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적 문제로서의 죽음 - 플라톤의 『파이돈』을 중심으로 -

        최성환(CHOI, Sung-Hwan),민현기(MIN, Hyeon-Gi)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1 철학탐구 Vol.61 No.-

        죽음의 공포가 닥쳐오는 위기 상황에서 철학이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일까? 현대 사회는 기술과 과학 그리고 제반 사회적 조직들에 의해 움직여 나가는 ‘관리되는’ 세계이다. 이 세계는 우리의 깊은 경험들을 평준화하고 일반적인 기록의 대상으로 표면화한다. 그런 연유로 인간의 죽음마저 사망명부, 사망시간처럼 단순한 기록의 대상으로만 보이는 것도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죽음은 인간 모두에게 하나의 실존적 의미를 부여하는 절대적 지평이자 미지의 사건이다. 과학적 세계관이 지배하고 있는 시대에도 여전히 ‘삶의 수수께끼’는 존재한다. 그래서 아직 명확한 해명이 주어지지 않은 한계물음으로서의 죽음을 철학은 외면할 수 없다. 죽음은 철학의 본질적 주제이자 부담이다. 이런 배경에서 이글은 ‘실천적으로’ 현대사회에서 인간에게 주어지는 죽음의 의미를 반성하고, 그러한 반성의 결과를 『파이돈』을 통해 해명하는 목표를 가진다. 당연히 이런 과정에서 ‘이론적으로’ 『파이돈』이 제시하는 “논증의 논리적 증명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수행된다. 비록 이런 과정에서 파이돈의 논증들의 한계가 지적되어졌지만 그럼에도 죽음에의 결단을 통해 자신의 삶을 정당화하는 이 이야기의 실존적 메시지는 지속적으로 인간세계, 특히 과학적으로 계몽된 현대사회에 영감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불멸의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What role can philosophy play in the face of a crisis of death? Modern society is a ‘managed’ world driven by technology, science, and all social organizations. This world equalizes our deep experiences and turns them into a general object of record. For this reason, it is not surprising that even human death appears as a simple object of record, such as a death list or time of death. However, death is an absolute horizon and an unknown event that gives one existential meaning to all human beings. Even in an age dominated by the scientific worldview, the "mystery of life" still exists. Therefore, philosophy cannot turn away from death as a limiting question that has not yet been given a clear explanation. Death is the essential theme and burden of philosophy. In this background, this article aims ‘practically’ to clarify the meaning of death given to humans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Phaedo. Naturally, in this process, ‘theoretically’ a critical review of Phaedo"s argument is carried out. Although the limitations of the arguments of Phaedo were pointed out in this process, the existential significance of this story, which justifies one"s life through a decision to death, is consistently applied to the human world, especially the scientifically enlightened modern society. It holds immortal value in that it is inspiring.

      • KCI등재

        「파이돈」 관점에서 본 어린이의 죽음 개념

        정대련(Dae Ryun Chung),이현주(Hyun Joo Lee)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 중 「파이돈」을 선정하여, 그에 나타난 죽음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어린이의 실제적 죽음 개념의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 나아가 「파이돈」의 관점에서 분석된 어린이의 죽음 개념을 현대 그림책에 제시된 죽음의 의미와 연계하여 재조명함으로써, 토론의 한 방법론으로서 철학적 대화법을 채택할 때 고전의 하나인 「파이돈」이 현대 어린이문학연구의 한 자료로서 역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히고 있다. 죽음 개념과 영혼 불멸에 대해 어린이들과 토론한 결과, 현대를 사는 우리 어린이들은 죽음에 대하여 밝고 담담한 자세를 지니고 있으며, 영혼의 불멸을 전제로 환생과 사후 세계를 수용하고, 순종과 절제, 용기, 진리, 자유, 정의로운 삶에 대한 정향을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된다. 어린이들의 이러한 죽음에 대한 이해는 「파이돈」에 제시된 죽음 개념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a death concept discussed in 「Phaidon」, and children`s re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In 「Phaidon」, Socrates discusses that "death concept" is related to 3 factors, such as purification of soul, immortality and cultivated life for immortal soul. Contemporarily, children think that death itself is not fearful and the world beyond death, in other words, Heaven or the Land of Happiness is calm, bright and full of pleasures. In fact, 「Phaidon」`s aspects and children`s thoughts of death are in the similar context. Picture books will help children to think by themselve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factors of death concept. Death concept contains some factors, i.e., universality, no-reversion, suspension of function, immortality, ascension, etc. Teachers and parents can apply good picture books and Socratic method - Questioning- to discuss other notions and problems about human life including death concept philosophically with children.

