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amining the College Students’ Perceived Fast Food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Park, Kunsoon(박근순),Park, Narang(박나랑),Kim, Jung Eun(김정은),Heo, Wookjae(허욱재)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3

        패스트푸드 식당은 잘 알려진 바대로 현대 사회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산업중의 하나로서, 제품과 서비스가 이제는 가내식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까지 성장해왔다. 이러한 패스트푸드의 빠른 성장과 제품의 고도화는 소비자학에서도 그 의미가 중요하며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스트푸드 식당 선택에 있어서 식당 인지가 소비자 평가에 작용하는지를 알아보는 중요성 성과분석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분석을 위하여 미국 중서부 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가장 자주 접할 수 있는 5개의 식당을 중심으로 연구 비교를 제시하였다. 미국에서 가장 자주 접할 수 있는 5개 식당으로는 버거킹, 맥도날드, 서브웨이, 타 코벨, 웬디스가 있으며, 이들 5개 주요 식당이 미국 대학생들에게 어떻게 인지되는지를 설문지 방식을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패스트푸드 식당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질문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275명의 대학생들로부터 수집되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중요성 성과 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 첫번째로 중요성 성과 분석을 통해서 5개의 패스트푸드 식당 선택에 영향을 주는 공통적인 요인을 확인하여 비교분하여 각각의 식당에 대한 개별적인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두번째로, 중요성 성과 분석을 통해 확인된 각 식당의 공통적 요인 및 개별적 특성을 활용하여 대학생 소비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각 식당별 상대적 시장 내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패스트푸드 식당의 위치와 메뉴의 다양성이 미국 중서부 지역의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패스트푸드 식당의 대표적 중요 요소로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패스트푸드 식당 관련 산업과 소비자학 모두에 시사점을 준다. 패스트푸드 식당을 운영하는 산업관련 종사자들에게는 소비자들의 인지에 따른 개선점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었다. 소비자학 및 관련 분야에는 대학생 소비자들이 패스트푸드 식당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알게 해줌으로써, 대학생 소비자들에 대한 교육 및 정책 의 방향을 재고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었다. Fast food restaurants are one of the world’s fastest growing food types and are quick, priced reasonably alternatives to home-cooked food that are available readily. Following fast food restaurants’ complex and improved development of marketing tools, the market situation needs to be understood as part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Specifically, the college market is important for restaurant chains, as it is becoming larger. Therefore, college students cannot be prevented from purchasing fast foods. Therefore, a better educational strategy might be to make college students aware of what fast food contributes, rather than attempting to encourage them not to purchase fast food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nd compare the attributes of five fast food restaurants ― Burger King, McDonald’s, Subway, Taco Bell, and Wendy’s - as they ar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 questionnaire examining the attributes of fast food restaurants was develop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mpleted by 275 college student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showed that across the five fast food restaurants, some common attributes were perceived.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examine and compare food attributes across five fast food restaurants, and (2) identify fast food restaurants’ relative positions in college students’ minds with respect to their food attributes using IPA. The analyses also indicated that each fast food restaurant was perceived to have its own particular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und both common and unique attributes among the five restaurants evaluated. Location and menu variety were two common attributes that college students perceived important across all five restaurants. First, restaurateurs understand the common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restaurants and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develop their service quality. The fast food restaurant industry should identify what service attributes college students consider most important and how well the fast food restaurant is performing relative to its competitors with respect to each of those attributes. This will allow restaurant managers to focus their operations and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to a greater extent to maximize consumer satisfaction. Second, consumers can learn the way college students perceive these fast food restaurants. Specifically,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o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should understand consumers’ perceptions of fast food restaurants. By understanding this, it is possible to set a pathway to better education and policies.

