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육사 편지글 읽기

        손병희(Sohn, Byung-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7

        이 글은 이육사의 편지글을 검토한다. 다른 글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지글이 일상생활 상의 개인의 상황이나 내면을 좀 더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육사의 서간은 그것 자체로 검토의 대상이 된 적이 없고, 무엇보다 그것이 ‘생활인 이육사’의 내면과 생활세계를 엿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나름의 가치가 있다. 다만 지금까지 확인된 이육사의 편지글이 아홉 편에 지나지 않아, 이것만으로 일상의 이육사를 전체적으로 살피기에는 일정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육사의 편지글 아홉 편 중 일가친척에게 보낸 것이 네 편, 문인에게 보낸 것이 다섯 편이고, 그 중에는 일가친척에게 보낸 순한문 편지가 한 통 포함되어 있다. 친척에게 보낸 편지글에서 이육사는 무엇보다 대가족의 일원이자 생활인으로서 겪고 있는 경제적 궁핍의 실상과 함께 나름대로 “생활방도”를 찾기 위한 노력을 매우 절실하게 서술했다. 일가친척에게 보낸 이육사의 편지는 대부분 일상생활의 소회를 드러내거나 실제적인 필요에 따라서 쓴 것이다. 거기에서 일상의 생활인 이육사의 인간적 면모를 구체적으로 볼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주목할 것은 이상흔에게 보낸 두 번째 엽서이다. 그것은 이육사가 자신의 삶에서 가장 획기적인 시기의 심정과 상황, 그리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엽서를 발송한 후 이육사는 항일무장투쟁를 목적으로 설립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 입교했다. 문인에게 보낸 편지는 최정희에게 보낸 엽서 한 장과 신석초에게 보낸 편지와 엽서 네 통이다. 최정희에게 보낸 엽서는 부여 무량사 여행의 단상에 그쳐 이육사의 내면을 구체적으로 살피기 어렵다. 그에 비해 신석초에게 보낸 편지글은 자신의 모습을 진솔하게 드러낸다. 거기에서 주목할 것은 “투병”의 상황과 그에 따르는 “고독”이라는 감정이다. 엽서에 쓴 그의 시조는, 고독감에 휩싸여 “넋”마저 “지친” 주체의 심정과 상황을 여성의 목소리로 애절하게 호소하기도 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소비하고 있는 이미지와 달리, 신석초에게 보낸 편지글에서 이육사는 병약한 몸으로, 자신을 덮친 고독에 직면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그와 함께 철도여행 중 느낀 봄날의 감흥이나 사소한 “풍류”를 즐기며 은근히 자랑하는, 장난기 어린 모습은 그의 질박한 인간적 풍모를 짐작하게도 한다. 이육사의 이러한 모습이 그에 대한 “우상화의 압력”이나 그를 기억하는 방식의 고정화에 일정한 균열을 유도함으로써 역설적으로 이육사의 실상에 한층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article analyzes Yi Yook-sa’s letters. Yi Yook-sa s letters are worthy of analysis in that they more directly reveal his personal situation and the inside of daily life. Only nine letters written by Yi Yook-sa have been found so far. Of these, four were sent to family relatives, and five were sent to poets; and one of these letters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mong the letters sent to relatives, Yi Yook-sa desperately described the reality of economic poverty. They were mostly written to reveal everyday emotions or to meet actual needs. The most notable is the postcard that describes the feelings, circumstances, and prospects during the most epoch-making period in his life. After writing this postcard, Yi Yook-sa entered the institution established for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mong the five letters sent to the poets,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letters sent to Shin Seok-cho (신석초), because, in these letters, Yi Yook-sa reveals his inner self. The theme of the letters is his “struggle against disease” and the accompanying feeling of “solitude.” His Si-Jo (時調) also effectively expresses his loneliness through the voice of women, which is different than his common image. As such, the letters have great significance as they present Yi Yook-sa’s human appearance. Therefore, they offer an opportunity to gain further insight into Yi s human reality by inducing a certain crack in our fixed views about him.