      • KCI등재

        『파이돈』, 『파이드로스』와 『국가』를 통해 본 플라톤의 신체와 영혼의 가치이원적 관계

        윤미정,황경숙 한국체육철학회 2011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of the body and soul in Plato's philosophy. Plato is represented the dualism that is known to despise the body. But in education, he argue the importance of a physical training. These ideas of Plato on the body studied by Phaedo, Phaedrus and Republic. Plato demonstrates immortality of soul in Phaedo, based on resemblance between Idea and soul. So body and soul to make such a stark confrontation with an emphasis on Idea and immortality of the soul, body and soul from the interrupt. In Phaedrus, this disconnect is overcome. Soul is the cause of the mo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soul, and is depicted in relation to the body. Finally, in the Republic, sport serve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personal virtue, intellectual achievement, and political harmony. Further, Sport is an important educational means of the soul. And the best potential philosophers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physical test. They demonstrate that the struggle for wisdom demands qualities in the soul similar to those demanded by athletic ability. In conclusion, Plato's body dualism has no evidence. And Plato wanted to make a complete human being through sport.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와 영혼에 관한 플라톤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플라톤의 대화편을 통하여 그의 신체와 영혼 개념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신체와 영혼에 관한 플라톤의 사상은 영육이원론으로 언급되며 영혼에 비해 신체를 멸시하는 쪽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이와 달리 교육론에 있어서는 신체의 중요성이 강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불일치 속에서 신체와 영혼에 대한 플라톤의 일관된 사상을 읽어내기 위해,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 『파이돈』, 『파이드로스』와 『국가』에 나타난 신체와 영혼 개념을 분석하였다. 먼저 『파이돈』에서는 이데아로 향한 영혼의 다가감에 있어 신체를 통한 쾌락의 추구를 지나치게 경계한 나머지 신체와 영혼의 극단적인 대립구도 하에서 영혼과 신체와 단절된 영혼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단절은 『파이드로스』에서 극복된다. 여기에서 영혼은 운동의 원인으로 신체에 관계하며 영혼의 속성과 상징적 모습은 신체와 유사한 관계 속에서 묘사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가』에서 체육은 신체가 아닌 영혼의 격정적인 부분을 교육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수호자 교육과 철인통치자를 양육하는 중요한 요건이 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신체에 관한 가치 이원론적 주장은 플라톤의 체계에서 그 근거가 희박하며, 오히려 플라톤은 체육을 통한 인간의 완성을 말하고 있음이 주장된다.