      • KCI등재

        패스트푸드 섭취빈도와 건강실천

        홍승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0 No.2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ast food awareness, dietary behaviors, and health practices according to the fast food intake frequency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using a self-completed questionnaire for adults. Chi-squar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take frequency of fast food and related factors. Results: The frequent intake group’s (more than twice a week) results were 38.6%, the normal intake group (less than twice a week) was 33.3%, and the non-intake group (less than once a month) was 28.1%. Subjects who frequently consumed fast food were positively aware of their fast food consumption. The frequent intak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dy weight gain after fast food intake than other groups. They consumed more foods containing oil and wheat flour than the non-intake group whose intake was mainly protein-sourced foods, green vegetables, and fruits, and dietary behavi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intake frequency of fast food. The fast food non-intake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at practicing health practices such as maintaining health and normal weight, regular exercise, and correct posture than other groups. It was seen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group appeared to follow fewer health practices than other groups. Conclusions: High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is associated with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such as high caloric intake and low health practices, suggesting the need for appropriate information to reduce the nutritional imbalance caused by fast food intake.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섭취빈도에 따른 패스트푸드 인식, 식사행동, 건강실천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자기기입식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패스트푸드 섭취실태, 인식, 식사행동, 건강실천 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패스트푸드를 일주일에 2회 이상 섭취하는 자주섭취군이 38.6%, 일주일에 2회 미만 섭취하는 보통섭취군이33.3%, 한 달에 1회 미만 섭취하는 비섭취군이 28.1%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패스트푸드 섭취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비섭취군이 자주섭취군과 비교하여 패스트푸드가 건강 및 영양에 안 좋은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자주섭취군은 패스트푸드 섭취 후에 신체변화로 다른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중 증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주섭취군은 기름이 포함된 식품과 밀가루 음식을 많이 섭취하였고, 비섭취군은 단백질 공급원 식품과 녹황색 야채를 주로 섭취하여 식사행동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건강 및 정상체중 유지, 규칙적인 운동, 바른 자세 유지와 같은 건강실천은 패스트푸드 비섭취군이 자주섭취군과 보통섭취군에비하여 유의하게 더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과 식사행동은 건강실천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회귀분석 결과 패스트푸드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건강실천을 적게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높은 패스트푸드 섭취빈도는 고열량의 바람직하지못한 식사행동 및 낮은 건강실천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그러므로 패스트푸드로 인한 영양불균형을 줄이고 올바른 식사행동 및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행동을 실천할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패스트푸드 섭취 실태를 통해 본 어린이 기호식품 광고 규제의 의미와 운용 방안

        조재영 한국광고PR실학회 2010 광고PR실학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푸드의 섭취 실태를 통해서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이하 ‘동법’)의 광고제한·금지 조항(동법 제10조)및 영양성분표시조항(동법 제11조)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논의한 후 효율적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헌연구 결과, 패스트푸드의 섭취는 주로 초·중·고교생 및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간식에서 주식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주로 ‘친구’와 함께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광고 등 프로모션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패스트푸드가 건강, 특히 비만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국민건강 관리 차원에서 동법을 제정하게 되었고 현재 ‘광고의 제한·금지 규정’에 대해서는 정부와 광고계의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 ‘영양성분 표시 규정’에 의하면, 대상 업종은 제과·제빵류, 아이스크림류, 햄버거, 피자 등이며 대상 성분은 열량, 당류, 단백질, 포화지방, 나트륨 등이다. 동법의 시행과 방법에 대해서는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겠으나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규제는 세계적인 추세인 만큼 광고계는 소비자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어 간다는 입장에서 스스로 규제하는 자세를 갖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패스트푸드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한 연구 - 대전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배영경,김영남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tinguish which food is fast foods an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fast foods. The 14 kind of foods(hamburger, pizza, fried chicken, raymyeon, hotdog, doughnut, fried fish cake, jajangmyeon・udong, ice cream, dukbokki, spaghetti, sandwich, gimbab, and salad) and 5 characteristics of fast foods(takeout, franchise, fast serving, unhealthy, and cheap price foo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ictionary and previous research papers about fast fo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306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 in Daejeon area were participated. The data were gathered by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SPSS/WIN 18.0 program. The participants evaluated the fast foods as delicious and convenient foods but non-nutritious, i.e. high fat but vitamin deficient foods. Among the 14 foods examined, hamburger, pizza, and fried chicken were the foods which more than 90% of the participants acknowledged to fast foods. Dukbokki, spaghetti, sandwich, gimbab, and salad were the foods which less than 50% of the participant acknowledged to fast foods. Among the 5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examined, unhealthy foods showed the highest sensitivity, specificity, predictive value, and odds ratio(0.803, 0.712, 0.597, and 2.79, respectively), and cheap price showed the lowest values of those(0.565, 0.335, 0.242, and 0.85, respectively) for acknowledging foods to fast foods. As conclusion, hamburger, pizza, and fried chicken were the representative foods of fast foods. Fast foods are generally considered as fast served cheap price foods, but the participants did not think the fast foods as fast and cheap foods.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fast foods in the students' minds was unhealthy foods. 패스트푸드는 간단한 조리를 거쳐 신속히 제공되는 음식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어떤 종류의 음식을 패스트푸드로 분류할 수 있는지, 패스트푸드와 패스트푸드가 아닌 음식을 구분하는 특징은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패스트푸드로 제시한14종 음식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의 인정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패스트푸드 인정 여부를 결정하는 패스트푸드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남・여 고등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패스트푸드가 맛있고 편리한 음식이지만 영양가가 낮은 음식 즉, 고지방, 저비타민 음식으로 평가하였다. 햄버거, 피자, 프라이드치킨, 라면, 핫도그는 80% 이상의 조사대상자가 패스트푸드로 인정하였으나, 떡볶이, 스파게티, 샌드위치, 김밥, 샐러드의 경우 패스트푸드 인정 비율이 50%에 미치지 못하였다. 패스트푸드의 5가지 특징 중 음식의 패스트푸드 인정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확실한 특징은 건강에 해로운 음식이었고, 가장 불확실한 특징은 신속한 제공과 저렴한 가격으로 조사되었다. 패스트푸드가 흔히 fast, cheap foods로 지칭되지만 조사대상 남・ 여 고등학생은 패스트푸드를 신속히 제공되는 값싼 음식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패스트푸드 산업 연구동향 분석: 소비자 행동 연구를 중심으로

