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간구조분석에 의한 캠퍼스 구내 편의시설의 접근성 평가

        조은길(Cho, Eun-Kil),서현(Seo, Hyun),김선영(Kim, Sun-Young),김석태(Kim, Suk-Tae)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0 No.2

        대학캠퍼스의 편의시설은 학생들과 교직원들의 복지증진을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써, 학업이나 행정 등 교내 생활에서 필요한 행위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런 역할에도 불구하고 강의실이나 연구실 등의 공간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교내 활동들을 적절히 지원하기 위해서는 편의시설들의 위치가 이용자들에게 쉽게 인지될 수 있어야 하며, 이용자들이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캠퍼스 내 편의시설을 공간 구조적 측면에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여, 입지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 내 편의시설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공간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 중에서 객관성이 입증된 공간구문론을 분석 기법으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간의 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캠퍼스의 축선도를 작성하고 S3 Axial Analyzer V2.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공간 구조와 관련한 지표들을 산출하였다.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횟수와 공간구문론의 결과와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공간구조의 특성이 편의시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 번째, 대학캠퍼스 내 편의시설은 공간구조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캠퍼스에서 편의시설의 위치는 이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 대학캠퍼스 내 편의시설의 이용도는 전체통합도 보다는 국부통합도, 통제도와 같은 국부적인 공간구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공간구조의 명료도에 의해 편의시설의 위치에 따라 이용률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료도가 높은 대학캠퍼스의 경우에는 편의시설의 위치선정을 고려할 때 접근성이 좋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명료도가 낮은 대학캠퍼스의 경우에는 공간구조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편의시설을 쉽게 인지하기 위한 사인시스템의 적극적인 도입 등 추가적인 환경인지요소를 배치할 필요성이 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에서 편의시설을 계획할 때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blic service facilities on university campuses are installed in order to promote the welfare of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They contribute to support matters that are needed during school life such as studying or administration. In order to properly support school activities, it is necessary for the loc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to become easily recognized by users. Regarding this, this research aims to implement a quantitative analysis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on a university campus in a constructive aspect and to study its location pattern. For such evaluation towards public service facilities on a campus, this research studied by utilizing a method to analyze spatial structure; the method was a space syntax of which objectivity had been proved. The axial map was established to quantitatively analyze and measure spatial structure. The indexes related to spatial structure was calculated and determined through the use of the S3 Axial Analyzer V2.2 applic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to use public service facilities and the result of space syntax was studied and scrutinized. Based on these facts and data, it was analyz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a spatial structure affects the usage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The first point I would like to make is that public service facilities on campuses do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a spatial structure. Next, the availability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on a campus is affected by a local integration rather than a global one and a local spatial structure such as a control value. The next aspect is the utility rate and how it is affected by the loc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due to the intelligibility of the spatial structure. On a campus with a low intelligibility, it is not affected by a characteristic of a spatial structure.

      • KCI등재

        서울 소재 초등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 설립 구분 및 특수학급 유무를 중심으로

        김주선 ( Kim Joo Sun ),홍성두 ( Hong Sung D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4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한 첫 단계인 물리적 통합 여건이자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학습편의 제공 현황을 검토하기 위해 학교알리미(정보공시제에 따른 학교 정보 제공 사이트)를 통해 서울시 전체 초등학교의 최신 정보인 2020년 ‘장애인 편의시설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 11개 지역교육청의 602개교를 대상으로 학교설립 구분 및 특수학급 설치여부에 따라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범주 및 항목별로 살펴본 결과를 토대로 서울시 초등학교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설립 유형 구분에 따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살펴본 결과, 국·공립학교의 적정설치 비율이 80.2%로 사립학교 적정설치 비율 60.7%에 비해 20%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설치 여부에 따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살펴본 결과, 특수학급 설치학교의 적정설치 비율이 81.3%로 특수학급 미설치학교의 적정설치 비율 71.9%에 비해 약 10%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총 4개의 범주로 학교설립 구분 및 특수학급 설치여부에 따라 살펴본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위생시설의 적정설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안내시설의 적정설치 비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 전체 초등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설립 구분과 특수학급 설치 여부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지역교육청별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편의시설 설치 체계 마련을 촉구하는 연구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내 장애인 편의시설’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현황에 대한 종단연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학교 내 장애인 편의시설 이용자 중심의 편의시설 이용 만족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many current educational policy studies that speak of school space innovation reflect the needs of integrated education of learners with various special education need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s the basic data, the current status of install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all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as examined. To this end, this study used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2020 provided by the School Info. The installation status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all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nd by category and item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depending on whether schools were established or special classes were installe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stallation status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by 11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in 602 schools in Seoul by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and presence or absence of special classes are as follows. In private schools, facilit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are insufficient, and the level of facility installation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ratio of installation of information facilities a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disabled was the lowest.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properly equip the most basic facilitie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various learner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fore talking about school space innovation. Education authorities need to think deeply about the value of school space innov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basics of school education facilities for various learners are not provided.

