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교 포교를 위한 민족지 연구방법 활용에 대한 고찰 : 불교 포교의 관점에서 본 문화인류학

        최윤희(효석)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4 No.-

        불교포교사는 동시대의 사람들에게 붓다의 가르침을 전하는 일을하는 사람들이다. 포교사는 붓다의 가르침을 사람들에게 전하기 위해포교 대상의 문화와 특성을 먼저 연구해야 한다. 문화는 사람들이 정신작용을 통해 만들어낸 모든 제도와 사상, 물질을 통틀어서 말하는것이다. 포교 연구는 바로 현지조사를 통해 사람들로부터 답을 찾아내는 일이다. 현지조사는 낯선 장소에서 낯선 사람들을 만나는 것부터 시작된다. 포교사가 포교를 위해 낯선 사람들을 만났을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친근감 즉 라포(rapport)를 조성하는 일이다. 문화인류학자들은 라포를 조성하기 위해 사전에 현지인들의 언어를 습득하고 그들의 관습과 예절을 우선적으로 익힌다. 그런 후에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과 해석을 한다. 포교사와 문화인류학자는 추구하는 지향점과 방법론에서 유사한점이 많다. 포교사의 목표는 붓다가 설하신 고(苦)과 고로부터의 해방의 가르침을 널리 홍포하여 사람들을 행복하고 이익 되게 하는 것이며, 문화인류학자의 목표는 문화상대주의적인 관점으로 다른 문화를배우고 익혀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다툼을 줄여 화합하게하는 것이다. 본 소고의 목적은 문화인류학자들이 현지에서 활용하고 있는 민족지 연구방법들을 포교사가 어떻게 포교에 활용할까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 문화인류학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고, 포교일선에서 이러한 방법들을 어떻게 활용할수 있을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 포교와 문화인류학의 개념과 역사를 먼저 짚어보고, 포교를 위한 민족지 연구 방법을제시하고 난 후에 포교사와 문화인류학자의 역할을 비교분석하여 민족지적 연구방법이 포교에 적극 활용되어야 함을 고찰한다. A buddhist missionary is a person who works to convey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o contemporaries. So the missionary should study th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of the missio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Culture is all about the institutions, ideas, and materials that people have created through mental action. Missionary work research is the process of finding answers from people through field surveys. Field surveys begin when a missionary meets strangers in an unfamiliar place. When a missionary meets strangers for the mission, the first thing to do is to create rapport. Cultural anthropologists learn the language of the locals in advance and learn their customs and manners in advance in order to create the rapport. After that, data is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carried out. The missionaries and cultural anthropologists have a lot in common with the pursuits and methodologies. The goal of the missionary is to expose the Buddha's teachings of the suffering and the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 and to make people happy and profitable. The goal of cultural anthropologists is to learn different cultures from a cultural relativistic perspective and respect other culture, reduce contention and harmoniz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anthropologists use the research methods that are being used locally by the missionary for mission work. The purpose is to study how to approach cultural anthropologically in order to broaden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how to use these methods on the frontline of mission.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and history of missionary and cultural anthropology first, and after presenting cultural anthropological methods for missionary work,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role of missionary and cultural anthropologist to examine how anthropological methodology can be used in missionary work.

      • KCI등재

        차례 : 석주스님의 포교 원력과 포교 역정

        고명석 ( Myoung Seok K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8 禪文化硏究 Vol.5 No.-