        황정진 ( Hwang Jung Jin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4 지역산업연구 Vol.47 No.2

        본 연구는 패스트푸드 산업의 소비자행동을 주제로 진행되어온 기존 문헌들을 과학적인 접근법을 통해 추출한 후, 체계적인 내용분석 방법들을 적용하여 기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한 다음, 여기서 얻은 결과를 가지고 향후 패스트푸드를 주제로 연구를 계획하고 있는 미래 연구자들에게 올바른 연구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논문 분석 작업 이전에 타당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기존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기법을 적용하여 본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들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논문들에 대해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내용분석 방법으로는 VOSviewer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시출현빈도분석과 TCM framework 기법을 적용하였다. PRISMA 기법을 통해 선정된 총 121편의 연구들에 대한 동시출현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주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3개의 클러스터를 확인하였다. 클러스터1에서 패스트푸드를 연구대상으로 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서비스품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됐음을 확인했고, 클러스터2에서는 패스트푸드의 브랜드와 학생들의 건강식습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음을 확인하였다. 클러스터3의 경우에는 기술기반셀프서비스(TBSS)와 키오스크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됐음을 알 수 있었다. TCM framework 분석기법을 통해서 얻은 결과로는 적용된 이론에 있어서 기대불일치 이론(disconfirmation)이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고, 연구 환경 관련해서는 개별 패스트푸드 메뉴 보다는 패스트푸드 전체를 연구 환경으로 설정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양적연구를 위한 설문기법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패스트푸드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그에 상응하여 진행되어 온 상당수의 연구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들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연구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 본 연구는 미래 학자들에게 올바른 연구 방향성과 연구 아이디어를 제안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literature on consumer behavior in the fast food industry through a scientific approach, analyse the trends of the existing studies by applying systematic content analysis, and then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ers who are planning to conduct research on the fast food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Prior to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the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technique was applied to systematically collecting existing studies based on validity and reliability to select studies that met the purposes of this study.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using VOSviewer program and TCM framework technique was applied as content analysis. A total of 121 studies selected through the PRISMA technique identified three cluster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In Cluster 1, we found research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service quality in fast food, and in Cluster 2, we found research on fast food brands and students’ healthy eating habits. In Cluster 3, we found that research was conducted on technology-based self-service(TBSS) and Kiosks. Despite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fast food industry and the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in response to it,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analysed these studies in a scientific way, an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scholars to propose appropriate research directions and research ideas.

