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잔운동에 나타나는 화해로서의 선교: 2004년 파타야 포럼과 케이프타운 서약문을 중심으로

        박보경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8 No.-

        이 소고는 2004년의 파타야 포럼과 2010년 케이프타운 대회를 중심으로 화해의 주제가 로잔운동에서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조사하 였다. 원래 로잔운동은 세계복음화를 위한 전도의 우선성을 강조하였 다. 그런데 2000년이 넘어서면서 에큐메니칼 진영의 중요 의제였던 화해와 주제가 이제 로잔진영에서도 적극적으로 토론되었다. 2004년 파타야 포럼에서는 31개의 이슈그룹으로 나누어져 세계복음화를 위한 전략회의를 하였는데, 이때 화해에 대한 토론은 이슈그룹 22번에서 의해 이루어졌다. 이슈그룹은 화해를 하나님의 선교로 규정하고 화해를 이루는 선교를 복음주의 진영에서도 마땅히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하였 다. 이슈그룹은 화해의 선언문도 발표하였는데, 이것은 로잔진영 안에 서 화해와 관련된 최초의 선언문이었다. 비록 그 내용이 다소 초보적인 단계를 넘지 못했으나, 로잔진영 안에서 화해의 주제를 다룬 것 자체가 획기적인 발전이었다. 2010년에는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3차 로잔대회에서 화해의 주제 는 6일 동안 다루어졌던 6개의 중심주제 중의 하나로 선정되어 토론되었다는 점에서 파타야 포럼보다는 진일보한 면을 보였다. 이 대회의 선언문인 케이프타운 서약문2부의 B항에서 화해의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 길게 다루어졌다. 3차 케이프타운 대회에서 화해의 주제를 ‘평화 이루기’라는 제목으로 적극적으로 다루어진 것 자체가 로잔운동 의 중요한 변화 즉, 전도의 우선성(Primacy of Evangelism)에서 통전적 선교(Holistic/Integral Mission)로의 전환을 반영한다. 케이프타운 이후 로잔운동은 화해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대회들과 이슈 네트워크들을 중심으로 관련 주제들을 지속적으로 토론하여 발전 시키고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창조세계의 돌봄 네트워크의 활성화, 번영신학에 대한 로잔운동의 선언문 등은 에큐메니칼 진영의 중심 주제였던 화해를 지속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소고에서는 로잔운동이 과거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화해의 주제를 다루게 된 원인을 다음의 몇 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지역별 분쟁과 갈등이 극심화된 세계상황의 변화, 둘째, 에큐메니칼 진영의 화해의 주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셋째, 에큐메니칼 진영의 대표적인 선교대회 중 하나인 2005년의 CWME 아테네대회가 화해를 토론의 중심 의제로 채택한 점, 넷째, 로잔운동의 내부적 변화, 즉, 전도의 우선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결과 나타난 현장에서의 다양한 부작용들로 인한 로잔운동 안에서의 자기 반성적 성찰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The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oncept of social reconciliation in the Lausanne Movement, centering in the 2004 Pattaya Forum and the 3rd Lausanne Congress in 2010. Initially, Lausanne movement emphasized the primacy of evangelism, by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movement started discussing the topic of social reconciliation, which was the main agenda of the ecumenical movement. In the 2004 Pattaya Forum, the 22nd issue group discussed the topic of reconciliation. The issue group had called for more attention to this issue to other evangelicals in Lausanne movement. This group also produced the first document on the issue of reconciliation. It was the first step taken prior to the third Lausanne congress in 2010 in dealing with the concept of reconciliation. The third Lausanne congress, opened in Cape Town in 2010, marked reconciliation as one of top six main issues. The theme of reconciliation is also largely found in Part 2-B in the Cape Town Commitment. For example, the commitment explicitly states the importance of social reconciliation within racial conflicts, various violence toward human beings as well as the creation,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and HIV patients. The issue of reconciliation was expand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with the creation. By adopting the concept of ‘building peace’ between various racial conflicts and violence, the concept of horizontal reconciliation became much prominent in the Cape Town Committment than before in the Lausanne movement. This new trends continued within the Lausanne Movement. The paper argues that such shift is caused mainly because of (1) change in world circumstance such as increase of violence terrorism and racial conflict; (2) the WCC’s various programs on overcoming violence (3) the more direct impact of the CWME’s 2005 conference on reconciliation; and (4) internal recognition of side effects of mere emphasis on the primacy of evangelism.