        석주스님은 한국불교 근현대사에서 布敎의 화신으로 불릴 정도로 포교 분야에 지대한 업적을 세운 선지식이며 도심 포교의 전형을 보여준 대표적인 어른이다. 이 논문에서는 석주스님의 포교 원력과 정신, 포교 방법과 포교 역정, 그리고 오늘날 석주스님의 포교 원력과 역정이 우리들에게 주는 교훈을 다루었다. 석주스님의 포교 원력과 포교 정신에 대해서 언급한 5가지 사항 중에서 ``전법(傳法)은 나를 비우는 보살행`` 그리고 ``수행과 포교는 하나라는 정신``은 석주스님의 삶에서 일관되고 점철되고 있는 중요한 포교의 중심점이자 지향점이라 생각된다. 석주스님은 유혹의 불길이 난무하고 갈등이 폭주는 도심 속에서 수행자의 본 분을 잃지 않고 수행하면서 포교하고 포교하면서 수행해 나갔다는 점에서, 그리고 포교를 수행의 본분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오늘날 한국불교계에 던져주는 메시지는 참으로 크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 석주스님의 포교 영역 중 어린이 청소년 포교와 음악포교만을 따로 영역을 나누어서 중점적으로 다루었지만, 그밖에 스님이 이룬 포교 업적에 대한 사안도 내용별로, 시기별로 정리하여 그 성과와 가치를 잘 새겨보아야 할 것이다. 석주스님의 포교 원력과 역정이 오늘날 우리들에게 주는 메시지 중에서 도심 포교와 어린이· 청소년 불교 지도자 육성의 중요성은 무엇보다도 먼저 우리불교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라고 본다. 그 밖에 각계각층에서 불교를 이끌 지도자를 육성하기 위해서 우리가 발 빠르게 개선해 나가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잘 점검하고 계획하여 오늘날 우리불교의 밝은 지평을 열어나가야 할 것이다. 그것이 석주스님의 포교 정신과 원력을 오늘날 다시 살아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Priest Seok-Ju is an outstanding figure who contributed so greatly to propagation of Buddhism, especially in urban areas, that he is called a paragon of propagat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Buddhism. This thesis addresses the aspiration, the method and the path of Priest Seok-Ju`spropagation and the lessons learned from them. Of the five aspects mentioned in this paper regarding Priest Seok-Ju`s aspiration for propagation and the path treaded by him, the statements that ``transmission of Buddhism is the practice of bodhisattva emptying myself`` and ``the spirit of practice and propagation being one`` are regarded as the essence of propagation the priest has consistently pursued throughout his life. The Korean Buddhist society these days can learn a great lesson from Priest Seok-Ju in that he practiced and propagated Buddhism without neglecting his duty as an ascetic in the urban areas where temptation and conflict rage, and that he considered propagation the responsibility of an ascetic. This thesis focused on the priest`s promotion of Buddhism among children and teenagers and propagation through music. However, we also need to look into his other propagation achievements by content and by chronical order and remind ourselves of the outcomes and their value. His aspiration for propagation and the path he treaded send us meaningful messages. In particular, it is the Korean Buddhist society`s urgent task to nurture leaders who can take the initiatives in promoting Buddhism in urban areas and among children and teenagers. In addition, we should open up a bright future for Buddhism by carefully considering what we should improve to develop Buddhist leaders at all levels of society. Such efforts will breathe new life into Priest Seok-Ju`s propagation spirit.

      • KCI등재후보

        특별기고논문(特別寄稿論文) : 일본 근대불교(近代佛敎)의 북미(北美)지역 포교(布敎)

