the picture, competitive discourse between text and picture, intertextuality and parody, playfulness, multi layered meaning and many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the pendency of text and illustration - suggested as main qualities of postmodern picturebooks by Sipe and Pantaleo - are all clearly shown in Iwona Chmielewska’s picturebooks. Of radical change theory - Iwona Chmielewska is a very socially concerend author, whose text and illustration often include thematic taboos and social messages. These characteristics are more meaningful, since Chmielewska’s many picturebooks are not just literary experiments, its rather quite popular and commercially successful works of art - which also prove wide social appeal of postmodernistic trends to adults and children reader alike in Korea.

      • KCI등재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 방안-『이건 내 모자가 아니야』를 중심으로-

        김상한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2

        Postmodern picturebooks require a different reading method from traditional picturebooks. The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for readers to read postmodern picturebooks using visualthinking. Visual thinking is a cognitive process that processes information using visual images, and ithas an attitude to gain insight into the problem through simplicity and reconstruction of theproblem.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insight that the reader sees the postmodern picturebook,perceives the imbalance between the text and the picture, dissolves the authority of the author orthe original, and gain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s. Whenreading postmodern picturebooks using visual thinking, there are three approaches to visual thinking. It is the process of recognizing incomplete parts by reading pictures and texts individually, startingwith reading pictures. This process recognizes the picture as an external object and recognizes thetext as an internal object, so that individual reading of the text and picture occurs and finds a pointwhere they can be interconnected. The following is the process of recognizing incomplete parts ofpictures and texts by crossing each other and creating new meanings through interaction. Here, thereader reads the detailed elements from the pictures and texts of the picturebook, and in the processof recognizing them individually, he uses his background knowledge and cross-reads to createmeaning. Lastly, it is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interaction of pictures and texts recursively,grasping the essence of the object that the post-modern picturebook wants to reveal, and expandingnew meanings in postmodern picturebooks through creative problem solving, that is, insight. In theflexible relationship between pictures and texts of postmodern picturebooks, readers can readpicturebooks repeatedly to expand various meanings, exchange meanings with other readers, or readother picturebooks with intertextuality.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such visual thinking will serveas a basis for readers to perceive the imbalance of pictures and texts found in postmodernpicturebooks as a process of finding pleasure when reading a book, rather than just wondering oruncomfortable. 포스트모던 그림책은 기존의 전통적인 그림책과 다른 읽기 방식을 요구한다. 이 연구는 독자가 시각적 사고를 활용하여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읽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시각적 사고는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인지적 과정이며 문제 사태의 단순성과 재구성을 통해문제를 총체적으로 통찰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이는 독자가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보면서 글과 그림이이루는 불균형을 지각하고 작가나 원본에 대한 권위를 해체하며 중심과 주변의 소통을 통해 얻고자 하는 통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각적 사고를 활용하여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읽을 때 시각적 사고의과정을 세 가지로 접근할 수 있다. 먼저 그림 읽기로 시작하여 그림과 글을 개별적으로 읽으면서 의미가 불완전한 부분을 인식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그림을 외부 대상체로 인식하고 글을 내부 대상체로 인식하여 글과 그림에 대한 개별적 읽기가 일어나고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지점을 찾는다. 다음은그림과 글의 불완전한 부분을 서로 교차하여 인식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에서는 독자가 그림책의 그림과 글에서 세부적인 요소를 찾고 개별적으로 인식하는 과정에서 빈틈을 보완하기 위해 자신의 배경지식도 활용하며 의미를 생성하는 교차적 읽기가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그림과 글의 상호작용을 순환적으로 인식하고 포스트모던 그림책이 드러내고자 하는 대상체에 대한 본질을 파악하며 창조적 문제해결, 즉 통찰을 통해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새로운 의미를 확장하는 과정이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그림과 글이 이루는 유연한 관계에서 독자는 다양한 의미의 확장을 위해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거나 다른 독자와 의미를 교환하며 읽을 수도 있고, 상호텍스트성을지닌 다른 그림책을 읽을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각적 사고의 활용은 독자가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찾아낸 그림과 글의 불균형을 이상하거나 불편하게만 여기는 것이 아니라 책을 읽을 때 즐거움을 찾는과정으로 인식하는 기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림책과 독자의 상호작용적 읽기 -데이비드 위즈너의 <The Three Pigs>를 중심으로-

