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왜 판단력의 적용대상은 예술이어야 하는가? -I. Kant의『판단력비판』 <제2서론>을 중심으로-

        양희진 ( Hee Jin Yang )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8

        『판단력비판』의 핵심주제는 기술에 대한 판단력의 반성의 문제이지만, 구체적으로 이는 기술 중에서도 ‘예술’이고, 이를 다루는 판단력은 ‘취미’이다. 이는 우리는 칸트의 <서론> 말미 <영혼능력에 대한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여기서 판단력의 적용범위를 기술로 규정하지만, 이때의 기술은 판단력이 취미라는 사실에 의해 구체적으로 예술임이 밝혀진다. 이는 그의 <표>에서 판단력이 쾌와 불쾌의 감정과 관계한다는 사실에 의해서 드러난다. 칸트에 따르면 취미는 아름다운 감정의 보편타당성을 검사하는 능력이다. 그렇다면 어떤 기술이 아름다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가? 이는 기술 중에서도 예술뿐이다. 따라서 칸트의 『판단력비판』의 모든 문제를 예술과 관련된 문제로 귀결시키는 것은 정당하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오히려 칸트의 문제 상황을 축소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그는 <서론>에서 다양한 판단력들을 소개한다. 요컨대 취미는 반성적 판단력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취미의 반성은 미적 판단에 대해서 칸트가 정의한 판단력의 반성이상의 것을 반성하는 것처럼 보인다. 취미는 ‘미의 판단의 발생과정’과 ‘그러므로 이러한 판단이 인식판단처럼 보편타당하다’는 사실을 동시에 반성한다. 따라서 판단력이 아름다운 감정과 관계할 경우, 결과적으로 이는 판단력의 반성을 축소시키기보다, 확장시킨다. 마찬가지로 표면적으로 판단력의 적용범위가 예술이라는 분야로 축소되는 것 같지만, 알다시피 예술의 대상은 주어진 현상을 초월한다. 따라서 취미의 반성 활동과 예술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예술은 오히려 판단력의 반성의 범위를 보다 확장시키고, 이 영역에서 보편타당성을 검사하기 위해 판단력을 더 깊은 숙고로 인도한다. Man sagt, dass es sich bei der Kritik der Uriteilskraft Kants um die Reflexion der menschlichen Urteilskraft und die Kunst handelt, wie der Tafel der oberern Seelenvermogen im letzten Teil der zweiten Einleitung zeigt. Dies wird aber in eine Frage nach der Beziehung der Geschmack auf die schone Kunst konvergiert. Dafur gibt es auch einen Schlussel, dass der Urteilskraft sich mit dem Gefuhl der Lust und Unlust verbunden wird. Kant interessiert sich hier nur uber das allgemeingutige Gefuhl. Es ist nichts anderes als das reine schone Gefuhl. Der Geschmack von den Urteilskraften wird sich gerade auf die schone Gefuhl, die allgemeingutig ist, verbunden. Er ist besonders ein Urteilskraft, die Allgemeingutigkeit des schonen Urteiles zu prufen. Außerdem welche Kunst erregt dieses schone Gefuhl? Es ist nur die schone Kunst der verschieden Kunsten moglich. Also ist es ganz gultig, alle Aufgaben der Kritik der Urteilskraft mit dieser Kunst zu verbinden. Aber dieser Gedanke verengt oder verzerrt m. E. die eigentlichen Ideen Kants. Er stellt in der Einleitung verschiedene Urteilskrafte vor, zu denen auch Geschmack gehort. Allerdings erscheint er beim asthetischen Urteil viel reflexiver als die Reflexion der Urteilskraft selbst. Ausserdem reflektiert Geschmack nicht nur den Prozess des asthetischen Urteiles, sondern dessen Allgemeingultigkeit, wie sie sich auch beim Erkenntnissurteil zeigt. Daher schmalert das asthetische Gefuhl die Reflexivitat der Urteilskraft nicht, insofern als diese auf jenes bezieht. Ganz im Gegenteil. Und es ist zu betonnen, dass die Anwendungssphare der Urteilskraft die Erscheinungen transzendiert. Aus diesem Problembewusstsein her zielt diese Arbeit darauf ab, zu zeigen, dass die Kunst die Reflexionstatigkeit der Urteilskraft vergrossert und die Urteilskraft dadurch ihre Allgemeingultigkeit in der tieferen Ebene pruft.

