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선호 스타일 선택과 패션 브랜드 수용의 관련성

        한정아 ( Han Chung-a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4 No.-

        특징적인 생활양식인 라이프스타일은 디지털 시대에 보다 빠른 속도로 다변화하며, 소비자들에게 구매력 역시 가속화하며 변화하고 있다. 유행에 대한 인식과 대중매체에 의한 정보전달은 유행주기의 기간 또한 점진적으로 짧고, 다양화시키기에 소비자 행동에 주목하여, 20대 대학생들의 생활양식을 주목하고, 표적 시장을 중심으로, 시장 세분화, AIO 방법에 따른 브랜드 포지셔닝 작업에 도움이 되기에 의의가 있다.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과정에서 남성의 참여를 독려하여, 기존연구 중 20대 여성들은 패션이나 개성을 중시하고 외모를 중시하는 연구 논문들과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소비의 중심인 여성과 변화하고 있는 남성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선호 컬러에 대한 새로운 시도의 연구로, 보수적 패션 무관심형과 단순상품지향형, 평범/무산 회피형은 한색 계열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유행추구형, 자기표현/개성 추구형, 패션 리더형은 무채색 계열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톤 계열은 라이프스타일에 관계없이 명청색톤 계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컬러 계열과 톤 계열의 선호도에 차이를 보였다. 라이프스타일의 보수적 패션 무관심형은 활동적이고 명랑한 이미지, 유행추구형과 평범/무산회피형은 발랄, 단순 상품 지향형은 품위&남성, 자기표현/개성 추구형과 패션리더형은 도회적&현대적 스타일을 지향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라이프스타일의 보수적 패션 무관심형은 감각의 컨서버티브형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 라이프스타일은 컨템퍼러리형의 감각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과 감도와의 관련성은 감도 중(中)이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패션 구입 시 가격 특성에 대하여 보수적 패션 무관심형은 중저가와 저가의 구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션 리더형은 최고가의 구입이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연출 분위기 지향 선호 스타일에 따른 선호 컬러 계열은 여성하고 우아한 이미지의 경우 난색 계열, 고급스럽고 보수적 이미지와 도회적이고 현대적 이미지, 활동적이고 명랑한 이미지는 무채색 계열, 발랄, 품위 있고 남성적인 이미지, 소박한 여성다움과 이국적 신비의 이미지는 파랑, 하늘, 남색, 청록의 한색 계열, 고상하고 품위는 갈색, 보라의 중성 계열의 컬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출 분위기 지향 선호 스타일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스타일에 관계없이 중고가의 가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쇼핑지역은 서울 중심가를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선호 브랜드는 소박한 여성다움과 이국적 신비 스타일은 디자이너 브랜드, 이를 제외한 연출 분위기 지향 선호 스타일은 내셔널 브랜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케팅 전반의 핵심요소인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여 본 연구는 20대의 대학생 라이프스타일과 패션수용 및 선호스타일에 대해, 일반적 요인들 분석을 통해 브랜드 대상으로 스타일과 선호 패션 수용에 따라 세분화된 소비자 그룹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에 대해 의의가 있다. The lifestyle of consumers with high purchasing power also accelerates the diversity what is changing in the digital age. Fashion awareness and delivery of information by the media faster fashion cycle progressively shorter periods is becoming various. Therefore, fashion brand positioning tasks can be done to help with becoming significant in order to set the target market segmentation in setting for the target market through AIO method. Undergraduate students were surveyed with participating lots of men were answered questionnaires. The first move of lifestyle & color research according to the preferred color the type of simple/ focusing only product/ conservative fashion indifferent type, normal / Dispersion Cool avoidance type affinity was higher cool color preference in the series, additional spherical fashion, self-expression/ pursuit of personality, fashion leaders neutral type affinity in the series was higher. Preferring the life style, regardless of family cool color series appear to be the preferred color series that showed no difference in affinity. Type of lifestyle active and cheerful indifference conservative fashion), fashion types and ordinary pursuit / evasion type Dispersion youthful, elegant and simple commodity-oriented type male, self-expression / personality types and preferring fashion styles seeking urban preferred & brother-oriented, modern style were identified as: Conservative type of lifestyle, fashion sense of apathy had appeared to be the most preferred, except for this type of lifestyle, the contemporary sense was that the most preferred.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and the sensitivity of the sensitivity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According to the purchase price for lifestyle properties for Fashion/ Fashion indifferent/ conservative types that a lot of buying low-priced and low-appeared, and the purchase of up to fashion style type difference was shown. Production-oriented atmosphe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style, color preferences and elegant women, the disapproval of family series, advanced & Maintenance and urban & modern, active and cheerful family of a neutral tone, youthful, elegance and masculinity, femininity and exotic mystery rustic blue sky , blue, green, cool color of the family, the elegant & classic &noble brown, purple color of the neutral series appears to be the most preferred direction oriented atmosphere was different, depending on your preferred style. Regardless of the style used to be the price of the preferred appeared, and shopping districts of Seoul, the center has been identified as preferred. Femininity and preferred brands rustic exotic mystery style the designer brand, except it prefers directing style is oriented atmosphere, the National brand was identified as the most preferred. Price regardless of the form of purchases of Seoul, the center appeared to be the most. In particular, the fashion center of Seoul, the purchase cost of the purchase of expensive units have been identified by many. National brands of your favorite brands, designer of the purchase price of the brand is owned by the largest number appeared, and character brands and private brands appeared to be a lot of buying low-priced brand was the difference. Fashion and Beauty Fashion of the properties in the area a popular acceptance of a certain preferred style can be seen in the process of a gradual rise, climax, falling to the periodicity appears, fashion consumers in a particular time and situation is temporary and cyclical phenomenon that is selected by is.