      • KCI등재

        장애 체험 활동을 통한 학교 편의시설 접근성 평가

        이정규,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pply and evaluate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 disabled experimental activity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middle school experimental facilities. Three main resources such as 2 hours teachinglearning plan for disabled activity, recording sheets and evaluation sheets had been developed. The process plan had been applied 214 senior students in 7 middle schools purposely selected by areas, constructed years, number of stories of school during November to December, 2005.General accessible levels of middle school facilities was somewhat inadequate especially exterior slops, toilets, bowls were the most unaccessible ones.Most of all students had accidents and/or injuries in school environments from minor to major ones.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han female Students to get injuries. Students experience of accidents and injuries and awareness of inconvenience, danger, needed facilities supported. the result of the accessibility levels evaluated by disabled activities.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and positive 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study. Students had improved critical perspectives as well as awareness of inaccessible chances in the school facilities through the experimental process. The evaluation as differed by school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interests in disability. 주제어(Key Words) : 장애우(disabled students), 통합교육(integrated education), 편의증진법(the law for the guarantee of promoting convenience for the handicapped, the old, and pregnant women), 학교편의시설(school facilities), 장애체험활동(disabled experimental activity). 접근성(accessibility) 이 연구는 학생들이 유니버설디자인과 편의시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편의시설 가운데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실험하는 장애체험활동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이 과정안에 따라 장애체험활동을 함으로써 학교편의시설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개발한 자료는 학교편의시설 실험활동에 활용할 2차시분의 장애체험활동 교수․학습과정안과 장애체험활동 기록지, 활동 평가에 사용할 활동 평가지가 있다. 연구 대상학교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중학교 2개 학교와 일반 중학교 5개 학교로 설립기준, 지역, 건축년도, 학급 수, 건물 층수, 학교형태, 통합교육 실시여부 등을 고려하여 편의시설이 다양한 7개 학교를 임의 선정하였다. 대상학생 수는 학교별로 30명씩 희망자를 선정하고 실제 장애우(4명)를 포함하여 총 214명이 참여하였다. 각 실험조는 손이나 팔 장애우팀, 목발 장애우팀, 휠체어 장애우팀과 더불어 비장애우 1개팀 총 15명으로 구성하였다. 학교편의시설 장애체험활동으로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2005년 11월 26일부터 12월 24일까지 실험하였으며, 학교편의시설 평가는 장애체험활동 기록지 185부와 활동 평가지 200부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sion 10.0) 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백분율, 교차분석, t 검증, 일원분산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편의시설이 편의증진법의 학교편의시설 기준에 미달되거나 설치율이 낮으며, 설치되어 있어도 접근하기 어렵거나 이용이 불편한 시설이 많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안전사고나 부상을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학교편의시설에 대한 위험하고 불편하여 개선할 시설로 화장실, 복도, 계단을 지적하여 접근성 평가의 학교편의시설 실태와 일치하였다. 장애체험활동 교수․학습과정안에 대한 평가는 장애체험활동에 대한 의견은 내용이 유익하고 만족스러우며 수업 시간에 배워야 할 내용으로 평가하였으며, 이 의견보다 학교편의시설을 바르게 설치해야하는 중요성을 알게 되거나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인식 변화가 더 높았다. 학교편의시설의 불편한 점을 알게 되거나 학교편의시설이 장애우에게 불편할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비판 의식은 세요인 중 가장 높아 장애체험활동을 통해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실험하는 교수․학습은 학교편의시설의 개념을 이해와 실태를 파악하여 학교편의시설이나 생활환경에 관심을 갖게 되고, 장애우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모든 사람들과 더불어 생활하는 공동체의식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장애인 등의 편의시설 기준적합성 확인에 대한 설계자의 인식 분석 연구