      • KCI등재

        사비니의 법적 판단론과 칸트의 반성적 판단력 - 한국 사법학(私法學) 방법론에서 법적 판단 구조의 해명과 지향점에 관한 제언(提言)

        남기윤 ( Nam Ki Yoon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고려법학 Vol.0 No.84

        칸트가 지성으로부터 판단력을 구별하고 이를 독자적 정신능력으로 인정하면서, 특수와 보편 사이의 적용문제가 새롭게 등장한다. 전통적 포섭모델은 특수의 개별성과 독자 가치를 인정하지 아니하고 단지 이를 지성의 논리적 추론을 통해 보편에 환원시킬 뿐이었다. 그러나 판단력이 적용되는 경우 특수가 사고의 중심이 된다. 특히 반성적 판단은 특수를 출발점으로 하여 비교·귀납·유추 등의 여러 수단을 동원하여 미지의 보편을 찾으려 한다. 칸트는 이 반성적 판단력이 활동하는 분야를 자연의 아름다운 대상에서 찾으면서, 미학 차원에서 적용을 논한다. 당시 법학도 개별사례와 법규범의 관계를 적용 문제로 보지 않았다. 법규범에 대한 인식론적 해명, 즉 해석론만이 문제이었으며, 사건은 단지 형평이나 사물의 본성 이론에 의해 고려될 뿐이었다. 사비니는 이 전통과 결별하여 법적용을 단순한 포섭이 아닌 반성으로 생각함으로써, 미학 차원에서의 논의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이 관점을 계승하여 본고는 개별에 우위를 두는 칸트 미학 차원의 판단 구조, 그리고 이 미적 판단요소의 법적판단으로의 수용가능성 여부를 밝혀보려 한다. 만약 양자의 연관성을 논증해 낸다면, 현대 방법론은 그 지평을 확장하면서 큰 학문적 자산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i)칸트의 반성적 판단력과 사비니의 `살아있는 직관` 간의 연관성, (ii)사비니의 법적 판단론의 현대적 가능성 여부, (iii)이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 법실무의 판단구조 해명과 그 지향점을 탐구한다. 그런데 칸트의 반성적 판단력과 사비니의 법적 판단론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는 작업은 쉬운 일이 아니다. 첫째로 칸트는 미적 판단을 법적판단에 확장하는 것에 소극적이며 양자 사이의 유비관계를 인정하지 아니하고 단지 최소한의 친족 관계로만 생각했으며, 둘째로 사비니도 칸트를 직접 인용하거나 판단력이라는 표현을 그의 저작 중에 전혀 사용하지 않은 점이 그 이유이다. 따라서 양자의 연관성에 관한 논증 작업은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한다. ①양자의 판단론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고리를 찾아야한다. 칸트에 의하면 법적 판단에 관여하는 것은 반성적 판단력이 아니라 규정적 판단력이므로, 사비니가 법적 판단과 반성적 판단 사이의 연관성에 주목한 것을 그의 천재적 착상에 의한 것으로 돌릴 수만은 없다. 칸트 미학의 외연적 확장의 연결고리를 찾으려면 사비니 방법론에 내재해 있는 인문주의적 전통(II, 3), 칸트의 미와 도덕성의 관계, 그리고 쉴러 및 초기 낭만주의 사상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여야 한다(IV). ② 사비니 법적 판단론 형성의 맹아기에 해당하는 청년기 사상을 검토하여야 한다. 20세 때 이미 칸트 실천철학을 비판하고 반성적 판단력을 그의 사상 안에 수용했기 때문이다(V). ③ 판단력의 반성적 계기가 법적 판단론으로 가공되는 과정을 그의 방법론 문헌들에서 확인하여야 한다. 사비니는 로마 법률가의 판단방법에서 반성적 판단력이 작용하고 있음을 간파하고, 이를 매개로 반성적 판단력과 법적판단의 결합을 시도한다(VI). ④ 사비니는 법적판단을 `살아있는 직관`으로 파악하는데, 이 직관에 반성적 판단력의 구조 징표들이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사비니 저작 문헌들에서 확인해 나가야 한다(VII). 그리고 이러한 연구의 전제로서 (II)에서는 본 주제의 이해에 기본이 되는 몇 가지 사항들을 검토한다. 예를 들면 취미이론·실천적 지혜론(prudentia)·판단론 등의 발전 과정에 관한 것이다. 이 이론들은 인문주의와 합리주의 사이의 긴장관계에서 전개되면서 칸트와 사비니 판단론의 배경을 이루고 있다. (III)에서는 판단력이 반성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계기들을 검토한다. 사비니는 직관 개념만을 제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반성적 판단력의 구조징표에 대한 칸트 이론의 고찰은 불가피하다. (VIII)에서는 현대 방법론의 법적 판단론에서 칸트가 남긴 유산, 특히 평가적 요소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IX)에서는 한국 사법학 방법론에서의 법적판단의 구조해명과 지향점을 검토한다. Was das Verhaltnis von Fall und Norm betrifft, so ist es eine Feststellung geworden, daß das traditionsmaßlge Subsumtionsmodell zur Beschreibung nicht ausreicht. Kant hat die Problematik genau gekannt, und die Unterscheidung zwischen Verstand und Urteilskraft geleistet. So ist die Urteilskraft das Vermogen, das Besondere als enthalten unter dem Allgemeinen zu denken. Ist das Allgemeine(die Regel, das Gesetz) gegeben, so ist die Urteilskraft bestimmend. Ist aber nur das Besondere gegeben, wozu sie das Allgemeine finden soll, so ist die Urteilskraft bloß reflektierend. Savigny hat als einziger Jurist seiner Epoche gesehen, daß das Problem von Fall und Norm nicht nur ein Problem der Subsumtion, sondern auch der Reflexion ist. In diesem Hintergrund sehen wir Uberlegungen Kants zur reflektierenden Urteilskraft, die von Savigny in die Terminologie der Anschauung ubertragen wurden. In diesem Aufsatz werden drei Punkten behandelt. Erstens widmet sich dieser Beitrag der Frage, inwieweit die Rolle der reflektierenden Urteilskraft im System der Kant`schen Philosophie in die juristischen Entscheidungslehre transformierbar ist. Unsere Frage geht dahin, ob Savigny mit Hilfe der Kants reflektierenden Urteilskraft Ansatze zur Problembeschreibung liefert. Was die heutige Situation betrifft, erhebt sich die zweite Frage, ob einzelne Elemente von Kants Theorie der Urteilskraft und Savignys Theorie der Anschauung auf die heutige Methodenlehre verwendbar ist. Drittens beschaftigt sich die vorliegende Arbeit mit der Frage, wie sich die Entscheidungsstruktur in unsere Rechtspraxis erklaren laßt, und wonach sich unsere Rechtspflege richtet.