        윤기화 ( Ki Yeop Y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8 No.-

        본고는 일본불교의 근대적 발전 중 하나로 거론되는 海外布敎의 실상을 北美지역에 한정하여 살펴본 것이다. 아시아 지역의 포교가 日帝의 아시아 침략과정에서 수행되었다면, 北美지역의 포교는 하와이와 美대륙으로 건너간 일본인 勞動移民이 증가하면서 이루어졌다. 일본인의 미국 移民史와 연계되어 전개된 북미지역 포교는 일본불교의 해외포교 전반을 파악하거나, 동아시아 불교의 西歐진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연구해야 할 분야이다. 불교 각 宗派의 포교활동은 메이지정부(明治政府)의 해외이민 장려책과 하와이·미국에서 중국인 대신 일본인 노동자를 선호하게 되어 일본인 이민이 증가하면서 활발히 전개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본인 이민의 급증으로 인해 미국 내에서 排日運動이 일어나고, 排日移民法이 제정(1924)되기도 하였다. 북미지역의 포교에 참여한 종파는 일본 내의 유력 종파인 眞宗 本願寺派와 大谷派, 淨土宗, 日蓮宗, 曹洞宗, 臨濟宗, 眞言宗 등이었다. 북미지역의 포교를 주도한 종파는 진종 본원사파로서 1898∼1899년에 開敎使를 파견하며 공식적인 포교를 시작하였고, 淨土宗은 하와이 포교에 가장 일찍 착수하였다(1896). 그리고 동양의 禪이 미국에 처음 전파된 것은 1893년 시카고 萬國宗敎大會를 통해서였고, 臨濟宗의 샤쿠 소우엔(釋宗演)과 그의 제자들은 특히 백인사회에 禪을 전파하는데 힘썼다. 北美지역에서 각 종파가 행한 다양한 형태의 포교활동은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의 발발로 開敎使와 신도들이 억류되면서 중단되었지만, 종전 후에는 그것이 거의 재개되었다. 大戰 후 북미지역의 포교에는 創價學會(SGI)를 위시한 佛敎系의 新宗敎도 참여하게 된다. 진종 본원사파는 1999년 미국포교 100주년을 맞았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propagation of the Japanese Buddhism in North America which had become one of the modern developments of Buddhism in Japan. The propagation of Japanese Buddhism in Asia was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Japanese imperialistic invasion, but on the other hand the propagation in North America was done due to Japanese immigrant workers who went over to Hawaii and America. The propagation of Japanese Buddhism in North America is an important field of study which should be researched in order to grasp generally the foreign propagation of the modern Japanese Buddhism, to understand its launching into the Western nations. The propagation in North America by several Buddhist denominations were developed actively because the Japanese immigrants increased suddenly in accordance with Meizi(明治) government`s foreign emigration policies and the tendency of preferring Japanese laborers to Chinese ones in Hawaii and America. However, the expulsion agitation against Japanese took place and immigration laws on Japanese exclusion was legislated due to the growing Japanese immigrants. The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propagating in North America were Shinshu(眞宗) Honganji Sect(本願寺派) and Otani Sect(大谷派), Zyoudoshu(淨土宗), Nichirenshu(日蓮宗), Soutoushu(曹洞宗), Rinzaishu(臨濟宗), Shingonshu(眞言宗) and so on, and they have been leading Buddhist denominations in the country. Honganji Sect assigning propagators to Hawaii and America in 1898∼1899 embarked on the formal propagation in North America, and after that it has led the North American propagation. Zyoudoshu started the Hawaiian propagation at first in 1896, and Oriental Seon(禪) was propagated for the first time in America through Chicago`s International Religion Congress in 1893. Especially, Shaku Soyen(釋宗演) and his disciples made efforts to propagate Seon to white people in America. Though the various forms of propagation by several denominations had been suspended by the outbreak of Pacific War in 1941, it was resumed just after the war came to an end. After the end of the war, the North American propagation was diversified and developed as new religion of Buddhist line starting with Soka Gakkai International(創價學會) set about the propagation. Shinshu Honganji Sect celebrate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North American propagation in 1999.

      • KCI등재

        수행포교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

        고명석 ( Myoung Seok K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7 禪文化硏究 Vol.3 No.-

