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수역 수질개선을 위한 공공하수처리시설 관리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 연구

        김익재 ( Ik Jae Kim ),김호정,한대호,김교범,곽효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기본연구보고서 Vol.2017 No.-

        그동안 수질오염원관리에 지대한 역할을 한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여러 한계점들이 최근 부각되고 있다. 공공수역의 수질개선이라는 큰 틀에서 여러 한계점들을 진단하면 제도적 혹은 기술적 개선점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 생분해성 유기물질 외에도 공공수역의 물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존 또는 신규 화학물질에 대한 하수처리시설의 관리개선은 그 공통분모로 볼 수 있다. 많은 선진국은 중금속, 의약물질 및 개인위생물질(PPCPs)등과 같은 미량유해물질이 하수처리시설로 유입·배출되는 경로를 이미 제도를 통해 적정하게 관리하고 있거나 모니터링을 추가 확대하여 공공수역의 물환경 건강성과 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더 나아가 유럽은 미규제물질에 대한 목록을 선정하여 집중관리대상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등 공공수역의 수질보호와 하수처리시설 관리제도의 선진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현행 하수처리장 관리제도는 산업폐수 연계처리 등의 원인으로 유입·방류되어 물환경 위해성 가중시키는 (독성)화학물질에 대한 기준은 부재하고, 관련 제도 수립을 위한 현황조사도 초기단계 수준에 머물고 있다. 현행 ‘산업폐수의 공공하수처리시설 연계처리 지침’은 공공하수처리장으로 산업폐수 연계처리를 허용하여 시설 중복투자를 막는 경제적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고, 산업체 및 지자체의 비용절감을 유도하기 위해 낮은 배출허용기준을 적용하는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산업폐수 연계처리 유입량은 증가하는 추세이고, 유입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종류나 농도는 제도의 부재로 조사가 거의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특정 수질유해물질 등에 대한 대상물질도 지속적으로 추가되고 있고, 녹조와 같은 수질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 총인(TP)과 같은 방류수수질 기준농도는 강화했으며, 하수처리수 재이용도 권장하고 있지만, 오히려 공공수역 및 친수용수의 수질위해성과 깊은 연관되어 있는 하수처리방류수 혹은 수질오염원 관리의 개선은 아직 많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공수역 수질개선 측면의 현행 하수처리시설의 제도적 한계점을 상세히 분석하고 또한 공공수역 수질오염원의 규제 강화 순응도에 대한 주제를 균형적 시선으로 추진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공공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된 후 적정한 관리기준의 부재로 공공수역으로 방류되는 오염물질의 거동을 중금속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공공하수처리시설로 연계처리되는 산업체의 현황을 분석하여 현재 공공수역으로 유입되는 폐수 배출 업소 및 오염원 배출 현황을 조사하였고, 공공수역의 오염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지자체에서 실제 운영 중인 공공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한 슬러지의 성분을 분석하여 중금속 등에 대한 오염 현황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보고서의 각 장별 주요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고서의 2장에서는 공공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국내외 공공하수처리장의 현황 및 제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한 시사점을 다루었다. 우리나라는 공공하수처리장의 BOD 유입부하 관리 및 저감에 집중하여 법적기준에 부합하는 처리수를 방류하고 있다. 최근 EU 등 선진국은 하수처리장 방류수질을 포함하여 신규 수질오염물질이 공공수역에 미치는 위해성을 인지하고, 관심 또는 우선관리 오염물질(watch list, priority pollutants)로 지정하는 등 엄격한 수준의 오염원 체계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각종 형태의 화학물질을 함유하여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오염원 검토 및 위해성 평가를 위한 제도개선 검토를 서둘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장에서는 제도적인 측면의 접근을 통해 국내 공공하수처리장 관리정책의 현황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공공하수처리시설로의 연계처리 지침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하수도법」, 「수질 및 수생태계에 관한 법령」 및 배출허용기준 등을 상세하게 살펴보고, 각각의 법에서 충돌하는 부분에 대한 수정(안)을 제시하는 등 제도적 한계점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공수역의 오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연계처리 지침에서 제시하는 배출허용기준 ‘나’ 기준 적용으로 인해 중금속 및 특정 수질유해물질에 대한 기준 항목이 배제됨으로써 수질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연계처리는 폐수처리시설 및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완화된 것으로, 이를 악용하는 폐수배출시설이 존재할 것이다. 연계처리 시 효율적인 전처리 운영방안, 유역하수도 정비계획과 총량제방류수 수질항목에서 중금속 항목의 도입 등을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4장에서는 공공수역을 오염시키는 배출시설에 대한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로 산업계 하수처리장 연계처리를 수행하는 지역 및 처리규모별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국오염원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산업체 5만 8,711개소(2015년 기준) 중 연계처리 업소 1만 7,325개소(31.1%)에 대하여 중금속 함유 여부 및 배출허용기준(‘나’기준) 초과 대상 산업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배출업소의 약 4.2%가 중금속함유 폐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수를 간접배출하는 업소는 폐수처리 전과 후 대부분 중금속 항목에서 그 수가 미미하거나 비율이 낮았으나 연계처리하는 산업체는 구리 2,094개소(연계처리 배출업소수의 12.1%)로 나타났다. 또한 3개의 지자체에서 하수처리장 탈수슬러지의 유해물질을 시험한 결과, 하수슬러지 내에 중금속이 다량 검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금속이 최소한 산업폐수 연계처리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와 방류수는 공공수역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오염원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위험성의 향후 대응을 위해 하수처리시설 공법별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오염 발생 원인자 및 발생 오염원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인 규명에 대한 접근으로도 정책적 활용에 의미를 가진다. 