      • KCI등재

        창원지역 소비자의 여가라이프스타일과 패션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 연구

        최수경(Choi, Soo K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창원지역 소비자의 여가라이프스타일과 패션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창원 지역에 거주하는 265명의 20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1 - 12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변량분석, Duncan-test,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션라이프스타일의 요인은 유행지향, 흥미추구, 대인관계지향, 유명브랜드지향, 개성추구, 경제성중시의 6개 차원으로 구성되었고, 여가라이프스타일의 요인은 스포츠생활지향, 가족중심지향, 사교지향, 소극적여가성향, 문화활동추구, 활동적여가지향, 여행추구의 7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패션라이프스타일과 여가라이프스타일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중 패션라이프스타일은 학년과 의복 1회 구매 가격에 따라, 여가라이프스타일은 성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라이프스타일은 패션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가라이프스타일의 여행추구는 패션라이프스타일의 유행지향, 흥미추구, 대인관계지향에, 여가라이프스타일의 문화활동추구는 패션라이프스타일의 개성추구에, 여가라이프스타일의 스포츠생활지향은 패션라이프스타일의 경제성중시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패션 기획이나 프로모션 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f leisure lifestyle and fashion lifestyle of consumers in Changwon.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2017 from 265 university students in their’s living in Changwon.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The methods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Duncan-test, and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The factors of fashion lifestyles consist of six dimensions of fashion-oriented, interest-pursuit, personal relationsoriented, brand-oriented, individuality-pursuit, and economy-importance. The factors of leisure lifestyles consist of seven dimensions of sport life-oriented, family-oriented, social intercourse-oriented, passive leisure-pursuit, cultural activity-pursuit, active leisurepursuit, and travel-pursuit. It appears to be different between fashion lifestyles and leisure lifestyles, subject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f these, it appears to be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fashion lifestyles, subject to grade and purchase price per clothing. It appears to be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leisure lifestyles, subject to gender. Leisure lifestyles give influences on fashion lifestyles. Especially, travelpursuit of leisure lifestyles exert a noticeable influence on fashion-oriented, interest-pursuit, and personal relations-oriented of fashion lifestyles. Cultural activitypursuit of leisure lifestyles exert a noticeable influence on individuality-pursuit of fashion lifestyles. Sport life-oriented of leisure lifestyles exert a noticeable influence on economy-importance of fashion lifestyles.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is study is used as the useful sources of fashion projects and promotions.