        본 원고는 수행포교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수행포교의 역사와 현황, 이에 대한 종합적 진단과 전망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내용이다. 수행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입각해서 마음과 몸을 닦아 마음이 평화와 안정을 찾고 위없는 깨달음에 이르고자 하는 것이다. 수행포교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근거한 여러 가지 수행을 통해 포교하는 것이다. 수행을 통해 사람들이 불교를 온 몸과 마음으로 받아들여 진정한 마음의 평화와 행복을 얻고, 궁극적으로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것이 수행포교의 목적이다. 다시 말해서 수행포교란 주변의 많은 사람들에게 수행법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가운데 마음의 안정과 평화를 심어줘 불교를 널리 알리고 전하며 깨우치게 하는 것이다. 수행포교는 교육포교, 문화포교, 조직포교, 복지포교, 계층포교 등 현대포교의 전방위적 영역에서 그 핵심을 점하고 있다. 때문에 수행포교의 영역은 점차 증대 되어 나갈 것이다. 아울러 현대는 전지구적으로 참살이와 명상의 붐을 타고 있는 수행의 시대인 만큼 수행 포교의 지평은 지속적으로 넓어져 갈 것이다. 우리나라에 다양한 수행법과 수행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부터라고 생각된다. 그 결과 2000년대에 이르러 수행포교는 새로운 포교방법으로 대두되면서 포교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되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행법과 수행프로그램의 현황에 대해 종합적으로 진단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화선 일변도의 수행에서 간경, 절, 주력, 위빠사나, 여러 가지 대승불교의 지관수행법, 자비명상을 비롯한 다양한 명상법으로 수행법이 다변화되고 있다. 둘째, 간화선은 주먹구구식으로 지도했던 이전과는 달리 체계적인 지도, 발심, 법문, 수행, 점검체계를 통해 신도들에게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발심법문과 지도 법문으로 화두가 살아 있는 화두가 되어 마음의 중심에 자리잡게 된 것이다. 셋째, 여러 가지 수행법이 절충되어 전개되고 있다. 간화선과 기초 참선으로서 다양한 지관법의 절충, 간화선과 간경의 절충, 염불과 절, 호흡법의 절충, 간경과 주력이 절충되고, 기타 여러 가지 명상법과 전통적인 수행법이 절충되어 퓨전화 되어가고 있다. 넷째, 이제 수행에서 상담의 요소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담의 과정에서 내면의 고통을 치유하는 심리 치료는 물론 수행치료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신도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행법이나 프로그램은 궁극적 깨달음이 수행의 목표이긴 하겠지만 그보다도 평상시 마음의 자유와 진정한 휴식을 얻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여섯째, 수행법 강좌나 수행 프로그램이 대학생을 비롯한 청년 불자 포교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나가고 있다. 일곱째, 그러나 아직 수행체계와 수행프로그램이 자기 완결구조를 갖고 있지 못하며 전문화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행법과 프로그램을 지도할 지도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이와 관련 앞으로 수행포교의 힘찬 장을 열어가려면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하리라고 본다. ① 현대적 의미의 수행 포교 방법론 및 다양한 수행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해야 한다. 아울러 프로그램의 내용을 풍성히 하고 그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시청각 자료라든가 콘텐츠 개발도 시급하다. ② 수행 프로그램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점은 그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사람의 스킬과 역량이다. 양질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훌륭한 지도자를 양성할 때 가능하다. 한시 바삐 수행법 지도인력풀을 형성하고 이들을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③ 외부의 소음으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고 마음 편히 수행할 수 있는 고요하고 정갈한 수행 공간의 확보는 수행프로그램 진행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우선시 되어야 할 조건이다. ④ 특화된 수행법 및 수행프로그램 전문 사찰을 조성해야 한다. 다른 사찰과 차별될 수 있는 전문화된 수행 영역이나 프로그램을 최소한 하나 정도 정립해 놓아야 세상과 사람들의 관심과 주목을 받을 수 있으며 그 수행법으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찰 또한 성장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and forecast on the meaning, value, history, and current circumstance of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Buddhist practice. Buddhist practice is to train mind and body based on the Buddha`s teaching in order to obtain spiritual peace, happiness, and ultimately the enlightenment. The goal of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is to teach the people the method of practice, and thus help them to obtain spiritual peace and happiness.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is the core of the various propagation methods of Buddhism in these days, such as propagations through education, cultural activities, social welfare, and class focused activities. We can expect that the domain of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expands gradually. Also the booming of well-being and meditation are also positive aspects for the future of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It is since 1980s that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Buddhist practice began to appear in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in 2000s,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became the most popular method of propagation and opened new phase in the field of Buddhist propagation. The Buddhist practice methods and programs in today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 method is being diversified with the various methods including Sutra reading, bowing practice, Manta chanting, Vipassana, various methods of mission ``Ji-Kwan`of Mahayana Buddhism. Hwadu Seon is not the only practice method anymore. Second, Hwadu Seon is also approached by much developed and systematic method with teaching, invoking of mind, dharma talk, spiritual practice, and evaluation system. It resolved the various problems in the initial stage. Hwadu as the dharma of spiritual awakening and the dharma of teaching became living Hwadu, and is able to occupy at the center of mind. Third, the various practice methods are compromised each other. Various meditations are fused with Hwadu Seon. There happened other fusions among the methods: Hwadu Seon and Sutra reading, chanting and bowing practice, Sutra reading and Mantra chanting. Fourth, counseling became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in the various practice methods. Counseling takes effect a physical cure as well as cure of practice. Fifth, the methods and programs of practice for lay-people focuses on how they can obtain peaceful mind and spiritual rest in their ordinary life, even though they still aim the ultimate enlightenment. Sixth, class for practice method and program became a new breaking through method of college student propagation. Seventh, however, the system and program of practice are not fully developed and specialized. Besides, there is not enough number of instructors who can teach and lead the practice and programs. For the future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the following issues must be resolved. 1. Modernized practice method and programs must be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contents is urgent for the effective education and transmitting of information, 2. Not only the content of program, but also the instructor`s skill and capability are more important, Development of good program is possible when good instructors are raised, We have to build instructor pool and find out how to utilize them, 3, The most basic need is quiet and clean space in which practitioners can practice without being disturbed by noise and other disturbances, 4. We have to build monasteries specialized for practice programs, we need to build at least one monastery differ from other monasteries, and draws popular attention with its practice and program, It could be also the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nastery.