        김선재,김원필 대한건축학회 202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40 No.4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이나 시설의 인허가 시에 장애인등의 편의시설이 적합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기준적합성 확인 과정이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등의 편의법에 따른 학교시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건축사 등 100여 개 건축설계사무소의 설계자를 대상으로 편의시설 기준 적합성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장애인 등의 편의법이 제정된 지 25년이 지난 지금까지 설계자의 편의시설 설치에 대한 이해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특별시 소재의 일부 교육 연구시설 중 인허가 기관에 접수된 학교시설을 대상으로 편의시설의 변경전 설계도서를 검토하고, 관련 법령에 제시된 사항을 토대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편의시설 설치를 위한 설계도서 작성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건축물의 계획과 설계하는 과정에서 펀의 시설을 바르게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이드라인을 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Aligned with the Act on Convenience Enhancement Guarantee for the Disabled, Elderly, Pregnant Women, etc., a process confirms criteriacompliance, checking for available convenience facilities. This study analyzes school facilities to implement supportive laws for the disabled. A survey, targeting over 100 architectural design firms that include architects, examined the suitability of convenience facility standards. Results revealed a persistently low awareness among designers even 25 years after the Act's enactment. The legal authority in Seoul reviewsdesign documents submitted for modifying convenience facilities in educational buildings. They assess designs for the installation of thesefacilities based on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his study aims to assist designers in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convenience facilitiesby offering examples of document preparation, ultimately encouraging them to apply these improved guidelines in their building planning anddesign processes.

      • KCI등재

        역사의 공중이용시설에서 편의시설 설치실태평가에 관한 연구 - 전국의 KTX 역사 37개소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

        김수정 ( Kim-soo J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본 연구는 이용객이 폭증하고 있는 전국 37개소 KTX철도역사 대상으로 활동(행동, 움직임)을 보조해줄 수 있는 편의시설이 얼마나 향상되었는가를 체크리스트로 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KTX철도역사공간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철도역사 공간에서 편의시설의 개선 및 발전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편의시설 설치유무를 확인하고 철도역사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노인·임산부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2004년 기존 체크리스트)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2016년 보안 체크리스트)의 설치문항을 비교한 결과 2004년 기존체크리스트 시설구분 9개에서 평균 설치비율은 67%이며, 2016년 보안체크리스트 시설구분 14개에서 평균 설치비율은 59%로 조사되었다. 2004년 기존체크리스트에서 편의시설이 선행되어 있기 때문에 2016년 보안체크리스트는 시설구분이 더 세분화 되어서 설치기준 반영은 -8% 정도의 미미한 차이로 반영되었다고 판단된다. 둘째, 총 162개의 세부문항에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한 전국37개소 KTX철도역사의 시설구분 평가 결과 합계 평균은 63%로 기본이상이 되었다. 셋째, 전국 37개소 철도역사 시설평가 중에서 경사로(평균 27%), 에스컬레이터(14%), N. 경보 및 피난시설(3%), K. 대변기(36%), L. 세면기(36%) 등은 시급한 개선이 요구 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완성된 체크리스트는 시설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추후 연구를 통하여 철도역사 편의시설 기준으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 improvement of amenities facilities that can assist activities (action and movement) in 37 KTX stations nationwide which are experiencing heavy increase of users. The study understands the current situation using a checklist and evaluates the space of KTX station based on it. Methods The paper checks the installment of amenities aiming at suggesting a direction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amenities in the space of station that is used by numerous people and presents a direction for enhancing user convenience. Result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conclusions. First, comparing the installment questions between the Act on the Promotion and Guarantee of Access for the Disabled, the Aged, and Pregnant Women (the existing checklist in 2004) and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Rule (security checklist in 2016), the average installment rate of the nine facility divisions in the existing checklist in 2004 was 67% and the average installment rate of the 14 facility divisions in security checklist in 2016 was 59%. The security checklist in 2016 has more segmented facility division as the checklist in 2004 already contained evaluation on the amenities.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the installment criteria is thought to be showing an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pproximately -8%. Secon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facility division in 37 KTX stations nationwide based on the checklist that is composed of a total of 162 sub questions, the average of the sum was 63%, indicating higher than average. Third,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facilities in 37 stations nationwide implied that ramp (27% on average), escalator (14%), N. alarming and evacuation facilities (3%), K. closet bowel (36%), and L. washbowl (36%) required urgent improvement. Conclusion We expect that the checklist comple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future studies as a fundamental material for facility evaluation and further be used as a standard for amenities in stations.