      • KCI등재

        상기를 통해 획득되는 앎의 정체는 무엇인가? : 플라톤 『파이돈』의 경우

        구교선(Koo, Kyo-Sun) 한국서양고전학회 2020 西洋古典學硏究 Vol.59 No.1

        『파이돈』의 상기 논증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읽히고 또 해석되어 왔다. 하지만 과연 상기를 통해 얻어지는 앎의 정체가 무엇인가라는 일견 가장 기초적인 물음에조차 학자들 사이에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필자는 상기란 일상적 수준의 개념을 형성하는 작업이라는 가장 주류적인 해석을 거부하고 상기를 통해 얻어지는 앎은 소수의 철학자들만이 인식할 수 있는 이데아에 대한 앎이라는 해석을 옹호했다. 이 과정에서 상술한 두 해석을 절충하고자 하는 몇몇 시도들이 갖는 한계 또한 짚어 보았다. 상기의 대상이 이데아라는 해석을 변호하고자 필자는 본고를 통해 다음의 주장들을 펼쳤다. 먼저 이 해석이 옳다면 상기 논증은 모든 인간 영혼의 불멸을 입증하는 논증이 아닌 셈인데, 많은 연구자들의 우려와는 달리 이 점은 영혼 불멸이 논의 주제로 도입된 맥락을 세심히 고려하고 모든 인간 영혼의 불멸을 다양한 방식으로 논하는 다른 논증들이 상기 논중과 함께 제시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전혀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본고가 지지하는 해석 외의 다른 해석을 통해서는 y와 유사한 x에 의해 노를 상기하는 자는 x가 y에 유사성에 있어서 무언가 부족하다는 점을 상기의 과정에서 반드시 떠올린다는 걸 설명할 길이 없다는 사실을 보였다. 또한 필자가 지지하는 해석 외의 다른 해석을 따를 때 74b2-3과 76c1-3의 내용은 충돌할 수밖에 없고, 본고가 변호하는 해석에 근거해 두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와 각각을 통해 얻어지는 구별되는 두 종류의 앎을 상정해야만 표면적으로 긴장 관계에 있는 두 부분을 조화롭게 읽어 낼 수 있다는 걸 증명했다. 마지막으로 필자가 지지하는 노선의 해석이 옳다면 상기 논증은 인간이 태어나기 전에 영혼이 존재한다는 점을 입증할 수 없다는 몇몇 학자들의 비판이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Much ink has been spilled about the Recollection Argument (72e - 77a) in Plato’s Phaedo.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among scholars even on what kind of knowledge one can gain through recollection. In light of this, in this paper, I advocate the interpretation that the knowledge that one attains through recollection is the knowledge of the Platonic Form, rather than the knowledge of the mundane concepts of the world of our experience, under which we classify particulars in everyday speech and thought, which is the view endorsed by the majority of commentators. More specifically, first, I maintain that it is unproblematic that Recollection Argument is concerned not with every human soul but with the philosopher’s soul. This is the case, provided that (a) the context of introducing the immortality of human soul and (b) the fact that this argument is offered together with other arguments for this immortality. Moreover, I contend that the claim that when x resembles y, one who recollects y through x must consider whether y is lacking at all in relation to x makes sense only when we accept the interpretation I support. Furthermore, I claim that 74b2 - 3 coheres with 76c1 - 3 only when we accept this interpretation and that Plato, in this dialogue, distinguishes between two kinds of recollection, which bring about two respective kinds of knowledge. Finally, I rebut some scholars’ insistence that the Recollection Argument is unable to prove the pre-existence of one’s soul before one’s birth if the interpretation I support is correct.

      • KCI등재

        철학자는 왜 배움과 관련된 즐거움에 대해 열성적이어야 하는가? -플라톤 파이돈의 경우

        구교선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연구 Vol.0 No.61

        본고는『파이돈』의 소크라테스가 철학자는 배움에 관련된 즐거움에 열성적이라는 말로 자신의 논의를 마무리 짓는(114d-e) 이유를 탐구한다. 이 작업을 위해 본고는 우선 몇몇 학자들의 견해와는달리 철학자가 이러한 종류의 즐거움에 대해 열성적이라는 소크라테스의 언급을 우리는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만하고, 또 왜 그가 이러한 언급을 하고 있는가를 하나의 문제꺼리로 삼아 탐구해야만 한다는 점을확인한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먼저 본고는 못질 논변(83b-d)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철학자도 육체적 즐거움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없고 그래서 그는 감각계가 참된 실재라는 잘못된 믿음을 갖게 되고 결국 철학적 삶을 살지 못할 뿐더러 사후에는 하데스에도 이르지 못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이 위험으로부터자신을 구제하고 철학적 삶을 이어가기 위해서 철학자는 가지계야말로 참된 실재라는 믿음을 지켜 내야하는데, 유사성 논변(78b-84b)에 대한분석을 통해 본고는 가지계에 대한 탐구로부터 얻어지는 즐거움은 이러한 믿음을 유지하는 데에 기여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이어서 상기 논변(72e-77a)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본고는 이러한 즐거움이 곧 배움에 관련된 즐거움을 가리킨다는 점을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철학적 삶을 살아내기 위해 철학자는 가지계가 참된 실재라는 믿음을 지키는 데 기여하는 배움에 관련된 즐거움에 열성적일 수밖에 없다고 본고는 결론 맺는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y the philosopher Plato’s Phaedo is eager for the pleasure of learning. First, by analysing Riveting Argument(83b-d), I argue that the philosopher risks losing his correct belief about the true reality which forms the foundation of his characteristic life. This is because, as a body-soul composite, he cannot help experiencing some bodily pleasures which delude him, by suggesting that what is perceptible is real. Then, by examining Affinity Argument(78b-84b), I claim that, unlike bodily pleasures, the kind of pleasure taken in the intelligible helps him to retain his correct belief about the true reality. In view of this, by visiting into Recollection Argument(72e-77a), I contend that the pleasure of learning is the same as this kind of pleasure. Accordingly, I conclude that the philosopher has a sufficient reason to be keen on the pleasure of learning since enjoying this pleasure helps him to retain this life.