      • KCI등재

        민중의 자기서사와 한국 노동현실의 증언 -전태일의 일기·수기·편지를 중심으로-

        오창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The labor forces of South Korea rapidly changed so that intellectuals and laborers formed solidarity, after Jeon Tae-il's suicide by self-burn. Jeon Tae-il greatly influenced not only labor movements but also a change to South Korea's literature. The country's literary research rarely paid attention to Jeon Tae-il's own writings itself. This study examined diaries, memoirs and letters left by Jeon Tae-il in a bid to delve into the world view pursued by Jeon Tae-il. How the writings left by Jeon Tae-il were disclosed to people was not specifically studied. This study recomposed the entire process by which Jeon Tae-il's diary was found in his morgue, was run in <Weekly Chosun> and <Sin Dong-A>, and was published under the name of 『Do Not Make My Death Futile』. This survey revealed that Jeon Tae-il's writings had been widely read and spread among laborers, such as Min Jong-deok and Lee Seung-cheol. Jeon Tae-il's writings significantly formed a sense of symbolic existence among ‘myriads of yet another Jeon Tae-il.’ It is meaninful to interpret the texts left by Jeon Tae-il in detail. Jeon Tae-il left an emotional diary of ‘love and lovelornness’ written from Feburay 14 - March 23, 1967. While undergoing ‘the pain of of self-withdrawn love,’ he changed his name from ‘Jeon Tae-il(全泰一)’ into ‘Jeon Tae-il(全泰壹).’ A name change means change of identity. Jeon Tae-il formed an identity of ‘studious laborer’ through his experience in lovelornness, and deeply realized human equal rights. Jeon Tae-il wrote two pieces of memoirs in 1969, which were his narration of his past growth process. Challenged by poverty, starvation and his father's domestic violence, Jeon Tae-il ran away from his home three times. As he wrote his personal experiences, he described his anger over social inequality and confrontational consciousness. Particularly, Jeon Tae-il well wrote 「His Letter to Friend Won-seop」. This letter descries the weak's world, and Jeon Tae-il who struggles to empathize with them. His empathetic heart is well described in this letter. Jeon Tae-il's diaries, memoirs and letters, which were written sincere-heartedly, touched his colleague laborers on an equal footing. An ordinary person's frank writing can move the hearts of other ordinary people because it has ‘equal emotion and expression,’ widening an empathic feeling. Jeon Tae-il's diaries, memories and letters positively expressed his consciousness of human equal rights, a solution to community problems of Pyeonghwa Market, design of his future through studying, and his empathy to the weak. He also positively expressed his world view of the weak ‘as part of my whole’ and ‘as part of the whole’ in his writings. Jeon Tae-il's thought can be summed up as passion about horizontal relationship, equalitarian human consciousness, and empathetic human relationship. 산업화 시기 한국 노동운동은 전태일 분신 자살 이후 지식인과 노동자의 연대가 이뤄졌다. 전태일은 노동운동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문학 연구는 전태일의 글 자체에 주목한 연구가 드물었다. 이 연구는 전태일이 남긴 일기·수기·편지글을 살핌으로써, 전태일이 지향했던 세계관의 실체에 접근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태일이 남긴 글이 어떻게 사람들에게 알려졌는지는 그간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논자는 전태일 일기가 <주간조선>과 <신동아>에 실리고 난 후에 『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로 간행되기까지의 과정을 재구성했다. 이 과정에서 전태일의 글이 노동자들 사이에서 널리 읽히고 확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 민종덕과 이승철을 꼽을 수 있다. 전태일의 글은 ‘이름 없는 수많은 전태일들’이 노동자로서 ‘자기를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태일이 직접 쓴 글들은 산업화시기 한국 노동현실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전태일은 1967년 2월 14일부터 1967년 3월 23일 ‘사랑과 실연’의 감정이 담긴 일기를 남겼다. 전태일은 ‘스스로 철회한 사랑의 아픔’을 겪는 과정에서 ‘전태일(全泰一)’이라는 기존의 이름을 ‘전태일(全泰壹)’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바꿨다. 이름의 변화는 정체성의 변화이다. 전태일은 실연의 경험을 통해 ‘공부하는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했고, 인간의 평등권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켰다. 전태일이 1969년 가을에 쓴 두 편의 수기는 자신의 성장과정을 되돌아본 중요한 기록물이다. 전태일은 가난과 궁핍, 그리고 아버지의 폭력으로 인해 세 번의 가출을 했다. 자신의 개인사를 글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분노와 그것에 대한 대결의식을 펼쳐보였다. 전태일의 돋보이는 표현능력이 드러나는 글은 「친구 원섭에게 쓴 편지」이다. 이 글은 약자들의 세계와 공감하려 몸부림 전태일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공감하는 자로서 간절히 공감받고자 하는 마음이 이 편지에는 담겨 있다. 전태일의 일기·수기·편지글은 진실한 마음이 담겨 있다. 동료 노동자들은 동등한 수평적 관계에서 전태일의 글을 읽고 감동했다. 민중의 진솔한 글이 민중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이유는 ‘동등한 감성과 표현’으로 인해 공감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전태일은 일기·수기·편지글에서 인간의 평등권에 대한 인식, 평화시장 내 노동문제의 공동체적 해결, 공부를 통한 미래설계, 그리고 약자에 대한 공감을 적극적으로 표현했다. 전태일은 ‘전체의 일부’로서 약자들을 포용하려는 세계관을 갖고 있었다. 전태일의 사상은 평등적 인권의식, 민중도공동체에 대한 열망, 공부하는 노동자로서의 정체성, 그리고 약자에 대한 공감능력으로 집약할 수 있다.