      • KCI등재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실태 및 고용 효과 분석

        김용탁,전영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2

        It is legally obliged to install facilities to secure the access right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the context of the employment. The data for the analysis are obtained from the Survey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Disabled in Busines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installation rate of the facilities is less than 20 percent. The companies that do not employ disabled people show lower installation rate than those companies employing the disabled. The smaller the size of the companies, the lower was the installation rate.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shows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heir employment maintenance. In sum,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appears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extending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for maintaining a stable employment of the disabl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are made. 1) Government should take more concrete measures to force the installation of the facilities. 2) Special services like facilities consulting or Integrated Support Service should be provided for the companies that do not employ the disabled. 3) More subsidies should be granted to middle-sized firms to encourage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4) The mandatory certification of Barrier Free (BF) and detailed classification of certification authorities appear to be needed. 편의시설은 장애인 등의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법적으로 설치를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편의시설과 장애인 고용과의 관계를 사업체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기업체 장애인 고용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편의 시설 중 의무 시설 설치율은 20% 미만이었으며, 장애인 미고용업체가 고용 사업체에 비해 설치율이 낮았으며,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수록 낮게 나타났다. 편의시설 설치는 장애인 고용 증대 및 유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편의시설설치는 장애인 고용을 확대하고 또 안정적인 직업 생활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정부차원에서 편의시설 미설치에 대해 이행 명령 등의 현실화 등과 같은 조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둘째, 장애인 미고용업체의 경우 편의시설 컨설팅이나 통합지원 서비스 지원 확대를 통해 장애인 고용과 연계하는 방안이 모색되어한다. 셋째, 중소기업의 경우 편의시설 설치에 대한 비용을 지원하는 각종 제도를 활용하여 현실적인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편의시설의 적정 설치율을 높이기 위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의 의무화 및 시설별 전문기관으로의 인증 기관 세분화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편의시설 설치기준이 의료복지시설 경영에 미치는 영향

        신준옥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3 專門經營人硏究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시설 중 의료복지시설 경영에 있어서 편의시설 설치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방안과 현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방법은 노인복지시설의 편의시설 설치기 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통계기법으로 SPS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 였다. 의료복지시설 경영에 있어서 편의시설 변수는 4개 범주와 이에 속한 15개 세부 항목을 포함하여 의료복지시설의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 편의시설이 유의미하게 분석되었다. 둘째, 이동 편의시설 역시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분석되었다. 셋째, 이용 편의시설 분석결과 유의미하게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편의시설 중 안내편의시설에 미치는 영향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 로 의료복지시설에서 편의시설 설치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함을 정책적·실천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installing facilities that help operate medical welfare facilities among floating welfa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e analysis results i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important events and sites. The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was analyzed based on the installation of dormitory facilities at explosion welfare facilities, and the results were maintained using the SPSS 26 program as a statistical technique. Facilities for participating in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clude 15 detailed items related to 4 categories, an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mpact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are as follows. Accessible facilities were made available. Second, it will have an impact on the facilities you move. It will affect the results of facilities for tourists, but it will also affect the facilities for guide convenience among passenger facilities. For these results, we provided a practical and practical method to demonstrate the need to reexamine the installa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in medic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후보