      • KCI등재후보

        소비자의 패션감성/취향이 라이프스타일숍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과 감각적 체험요소가 온라인 라이프스타일 제품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형과 유럽형 라이프스타일숍을 중심으로╶

        문정현,김칠순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1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4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hopping behavior of lifestyle shop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consumers' fashion sensibilities and tastes on the preferences of lifestyle brand shops launched in Europe and Korea.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observe whether the sensibility experience factors of consumers in the on/offline lifestyle shop store influence the intention to purchase products of online shopping shops. The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method, for female consumers aged 20s to 30s those who have an experience in purchasing a lifestyle shop, collecting data on mobile and online by convenience sampling, and conducting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respondent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shop was IKEA in lifestyle shop preferences, Most of consumers first looked at things offline, and mostly bought online, called “showroomig”. Second, we realized that ethnic taste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preference of European lifestyle shops, while Korean & romantic taste and mass sense had a positive effect. Third, sensibility experience factors such as “safety of shopping due to fear of corona”, “easy exchange and refund”, “happy feeling of receiving a gift during delivery”, and “free shipping charge” are significantly positive in product purchase intentions at online lifestyle shops. Among the factors, the stability of shopping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repurchase intention of an online lifestyle shop is the “purchase review”. The findings was significant in proposing product planning and VMD strategies that could appeal to Korean consumers in terms of marketing, considering the competition of domestic brands with global SPA lifestyleshop brands.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숍에 대한 쇼핑행동을 고찰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패션감성과 취향이 유럽과 한국에서 런칭된 라이프스타일숍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리고 온 오프라인 라이프스타일숍 매장에서의 소비자의 감각적 체험요소가 온라인에서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 방법으로 라이프스타일숍 구매경험이 있는 20-30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법을 사용하여 편의추출에 의한 모바일과 온라인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숍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들은 가장 선호되는 숍은 이케아이며 가장 많은 사람들이 오프라인에서 제품보고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쇼루밍 행동이 관찰되었다. 구매하고 싶은 아이템은 인테리어 장식 소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럽형 라이프스타일숍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에스닉 취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효과를, 한국적이고 로맨틱한 취향과 대중적 감성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한국형 라이프스타일숍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중적, 로맨틱한 취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 두려움으로 인한 “쇼핑의 안전성”, “교환환불용이”, “배송시 선물 받는 행복감”, “ 무료배송“ 의 체험요소가 온라인 라이프스타일숍에서의 제품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쇼핑의 안정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라이프스타일숍의 재구매 의도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소는 “구매후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의 최종목표는 글로벌 SPA 라이프스타일 숍 브랜드가 국내 브랜드들과 경쟁을 벌이기 때문에 마케팅 차원에서 한국 소비자들에게 어필이 가능한 상품전략과 VMD전략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자동차 구매성향과 패션 쇼핑성향이 자동차 브랜드라이프스타일 스토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원석 ( Choi Won Seok ),김칠순 ( Kim Chil Soon ),양희순 ( Yang Hees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라이프스타일 스토어가 등장하게 되면서 관심을 얻게 된 자동차 브랜드의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펴보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 구매성향은 자동차 스타일 개성 추구, 가족 실용성 중시, 크고 비싼 차 선호로 분류되었다. 패션 쇼핑성향은 패션관심, 브랜드/명품 선호, 관리/소재 중시로 분류되었다. 둘째, 자동차 스타일 개성추구 성향과 패션관심, 브랜드/명품 선호 성향이 관련이 있었으며, 가족 실용성 중시 성향은 패션관심, 브랜드/명품 선호, 관리/소재 중시 성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 실용성 중시는 브랜드/명품 선호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크고 비싼 차를 선호하는 구매성향은 브랜드/명품 선호 성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동차 스타일 개성추구 성향과 크고 비싼 차를 선호하는 구매성향이 자동차 브랜드의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에서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패션관심 성향과 브랜드/명품 선호 성향이 자동차 브랜드의 라이프스타일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자동차 브랜드의 라이프스타일 스토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차 스타일 개성추구 성향과 패션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마케팅활동을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ar purchase orientation and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on purchase intention in lifestyle store of car brand. For this study, the pictures of lifestyle store of car brand such as BMW and Ferrari were chosen. After respondents looked at them,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vered car purchase orientation,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lifestyle store of car brand. Respondents were limited to subjects aged 20 to 49, with experience of car ownership. Four hundred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r purchase orientation was extracted as three factors: pursuing personality of car style, emphasis on family practicality and preference on big and expensive car. Second,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was extracted as three factors; interest on fashion, brand and luxury preference and emphasis on care and fabric. Third, car purchase orientation was related to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ourth, car purchase orientation without emphasis on family practicalit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urchase intention in lifestyle store of car brand. Pursuing personality of car style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 more greatly than preference on big and expensive car. Finally,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without emphasis on care and fabric positively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supports that the lifestyle store of car brand should put more focus on customers that pursue car personality and are interested in fashion.