덧붙여 공공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공공하수처리장, 물재이용, 그리고 관련 통계수집 및 생산의 관점에서 제도적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덧붙여 2011년 마련된 산업폐수의 연계처리 지침 개정을 위한 주요 내용안을 제시하였으며, 중금속 및 미규제 신규물질에 대한 해외 선진국의 규제 동향을 정리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향후 우리나라에 미규제 신규물질의 규제 및 방류수 수질기준 선진화를 위한 정책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In surveying of water quality and the public wastewater treatment, particularly on the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there are two pillars of challenges: technical inefficiency and institutional indolence. As the amount of public sewage treatment combined with industrial wastewater continue to increase, the institutional safety nets to patrol and execute the violation activities are inadequate, resulting a cycle of contamination. In Korea, with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public awareness, the discharged water quality standards have been continued to addressed. With a stronger regulation, a range of chemical substances threatening water quality have been annexed. However, the violation cases of the reinforced environmental laws and ordinances have continued appeared due to the lack of enforcement and compliance with regulations of wastewater discharges. These violations can be a direct and potential risk factor to the water pollution in the public water system, further the public health. In terms of the management system of developed countries, management of new chemical substances such as heavy metal discharge and micro pollutant are throughly discussed and regulated when establishing environmental policy for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Furthermore, it is a trend indicating the advancement of water quality standards of discharged water by selecting a list of unregulated materials and prioritizing concentration targe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ehavior of contaminants released into public waters due to the lack of appropriate management standards after entering the public sewage facilities. In particular, we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pollutant sources flowing into public water system. In order to confirm the contamination status of public water quality, pollution status of heavy metals was surveyed through a sludge analysis at the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rough the “Guideline for the Linkage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of Industrial Wastewater”, the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ere allowed to be indirectly discharged, thereby preventing the overlap of financial resources on investment. However, the application of permissible low emission limits to induce cost savings for industry has caused the yearly increases in pollutant loads in the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carried out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adaptation and improvement as a balanced perspective of strengthening regulation of public water quality. The major contents of this report are as follows. In Chapter 2 of the report, the status and system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in the public waters were examined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Chapter 3, we have conducted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 of public sewage management policies through the legal framework. We examined in detail of the “Sewage Law (act 14839, 2017)”, “The Law on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s (act 14490, 2016)”, and the “Emission Standards (regulation 688, 2017)”in order to reinforce the guidelines for linkage to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pollution of the public waters system. In addition, the pollution due to the exclusion of criteria for heavy metals and specified substance harmful to the quality of water has been covered in detail by “The Application of the Emission Allowance Standard ‘Na’, presented in the linkage guidelines. In Chapter 4,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ants that pollute of the public water quality, and analyzed the status of the area and the treatment scale that are connected to the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In addition, we analyzed 17,325 of the 55,711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nationwide industrial pollution sources by 2015, and analyzed the industries that exceeded the criteria for containing heavy metals and emission limit ‘Na’. Heavy metal discharge status of the discharge facility is shown. Heavy metals and certain harmful substances entered into the public sewage treatment plant are concentrated in the sludge generated in the sewage treatment process or discharged to the river to cause contamination of the river sediment. In order to cope with these risks, the occurrence and treatment status of sewage sluge by treatment type is show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tangible policy to examine and monitor of the cause sources of pollu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atic limitation, this study proposed revision of guidelines for the linkage of industrial wastewater.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revision of guidelines for the linkage of industrial wastewater to improve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summarized the regulation trends of developed countries on heavy metals and unregulated new substances. Based on this,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system so that it can be used as a pro-active policy tool to estimate and regulate new substances for the future regulation of water quality standards of discharged water pollution.