      • KCI등재

        포교지도자 육성실태와 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불교조계종을 중심으로-

        조기룡 ( Ki Ryong Ch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7 禪文化硏究 Vol.3 No.-

        불교교단의 존속은 신도의 유입이 지속되어야 가능하다. 그리고 불교교단이 신도를 유입하기 위해서는 포교지도자를 육성하여야만 한다. 하지만 그 동안 불교계는 건축불사에 치중하여 인재불사를 등한시하여 왔다. 포교지도자 육성기관은 종단과 종립학교로 대별할 수 있다. 종단이 포교지도자의 육성에 있어서 노정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8천여 명의 기존 포교사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지원도 부족했다. 둘째, 복지 문화 등의 특정분야에 대한 전문포교사를 배출하지 못해 왔다. 셋째,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한 포교가 부진했다. 넷째, 신도 교육이 포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없는 이론적 학구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왔다. 또한 불교계의 종립대학교는 중앙승가대학교의 포교사회학과를 제외하고는 1~2개 정도의 포교교과를 개설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현재의 교과 시스템으로는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포교지도 자를 육성할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 종단이 포교지도자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포교사 고시의 보완, 종단의 지원 강화, 포교사의 예우 향상 등을 통하여 포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포교방법론과 법회운영지침에 대한 제시, 포교 프로그램의 개발원리와 평가에 대한 소개 등을 통하여 포교교육의 현장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셋째, 조계종이 2007년 처음 시행한 전문포교사 제도를 향후 정착시켜야 한다. 넷째, 조계종이 정예화된 불교신도를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한 신도 교육 체계(입교과정 → 의무교육과정 → 전문교 육과정 → 재교육과정)가 실현되어야 한다. 아울러 불교계의 종립대학교는 포교 관련 교과과정을 강화하고, 산하 초 중등학교 및 아동 청소년 관련 학과의 포교 활동도 강화하여야 한다. When the influx of the believer continues, the continuation of the Buddhist orders can exist. The Buddhist orders must upbring a Buddhist priest to inflow the believer. But the Buddhist society preferred to build the structures rather than bringing up talents. The promotion agencies of the leader for mission are classified into two large groups. They are the central directorate of buddhist affairs and the school founded by Buddhist order. The central directorate of buddhist affairs has the problems to the promotion of the leader for mission, Firstly, it hasn`t use the existing 8,000 Buddhist priests in the right place, Secondly, the Buddhist priests haven`t were specialized, Thirdly, the mission for children and young persons has been dull. Lastly, the education of Buddhism for believer is theoretical and academic, Also, the universities founded by Buddhist order has merely 1~2 subject of mission. At this point, The central directorate of buddhist affairs can consider the plans to promote the leader for mission, They are as follows, Firstly, the Buddhist priests have to strengthen speciality, Secondly, it raises on the job training for mission, Thirdly, the Jogye of Korean Buddhism, Lastly, the system of education to produce the Buddhist is realized. Also, the universities founded by Buddhist order strengthen the curriculum of mission.

      • KCI등재

        현대도심포교의 성장과정에 관한 연구 - 대형도심사찰의 성장을 중심으로 -

        조기룡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4 No.-

        도심포교당의 시원은 1908년 범어사가 부산에 창건한 동래포교당이며, 1910년에는 오늘날 총무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각황사가 서울의 한복판인 수송동에 창건되었다. 동래포교당과 각황사의 창건 이후 해방이전까지는 본사급 사찰을 비롯해서 일정수준의 사격(寺格)을 갖춘 사찰들에 의해 도심에 포교당들이 연이어 세워지게 된다. 하지만 해방이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는 오히려 도심포교당 신설이 위축되는 추세를 보인다.1970년대 들어서는 도심포교의 원력을 가진 소수의 출가자 및 재가자가 개별적으로 포교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한마음선원(1972, 창건주: 대행), 불광사(1974, 창건주: 광덕), 석왕사(1976, 창건주: 고산)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포교활동이 미미한 시기라 할 수 있다. 해방 이후 1970년대까지의 어려운 포교 환경은 조선조 500년간의 배불정책(排佛政策)에 이어지는 무차별 서구 문화의 범람과 편향된 종교정책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과 외래 종교의 위세로 인해 민족종교의 위상을 상실한 채 침잠해 있던 불교는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시 활력을 찾기 시작한다. 서울지역의 능인선원(1984, 지광스님), 통도사 서울 포교당(1985, 정우스님), 정토회(1988, 법륜스님) 등이 이 시기에 창건되었다. 1980년대에는 포교당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도심포교당 설립이 일반적인 추세로 굳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큰 흐름은 1990년대 이후에도 우리절 영남불교대학․관음사(1992, 우학스님)를 필두로 하여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90년대 창건된 도심포교당의 수치는 종단의 여건상 통계적으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도심포교의 활성화에 힘입어 1990년대 들어서도 그 성장세가 지속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The beginning of temple in the city is Dongrae buddhist center in Busan which was built by Beomeosa at 1908, and then Gaghwangsa(覺皇寺) which did duty as headquarters of Korean buddhism built in Seoul at 1910. Being previous to freedom from the Japan Empire, many temples in the city were built by head temples. But after that time to the first half in the 1970's, it diminished to build temple in the city. In the 1970', a few persons who had hoped the missionary activities in the city began the missionary activities individually. Hanmaum Seon Center and Seokwangsa are the representative cases. However it was the time that the missionary activities were depressed. But in the 1980's, the missionary activities was vitalized again and the number of temple in the city was increased in geometric progression. Nungin Sunwon and Guryongsa were built at this time. Such a trend continued to in the 1990's. Yongnam Buddhism College & Kwaneumsa were built at 1992.