      • KCI등재

        한국적 일터사역의 형성 모색: 로잔운동을 중심으로

        박보경(Bo Kyoung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0 선교와 신학 Vol.50 No.-

        일터사역(Workplace Ministry)은 로잔운동 안에서 활발하게 전개되는 새로운 선교 전략 패러다임이다. 일터사역에서는 평신도들의 6일간의 주중의 삶이 가장 선교적 존재로 드러나야 하는 시간이며, 일터야말로 불신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복음을 삶으로 전달하는 현장임을 주장한다. 또한 일터사역은 교회 구성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평신도들이야말로 일상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는 하나님의 선교의 대행자임을 강조한다. 또한 일터사역은 왜곡된 이원론을 극복하고, 성직주의가 발생시킨 교회 내에서의 평신도의 열등한 지위를 회복하고 철저한 만인 제사장설을 실천하려고 노력한다. 이 글은 로잔운동 안에서 일어난 일터사역의 한국적 형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글은 먼저 로잔운동 안에서의 일터사역의 발전과정을 살핀다. 파타야 포럼 이전의 로잔운동이 어떻게 일터사역을 탄생시키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어서 2004년 파타야 포럼의 일터사역의 내용을 살피고, 다음으로는 2010년 로잔 3차대회와 이어지는 대회들에서 일터사역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살핀다. 다음으로 가장 최근에 진행된 2019년 글로벌 일터사역 포럼을 개괄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적 일터사역의 형성을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일터사역과 선교적 교회론의 접목, 둘째, 일터사역의 지역교회 생태계에로의 진입, 셋째, 통전적 관점에서의 일의 신학 형성, 넷째, 신학교육 대상의 다변화, 특히 평신도의 신학교육을 제안한다. Workplace ministry first appeared in Pattaya Forum of 2004 and has been the new active mission paradigm initiated by Lausanne Movement. The Workplace ministr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evangelizing in workplace by the lay people. Such place is where Lay Christians associates with non-believers and help them in advancing the gospel. Therefore, the workplace ministry encourages Christians in the secular sectors of the society to actively engage in and integrate their faith and work. The curr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workplace ministry in Lausanne movement, and seek the ways to vitalize the workplace ministry within the Korean churches. The study proceeds as follows; 1) to look into the traces of “workplace ministry” before the Pattaya Forum, 2) to examine how the workplace ministry has been interpreted in the Pattaya Forum, 3)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workplace ministry in the following major Lausanne conferences, including Capetown Congress, 4) to overview the global workplace forum on June 2019; and 5) to provide possible ways to apply workplace ministry in Korean churches, as first, integrating workplace ministry with major arguments of missional ecclesiology, second, entering of eco-system of Korean local church, third, formation of holistic workplace theology, and fourth, the diversification of theological education centering on lay people.

      • KCI등재

        복음주의 진영의 선교적 회중(Missional Congregation) 모색

        박보경(Bokyoung Park) 한국선교신학회 2013 선교신학 Vol.32 No.-

        The current study aims to find ways to build missional congregations. Some times ago, the missional ecclesiology became one of the prevalent and influential theology. As Korean churches have faced rapid declination, church leaders has found its solution in missional ecclesiology. Yet, the advocates of missional ecclesiology have often been criticized for its idealistic approaches and loose connection with the actual life of local church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writer suggests the missional congregation as the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missional ecclesiology. The writer convinces that the missional congregation theory becomes the practical expression and relevant application of missional ecclesiology. The concern for missional congregation has been initiated mainly by evangelicals church leaders. However, traditionally, evangelicals has been argued for clear distinction between mission structure and church structure as Ralph Winter suggested in 1974. As ecumenical theologians challenged the view, the first attempt to connect the close relations between mission structure and the church structure was indirectly expressed on the Manila Menifesto in 1989. In 1991, Charles Van Engen, an evangelical theologian, published a book titled God's Missionary People that became an important major voice that argued the missionary dimension of the local church. From the middle of 1990s, in North America,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GOCN) had been a major channel to spread the concept of the missional ecclesiology. In 2004, the Pataya Forum of Lausanne Committee for World Evangelization had been tackled with this issue and developed the idea of missional congregation. The forum suggested various elements of missional congregation. This development had been coincided with the movement of shifting from theory centered missional ecclesiolgy to ministry centered missional congregation theory within the GOCN movement. Concluding, this study has highlighted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missional congreg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Pataya Forum. They are as follows: 1) the missional congregation advocates incarnational approaches; 2) the missional congregation values the relationship with non−believers within the society; 3) the missional congregation relays on the Holy Spirit and emphasizes the prayers; 4) the missional congregation values diversity of the culture, therefore, do not support certain cultural structure over other kinds; 5) the missional congregation is active in evangelism and diligent in developing strategies; 6) the missional congregation values non−hierarchical leadership; 7) and the missional congregation promotes partnership between mission organization and local chu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