      • KCI등재

        여고생의 SNS라이프스타일과 패션쇼핑성향, 패션선호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최수경(Choi, Soo K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SNS라이프스타일과 패션쇼핑성향, 패션선호이미지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자료 수집은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340명의 여고생을 대상으로 2016년 9-10월에 실시되었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SNS라이프스타일의 요인은 쇼핑 및 학습관심, 정보활용, 사교활동, 사용미흡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패션쇼핑성향의 요인은 유행추구, 유명브랜드추구, 편의성추구, 어울림추구, 경제성추구의 5개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패션선호이미지의 요인은 심미성, 발랄성, 단정성, 실용성, 현시성, 유행성의 6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SNS라이프스타일은 패션쇼핑성향과 패션선호이미지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라이프스타일은 패션쇼핑성향과 패션선호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NS라이프스타일의 쇼핑 및 학습관심은 패션쇼핑 성향과 패션선호이미지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소비자를 표적시장으로 하는 패션산업체의 마케팅 기획 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NS lifestyle,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and fashion preference imag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16 from 34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s living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data were gathered by using questionnaire forms.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The methods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rrelations, and regression have been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The factors of SNS lifestyles consist of four dimensions of shopping⋅learning interest, information utilization, social activity, and lack of use. The factors of fashion shopping orientations consist of five dimensions of trend-pursuit, brand-pursuit, convenience-pursuit, fittingness–pursuit, and economy-pursuit. The factors of fashion preference images consist of six dimensions of neatness, lively, neatness, aesthetic appreciation, practicality, visibility, and trend. SNS lifestyles resulted in a correlation with fashion shopping orientations and fashion preference images. SNS lifestyles had a influence on fashion shopping orientations and fashion preference images. In particular, the shopping⋅learning interest of SNS lifestyle had a great influence on fashion shopping orientations and fashion preference images.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is study is used as the useful sources of marketing plans of fashion industries targeting adolescent consumers.

      • KCI등재후보

        국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위한 컨셉 개발 방향 제안 연구- 일본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