        김상한 ( Sang Han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50 No.-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정신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한 포스트모던 그림책과 독자의 상호작용적 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은 글과 그림을 적극 활용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 중에서 환상과 전통적 시공간의 해체, 메타픽션, 상호텍스트성, 패러디 등을 특성으로 꼽을 수 있다. 독자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기존 구성 관념과 텍스트를 통한 구성 관념을 관계 지을 필요가 있다. 독자가 텍스트를 읽는다는 것은 독자와 텍스트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독자의 욕망과 텍스트의 욕망이 상호작용할 때 독자는 사회의 가치와 태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적극적으로 읽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실제 포스트모던 그림책인 <The Three Pigs>를 통해서 독자의 욕망과 텍스트의 욕망이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 그림책에서 독자는 자신이 알고 있던 이야기가 전복되거나 해체되고, 시공간이 분리되거나 결합되는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결국 독자는 글과 그림을 통해서 드러나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을 알고 새롭게 이야기를 구성하는 활동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독자가 중심이 되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the era of post-modernism postmodern spirit expressed in a variety of ways the interactive reading books and readers was investigated. Picture books are written and postmodernism reveals leverage. The dissolution of the illusion of time and space and traditional, meta-fiction, inter-textuality, and the nature of parody jump in traffic. When reading a Postmodern picturebook reader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idea of their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text through the notion of communicative relations smiled mutual understanding requires effort. The reader reads the text to the reader to form a relationship with the text. Desire is the desire of the reader to interact with the text and the reader is critical of society``s values and attitudes can be read as actively looking. The study of the actual post-modern books through <The Three Pigs> desire of the reader``s desire to interact with and view the text examined. This picture book, the reader will know his story and the overthrow or dismantle, separate or combined processes such as time and space are investigated.

      • KCI등재

        독일어권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 분석

        정미림 ( Mee Rim Jeong ),권민균 ( Myn Gyun Kw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어권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독일어권 그림책의 포스트모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총 24권의 독일어권 그림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그림책의 포스트모던 특성은 질적자료분석 프로그램인 NVivo 10을 이용하여 개방코딩의 과정을 거쳐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 독일어권 그림책의 포스트모던 특성은 이중독자를 수용하는 주제와 그림, 불확실함과 열린 결말, 상호텍스트성, 독특하고 다양한 그림 표현, 독자를 초대하는 유희성, 아이러니로 나타났다. 특히 다수의 그림책들이 다소 무거운 철학적, 사회문화적 주제와 내용, 파격적인 그림을 담고 있음으로 인해 이중독자를 수용하는 경향을 드러내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독일어권 그림책은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을 폭넓게 드러내면서도 독일어권만의 독특한 형태를 지닌 채 질적으로 다르게 구현된 지역적인 특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이 다양한 가치를 지향하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다양한 문화권과 다양한 스타일의 그림책을 통해 유아의 문화 향유권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ostmodern characteristics of German picturebooks. To investigate postmodern characteristics of German picturebooks, 24 German picture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using NVivo 10. Postmodern characteristics of German picturebooks were themes and pictures to target dual audience, uncertainty and open ending, intertextuality, grammar diversity of written and visual texts, playfulness and irony. Over half of the analyzed picturebooks contained heavy philosophical and sociocultural themes or contents and unconventional illustrations. German picturebooks presented not only global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picturebooks but also German``s own unique expres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s and teachers utilize the picturebooks of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 KCI등재후보