        장애인편의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및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최윤진,박병은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장애인편의시설이 장애인 전용이라는 제한성에서 벗어나 노인, 아동 등 일상생활에서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보 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을 통해 누구나 차별없이 동등하게 이용할 수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진행 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장애인편의시설과 유니버설디자인의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장애인편의 시설과 관련한 법률 및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조례 현황을 분석하여 현재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되는 영역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및 확대가 필요한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의 사례를 제안하였다. 최근 「발달장 애인의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한국수화언어법」이 시행됨에 따라서 물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정보접근의 확대 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지만 유니버설디자인 및 장애인편의시설에 관한 선행연구에 있어 서 대다수가 물리적 환경의 실태조사와 개선방안에 집중되어 있었다. 또한 장애인편의시설의 경우, 실제 이용 여부 보다는 설비가 구축되어 있는지 없는지가 주요 조사내용이었다. 이에 일부 정보접근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 하였고, 장애인의 요구를 수용하고 환경을 개선해 나가는 과정에서 장애인만 고려하는 것이 아닌 다수의 사람들이 편리하 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접근이 유니버설디자인의 원칙을 적용하고 확대하는 것임 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measures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that could allow the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o transcend their traditional function of serving the disabled and increase their accessibility to many people, including the elderly, children, etc., in everyday life so as to be used equitably by anyone without discrimination.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hat of universal design based on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study and examined the area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by analyzing the laws related to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ordinances associated with universal design. Moreover, we propose the cases of the 'right to have unrestrained access to information' which required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universal design. The majority of the preceding studies on universal design and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ocused on actual conditions of physical environment and improvement measures despite the need to give full consideration to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vital for expansion of access to information, as well as physical space, amid recent enforcement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Rights and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Korean Sign Language Law. In addition, most preceding studies on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laced the focus on investigation on whether facilities were established, rather than actual use.In this study, thus, we presented the applicability of universal design for access to some information and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would constitute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building an environment enabling convenient and safe use by many people, rather than limiting the consideration to the needs of the disabled, in the course of accommodation to the requirements of the disabled and efforts for improvement of environment.

      • KCI등재

        전시시설의 정당한 편의 제공 실태에 관한 연구

        이규일(Lee, Kyoo Il),김인순(Kim, In Soon),이기정(Lee, Ki Jung),이태은(Lee, Tae Eu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시설에서의 정당한 편의제공 현황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분석함으로써 편의제공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시시설의 정당한 편의제공 현황분석을 위해 23개 전시시설을 대상으로 물리적 정당한 편의제공 범위에 포함되는 편의시설에 대한 현황과 더불어 서비스 측면의 비물리적 정당한 편의제공 현황을 실태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물 영역 중 외부의 접근과 관련하여 관람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대지 내의 접근로를 이동하여 전시시설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보행안전통로를 확보한다. 둘째, 전시시설 내부에서의 안전한 관람이 가능하도록 바닥면을 미끄럽지 않도록 처리하고, 시각장애인이 이동할 때에 위험요소인 장애물을 제거한다. 셋째, 승강기 내부 조작반과 장애인용화장실 설치시 휠체어사용자와 시각장애인의 이용시설이 같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인의 안내를 위한 촉지도, 점자안내판, 시설물 축소모형 등을 설치하고 시설 편의이용정보가 기재된 안내서를 구비한다. 다섯째, 시ㆍ청각 장애인이 다양한 감각을 이용하여 전시물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 영역 측면의 다양한 편의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Act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Rights Restriction was enacted in 2008 states that all services including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hould be fair and easily accessible for disabl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o improve the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in exhibition facilities and provide complementary guidelines for amenities designed for people with disabled. The conclusion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should be installed pedestrian safe passage so that visitors could access from the entrance of the ground to inside of the exhibition facility. 2) The floor of the exhibition hall should be installed not slip, and dangerous obstacles placed in the corridor should be removed. 3)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visually impaired and wheelchair users are use different facilities at toilet and elevator. 4) To guide the visually impaired and hearing impaired it should be prepared palpable map, braille signage, miniature and brochures. 5) Visually impaired and hearing impaired can experience the exhibits by using a variety of senses, therefore it may need to provide assistive devices and human services.