        오수진,김영롱,나건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7 No.4

        This thesis is to suggest a new concept development strategy of lifestyle brand, which has emerged a big issue due to the changes of customer’s lifestyle and their way of thinking. In the present society, single-person household has been increased and individual value has significantly changed. New customer has been emerged and the appearance has brought the diversity of lifestyle. Thus, customer needs have been changed, and it has lead the appearance and expansion of shops with lots of lifestyle products. In this thesis, it has defined a lifestyle brand which is an inadequate field for studying its concept to analyze the sit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lifestyle shop. It also has explored to classify the shops deal with lifestyle products and the customers of lifestyle shop. As a result, Japan has developed the most various lifestyle brand as a trailblazer in the field of lifestyle brand. Therefore, the thesis has studied Japanese lifestyle brands ‘Muji’ and ‘Francfranc’ which are one of the most popular lifestyle brands in Japan and also Korea for a preceding research.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concept, product, customers and positioning of two lifestyle brands 'Muji' and 'Francfranc' and then has founded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actual state of Korean lifestyle brand. It is not simply about the methodology of past that sells and displays the related product but suggests a new brand concept for providing new lifestyle. Lifestyle brand could bring various items for the customers’ lifestyle in a space. It also expresses the brand value including the all of the related products and culture, food and exercise added entertainment elements in lifestyle concept. So, the thesis has studied the new concept development direction that suggests lifestyle trend for the improvement of lifestyle brand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의 다양한 생활양식, 사고방식의 변화로 이슈가 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새로운 컨셉개발 전략 제안에 대한 내용이다. 최근 사회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개인의 가치관이 존중되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그로 인해, 신소비자가 등장하고 욕구 충족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의 다양화를 초래했다. 그래서, 소비자의 니즈가 변화하고 라이프스타일 제품에 관한 다양한 숍이 출현 및 확대되었다. 아직 개념 정리가 미비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에 관해 정의하고, 국․내외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관련 현황에 대해 분석했다. 해당 제품 관련 매장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관련업계 소비자에 대해 탐구했다. 그 결과, 일본이 세계적으로 가장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으며, 업계에서 선구자적인 입장에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일본내에서도 1,2위를 다투고, 국내에 진출해 성공적인 매출을 거두고 있는 ‘무인양품(MUJI)’과 ‘프랑프랑(Francfranc)’을 선행 사례로 연구했다. 두 브랜드의 컨셉, 제품, 고객, 포지셔닝에 관해 리서치 한 후, 국내의 실정에 맞는 발전방향을 모색했다. 단순히 상품 진열을 통해 판매하던 과거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신개념의 브랜드를 제안했다.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다양한 아이템을 한 공간에서 전개하는 것이다. 컨셉에 맞는 모든 생활관련 상품을 취급하거나 문화, 음식, 운동 등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가미해 상품이 아닌 브랜드 가치를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발전을 위해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제안할 수 있는 뉴컨셉 개발 방향을 연구했다.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 중요성에 관한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오임경(Oh, Rim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논문은 정보 과다의 현대 사회 속에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을 제공받고자 하는 대상에게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패션 산업 분야의 상업적 가치 창출 도모에 이론적으로 도움이 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현재 한국의 인구 비율과 평균적으로 안정된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3 · 40대 한국남성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고 소셜 커뮤니케이션 사용 현황을 분석하여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관한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 정보 데이터를 중심으로 논문과 단행본 도서 · 출판물 및 각 기관 조사 자료를 통하여 조사 및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 중요성에 조사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시켰다. 첫째, 최근 등장한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빅데이터가 수집하는 방대한 양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다. 무분별한 정보 속에서 사용자의 만족을 충족시켜주는 정보를 선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 전달해주는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이 빅데이터의 중요성과 더불어 현대 사회에 필요한 서비스 디자인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 분석 해본 결과 다른 연령층에 비해 경제적인 소득이 높은 3 · 40대 한국남성은 외모에 관한 관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 · 40대 한국남성의 인터넷 및 소셜 커뮤니케이션의 사용 빈도수, 이용량 및 의존도도 3 · 40대 한국 여성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 분석 결과 패션 관련 소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중요성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외모의 관심도와 인터넷 및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의존도가 높은 3 · 40대 한국남성은 패션시장이 점차적으로 커짐에 따라 빅데이터는 있으나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충족하기 위한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이 미흡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3 · 40대 한국남성이 비율과 소비성향 및 경제력을 바탕으로 호기심과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급부상 되어 지고 있는 남성 패션 마켓에 대응하여 글로벌 마켓에서의 경쟁력을 강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조사 연구를 통하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3 · 40대 한국남성들을 위한 패션 큐레이선서비스 디자인을 구축하고 활용하면 패션과 디지털 기술 융합의 가치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information to the targets that intend to receive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by recognizing its importance based on the big data in the modern society with excessive information, to theoretically support the commercial value cre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For the range of study, we researched focusing on the lifestyl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 40s who have stable economic power, average population group in Korea, analyzed the status of social communication use, which led the conclusion about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the research method, we used the survey and analysis through theses, monography, publications, research documents and survey data of institution mainly with domestic data.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Big data means the technology that can manage, analyze the extensiv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for information managed and analyzed by Big data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refers to curation service. The service focusing on fashion among many of contents curation service design is the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Second, when researching lifestyl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 40s, they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their economic income is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and show the tendency of increasing fashion-related consumption. In addition, the frequency, use amount, and dependence of internet and social communication by Korean males in their 30s and 40s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Korean females in their 30s and 40s. Third, if utilizing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s who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highly dependent to internet and social communication,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the consumption increas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s that has been bigger in the fashion market. Therefore, if providing a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that satisfies their curios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ratio, consumption trend and consumption power, respectively, it shows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be developed into an important service design for the future of the male fashion market.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build the value of fashion and digital technology convergence by constructing and utilizing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th based on Big Data. In addition, we are looking forward to strengthen our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in response to the rapidly emerging male fashion market.