      • KCI등재

        일제의 기독교 통제정책과 〈포교규칙〉

        안유림(安裕林)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9 No.-

        본 논문은 일제하 조선에서 행해진 기독교 정책을 〈포교규칙〉(조선총독부령 제83호)이라는 통제법령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1915년 8월 공포된 〈포교규칙〉은 1945년 해방까지 존속된 기독교 통제의 기본법으로 기독교 단체의 조직과 운영 등 전반적인 활동을 규제했던 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그 법제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포교규칙〉의 제정과 관련된 모법문제와 조문의 분석, 법규의 의미, 개정과 그 성격 그리고 실질적인 집행의 문제와 함께 기독교계의 인식과 영향을 다루었다. 〈포교규칙〉은 그 제정에 있어 1899년 일본의 內務省令 제41호 “神佛道以外의 宗敎宣布 및 殿堂會堂 등에 관한 규정”을 모델로 한 것이다. 외국 선교사를 의식한 제정배경과 법의 구조와 내용, 총독부가 밝힌 법의 연원 등이 이를 입증한다. 내용상 〈포교규칙〉은 포교자 자격, 종교용 장소 관련 조항에서 內務省令에 비해 한층 강화된 통제적인 요건을 담고 있다. 또한 포교관리자 규정이나 벌칙 같은 〈포교규칙〉에만 고유한 법 규정들에서 총독에게 임의적인 재량권을 부여하는 등으로 이 통제성은 더욱 드러난다. 일제하에서 〈포교규칙〉은 1920년 4월과 1933년 12월 두 차례에 걸쳐 통제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된다. 특히 3.1 운동 이후 문화통치기에 행해진 첫 번째의 개정은 큰 폭으로 행해진 것으로 제12조 종교용도 장소의 사용정지ㆍ금지, 제14조 포교관리자 등의 총독에 대한 보고의무 규정에서 조선총독에게 자의적, 임의적 판단과 권한이 부여된 것이 주요한 내용이었다. 이 개정을 당시 일제당국은 〈포교규칙〉의 완화라고 주장했는데 기만적인 선전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포교규칙〉은 집행과정을 통해 그 통제적인 성격이 더욱 강화되었다. 〈포교규칙〉공포 이후 각종의 통첩들이 발령되어 그 신고의 형식적인 절차를 세세히 규정하고 강화했기 때문에 각 교단들은 이에 대응한 일처리에 곤란을 겪었다. 또한 집행과정에서 총독부 경무국을 필두로 개입된 경찰력은 포교자의 선출로부터 이 법령 시행의 제반사항에 간섭하였다. 결국 〈포교규칙〉의 시행 이후 포교소 설치허가제에 의한 시설 증대의 어려움, 자격을 갖춘 포교자 숫자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신도수의 증가율도 둔화되는 침체양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 〈포교규칙〉이 일제가 기획한 대로 어느 정도 기독교 통제효과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포교규칙〉은 그야말로 기독교 통제의 기본이고 그 외의 법령들 - 사립학교관련 법들, 치안유지법, 보안법 등의 수많은 기독교 통제와 관련된 법령들의 구조와 집행양상이 앞으로 밝혀져야 보다 구체적인 일제 기독교 탄압정책의 전모가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포교원의 청소년 포교