      • KCI등재

        칸트 철학에서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 - 보편과 특수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박수범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0 No.1

        We might say that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the world is composed of experience. We can also say that experience is judging a judgment whether the judging is mad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refore, considering Kant’s the power of judgment is associated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which deals with the manner how human being is related to the world. This paper which has above background will consider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concretely. The judgment of cognition which is thematized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is the main province of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to which the universal is already given. By contrast, In the case of judgment of taste, there is no universal to subsume the particular, so we nee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to find the universal. At first glance,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which descends to the particular from the universal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which ascends to the universal from the particular act independently; the former in the field of cognition, but the latter in the field of beautiful(art, sublime). I think that traditional interpretations did not dig into the relation between two powers of judgment because they generally had premised that two powers of judgment are irrelevant to each other and limited to different field. Once again, this paper throws the following question. Is the intention of Kant’s distinction between the determing power of judgment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really means that two different powers of judgment act separately in different field? Through revealing that the activity of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is necessary when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ctually descends to the particular from the universal, the auther attempts to read out Kant’s discernment about the power of judgment. 우리 인간과 세계의 관계는 경험에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험이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혹은 현재적이든 잠재적이든 어떠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따라서 칸트의 “판단력”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은, 판단을 통해 과연 우리 인간은 세계와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하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과도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배경을 갖는 본고는, 구체적으로는 칸트 철학에서의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보편적인 것이 미리 주어져 있는 규정적 판단력의 본령을 이루고 있는 곳은 인식판단이다. 하지만, 취미판단을 내리는 경우에는, 그러한 인식판단에서처럼 특수한 것을 포섭하기 위한 보편적인 것이 미리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보편적인 것을 찾아내기 위한 반성적 판단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얼핏 보기에, 보편으로부터 특수로 하강하는 규정적 판단력은 인식의 영역에서, 그리고 특수로부터 보편으로 상승하는 반성적 판단력은 미(예술, 숭고)의 영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해석은, 위의 두 판단력을 각자 다른 영역에 한정된 무관한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전제한 뒤,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 더 이상 파고들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본고는, 칸트가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을 구분하는 진의가, 양자는 각각 다른 영역에서 무관하게 활동하는 판단력이라는 점을 드러내려고 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물음을 던져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는, 규정적 판단력이 보편으로부터 특수로 실제로 하강할 경우에는, 반성적 판단력의 활동이 불가피함을 드러냄으로써, 판단력에 대한 칸트의 통찰을 읽어내고자 한다.