      • KCI등재

        베르그손 철학의 문헌학적 접근 ― 새 문헌의 발간과 그 의의 ―

        류지석 대동철학회 2000 大同哲學 Vol.11 No.-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에 발간된 베르그손의 새 텍스트들을 소개하고 이 문헌들이 베르그손 철학의 연구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문헌학적 접근 방식이 새삼스럽게 문제가 되는 것은 베르그손이 유언장에서 편지글, 논문이나 강연 원고, 강의록 등을 포함한 자신이 발표하지 않은 모든 글들의 출판을 엄격하게 금지 시켰기 때문이다. 물론 베르그손의 유언이 완전히 지켜지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프랑스에서 발표된 미간행 텍스트들은 대부분 후손의 허락을 얻어서 출판됨으로서 그의 유지가 지켜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프랑스 이외의 지역에서는 사정이 달랐으며 10여 년 전부터는 많은 미간행 텍스트들과 네 권의 강의록(Cours)이 출판되면서 베르그손의 금지조항은 사실상 그 효력을 상실하였다. 먼저 편지글들과 인터뷰는 1972년에 발간된 글모음집(Mélanges)에 누락된 글들로서 베르그손이 프랑스와 외국의 지인, 철학자들과 교환한 서신들과 몇몇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된 인터뷰이다. 이 글들은 양도 엄청나지만 그 내용도 다양하여 모두 소개할 수 없으므로 베르그손의 삶과 철학을 조명하는데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글들 중 몇 가지만을 언급할 것이다. 베르그손 강의록의 출판은 1988년에 필립 술레가 고등사범학교에서의 피히테에 관한 강의 노트를 출판하면서 시작되었고 앙리 위드와 장 루이 뒤마에 의해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총 네 권이 발간된 강의록이 대표적이다. 이 강의록은 베르그손이 끌레르몽 페랑과 빠리의 고등학교와 꼴레쥬 드 프랑스에서 행했던 형이상학, 심리학, 철학사 등 다양한 내용의 강의들을 자세한 주석들과 함께 싣고 있다. 위드는 강의록을 바탕으로 베르그손 철학의 재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새 문헌의 발견이 바로 베르그손 사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정당화시키는 것은 아닐지라도 이 텍스트들이 그의 삶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의 철학을 이해하는데 직접적 도움을 준다는 점은 분명하다. 따라서 새 문헌과 기존 텍스트들의 상호 보완적 이용이 베르그손 철학이해의 첩경이며 바로 이점에서 문헌학적 접근 방법의 의미도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Cette éude a pour but de préenter les nouveaux documents de Bergson et de déontrer leur importance pour la recherche de la pensé bergsonienne. Le texte majeur du philosophe publiédans son vivant est intérédans l’Oeuvre et le texte divers dans le recueil des Méanges. La publication des autres textes inéits est formellement interdite par le testament du philosophe. Mais on trouve beaucoup de textes publié hors les Méanges avec ou sans autorisation de l'exéuteur testamentaire. Il s'agit des nouveaux documents contenant la correspondance, l'interview et les cours. Ayant ééun grand éistolier Bergson a laissééorméent de lettres inéites. Elles nous fournissent non seulement les informations sur sa vie mais surtout les indications et les remarques intéésants qui élairciront certains aspects de la pensé bergsonienne. Les documents dits secondaires tels que la correspondance méitent donc plus d'attention des chercheurs. D'autre part la publication du cours inéit marque une histoire des éudes du bergsonisme. Henri Hude et Jean-Louis Dumas viennent d'achever la publication des quatre volumes du Cours rassemblant les cours professé aux lycés et au Collèe de France. Hude a mêe essayéde faire une nouvelle interpréation de la philosophie bergsonienne en préendant que toutes les interpréations sans rééence aux Cours ne sont plus valables. Il est donc intéésant de s'interroger s'il y a le clivage entre Bergson philosophe et Bergon professeur. Les nouveaux documents compléentaires du texte majeur sont une nouvelle source àlaquelle on puisera les réultats fructueux et accééeront ainsi le renouveau de la recherche bergsonienne.