      • 바이오산업폐수의 처리특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서석용 ( Seok-yong Seo ),김태동 ( Tae-dong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산업발달과 함께 조성된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방류수의 법적 기준 강화와 함께 처리문제의 중요성이 더욱 커져 왔다. 산업폐수는 업체의 업종과 조성된 산업단지 특성에 따라 발생되는 폐수의 성상이 다르고 입주 업체 간 생산시간 및 공장 가동여부에 따라 폐수 발생량 또한 차이가 발생 하므로 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어 들어오는 유기물 및 유입량에 차이를 보여 오염부하에 맞는 적절한 처리장의 공법 선정과 운영관리가 중요하다. 이러한 폐수의 처리는 T-N과 T-P 등의 영양염류 저감으로 강과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고 부영양화를 예방할 수 있다. 최근 바이오산업의 성장과 함께 늘어난 업체에서 발생하는 바이오폐수 또한 업종에 따른 발생량 및 성상에 차이가 크며 유기물 농도가 높아 부패하기 쉽다. 지금까지 폐수에 대한 단일 처리공법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시행되어져 왔으나 각 처리 공법에 따른 비교와 각 단위 공정의 처리 효과에 대한 진단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동 중인 전국 1,209개(2019년 7월말 기준)의 산업단지(국가. 일반. 도시첨단. 농공단지 포함)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처리를 위해 운영 중인 198곳(2017년 기준)의 공공폐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일반 폐수 및 바이오폐수의 처리 효율 및 운영 현황을 비교하여, 연구 대상 시설인 경북지역에 조성된 바이오 산업단지 폐수처리장을 중심으로 단지 내 발생하는 유입폐수의 성상과 계절별 유입량의 변화를 검토함과 동시에 처리장의 처리효율을 유기물농도와 질소, 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각 단위 공정 별 처리 효율을 분석하여 바이오산업 폐수의 처리공법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고 향후 폐수처리장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남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방류수의 화학적/생물학적 독성평가

        이문희,최익창,한상국,Lee, Moon-Hee,Choi, Ik-Chang,Han, Sang-Kuk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4 No.4

        본 연구는 영산강유역 농공폐수처리장 방류수중의 유기오염물질 분포를 관찰하였다. 시료채취 지점은 영산강 유역에 존재하는 4지점의 농공단지 폐수처리장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GC-Ion trap MS로 300종의 일반적인 화학물질을 ppt수준에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농공폐수처리방류수에서 검출된 주요 유기오염물질은 농약류, CH구조의 방향족, CHO구조의 프탈레이트류, 그리고 CHO(N) 구조의 아로메틱 아민류였다. 또한 diethylphthalate를 포함한 17종의 내분비계장애물질이 검출되었다. X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결과는 TV로 나타냈으며, 그들의 세포독성은 A지점에서 27.2, D지점에서 2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화학적 분석 결과와 생물학적 독성도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ve property of organic pollutants in effluents of argo/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Jeonnam using simultaneous analysis method of 310 chemicals. The numerous organic pollutants were detected in four sampling sites and the major chemicals were pesticides, CH type chemicals such as polycyclic compounds, CHO type chemicals such as phthalates, and CHO(N) type chemical such as aromatic amines. Moreover, 17 kinds of endocrine disrupters which include diethylptbalate were detected in each sampling sites. TU (Toxic unit) indicated cytotoxicity of samples using XTT assay, it appeared highly at A point(27.2) and D point(24.4). Also,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nd TU did not correspond to the results of chemical and biological analysis.