      • KCI등재

        창의적 판단력의 반성 방식과 실제: 《철학상담 애플리케이션 설계하기》 취업 프로그램 사례를 토대로

        양희진 ( Yang Hee-ji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2

        필자는 창의적인 사고가 판단력을 통해 길러진다는 입장이다. 칸트에 따르면 창작은 이념을 현시하는 활동이다. 그러나 상상력은 개념을 통해서만 현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이 실질적으로 가능하기 위해서는 개념이 이념을 포괄할 만큼 그 의미가 확장되어야 한다. 말하자면 개념의 의미를 확장시켜 이념을 포섭하게 만드는 것이 판단력이다. 본고는 『판단력 비판』, <제1서론>에서 칸트가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판단력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제안하려고 한다.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구성 방식은 판단력을 단련시키기 적합하다. 각각의 앱 메뉴항을 보면 큰 항목이 작은 세부 항목을 포섭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에 착안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앱 설계를 통해 이른바 창의적 판단력 훈련을 시도한 바 있다. 본론에서는 실제 참여자들의 결과물을 가지고 판단력의 훈련 방식을 세 단계로 설명한다. 먼저 ‘개념 발견하기’ 단계는 판단력이 주어진 이념에 어울리는 개념을 찾는 것이다. 두 번째는 ‘분류하기’ 단계로서 판단력이 자신이 발견한 개념들을 가지고 상부에서 하부 개념으로 일관성 있게 분류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는 ‘평가하기’ 단계이다. 작품의 미적 가치를 평가하는 경우, 판단력은 자발적으로 개념의 적절성, 분류 방식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판하고 평가한다. 필자는 앱 설계 과정 속에서 이념을 포괄하기 위해 참여자의 판단력이 어떤 경험개념들을 찾아 어떻게 그것들을 분류하고, 평가하는지를 설명한 후, 참여자들의 창작물에 대한 성찰 내용을 통해 판단력 훈련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I am of the view that creative thinking is nurtured through the reflection of judgment. According to Kant, creating is the activity of representing an idea. However, since imagination can be represented only through a concept, in order for this to be practically possible, the meaning of the concept must be expanded to include the idea. In other words, it is the judgment that makes it embrace the idea by expanding the meaning of the concept. This essay intends to suggest the method to activate judgment based on Kant's analysis of First Introduction in Critique of Judgment. The method of configuring the menu of the application is suitable for training the judgment. This is because, if one looks at each app menu item, large items are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small detailed items are included. With this in mind, I have tried to implement a so-called creative judgment train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app designing. In the main chapters, the training method of the judgment is explained in three stages with the resulting data of actual participants. The first stage of ‘finding a concept’ is that judgment discovers a concept that fits a given idea. The second stage as ‘classifying’ is that judgement consistently classifies and assigns new meanings from the upper to lower concepts with the concepts discovered by itself. The third stage is the step of evaluation. When evaluating the aesthetic value of a work, the judgment voluntarily criticizes and evaluat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cept and the method of the classification. To encompass the idea in the process of the app design, I explain how the participants' judgment delineates experiential concepts, categorizes them, and evaluates them, and then emphasizes the need for judgment training through reflection on the creations of the participants.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정치철학에 대한 기초적 고찰 ―칸트의 <판단력비판>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임미원 한국법철학회 2014 법철학연구 Vol.17 No.3