        법상,영석 대각사상연구원 2005 大覺思想 Vol.8 No.-

        In 1997, 'The Bureau of Missionary Activities' presented it's ten years program(period 1996~2005) <Blue print for propagation> and <Five year plan for development for jogye order>, which included youth program. The highlights of <The Youth Program> have been emphasized on the following three items. First, the schools where there are many potential youth who can be Buddhists are. Second, on educating group of teachers for the propose of leading youth. And on third, On developing proper program and a reference materials should be presented to embrace Buddhism youth and the teacher. <Blue print for propagation> tried to find a solution to carry out the plan for this program by jogye order according to annual of the youth program the following have been carried out to our satisfactions; The year in 1996 <Blue print for propagation> was declared as <The buddhist youth year> and established <Paramita Union for buddhist youth> and suppord buddhist youth guoup and promoted their activities. After 1997, <Paramita Union for buddhist youth> take full charge of the propagation, and <Blue print for propagation> helped organization, and study and training of <Nation wide buddhist teacher's association> and support and cooperation with group of teachers whose activities are to realize and implement the ideas of the buddhists schools. And periodically <Blue print for propagation> holded seminars for proactive activities for missionary works, developed referen! ce materials for youth programs, conducted survey of the religious actitude of the youth Reviewing last decades, the plan for this program by jogye order didn't have the desired effect because of the supports made only to the organization and change of the environment. And it left problems to be solved; they are inconsistency, need forts to continue the activities, need more effective organization of the work. As <Blue print for propagation> and <Five year plan for development for jogye order> coming close to the end. We presented a new ten year program (2005~2014) in 2005 named a <Propagation Vision> to prepare for new decade and presented a policy. According to <Propagation Vision>is a system that connect centeral organization with the field strengthens abilities of people of every class and revitalizes system to various field. This system is like a perfect nets, which will work perfectly for our purpose. <practice plus propagation> in the <Propagation Vision> is a propagation, which must start from a compassion that youth or each class whether convert of not must be embraced with it, and considered as 'Part of Me' one. This kind of propagation is not an external induction of motivation is but an internal, so highly motivated and interested passion which is spontaneous and competitiveness of the society, this must be spreaded more widely.

      • KCI등재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불교 포교 고찰

        박경준,정헌열,김은경,곽경희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8 No.-

        21세기는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는 진리가 가장 확연하게 드러나는 시대이다.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 발전하고, 이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도 변화하고 있다. 그 중심에 인터넷과 모바일이 있다. IT의 발전은 시간과 공간 제약을 무력화시켰고, 일과 놀이를 융합시켰으며, 활발한 사회 커뮤니케이션을 주도하여 신인류의 등장을 촉진시켰다. 이에 기업은 물론 정부, 종교단체 등 사회 공동체의 소통 채널이 IT를 중심으로 새로운 진영을 갖추기 위해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유독 불교계는 사회 변화의 흐름에 무관심한 것처럼 보인다. 서구에서 명상을 중심으로 불교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물리학, 천문학, 의학, 심리학 등 거의 전 분야에 걸쳐 불교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음에도 한국 불교는 크게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한국 불교 인구도 오랫동안 정체 상태에 빠져 있다. 사람들의 라이프 사이클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음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 포교 방법은 그 한 원인이라고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뉴미디어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실을 진단하고, 그에 걸맞는 포교 방안을 제안하여 실제 포교에 응용할 수 있도록 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뉴미디어 사회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고, 뉴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집단의 사례를 분석하여 현 시대의 트렌드를 어떻게 포교에 접목할 수 있는지 상관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주제인 뉴미디어를 활용한 포교 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떻게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행 방안을 제안하고, 성공의 전제 조건으로서 신도 조직 재편과 포교 정책이 변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도 지적할 것이다. 이를 위해 포교 활동에 대한 기존 연구 분석과 함께 경영학에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사용하는 STP(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분석 기법과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 분석을 병행하여 현 시대 흐름에 맞는 새로운 뉴미디어 포교 전략을 도출할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해 뉴미디어시대의 특성을 살려 재가 불자의 적극적인 포교 활동을 통한 불교인 유입과 한국 불교의 위상 정립이라는 포교의 선순환 구조가 확립되기를 바란다. 21st century is the era of 'Everything is changing.' Technology is getting advance every day, and people's lives are changing. Internet and mobile are in the middle of momentous change. The improvement of IT have stunned time and space, have integrated work and recreation, and have catalyzed the appearance of neoanthropinae by facilitating vigorous social communication. So Social communities include company, government, and religious group are try to cope with the change rapidly by moving their communication channel. However Buddhism looks like the only community that have no regard for the change. In West Buddhism population has been growing around meditation. In addition, Academia's attention about Buddhism is increasing throughout the whole field like physics, astronomy, medical science, psychology and so on. But Buddhism population has been decreasing especially in Korea for the long time. we can find that reason in propagation manner. Although peoples' live styles are changing so fast, the way of propagation is still old one like 1600years before. This thesis is aimed at diagnosis the changing present age around new media, suggestion the realistic propagation way, and application with that realistic propagation way. So it is going to clear up the new media society'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is going to analyze various groups cases. Finally it is going to not only look into interrelation between trend and propagation, also check how to ingraft on the propagation. Based on this, this thesis will find propagation method that using new-media, will suggest successful planning strategies, and will point out the need of the propagation policy. Using STP analysis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consumer decision-making progress of marketing strategy in management field and existing research about propagation, it will draw timely new-media propagation strategy. We hope that the virtuous circle structure is established through the aggressive new-media propagation.