      • KCI등재

        청소년의 패스트푸드점과 패밀리레스토랑 이용 실태 지역별 비교 연구

        조혜영,김선아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Korean youths' use of fastfood and family restaurants in different regions, especially among cities and rural towns. Total 1.600 questionnaire surveys were distributed to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1,487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order to consider regional differences as well as overall characteristics of youths' fastfood and family restaurant visiting behaviors, the subjects were evenly sampled from north Seoul, south Seoul. big cities. middle/small cities and small towns. As for the frequency of visiting fastfood restaurants, 58.3% of the respondents answered "once to five times" a week. South Seoul are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Easiness" was the main reason of eating fastfood, which was up to 57.8% of the overall respondents while 42.8% of the small town youth ate fastfood because of the "good taste." As for the concepts on fastfood, 42.7% understood it as 'easy to eat' while 33.6% responded as "easy to get fat." For the question of getting channel of fastfood information. 44.8% answered "TV" and 28.3% responded "from friends." Coupons were found to affect fastfood restaurant visits, highest in south Seoul. and lowest in small cities. For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of Koreanized menus and fastfood restaurant visits, small town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hile South/North Seoul had the lowest frequency. For the percentage of visiting family restaurants, respondents answered in the order of South Seoul(59.7%), North Seoul(44.5%), Big cities(39.5%), small cities(19.4%), and small towns(13.1%). Most of youth visited family restaurants because of the taste, while youths of middle/small cities visited due to the atmosphere. The effect of coupons on visiting family restaurants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e one of fastfood restaurants. Korean youths were found to visit fastfood restaurants very frequently in all regions and the tendency of visiting family restaurants is also increasing. At this point, balanced menus and education for healthy eating habits are urgently needed for the youth.

      • KCI등재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활용하는 TV 패스트푸드 광고에 대한 어머니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유현재(Hyun Jae Yu)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3

        한국, 미국을 막론하고 TV 패스트푸드 광고와 그 광고들이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들이 어린이들의 비만율 증가에 주요한 하나의 요인으로 간주되면서, 이 같은 광고들에 대한 논의들이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해지고 있다. TV 패스트푸드 광고를 구성하는 구체적 콘텐츠들 가운데, 어린이들이 특히 열광하는 각종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은 아이들이 부모들에게 ‘막무가내’로 패스트푸드를 사줄 것을 요구하게 되는 결정적 이유로서 논란의 중심이 되어 왔다. 이번 탐사연구는 이처럼 어린이들을 타깃으로 제작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활용 TV 패스트푸드 광고들에 대한 실제 어머니들의 의견을 설문을 통해 탐구해 보았다. 본 연구는 미국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현지에서 진행되었기에 도출된 결과를 우리나라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발견된 현상들과 사실들은 패스트푸드의 침투가 급증하고, 아이들의 비만율이 최근 서방국가들 수준으로 치닫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믿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어서 진행될 한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유사 연구를 위한 파일럿 스터디(예비연구) 역할을 할 것이라 확신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광고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가 비교적 긍정적임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을 타깃으로 하는 TV 패스트푸드 광고에는 상당히 부정적인 견해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TV 패스트푸드 광고에 등장하는 각종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에 대한 정부의 법적규제가 시급하다고 대답하였다. As TV food advertising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increasing the rate of childhood obesity, discussions about the content of this advertising have been more popular than ever. Among them, animated characters in TV food are an important topic because they prompt children to nag their parents to buy the food products they see on TV.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thers` perceptions of animated characters in TV food ads targeting children with two methods: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both policy and academia. The findings show that most mothers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usage of animated characters in TV food ads even though their general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s positive overall. In addition, most of the participants strongly agreed that there should be stricter regulations limiting the usage of the characters in advertising targeting children.

      • KCI등재

        Maternal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Quick Service Patronage Regarding Children in South Korea

        Joo, Nami 대한가정학회 2004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2 No.5

        한국의 현대사회는 점차 산업화, 도시화 되어지고 있고 또한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외식산업이 점차 발달되어지면서 패스트푸드가 우리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렇게 가족단위의 외식을 할 때 자녀들의 음식종류 결정권이 매우 크다는 점을 고려하고 14세미만의 어린이가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21.8%를 차지하고 있는 점을 볼 때 패스트 푸드 산업에서 어린이들은 매우 중요한 고객이 되어질 수 있고 이러한 어린이들의 좋은 식습관 및 균형 잡힌 영양공급은 성인건강의 기초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자녀들의 패스트푸드 소비에 관한 어머니의 견해를 조사함으로써 어린이들의 패스트푸드 소비를 바람직하게 유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패스트푸드산업을 주도하는 생산자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Q-sort methodology로 본 연구를 실시한 결과, 패스트푸드점에서 가족들이 외식할 때 자녀들이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음식에 대한 어린 시절의 경험이 자녀들의 식습관, 기호도 발달, 바람직한 건강식품 선택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때의 식품에 대한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다고 어머니들은 생각하고 있었으며 패스트푸드점에서 아침식사를 하는 것은 매우 반대하는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la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brought many new opportunties and challenges to the traditional South Korean family. One area of change that challenges the traditional South Korean family is the availability of new food sources, specivically the introduction of commercial restaurants that offer new types of food in untraditional setting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South Korean mothers'(n=104) regarding the patronage of quick service style restaurants by their children though the use of Q sort methodology.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children do influenc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hen determining where to eat away from home, Korean mothers still play a very prominent role in planning the family's food consumption. While Western food styles and practices can provide a variety of food selections determining where to eat away from home, Korean mothers still play a very prominent role in planning the family's food consumption. While Western food styles and practices can provide a variety of food selections and service styles, care should be taken not to over utilize the quick service restaurants' in place of traditional foods.