      • KCI등재

        플라톤 『파이돈』 편과 철학을 하는 즐거움의 순수함

        구교선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감성연구 Vol.0 No.21

        In Plato’s Republic and Philebus which spill much ink on pleasure, we can find explicit comments on pure pleasure, namely, the kind of pleasure which is free from pain; whereas, there is no serious comment on this kind of pleasure in the Phaedo which also spends several pages discussing the issues related to pleasure. Yet, this study maintains that this dialogue alludes to the point that, at least, the pleasure of doing philosophy is pure. First, I claim that the dramatic introduction of this dialogue invites its readers to consider the issue of pure pleasure while reading the heart of this work. Next, I argue that the Cyclical Argument, which insists that whatever has an opposite comes to be only from its opposite, implies not that pleasure comes to be only from pain but that there is pure kind of pleasure. Finally, I go through some passages which seem to imply that doing philosophy through questioning and answering could be painful; I then maintain that the philosopher, who makes every effort to get closest to the truth with a hope to entirely achieve it in Hades, is not in pain while joining a process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즐거움에 대한 풍성한 논의를 담고 있는 플라톤의 두 대화편인 『국가』와 『필레보스』에서 우리는 고통과 혼합된 즐거움과 대비되는 순수한 즐거움을 다루고 그 대표적인 예로 가지계를 탐구하는 즐거움을 언급하는 다양한 논의를 접할 수 있다. 반면 철학함과 즐거움이 주요한 화두로 다루어지는 『파이돈』에서 우리는 순수한 즐거움에 대한 어떠한 진지한 철학적 언급도 발견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본고는 본 대화편에 따를 때도 철학을 하는 즐거움은 고통이 선행하지도 않고, 고통이 뒤따르지도 않으며, 고통이 공존하지도 않는 순수한 즐거움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먼저 필자는 본 대화편의 드라마적 도입부는 독자들로 하여금 철학을 하는 즐거움의 순수함이라는 화두에 유념하면서 대화편의 본론을 읽어갈 것을 요청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음으로 필자는 반대되는 어떤 것이 있는 것들은 그것들에 반대되는 것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 필연적이라 말하는 ‘순환 논변’은 모든 즐거움에는 이에 선행하는 고통 및 이에 뒤따르는 고통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고통이 선행하지도 않으며 뒤따르지도 않는 종류의 즐거움이 존재할 가능성을 승인해준다고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서로의 논변을 제출하는 문답의 과정을 통한 철학함이 고통을 수반한다는 점을 암시하는 듯 보이는 대화편의 몇몇 장면들을 분석하고, 저승에서 진리를 온전히 획득할 것을 기대하며 이승에서도 최대한 진리에 가까이 다가가고자 노력하는 철학자에게는 진리 탐구를 위한 문답의 과정이 결코 고통을 주는 일일 수 없다는 점을 특별히 ‘논변혐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논의를 분석하는 방식을 통해 주장했다.

      • KCI등재

        플라톤의 『파이돈』편에서 일식상태의 태양의비유와 이데아론의 전개의 방법론적 성격

        양태범 ( Taibum Y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2

        본 논문은 『파이돈』편에서 플라톤이 일식상태의 태양의 비유를 통해어떻게 자신의 이데아론을 전개시키는지를 밝히고, 그것에 적용되는 원리가 ‘충족이유율’의 원리임을 밝힌다. 비유는 앞의 아낙사고라스 부분과자연철학 일반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것인데, 일식상태의 태양으로 비유된 “있는 것들”이 아낙사고라스의 정신에 의해 질서지어 있는 것이라고한다면, 그것을 가리는 어둠은 사물들에 대한 감각경험과 더불어 발생하는 사물들 자체 내지는 그것들의 존재의 원인에 대한 무지를 말한다. 논문은 아낙사고라스의 정신의 세계에서 형성된 ‘충족이유율’이 플라톤의이데아론에 방법론으로서 적용되었고, 그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 플라톤이 어떻게 아낙사고라스 부분에서 제기된 문제와 자연철학 일반 부분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해결하였는지를 보여준다. This paper shows, how Plato in the Phaedo develops his theory of Idea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sun in eclipse and the methodology of the theory is subordinate to the principal of sufficient reason. The comparison is shaped through the parts on the natural philosophy in general and on the philosophy of Anaxagoras in particular. The beings which are compared with the sun in eclipse, are those that are ordered through the cosmic Mind of Anaxagoras, and the darkness that is compared with the eclipse which covers the sun, is the ignorance of things that is occurred with the sense experience of things. In the comparison Plato evades two problems, one of which is the dizziness made through the strongness of the beings and the other is the blindness made through the darkness of ignorance of sense experience, escaping to Logoi in order to observe the beings in Logoi. The theory of Ideas that is nothing but to observe the beings in Logoi, is subordinate to the principal of sufficient reason, because it presupposes the Anaxagorian world view according to which the beings that are ordered though the divine Mind are good and one who as human being wants to find the cause of being in each of things should find the best reason of its being in order to explain its being. And that is why Plato in his theory of Ideas uses the hypothetical method supposing the strongest Logos to find the cause of being and supposes the Ideas of the Beautiful and the Good first as being in themselves. Then, he explains every beautiful thing though the the Beautiful and big and bigger things through the Big and smaller things through the Small regarding things as partaking of Ideas. With this principle he solves not only the problem of Anaxagoras that separates the true cause and its necessary condition, but also problems that comes from the part on the natural philosophy in general.