        Kant's practical philosophy is grounded on the concepts of subjective morality and formal universality, for which the practical reason offers the categorical imperatives. But the categorical imperatives have difficulty:1. They do not explain whether and how man can actually bring about the moral goals. 2. The imperatives do not add how man can choose between the variety of maxims and actions. Kant reflects on these problems and solves them not through the ‘political’ philosophy, but through his own ‘historical’ philosophy. Arendt's conception of political judgment is interrelated with her critical interests in this insufficient solution of Kant. She finds above all in Kant's concept of ‘aesthetic reflective Judgment’ the productive alternatives to the dogmatic practical reason. Analyzing Kant's <Critique of Judgment> Arendt describes on the one hand the imagination and reflection as the main intellectual capacities and tools for ‘aesthetic reflective judgment’. She explains on the other hand that Kant's aesthetic concepts of ‘sensus communis’ and ‘enlarged mentality’ can provide the impartiality and general communicability of that judgment. Opposed to the prejudices and ‘thinklessness’ these intellectual capacities and senses can produce not only the validity of the aesthetic judgment, but also that of the political judgment. Arendt's political thinking as whole emphasizes as the human condition the ‘natality and plurality’ of man, the ‘space of appearance’, and the ‘capacity of speech and representation’ that are presupposition of the community sense and political valid judgments. Under this human condition can all men live ‘vita activa’, which strives for the politics of ‘pure ends’ and ‘non-sovereignty’. In spite of some misreading Arendt's Interpretation of <Kant's Critique of Judgment> is to be read as the political productive transformation of Kant. 20세기의 정치철학자 한나 아렌트는 모든 사유를 멎게 한 전체주의 체제를 이해하기 위해 근대로 눈을 돌렸다. 근대 부르주아 시민사회의 물질적 자기욕구가 극단으로 치달았을 때 나타난 것이 전체주의 체제였고, 이런 근대 시민사회의 특징을 무엇보다 ‘노동’과 ‘사회적인 것’의 지배, 그리고 ‘정치적인 것의 소멸’로 진단한 아렌트는 다시금 근대에 결핍된 정치성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고대의 정치철학에 접근하였다. 아렌트가 확인한 바로는, 적어도 고대의 정치‘철학’은 정치에 친화적이지 않았으며, 관조하는 삶이라는 이상 아래 오히려 인간 삶의 모든 反정치적 위계를 정당화했다. 이런 고대 정치철학 및 근대성에 대한 비판에 기초하여 ‘20세기의 정치적 무관심, 무의지, 무사유 현상이 어떻게 가능했는가, 그것은 인간 내의 어떤 능력이 작동 중지되었기 때문인가’의 문제를 추적한 아렌트는 그 원인을 인간의 실천이성(의 결핍)에서 찾기보다 판단력(의 상실)에서 찾았다. 이성적 인식-의지의 능력보다 구체적 개별적 상황 속에서 판단하는 능력이 문제였다는 것이다. 이로부터 아렌트는 정치적 판단력의 이론화에 관심을 가졌고, 그 실마리를 칸트의 <판단력비판>에서 찾았다. 칸트가 미감적 판단력 분석에서 선험적-주관적인 인식능력으로서 ‘무관심성과 불편부당성을 충족시키고 반성작용을 준비하는 기능’이라고 설명했던 상상력을 아렌트는 ‘비판적 사고를 위한 정치적 자유 실현의 주관적-인지경험적 조건’으로서 재해석했다. 더 나아가 칸트가 미감적 판단에서 사적 감각(쾌감)의 보편적 전달가능성 및 소통가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미를 일종의 공통감으로 환원해 설명한 것에서부터, 보다 적극적으로 ‘정치적 정서 차원의 공통감 내지 공동체 감각’을 이끌어냈다. 아렌트는 칸트의 <판단력비판> 중 미감적 판단력 부분을 정치적 판단력 이론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여러 사유 상의 변용―판단능력의 경험성, 판단 주체의 복수성, 공통감각 및 확장된 심성의 역할―을 더하였다. 이 점이 아렌트의 판단이론이 갖는 고유성인 동시에 칸트의 판단이론에 대한 오독-왜곡이 이야기되는 근거지점이다. 결국 아렌트는 칸트의 <판단력비판>을 통해 정치적 세계의 에토스와 파토스를 이론화시킨 동시에, 칸트의 <판단력비판>이 갖는 미학적 편향성과 인지적 선험성 및 독백성의 문제를 의식함으로써 칸트의 판단력 비판을 다시금 경험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칸트의『판단력비판』에 있어서「색채」개념에 관한 연구

        최재석(Choi jaesuk)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2

        본 연구는 칸트의 『판단력비판』의 다양한 개념 중에서,「색채」의 미감적 인식에 대한 고찰이다.『판단력비판』에서「색채」개념은 여러 곳에서 도입되어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판단력비판』의주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본질적인 미감적 판단의 개념으로 위치지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판단력비판』에서「색채」개념은 어떤 대상을 표상하는 보완적인 위치에 있거나, 다양한 미감적 경험을 유발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개념을 유추내지는 상징화하거나, 어떤 대상에 대한 보편적 의미를 갖게 하고, 더불어 어떤 감각을 공통적으로 전달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접근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색채」개념은 아름다운 것에 대한 미감적 판단의 규정 근거에서, 칸트는 의도적으로 배제시켰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배제에도 불구하고, 칸트는 감각적 질료로서 「색채」가 회화의 한 분야로서 인정받기위해서는 일정한 형식이 요구되고, 이러한 조건에 충족되었을 때에만, 색채는 미감적 개념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판단력비판』에서의 「색채」개념을 고찰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고찰의 첫 단계로, 『판단력비판』이전의 『순수이성비판』에서 「색채」개념은 어떠한 의미로서 도입되고, 표상되었는지를 우선 검토한다. 여기서 볼 수 있는 「색채」의 감각적 성질이, 『판단력비판』에서는 어떠한 의미로 이행되고, 미감적 경험을 유발시키는 다의적 의미로 전환, 확장되었는지 고찰한다. 이러한 의지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판단력비판』이전의『순수이성비판』에서 「색채」는 형식보다는 질료라는 감각적 성질로 인식되었으나, 『판단력비판』에서의 「색채」개념 - 신체감각으로서의 색채, 다양을 종합화하는 역할로서의 색채, 보편적 전달가능성으로서의 색채, 공통감각으로서의 색채, 지적 관심으로서의 색채, 그리고 다양성의 통일을 근거로 하는 합목적적으로서의 색채 등 - 은 다양하게 전개됨을 고려할 때, ‘다의적(多義的)이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discussion on the aesthetic perception of color among various concepts in Kant’s Critique of Judgment(1790). Concept ‘color’ is introduced and applied in many parts of Critique of Judgment, but deviating from the mainstream concepts of Critique of Judgment it is not positioned as a concept of essential aesthetic judgment. In Critique of Judgment, however, concept ‘color’ is in a complementary position representing some objects or plays a major role. For example, the concept is used in various ways to infer or symbolize another concept, to give a universal meaning to an object, or to make some sense commonly communicable. Despite these attempts, however, Kant excludes concept ‘color’ deliberately from the ground for aesthetic judgment of beautiful things. Although it is excluded, Kant asserts that a certain form is required in order for color as a sensuous matter to be accepted as an area of paintings and only when such a requirement is satisfied color can be recognized as an aesthetic concept. Starting from this perception, this study aimed to discuss concept ‘color’ in Critique of Judgment, and as the first step of the discussion, we examine what meanings concept ‘color’ was introduced and represented as in Critique of Pure Reason(1781) prior to Critique of Judgment. In this process, we consider what meanings the sensuous nature of color was translated to and what polysemous meanings inducing aesthetic experiences it was converted and expanded to. And from the result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In Critique of Pure Reason prior to Critique of Judgment, color was perceived sensuously more as a matter than as a form, but in Critique of Judgment, it was ‘polysemous’ considering the various meanings of concept ‘color’ including color as a body sense, color as a role of integrating diversity, color as universal communicability, color as common sense, color as an intellectual interest, and color as purposiveness based on the unification of diversity.