      • KCI등재

        오존산화 공정에서 염색폐수가 혼합된 하수의 색도 제거 및 분포특성 연구

        이병천(Byung Cheun Lee),이순화(Shun Hwa Lee),이철희(Chul Hee Lee) 大韓環境工學會 200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29 No.10

        가정하수가 함유된 염색폐수를 하수처리장에서 재래식 활성슬러지 공정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 처리공정만으로는 폐수의 색도 물질을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저감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래서 염료 용액과 높은 색도를 갖는 하수처리장의 유입수 및 유출수의 색도 제거를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오존 장치를 만들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존산화 결과 오존주입량당 색도제거상수 k(mg/L)-1은 반응성염료, 분산성염료, 하수처리장 방류수, 유입수가 각각 0.182, 0.072, 0.049, 0.030으로 나타났다. 오존산화 공정에서 반응성염료가 분산성염료보다 훨씬 쉽게 색도가 제거되었다. 이때 각 시료의 색도분포를 AColor(흡착성 색도), BColor(생분해성 색도), A&BColor (흡착 및 생분해성 색도) 그리고 NRColor(제거 안 되는 색도)로 분류하여 나타냈다. DOC분포도 색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ADOC, BDOC, A&BDOC, NRDOC로 구분하여 조사되었다. 오존산화처리 전 단계에서 반응성염료, 하수처리장 유입수 및 유출수의 흡착 가능한 색도는 각각 86%, 73%, 77%로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므로 흡착으로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시료에서 생물분해 가능한 색도의 비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출수 중에 잔존하는 색도물질의 경우 낮은 생분해성으로 수계로 유입되었을 때, 빛 투과성의 저해 등의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textile wastewater containing a little amount of domestic sewage is being treated at the public owned sewage treatment plant(STP) by the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This process has some limits to reduce the colouring agent of the wastewater to a satisfiable level. A lab-scale ozone facility was built to treat some synthetic dye solutions and a highly colored influent and effluent from the public owned STP. Constant of color removalabilities per unit ozone dosage, k(mg/L)-1 for reactive dyes, disperse dyes, the effluent and influent of STP were 0.182, 0.072, 0.049 and 0.030(mg/L)-1, respectively. Reactive dyes decolorized more effectively than the disperse dyes when treated with ozone. Color was fractionated into four parts, that is, AColor(adsorbability), BColor(biodegradability), A&BColor(adsorbability and biodegradability) and NRColor(non-removal). The same method was applied in the DOC distribution. DOC was fractionated into four parts which were ADOC, BDOC, A&BDOC and NRDOC. Before ozonation of reactive dyes, influent and effluent of STP, it was found that 86%, 73% and 77% of adsorbable color(AColor+A&BColor) were contained. Based on the result of color distribution, ozonation and adsorption process need to be adopted in order to enhance color removalability caused by dyestuff and adsorptive organic, respectively.

      • KCI등재

        중화약품과 마이크로버블 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장 바이오가스 처리

        정재억(Jae-Ouk Jung),정용준(Yong-Jun Jung)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1

        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 중의 황화수소를 처리하기 위하여 습식스크러빙 장치가 적용되었다. 유입 H₂S 의 농도가 5,000mg/L이상에서 DIWS 장치에 물만을 사용할 경우 25%의 제거율을 나타내어 후속으로 소각처리 공정이 도입되어야만 98%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냈다. 유입 H2S의 농도가 5,000mg/L일 때 CH₄과 CO₂는 각각 8.7%와28.6% 감소하여 배출되었다. DIWS 장치에 중화약품으로 Na₂CO₃와 NaOH를 사용하였을 때 pH가 11.2∼11.5를유지하면서 H₂S는 97.2% 제거되었다. DIWS system was introduced to remove hydrogen sulfide from the bioga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the case of using water into the DIWS system more than 5,000mg/L of hydrogen sulfide, 25% of H₂S removal efficiency was shown and required such further treatment process as incineration which was obtained more than 98%. When the inflow of hydrogen sulfide was 5,000mg/L, CH₄ and CO₂ were effectively discharged and the reduction was 8.7% and 28.6%, respectively. When such neutralization chemicals as Na₂CO₃ and NaOH were introduced into the DIWS system, H₂S was removed more than 97.2% keeping pH in the range of 11.2 to 11.5.