      • KCI등재

        패션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라이프스타일 집단 간 비교

        고은주(Ko Eun Joo),김경훈(Kyung Hoon Kim),권준희(Joon Hee Kwon) 한국마케팅과학회 2006 마케팅과학연구 Vol.16 No.3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기업의 마케팅 도구로서 온라인 커뮤니티가 등장하였으며 최근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패션 기업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고객과 관계를 형성하며 궁극적으로는 고객 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측면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패션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성을 분석하고 2)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세분화된 집단 유형별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커뮤니티 특성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른 효율적인 온라인 커뮤니티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패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제공되는 특성은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흥미제공성’ 3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집단을 세분화한 결과 ‘무관심형’, ‘감각추구형’, ‘합리추구형’의 3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라 온라인 커뮤니티특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관심형 집단은 커뮤니티의 상호작용성이, 감각추구형 집단은 정보제공성이, 합리추구형 집단은 흥미제공성과 정보제공성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패션 온라인 커뮤니티 회원들의 커뮤니티 이용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궁극적으로 패션 기업의 온라인 커뮤니티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시하였다.   Importance of on-line community has been increased and also on-line community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marketing tool. Fashion companies also considered that on-line community provides opportunities to develop customer relationship and to improve customer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on-line community, 2)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factors affecting brand loyalty among fashion lifestyle groups. For data collectio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fashion on-line community members in Daum portal site and total 404 subjects were used for this stud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first, characteristics of fashion on-line community were classified as three factors : "interactivity", "information provision" and "interest provision". Second, the impact of fashion on-line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brand loyal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lifestyle groups. The results from this empirical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trategic planning about fashion on-line community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on-line community users.