      • KCI등재

        창작의 조건으로서 천재 예술가의 정신과 판단력의 관계

        양희진 ( Yang Hee-jin ) 한국칸트학회 2018 칸트연구 Vol.41 No.-

        칸트는 정신을 천재 예술가만이 갖는 특별한 능력으로 언급하면서도, 그것이 어떻게 창작을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는다. 본 논문은 정신과 판단력을 동일시함으로써 창작과정에서 정신의 활동을 추적해보려고 한다. 그에 따르면 미감적으로 반성하는 판단력은 상상력과 지성의 능력을 확장하는데, 창작을 위해 정신이 하는 일이 바로 이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론에서는 칸트미학 안에서 정신을 판단력과 동일시하려는 이유를 밝힌다(2장). 칸트는 단편 반성 에서 판단력을 정신과 함께 예술가의 천재성을 구성하는 능력으로서 간주한다. 판단력에 대해서는 그가 판단력 비판 에서 충분히 해명하고 있는 바, 이를 토대로 창작하는 정신의 활동을 구체화하려고 한다. 한편 창작의 중요한 조건으로서 취미가 하는 역할을 다룬다(3장). 취미는 작품의 보편타당한 미적 가치를 쾌 또는 불쾌로 평가하는 판단력이다. 그러나 창작을 위해 취미가 하는 역할은 오히려 창작 활동을 방해하는 것이다. 칸트는 평가능력이 어떤 방식으로 창작을 방해하는지 설명하지 않지만, 필자는 불쾌에 의한 평가로부터 취미의 역할을 구체화해본다. 왜냐하면 ‘작품이 아름답지 않다’는 평가는 예술가의 창작 의지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칸트가 제시하는 판정 사례들을 보면 이러한 부정적 평가는 판정자가 자신 또는 상대의 판정의 결함을 알아차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깨닫는 것은 고통이지만, 미적 결함을 극복할 수만 있다면 예술가는 더 나은 창작물을 산출할수 있다. 따라서 본론 마지막 장에서는 정신이 취미의 비판을 어떻게 수용해서 창작으로 승화시키는지를 보여주려고 한다(4장). 요약하자면 예술품을 아름답게 산출하기 위해 정신은 개념을 찾아 이념을 현시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상력이 이념을 포착하는 근원적인 활동까지 총체적으로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결론에서는 창작의 문제는 상상력 중심이 아니라, 판단력 중심으로 다뤄져야 함을 역설한다(5장). 왜냐하면 판단력의 지시에 따라 상상력의 이념은 전혀 다르게 현시될 것이기 때문이다. 상상력을 창조적으로 만드는 것은 창조적 판단력, 즉 정신이다. Immanuel Kant mentioned spirit as a special ability possessed only by genius artist, but did not elaborate on how it makes creation possible. This paper seeks to trace the activities of the mind in the process of creation by identifying the spirit and judgment of artist. According to Kant, aesthetic reflective judgment extends to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because that is what the spirit does in creation. In this sense, I first reveal the reason to identify spirit with judgment in Kant’s aesthetics(Chapter2). Judgment is regarded as one of abilities to consist of the genius of the artist along with the spirit in his fragment of From the Reflections on Aesthetics. Kant explains in detail judgment in Critique of Judgment , and based on this, I try to definitize his special spiritual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as an important condition of creation, I deal with the judgments of taste separately to spirit (Chapter 3). Taste is the ability to judge the universal validity of the beauty of a work through pleasure or displeasure. According to Kant, the role of taste in creation is to interfere with the abilities of creation. He does not explain how the ability of m ere evaluation interferes with creation, but I seek to derive the role of taste from the judgment of taste through displeasure. For if a work produced by artist is not beautiful, it can break his own creative will. However, in the cases of the judgment of taste presented by Kant, these negative evaluations mean that I have noticed the fault in m y―or m y opponent's―judgment. Realizing this can be painful, but if the artist can overcome their aesthetic mistakes, they can produce better creations. In the last chapter of this main section, I try to show how spirit embraces the criticism of taste and sublimates it into creation (Chapter 4). To summarize, in order to produce beautiful artworks, spirit is involved not only in discovering a concept, but also in the fundamental activity of capturing the idea through the imagination. Therefore, in conclusion, I emphasize that the problem of creation should be is not imagination, but judgment (Chapter 5). This is because the idea of imagination is represented as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structions of judgment. Creative judgment, i.e. spirit, makes the imagination creative.