      • KCI등재

        중식 패스트푸드 포장용기 디자인 제안

        홀문군 ( Hu Wen Jun ),한상윤 ( Han Sang 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광고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포장용기에 주목하여, 일반적인 패스트푸드 포장용기 형태를 벗어난 다양한 음식을 종류별로 담을 수 있는 중식 패스트푸드 포장용기 디자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국 O2O(Online to Offline)음식 배달 시스템의 운영모델과 중식 패스트푸드의 개념 및 분류에 대한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으며, 현재 사용 중인 중식 패스트푸드의 포장용기에 대한 조사와 중식 패스트푸드 포장용기에 적용 가능한 포장용기디자인 분석을 바탕으로,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포장용기의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중국 O2O 음식 배달 시스템에 적합한 중식 패스트푸드 포장용기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한 디자인 방안은 기존 포장용기와 달리, 포장용기 디자인의 기능, 소재, 형태와 색상 등 4개 디자인 요소 관점에서 출발하여 포장용기의 내부구조 개선으로 공간을 최대한 절약하였으며 아울러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줄였다. 또한 중국 고대 전통 찬합(饌盒)의 형태를 포장용기 디자인에 적용하여 중국 현지에서 중식 패스트푸드 포장용기에 적용하는데 거부감 없게 하였고, 음식 맛의 종류를 색상으로 연상 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색의 포장용기를 이용해 여러가지 맛의 중식 패스트푸드를 구분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O2O(Online to Offline) 배달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식 패스트푸드 포장용기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packaging containers that are indispensable in food delivery servic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as a moving advertisement as well as the ability to protect food. The purpose is to propose the design of Chinese dish fast food packaging containers that can contain a variety of foods that are out of the ordinary fast food packaging container form. To this end, an overall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through a related literature survey on the operating model of the Chinese O2O (Online to Offline) food delivery system and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Chinese dish fast food. Based on the survey on the packaging containers of Chinese fast food currently in use and the analysis of packaging container design applicable to Chinese fast food packaging contain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consumers are aggregated to derive the design elem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s. Based on this, the design of Chinese dish fast food packaging containers suitable for the Chinese O2O(Online to Offline)food delivery system was finally proposed. Unlike conventional packaging containers, the design measures derived from this research process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of four design elements, including functions, materials, shapes and colors of packaging containers, and saved space as much as possible by improv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packaging containers, and also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using eco-friendly materials. In addition, the traditional Chinese stackable side-dish box was applied to the packaging container design so that there was no resistance to applying it to Chinese fast food packaging containers in China. The design was developed so that the degree of food taste can be reminiscent of color, so that Chinese dish fast food of various flavors can be distinguished using various colored packaging containers. This provided a new direction for the Chinese fast food packaging containers used in the O2O(Online to Offline).

      • 대구지역 대학생의 패스트푸드점과 대학식당 이용실태조사

        정소형 東國專門大學 1998 金龜論叢 Vol.6 No.1

        대구지역의 계명대학 남녀 대학생 210명(남 109명, 여 101명)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점과 대학식당의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패스트푸드점을 선택하게 된 이유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맛, 가격, 분위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식당의 경우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편리함이 가장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점의 이용빈도는 남녀학생 모두 한달에 2회 미만이 전체 45.4%로 가장 높았으며, 대학식당은 남녀대학생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여학생의 빈도가 남학생보다 높았다. 음식선택의 기준은 남녀대학생 모두 맛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으며 1회 식사비용으로 패스트푸드점의 경우는 남녀대학생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남학생의 비용지출이 여학생에 비해 높았으며 대학식당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 없이 1500원 미만이 85.6% 였다. 패스트푸드점의 만족도는 위생, 서비스, 음식의 온도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좋게 평가하였으며(p<0.05, p<0.001) 대학식당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맛을 좋게 평가하였다.(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