      • KCI등재

        Written Voice in the Text: Investigating Rhetorical Patterns and Practices for English Letter Writing

        Younghwa Lee(이영화)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는 영어 편지 글에 나타난 자신의 표현, 수사 형태, 그리고 작문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 대학생의 서면 텍스트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로는 학생들의 영어 취업지원서를 포함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목적-의지’ 모델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재설정된 상황에서 글 쓰는 이로서의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독특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취업 지원을 위한 편지 속 학생들의 표현 방법은 매우 다양하였고, 어느 누구도 날씨를 언급하는 한국식 편지 쓰기 방식을 채택하지 않았다. 수사 형태는 정형화된 형식에서 벗어나 다양성과 통합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작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글 쓰는 이로서의 고유한 내적 가치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곧 학생들의 작문 결과가 교수자의 강의 내용과 동일한 모습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은 특정 담화 공동체 내에서의 상황 활동이라는 사회 문화 이론을 뒷받침한다. 그러므로 영작문 교수자는 학생들의 삶과 학습 경험이 텍스트 속 정체성과 작문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지도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featur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ritten text, focusing on the written voice, rhetorical patterns, and writing practices through English letters. The data comprised examples of students’ English job applications, and a ‘purpose-will’ model was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tudents used unique ways of strategies to convey their voice in a recontextualized setting. Their written voice in the job applications were various, and nobody applied the Korean convention of weather opening. Their rhetorical patterns were a transformation from convergence to divergence, showing integrated patterns of written voice. Students’ writing practices revealed their internal values of writing for a task, and they do not directly learn from the teachers syllabus. This supports the sociocultural framework that learning is a situated activity in a specific discourse community. The study concludes that writing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at life-world and learning experience can impact on students’ written voice and practices.