      • 윤리적판단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이용선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19 벤처혁신연구 Vol.2 No.2

        Companies with ethical management can be said to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an organization based on the ethical judgment of its members. In this study, ethical judgment was set up as the subject of the ethical judgment, and the ethical judgment was set up by bosses and colleagues who are members of the business and organization as the factors of ethical judgment.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mpact of ethical judg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the impact of ethical judgment on organizational trust, and analyzed the medium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judg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ed civic action.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to survey 450 worke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South Chungnam Province from October 7, 2019 to November 2, using them as empirical data. The SPS 24.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The study confirmed that ethical judgment was affecting task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and organizational trust, and that parameters such as organizational trust affected tas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depending on how individuals perceive the organization. Ethical judgment has a high impact on organized citize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and ethical management of how to improve ethical judgment is absolutely necessary to enhance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programs that enable a sense of unity with the organization. 윤리적 경영을 하는 기업은 구성원의 윤리적 판단력에 따라서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판단력(ethical judgement)을 주체로, 윤리판단력을 기업, 조직구성원인 상사와 동료를 윤리적 판단력의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에서는 윤리적 판단력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윤리판단력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윤리적 판단력과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9년 10월 7일 부터 11월 2일 까지 서울, 경기, 충남지역 근로자 450명을 설문조사하여 실증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윤리적 판단력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조직신뢰와 같은 매개변수는 개인이 조직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따라서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윤리적인 판단력은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윤리적인 판단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윤리경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조직과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이행론(移行論)으로서의 『판단력 비판』

        오타베 다네히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7 철학논집 Vol.13 No.-

        근래 미학이 취급하는 주제의 확대와 함께 『판단력 비판』이 주목받고 있다. 칸트는 『판단력 비판』에서 볼프 학파인 바움가르텐 이후의 &Auml;sthetik의 용법에 변경을 가하고 있다. 지성과 감성의 차이를 판명함의 정도 차이라고 여긴 볼프학파의 주장에 따라 바움가르텐은 &Auml;sthetik을 「하위 인식능력의 논리학」 또는 「하위인식론」으로 규정한다. 그러나 비판기의 칸트는 지성과 감성의 구분을 판명성의 정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논리적이고 형식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전자는 인식의 능동성에 후자는 수용성에 관계한다는 것이다.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는 &Auml;sthetik의 의미를 진정한 학문일 수 있는「감성론」에 한정시키고, 아름다운 것, 미학과의 관계를 배제시킨다. 이 시기에 칸트는 취미판단에는 아프리오리한 법칙이 존재할 수 없다고 보았다. 『실천이성비판』에서 &Auml;sthetik의 의미는 감성적 직관을 다루는 「감성론」이 아니라, 감정(Gef&uuml;hl)을 다루는 「감정론」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실천이성비판』에서의 「쾌&#8228;불쾌의 감정」은 어디까지나 욕구를 규정하는 한에서의 것이고, 따라서 『판단력비판』에 따르면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쾌적한 것」에 해당한다. 『판단력비판』에서 &Auml;sthetik와 &auml;sthetisch는 구분된다. 전자는 『순수이성비판』의 「감성론」을 지시하기 위해, 후자는 「판단」이라는 용어를 수식하는 형용사로서, 쾌&#8228;불쾌의 감정에 관계하는 판단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칸트는 이렇게 함으로써 &Auml;sthetik을 둘러싼 경합을 해소시킨다. 『판단력비판』 서문에 따르면, 이 비판의 구상은 「인간의 마음 속에 촉발된 체계적인 것」이 그 계기가 되었다. 「취미」에 대한 주목은 사실상 「체계적인 것」에 기초하고 있다. 『판단력비판』에서는 「반성적 판단력」을 매개로 자연과 자유, 쾌적한 것과 선한 것, 미의 무관심성과 경험적 관심 사이의 이행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것이 이 비판서의 가장 핵심적인 체계적 통찰이다. 이 이행은 궁극적으로 외부와 관계하면서 외부의 것을 내부로 변환시키는 동적인 과정, 즉 타율적인 것으로부터 자율적인 것으로의 이행에 의해 이루어진다.