        어린이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러니 이해

        노영희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는 어린이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러니(irony)를 이해해보고자 시도되었으며, 그림책의 아이러니가 본질인가 그렇지 않은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아이러니는 어린이 그림책의 중요한 질적 요소이며 연구할 가치가 있는 한편, 그림책의 아이러니가 본질적인 것인지 아니면 아이러닉한 그림책이 따로 있는 것인지는 근본적인 면에서 논쟁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이는 아이러니 개념의 스펙트럼(spectrum)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본 논문에서는 수사학적 아이러니, 문학적 아이러니, 철학적 아이러니의 관점에서 어린이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러니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모든 그림책은 본질적으로 아이러니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림책에 내포된 아이러니의 현저한 정도와 우수한 질적 수준은 아이러닉 그림책(ironic picturebook)의 보편적 판단 기준으로 작용하며, 아이러니는 글과 그림 간의 이질적 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글 텍스트 또는 그림텍스트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또한 성인에게도 어려울 수 있는 어린이 그림책의 아이러니가 유아 독자에게 적합한 것인지를 숙고하였으며, 아이러니 이해는 유아의 메타언어 인식(Metalinguistic Awareness)의 발달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인류의 밝은 미래를 창조할 아이러니스트(ironist)로서 자기 삶의 주인이 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가 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rony in children's picture books. The study started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Is the irony of picture books the essence?" While irony is an important qualitative element of picture books and is worth studying, whether the irony of the picture book is essential or whether there is an ironic picture book is left behind in the fundamental sense of controversy. This could be caused by the spectrum of irony concepts. In this paper, I tried to understand the irony in children's picture books from the viewpoint of rhetorical irony, literary irony, and philosophical irony.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picture books are essentially ironic. But the quality of the picturebook’s irony is a standard of universal judgment of the ironic picture books and can be concluded not only in the heterogeneous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nd painting, but also in its own words or visual text. I pondered whether the irony of a child picture book, which can be difficult for adults, is suitable for infants. Irony understanding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fant metalinguistic awareness, I was able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at it became an important channel to support the master of his life as an ironist to create a bright future for mankind.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림책 수업 활용을 통한 유아교사의 경험 연구

        안소영(An, So-Young),정선아(Chung, Shun-Ah)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4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다양한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수업에 활용하면서 겪는 교사의 경험을 살펴보 고자 하는 연구이다. 경기도 S유치원의 담임교사 5명이 연구 참여자이며, 2013년 4월 24일부터 2013년 7월 26일까지 총 14주 동안 이들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수업 관찰과 개별 면담을 통하였다. 연구 결과, 누리과정 지도서를 참고하여 수업 주제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그림책을 선정해왔던 교사들은 새로운 문학 장르인 포스트모던 그림책에 대한 경험이 없어 수업에 어려움을 느꼈다. 기존 전통 그림책을 수업에 활용했던 것과 같이, 교사가 수업 전 계획한 활동지 및 질문 위주로 ‘예-아니오’의 질문형태의 상호작용을 하였으나 연구가 진행되면서 교사들은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통해 능동적으로 그림책의 의미구성에 참여하는 유아의 모습을 보게 되고, 유아의 언어에 경청하고 텍스트의 의미구성을 위해 협동 적으로 상호작용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들과의 개방적 상호작용을 통해 포스트모던 그림 책에 대한 유아들의 다양한 생각을 볼 수 있게 되고, 기존과 다른 새로운 유아의 이미지를 갖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교사들은 경험에 기반을 둔 정형화된 수업을 성찰하고, 교사로서 부족한 부분을 자각 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개방적인 자세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수업에 도입하는 것으로 교사는 유아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되었고, 유아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려는 자세를 지닐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 현장 교육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educators’ experience of using postmodern picture books in classroom sett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posed: What sorts of experiences do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gain as they apply postmodern picturebooks to their class? For this purpose, 5 teachers at S Kindergarten in B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pril 2013 to July 2013, each participant had 14 weekly interviews with the researcher after they used postmodern picturebooks in their class. During this period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the teachers’ classes while using postmodern picturebook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postmodern picturebooks as unfamiliar and difficult picturebooks because of their former reading reference. They were more likely to select picturebooks directly related to the theme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Also they were more likely to spend more time on doing worksheets and asking questions that they prepared beforehand rather than focusing on reading postmodern picturebooks and interacting with children. Moreover, teachers tended to ask ‘yes or no’ questions and guided children to find ‘right answers’. In the middle of the study,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able to see how children interact with the texts in postmodern picturebooks. The teachers listened carefully to children’s language, and showed positive attitudes in order to interact and create meanings of the texts together. Also the participants had open-ended questions during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could see children’s various thoughts about postmodern picturebooks. This made the teachers have a new perspective on children. At the end of the study, the teachers reflected on their class that they have done and realized that they were not adequately prepared for teaching. This helped the participants to realize the need of study and to be more opened to new concepts and materials. Furthermore, cooperative attitudes, such as discussing and sharing information, were found among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