      • 극작가 박재성의 아내 요시코의 편지글에 대한 소고

        김봉희 한국지역문학회 2016 한국지역문학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극작가 박재성의 삶과 문학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는 그의 아내 요시코의 편지글 속에 담긴 현실세계를 들여다보았다. 먼저, 요시코는 그녀의 일상 속에서 언제나 박재성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냈다. 패전 이후 냉담하고 차분한 일본의 정세와 황량한 자신의 마음을 동일시하였다. 하지만 박재성의 문학에 대한 열정이 식지 않도록 변함없이 지지했다. 다음으로 박재성의 고향인 통영의 모습은 언제나 그리운 곳이었다. 그리고 그녀는 박재성의 가족도 살뜰히 챙기기도 하면서 이방인으로서 두려운 마음도 드러내기도 했다. 앞으로 요시코의 편지를 통해 국경을 초월하고 문학의 열정을 함께 한 박재성과 요시코의 사랑을 헤아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박재성의 삶과 문학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하며 그의 극작품 발굴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looked in Park, Jae-Sung's wife, Yoshiko's letter to dramatist Park, Jae-Sung which can be the basis for the study of life and literature of Park, Jae-Sung and the reality that contained in her letter. First, Yoshiko's longing to Park, Jae-Sung was always founded in her daily life. After the defeat, Yoshiko equated Japan's situation of callous and calm and her desolate heart. However, Yoshiko had invariably supported Park, Jae-Sung to not lost any of his passion for literature. Different from sight of Japan, Park, Jae-Sung's hometown, Tongyeong has always been nostalgic place to Yoshiko. And Yoshiko took care of Park, Jae-Sung's family well while claim fear as a foreigner. From this time forward, through Yoshiko's letter, taking this opportunity I hope to one Park, Jae-Sung and the fingering of the instrument Yoshiko love with the passion of literature. Furthermore, I hope to understand Park, Jae-Sung and Yoshiko's love which transcend border and share their passion for literature. strive to excavation of Park, Jae-Sung's work of drama and stuey on Park, Jae-Sung's life and literature should follow after.

      • 16세기 한글 편지에 나타난 여성의 자의식-신천 강시의 한글편지를 중심으로

        최윤희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여성문학연구 Vol.8 No.-

        This research, a study of the letter written by Mrs. Kang, has been done to understand how a woman in the 16th century finds her identity. By looking at how Mrs. Kang described and expressed her feelings as a member of one family and the relationship with in her family, we would be able to see her self-consciousness. Which means that we would see and understand how Mrs. Kang described herself as a daughter, a daughter-in-law, a wife and a mother in a family. Mrs. Kang showed a vivid and general personality, or sometimes depressed. The important thing here is though her words and actions had been changing affected by her maiden home. Mrs. Kang built up a close relation with her maiden home and realized that was the courage of her existence. Her feelings and thoughts about her maiden home got stronger than any thing else. Her maiden home was the main reason of Mrs, Kang to be herself as she got older. On the other hand, Mrs. Kang constantly wanted lo be recognized by her children. And she expressed that it would be right thing for her to be supported by her children. She wanted to see her existence and her identity through her children. Also Mrs. Kang made her voice louder as a wife. She thought that the promises and trust between a wife and a husband should not be changed under any circumstances or as time passes. A couple should live together under any difficult situation, and this was Mrs. Kang's thought on the conjugal relations. It shouldn't be overlooked that Mrs. Kang's thoughts and her image could be found in any times. The important and the valuable point is that Mrs. Kang expressed her identity and existence through a letter. 이 연구는 신천 강씨에 의해 작성된 편지글을 대상으로 삼아 16세기를 살았던 한 여성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한 논의이다. 신천 강씨의 자의식을 살며보기 위한 방법으로 그녀가 한 가족의 성원으로서 자신의 입장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가족관계 사이에서 발생된 감정을 어떠한 방식으로 적절히 토로했는지 살펴보고자했다. 따라서 강씨가 가족공동체 내에서 차지할 수 있었던 달 며느리, 아내, 어머니의 입장에서 조명하였다. 신천 강씨는 발랄하면서도 넉넉한 안주인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의기소침한 모습까지 보언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친정의 부침에 따라 그녀의 언행이 변하고 있다는점이다. 강씨는 친정과 유대감을 끊임없이 형성하면서 친정을 자신을 지탱하게 하는 힘으로 인식한다. 친정에 대한 강씨의 인식은 그 어떤 것보다 강렬하다. 나이가 들었어도 여전히 강씨를강씨답게 하는 요인은 바로 친정이었던 것이다. 한편, 신천 강씨는 자신의 존재를 끊임없이 자식들에게서 확인 받고 싶어하였다. 그리고 자신이 자식들로부터 봉양 받는 것은 당연하다는 생각을 자식들에게 직접적으로 표현하였다. 자녀툴 통해 자신의 존재,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 받고 싶었던 것이다. 끝으로 신천 강씨는 아내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당당하게 내고 있다. 부부가 젊었을 때 한 약속과 믿음은 나이가 들더라도 상황이 변하더라도 변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강씨의 생각이다.더불어 벼슬이 없더라도 어떤 난관에 부딪히더라도 함께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강씨는 하고 있었다. 이것이 바로 부부관계에 대한 강씨의 의식이었다.이와 같은 신천 강씨의 모습이 어느 시대라도 혼히 발견할 수 있는 여성들의 자의식이라 간과해서는 안 된다. 보다 중요한 사실은 그리고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사실은 신천 강씨가 자신의존재에 대해 직접적으로 편지글이라는 서사체를 통해 자기를 드러냈다는 점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규한록>의 발화지향에 관한 해석의미론적 연구