      • KCI등재

        칸트철학에서 판단력과 매개 활동에 관한 연구

        박종식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6 No.-

        본 논문은 칸트 철학에서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의 역할과 각 능력들 간의 일치와 조화, 매개 활동에 관해서 다루고 있다. 오성, 상상력, 이성이라는 능력들 사이의 구분과 갈등 및 그 능력들의 일치와 조화, 매개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추적하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원리나 개념이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특히 ꡔ순수이성비판ꡕ에서 오성 범주의 정당성 문제와 감성과 오성의 매개의 문제는 이후 ꡔ판단력비판ꡕ에서 자연과 자유를 매개시키는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우리는 ꡔ순수이성비판ꡕ과 ꡔ실천이성비판ꡕ, 그리고 ꡔ판단력비판ꡕ에 나타나는 각각의 이성 능력들의 역할이 각 영역마다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영역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이성 능력이 있고 이 능력은 다른 능력과 조화를 이루지만 그러나 또 다른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역할 때문에 갈등하고 분쟁한다. 그러나 이런 부조화를 결국 조화, 일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ꡔ판단력비판ꡕ에서 말하는 공통감이다. 이 공통감에 근거해서 이성의 각 관심영역에서 조화와 일치가 가능하다. 이처럼 칸트 철학의 전체계는 인식 능력들의 조화와 일치, 매개라는 상호적인 관계를 통해서 진리에 대한 내재적인 기준을 제시해 준다. 이것이 바로 칸트가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을 통해서 실제로 제시한 진리관이다. 초월적인 기준에 의해서 진리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이성이 지닌 각각의 능력과 각각의 관심 영역들 속에서 각각의 능력은 다른 능력과 분쟁하고 갈등한다. 그러나 이 능력들은 결국 일치, 조화, 매개를 수행하는데 이것이 가능한 궁극적 근거는 바로 공통감이다. 이런 측면에서 칸트의 철학은 이성 능력들의 분리와 단절을 통한 조화, 매개, 일치의 철학이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이성 능력들의 단절과 조화, 매개 과정을 구체적으로 추적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이질적인 능력들의 조화와 일치를 가능하게 하는 칸트의 사유가 현대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간단히 살펴볼 것이다. Es handelt sich bei dieser Aufsatz um die bestimmende, reflektierende Urteilskraft und die Vermittlungsleistung der Erkenntnisvermögen in Kants Philosophie. Kants Philosophie ist streng dualistisch konzipiert. Sie zerfällt in die zwei Hauptteile der theoretischen und der praktischen Philosophie, in die Hauptteile von sinnlicher Rezeptivität und intellektueller Spontaneität bzw. Anschauung und Begriff, von Natur und Vernunft bzw. Erscheinung und Idee, von Verstand und Einbildungskraft. Die Dichotomien der Kantischen Philosophie immer wieder kommen vor eine unübersehbare Kluft zu stehen. Also wir müssen sich darauf besinnen, wie über die Abgründe Brücke geschlagen werden können, wenn anders die Philosophie, die Erkenntnis und gleichsam die Welt eine Einheit haben sollen, und der Mensch eine Einheit. Aufhebbar sind die Dichotomien auf dem Boden der Kantischen Philosophie zwar in keinem Fall, weil deren Grundfigur eine Polarität ist. Die Pole der Kantischen Philosophie sind nicht schon mit dem jeweils andern vermittelt, sondern müssen als unabhängig von einander bestehend gedacht werden; Doch wir können in keinem Fall auf die Verknüpfung der Getrennten verzicht werden. Die Instanz, von der Kant die Leistung notwendiger Verknüpfungen erwartet, ist die Urteilskraft, und zwar sofern sie reflektierend, nicht sofern sie bestimmend verfährt. Sie fungiert als ein Vermögen, nur zum Verknüpfen zu dienen. Die zu überbrückenden Klüfte sind zwar vielfältig, das überbrückende Vermögen aber gleichwohl im Grunde nur eines Vermögen; eine Urteilskraft. Wir sind zu untersuchen, zwischen welchen der Gegensätze die von Kant vorgeschlagene Vermittlungsinstanz der reflektierenden Urteilskraft zu vermitteln vermag, und auf welche Weise ihr das gelingt. Die Lösung der spezifische Verknüpfungsaufgabe erwartet Kant von der Urteilskraft und Gemeinsin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