      • KCI등재

        플라톤 『파이돈』의 교환 논변과 육체적 즐거움

        구교선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1

        Much ink has been spilled over the Phaedo in order to support that this dialogue propounds a view that the philosopher has to behaviourally avoid bodily pleasures as much as he can (“Behavioural Interpretation”). Surprisingly, however, none has been seriously analysed the Exchange Argument (69a-c), which is considered by several scholars to be evidence that this dialogue considers it enough for the philosopher merely to avoid bodily pleasures attitudinally (“Evaluative Interpretation”). Against this backdrop, to defend the former interpretation, I maintain in this paper that this argument only makes sense when we read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interpretation. To be more specific, I maintain that the basic arrangement of a correct exchange is not between bodily passions, but between bodily passion and wisdom. More precisely, I argue that bodily passion is essentially being paid out in the process of a correct exchange. However, the philosopher is sometimes required to purposively engage in an activity that results in bodily pleasure for the sake of living a philosophical life. Thus, I contend that the philosopher is revealed to actively move away from bodily pleasures, to the greatest possible extent in the process of a correct exchange. My argument is supported by (a) Socrates’s use of ‘anti’ and (b) his comment on the effect that an exchange for virtue can be deemed correct only if the agent pays off either bodily passion or wisdom with a view to maximizing wisdom and then attaining genuine virtue, regardless of which of the two (bodily passion or wisdom) he chooses to give up. 플라톤의 『파이돈』에 따를 때 철학자는 육체적 즐거움을 가능한 최대한 ‘경험’하지 않도록 적극적 행동해야 한다고 많은 학자들은 해석 한다 (“행위 중심적 해석”). 하지만 이러한 해석의 지지자 중 누구도 육체적 즐거움을 포함한 육체의 작용들을 어떻게 다루는가를 기준으로 철학자와 비철학자를 구별 짓는 ‘교환 논변’(69a-c)이 본 해석을 지지하는가의 여부에 대해 선명한 입장을 내놓은 적이 없다. 반면 철학자는 육체적 즐거움을 ‘경험’하지 않기 위해 노력할 필요는 없고 이에 대해 가능한 최대한 올바른 ‘태도’, 즉 부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기만 하면 충분하다고 해석(“평가 중심적 해석”)하는 일군의 많은 학자들은 이 논변을 자신들의 해석을 뒷받침할 하나의 토대로 삼는다. 이런 상황에서 “행위 중심적 해석”을 옹호하기 위해 필자는 이 해석을 받아들일 때만 우리는 본 논변을 일관되고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덕을 위한 올바른 교환은 육체적 정념들 간의 교환이 아니라 현명함과 육체적 정념 사이의 교환이라는 점을 밝힐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 필자는 올바른 교환은 본질적으로는 육체적 정념을 ‘희생해’ 현명함을 ‘얻는’ 교환이라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하지만 철학자로서 살아가기 위해 철학자는 때때로 육체적 즐거움을 제공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고, 이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 현명함을 위해 육체적 정념을 희생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올바른 교환은 간혹 그 과정 중에 궁극적인 목표인 현명함과 참된 덕의 획득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현명함을 희생하여 육체적 정념을 취하기도 한다는 점을 필자는 논증할 것이다. 즉 덕을 위한 올바른 교환의 과정에서 철학자는 ‘모든’ 육체적 즐거움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최대한’ 육체적 즐거움을 피하면서 현명함을 추구한다는 사실을 필자는 주장할 것이다. 필자의 이러한 주장은 (i) 소크라테스가 전치사 ‘pros’와 ‘anti’를 구별 지어 사용했다는 점과 (ii) 덕을 위한 교환의 전 과정이 현명함과 참된 덕의 획득이라는 목표 아래 이루어진다면 그 과정 중에서 이 목표에 대한 고려 하에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는 육체적 정념의 증가와는 상관없이 이 교환이 올바르다고 간주될 수 있다는 걸 드러냈다는 점에 의해 뒷받침 될 것이다.