      • KCI등재후보

        폐수배출업소 오니의 퇴비원료로 활용 가능성 연구

        임동규(Dong-Kyu Lim),이상범(Sang-Beom Lee),권순익(Soon-Ik Kwon),남재작(Jae-Jag Nam),나영은(Young-Eun Na),권장식(Jang-SiK Kwon),김완진(Wan-Jin Kim),한상균(Sang-Gyun Han) 유기성자원학회 2003 유기물자원화 Vol.11 No.2

        본 연구는 폐수배출업소의 오 니 를 비료관리법의 비료공정규격에 퇴비원료로 활용 기능성 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수도의 정수장오니는 일부 중금속 성분이 높은 것이 발견되었으나 대부분 중금속 성분이 기준에 미달되었다. 그러나 유기물 성분이 기준에 비해 상당히 낮아 퇴비의 원료로 활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였으며 기타 농업적 활용에 대해 연구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섬유 및 가죽 폐수처리 오니는 제조공정 특성상 유기물 및 중금속 성분이 기준에 미 달될 가능성이 많았으므로 퇴비원료로 활용은 곤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장품 폐수처리오니는 일부 중금속 성분이 기준에 미달될 우려가 있었으므로 원료 및 공정등을 검토하여 선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use possibility on waste water sludges of warer disposal plant as raw materials of organic compost at Fertilizer Official Regulation of Fertilizer Managemenr Law in 2002. In heavy metal conrenrs, some water seπice sludges were discovered a little over than the standard levels of raw material regulared in organic compost and most of them were not reached the levels. But they were difficult for using the raw materials of organic compost owing to shorrage of the organic conrenr. It was judged that the fìber and leather sludges were much in the heavy metal conrenrs and they couldn’t use as the raw materials of organic composr. There was afraid that a litrle hεavy metal conrenrs of cosmetic sludge were less than the levels, but it was possible to use selectively as a raw material.

      • KCI등재

        폐수처리장의 과불화화합물 검출수준 및 처리공정 중 물질흐름 해석에 관한 연구

        박종은(Jong Eun Park),김승규(Seong Kyu Kim),오정근(Jung Keun Oh),안성윤(Sung Yun Ahn),이미나(Mi Na Lee),조천래(Chon Rae Cho),김경수(Kyoung Soo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4 No.5

        본 연구는 최근 수 환경에서의 과불화화합물의 배출원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폐수처리장을 대상으로 이들 물질의 처리 공정별 물질량 흐름 및 거동을 예측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료채취는 여름철과 겨울철에 유입수, 중화조유출수, 1차침전지 유출수, 포기조 유출수, 2차 침전지 유출수, 최종 방류수, 탈수여액, 1차 슬러지, 농축슬러지, 탈수 슬러지를 각각 3일간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분석용 시료로 하였다. 총 10개 물질을 대상물질로 하여 분석한 결과, 물 시료중 농도는 PFOS (perfluorooctanesulfonate)가 N.D.~26.29 ng/L, PFOA (perfluorooctanoate)가 N.D.~38.15 ng/L로 검출되었으며 기타 PFNA (Perfluorononanoate)가 N.D.~36.79 ng/L, PFHxS (perfluorohexanesulfonate)가 N.D.~24.36 ng/L로 나타났다. 슬러지 시료의 경우, PFOS가 6.82~59.37 ng/g, PFOA가 0.13~0.37 ng/g, PFDS (perfluorodecanesulfonate)가 N.D.~0.83 ng/g으로 검출되었다. 각 처리 공정별 물질량 흐름을 관찰한 결과, 과불화화합물의 대부분이 유입되는 양보다 유출되는 양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구물질들이 처리공정을 거치면서 생물학적 분해에 의해 과불화화합물의 발생원으로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and the mass flow of selected 10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a field study was conducted in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Raw influent, primary influent, primary effluent, aeration tank effluent, secondary effluent, final effluent, dehydration liquor, primary sludge, thickened sludge, final sludge were collected over 3 days in the summer and the winter respectively. Collected samples were equally mixed and then served as an analytical sample. Total 10 compounds were nalyzed. In terms of treated water, the concentration of perfluorooctanesulfonate (PFOS) and perfluorooctanoate (PFOA) were in range of N.D.~26.29ng/L and N.D.~38.15ng/L respectively. Perfluorononanoate (PFNA) and perfluorohexanesulfonate (PFHxS) were ranged from N.D. to 36.79ng/L and from N.D. to 24.36ng/L. In terms of sludges, a concentration of PFOS, PFOA, and perfluorodecanesulfonate (PFDS) were detected from 6.82 to 59.37ng/g, from 0.13 to 0.37ng/g, from N.D. to 0.83ng/g respectively. Mass loading for PFCs increased during wastewater treatment except for PFNA. The observed increase in mass flow of PFCs may have resulted from biodegradation of precursor compo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