      • KCI등재

        일제의 기독교 통제정책과〈포교규칙〉

        안유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9 No.-

        본 논문은 일제하 조선에서 행해진 기독교 정책을〈포교규칙〉(조선총독부령 제83호)이라는 통제법령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1915년 8월 공포된〈포교규칙〉은 1945년 해방까지 존속된 기독교 통제의 기본법으로 기독교 단체의 조직과 운영 등 전반적인 활동을 규제했던 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그 법제적인 측면에 주목하여〈포교규칙〉의 제정과 관련된 모법문제와 조문의 분석, 법규의 의미, 개정과 그 성격 그리고 실질적인 집행의 문제와 함께 기독교계의 인식과 영향을 다루었다. 〈포교규칙〉은 그 제정에 있어 1899년 일본의 內務省令 제41호 “神佛道以外의 宗敎宣布 및 殿堂會堂 등에 관한 규정”을 모델로 한 것이다. 외국 선교사를 의식한 제정배경과 법의 구조와 내용, 총독부가 밝힌 법의 연원 등이 이를 입증한다. 내용상〈포교규칙〉은 포교자 자격, 종교용 장소 관련 조항에서 內務省令에 비해 한층 강화된 통제적인 요건을 담고 있다. 또한 포교관리자 규정이나 벌칙 같은 〈포교규칙〉에만 고유한 법 규정들에서 총독에게 임의적인 재량권을 부여하는 등으로 이 통제성은 더욱 드러난다. 일제하에서〈포교규칙〉은 1920년 4월과 1933년 12월 두 차례에 걸쳐 통제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된다. 특히 3.1 운동 이후 문화통치기에 행해진 첫 번째의 개정은 큰 폭으로 행해진 것으로 제12조 종교용도 장소의 사용정지ㆍ금지, 제14조 포교관리자 등의 총독에 대한 보고의무 규정에서 조선총독에게 자의적, 임의적 판단과 권한이 부여된 것이 주요한 내용이었다. 이 개정을 당시 일제당국은 〈포교규칙〉의 완화라고 주장했는데 기만적인 선전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포교규칙〉은 집행과정을 통해 그 통제적인 성격이 더욱 강화되었다.〈포교규칙〉공포 이후 각종의 통첩들이 발령되어 그 신고의 형식적인 절차를 세세히 규정하고 강화했기 때문에 각 교단들은 이에 대응한 일처리에 곤란을 겪었다. 또한 집행과정에서 총독부 경무국을 필두로 개입된 경찰력은 포교자의 선출로부터 이 법령 시행의 제반사항에 간섭하였다. 결국〈포교규칙〉의 시행 이후 포교소 설치허가제에 의한 시설 증대의 어려움, 자격을 갖춘 포교자 숫자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신도수의 증가율도 둔화되는 침체양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포교규칙〉이 일제가 기획한 대로 어느 정도 기독교 통제효과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포교규칙〉은 그야말로 기독교 통제의 기본이고 그 외의 법령들 - 사립학교관련 법들, 치안유지법, 보안법 등의 수많은 기독교 통제와 관련된 법령들의 구조와 집행양상이 앞으로 밝혀져야 보다 구체적인 일제 기독교 탄압정책의 전모가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