      • KCI등재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 평가기준 및 구매실태

        전민지,오희선,김지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3

        This study identified the outdoor wear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practices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For data collection,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by 267 male and female consumers aged 20s' to 30s' living in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7.0 for Windows, the factor analysis using Varimax,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 test, and χ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shion lifestyle includes six different pursuits; interest in fashion, self-display, brands, price, practical usages, and individuality. Those pursuits tend to divide the respondents into three different groups; the first group with self-display and brand pursuits, the second group with interest and individuality pursuits, and the third group with a practical usage pursuit. Second, outdoor wear evaluation criteria include four influential factors; functionality, fashionability, brand orientation, and economy. A noticeable difference has been shown among the three groups in evaluating fashionability and brand orientation. When making a purchase, the first and second groups considered fashionability most, and the first group particularly valued brand orientation more than the other groups. Third, another finding from analyzing different outdoor wear purchase practices suggests that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in where the groups buy outdoor wear. The first and second groups go to department stores, and the third group to outlets. Overall, respondents wear the outdoor clothing when hiking or being casual, shop once or twice a year, spending less than 600,000 won, and ask opinions mostly of their friends or co-workers regarding the purchase. The brands they mostly buy are, in order of preference, North Face, Kolonsports, K2, Nepa, Lafuma, and so on. 본 연구는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의 평가기준과 구매실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부산시내에 거주하는 20~30대 남녀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중 총 26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SPSS 17.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 Duncan-test, χ2-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라이프스타일은 패션관심추구, 패션과시추구, 브랜드추구, 가격추구, 실용추구, 개성추구의 6개 차원으로 밝혀졌으며, 과시/브랜드추구집단, 패션관심/개성추구집단, 실용추구집단의 3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 평가기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아웃도어 웨어 평가기준은 기능성, 유행성, 브랜드 지향성, 경제성의 4개의 차원으로 밝혀졌으며, 유행성과 브랜드 지향성 요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시/브랜드추구집단, 패션관심/개성추구집단은 아웃도어 웨어 구매 시 평가기준으로 유행성을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과시/브랜드추구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브랜드 지향성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 구매실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구매 장소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시/브랜드추구집단과 패션관심/개성추구집단은 주로 백화점에서 아웃도어 웨어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용추구집단은 상설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20~30대 남녀소비자들은 등산복과 일상복으로 착용하기 위해 아웃도어 웨어를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빈도는 1년에 1~2회, 구매비용은 1년에 60만원 미만, 구매 시 이용하는 정보원으로는 친구·직장동료로부터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브랜드는 노스페이스, 코오롱스포츠, K2, 네파, 라푸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이 패션편집숍 VMD선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최수경(Choi, Soo K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스타일이 패션편집숍 VMD 선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자료수집은 서울,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창원 지역에 거주하는 317명의 20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4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변량분석, Duncan-test,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라이프스타일의 요인은 도전추구, 유행지향, 스포츠관심, 사회활동선도, 자기중심, 성취지향⋅IT관심, 인터넷웹서핑선호의 7개 차원으로 구성되었고, 패션편집숍 VMD선호이미지의 요인은 주목성, 온화함, 심미성, 질서성, 간결성, 생동감의 6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라이프스타일과 패션편집숍 VMD선호이미지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라이프스타일과 패션편집숍 VMD 선호이미지는 의복 평균 구매 횟수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라이프스타일은 패션편집숍 VMD선호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사회활동선도와 도전추구는 패션편집숍 VMD선호이미지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패션편집숍의 활성화 방안 및 매장 연출, VMD기획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where lifestyle makes influence on VMD preference images of fashion multi-brand store. The survey has been made between March and April of 2018 in order to collect data, targeting 317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Seoul, Daejeon, Gwangju, Daegu, Busan, and Changwon. SPSS program has been adopted to carry out the following analysis: the methods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Duncan-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The factors of lifestyle consists of seven dimensions of challenge-pursuit, trend-oriented, sports-interest, social activity-lead, egocentricity, achievement-oriented · IT-interest, and internet web surfing-preference. The factors of VMD preference images of fashion multi-brand store consist of six dimensions of attention, mildness, aesthetic appreciation, order, simpleness, and movement. It appears to be different between lifestyle and VMD preference images of fashion multi-brand store, subject to gener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it appears to be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lifestyle and VMD preference images of fashion multi-brand store, subject to average number of clothing purchases. Lifestyle partly give influences on VMD preference images of fashion multi-brand store. And of these, social activity-lead and challenge-pursuit exert a noticeable influence on VMD preference images of fashion multi-brand store.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source for the revitalization of fashion multi-brand store business, store design, and VMD planning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