        김보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Kyuhanlok> is a letter written by Mrs. Lee, the daughter-in-law of Haenam Yoon's family, to her mother-in-law. The <Kyuhanlok> reflectes the sender's position remarkably, without clearly revealing the private and shared informations on the persons involved and their family. In addition, the <Kyuhanlok> makes the sender's claim to be perceived contradictory and emotional by showing the sender's unjustness, desperation, anger and despair about her situation. However, it is clear and persuasive that the sender of <Kyuhanlok> ultimately intended to speak through languages ​​scattered on the surfaces of the text. This discussion examines the speech-orientation of<Kyuhanlok>from an interpretative semantic perspective. The subject analysis in interpretative semantics contributes to deriving the semantic stems that governs the text; ‘the place of property’, ‘the issue of adoption’, and the attitude of the characters on those problems. The analysis of dialectic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ors constituting the two conflicts. The narratives of Mrs, Lee and his uncle-in-law embody the conflicts between ‘property’ and ‘adoption’ through a confrontational integration, and secure the justification of sender’s claim through a friendly integration. This reconstruction of the narrative events clearly shows the attitude of the sender to the utterance events, and helps us to deduce the purpose of utterances. In short, Lee's letter is a challenge to say that Yoon’s famaily do not give her decent treatment for her status, and that it is right to regain her authority as grandnephew’s wife. <규한록>은 해남윤씨 팔대종부인 이씨 부인이 자신의 시모에게 쓴 편지이다. <규한록>은 편지를 주고받는 당사자들, 그 가족에 대한 사적인 정보와 이미 공유하고 있는 정보들은 명확히 드러내지 않으면서, 편지를 쓰는 발신자의 입장을 두드러지게 반영한다. 게다가 <규한록>에는 당시 상황에 대한 발신자의 억울함, 절실함, 분노, 체념 등이 뒤섞여 드러남으로써, 발신자의 주장을 모순적이고 감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게 한다. 그러나 표면에 흩어져 있는 언어들을 통해 <규한록>의 발신자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뚜렷하면서도 설득적이다. 본 논의는 이러한 <규한록>의 발화가 지향하는 의미를 해석의미론적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해석의미론의 주제부 분석은 <규한록>표면의 모순된 언어들을 유형화함으로써, 텍스트를 주관하는 의미적 줄기인 ‘재물의 행방’과 ‘양자의 문제’ 및 이에 대한 인물의 태도를 도출하는 데 기여한다. 변증부 분석은 <규한록>의 두 가지 갈등을 구성하는 인물 사이의 관계를 드러낸다. <규한록>의 행위자, 이씨 부인과 시삼촌의 서사는 대결적 통합체를 통해 ‘재물’과 ‘양자’에 대한 갈등을 구체화하고, 친화적 통합체를 통해 발신자가 제기하는 문제의 정당성을 확보한다. 서사적 사건에 대한 이러한 재구성은 발신자의 발화사건에 대한 태도를 명확히 보여주고, 발화의 목적을 추론할 수 있게 한다. 말하자면, 이씨의 편지는 집안사람들이 자신에게 지위에 맞는 합당한 대우를 해주지 않고 있음을, 나아가 자신이 종부로서의 권한을 찾는 일이 정당하다고 말하는 도전장인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