      • KCI등재

        고속도로 졸음쉼터 조성에 관한 연구

        황인진(Hwang, In Jin),정태열(Jung, Tae Yeo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한국도로공사에서는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중 35%를 차지하는 졸음운전 예방을 위해 졸음쉼터를 2011년부터 설치를 시작하여 현재 210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운영 중인 졸음쉼터는 대부분 고속도로 갓길을 확장하거나 유휴 부지를 활용하여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다보니 교통안전 및 편의성이 다소 떨어진다. 또한, 일부 편의시설은 주변 환경 및 시설과 이질적이고 부 조화로운 경관을 형성하고 실정이다. 특히, 차양시설은 타 시설에 비해 설치비율이 낮고 차양효과도 미미한 곳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전자가 안전하고 편하게 쉬어갈 수 있게 졸음쉼터 편의시설에 대한 디자인 프로세스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현재 운영 중인 졸음쉼터에 적용하여 향후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졸음쉼터를 이용하는 운전자의 이용목적, 이용시간 및 이용시간대 등의 이용패턴을 파악하고 졸음쉼터 시설물의 문제점을 분석하며 선행연구, 국내외 설계기준 및 사례 등의 고찰을 통해 편의시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졸음쉼터 이용패턴은 승용차 운전자가 30분 정도의 수면목적으로 낮 시간대(12시-18시)에 많이 이용한다. 둘째, 졸음쉼터 편의시설은 안전시설에 비하여 설치비율이 낮고 특히, 수면공간인 차양시설은 디자인 완성도가 떨어지고 설치수량도 가장 적다. 셋째, 편의시설 개선을 위한 대상지 일조량이 높은 시간대별 그림자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차양시설의 위치, 높이, 길이를 결정하는 디자인 프로세스 등을 제시하였고 제시된 프로세스에 의거 현재 운영 중인 가남 졸음쉼터의 디자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운전자 Needs와 이용패턴을 조사 분석하고 편의시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하여 운영 중인 졸음쉼터에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대부분 졸음쉼터가 차량소음에 취약한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운전자 수면을 위한 편의시설의 디자인 개선방안만을 제시하는 한계점은 있다. 향후에는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타 시설까지 확대 적용하고 차량소음의 근본적인 대책, 여성운전자 배려 및 안전시설과 편의시설을 통합하는 디자인방안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KEC) has constructed 210 shelters for drowsy drivers which shared 35% of casualties on expressway since 2011. However, most of the shelters for drowsy drivers are inefficient considering road safety and usability because they are constructed at the narrow spaces such as shoulder and unused land. And some convenient facilities are inharmonious with circumstance: especially sun visors have less quantities and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not only suggesting design process of shelters for drowsy drivers but also providing important guideline for officials of managing shelters. Regarding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his study reviewed drivers’ purpose, time and period, main problems of convenient facilities, other studies and design stand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drivers use shelters during day time (12~18 hours) for 30 minutes sleeping. Second, the convenient facilities are installed less than the safety facilities, especially the sun visor’s design is humble and the number is small. Third, this study suggests design process by shadow simulation in much sunlight time; analysis for Ganam shelter for drowsy drivers is given.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by reviewing driver’s needs and patterns and applying to design process of shelters for drowsy drivers. However, it has a limitation because it cannot provide fundamental solution about vehicle’s noise, it just provide design process for convenient facilities. Later, it is highly recommended to apply other facilities and to study fundamental noise problem at shelters, consideration for female drivers, and integrating safety facilities and convenient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