      • KCI등재

        하데스에서 철학자의 영혼은 즐거운 삶을 사는가? - 플라톤 『파이돈』의 경우 -

        구교선(KOO, KYO-SU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1 철학탐구 Vol.61 No.-

        플라톤 『파이돈』편에 따를 때 인간에게 허락된 최선의 삶은 하데스에서 철학자의 영혼이 사는 삶이다. 그런데 본 대화편은 이 삶 속에 어떠한 종류의 즐거움이 있는지에 대해 어떠한 명시적 언급도 남기지 않는다. 만약 이것이 곧 이 삶이 전혀 즐겁지 않다는 생각을 소크라테스가 가졌다는걸 가리킨다면, 이것은 플라톤 철학 전체의 통일성과 발전에 관련된 하나의 중요한 문제꺼리를 던지는 동시에 본 작품의 핵심 메시지인 철학적 삶에 대한 권고가 지닌 지반이 심대하게 훼손되는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하데스가 어떠한 곳인지에 대해 우리가 확언할 수 있는 상술한 두 가지 사항, 즉 하데스에서 철학자의 영혼은 육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온전한 앎을 획득한다는 점과 하데스가 아름다운 곳이라는 점에 기초하여 철학자의 영혼이 그곳에서 경험할 수 있는 즐거움에는 어떠한 종류가 있을지를 밝히고자했다. 그러나 하데스에서 철학자가 사는 삶이야말로 인간에게 허락된 최선의 삶이라는 본 대화편의 주장은 이 삶이 지속적으로 즐거운 삶이라는 점이 분명히 입증되지 않기에 실패인 셈이다. 이러한 실패는 인간에게 허락된 최선의 삶이 오직 철학에 매진하는 삶이라는 걸 보다 설득력 있게 주장하기 위해서는 즐거움이란 대체 무엇이며, 철학적 앎을 획득하는 일이 왜 즐거운지, 또 철학적 앎을 획득한 이 후에 철학자는 어떠한 방식으로 철학자만이 고유하게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을 경험하는지 등에 대한 보다 정치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걸 드러낸다. According to Plato’s Phaedo, the life in Hades the philosopher’s soul lives is the supreme life which is allowed to human. Yet, the dialogue is silent of which kind of pleasure exists in this life. If this means that this life lacks any pleasure, one of the main arguments of this dialogue, i.e. the life in Hades is the supreme human life, is not persuasive neither to those who read this work nor to Socrates’ dramatic discussants. In this vein, in this paper, I investigate whether the life in Hades is pleasurable or not based on two obvious facts about Hades: (a) the philosopher’s soul, which is entirely free from the body, achieves the complete wisdom there and (b) Hades is beautiful. Yet, there is no way to justify that this life is continuously pleasant, which teaches that, in order to claim that the supreme human life is the life of doing philosophy, it is necessary to inquire into what pleasure is, how the pleasure of achieving knowledge occurs, and how one continuously enjoys the peculiar pleasure of doing philosophy after attaining every knowledge.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말에 대한 해석 —자기돌봄의 관점에서—

        진성철 한국서양고전학회 2022 西洋古典學硏究 Vol.61 No.2

        이 글은 <파이돈> 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말에 대한 한 가지 해석을 제시한다. 전통적으로 이 말은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앞두고 삶이라는 질병으로부터 치유된 것에 대해 치유의 신인 아스클레피오스에게 감사의례를 부탁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그러나 이 해석은 두 가지점에서 문제가 있다. 먼저 이에 따르면 우리는 소크라테스가 삶을 질병으로 여기고 있다는 결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데 이는 『파이돈』편을 비롯한 여러 대화편에서 그려지는 그의 삶의 모습과 비일관적인 것처럼 보인다. 더군다나 그의 마지막 말을 자구 그대로 분석해보면 문제의 빚의 귀속과 상환의 주체는 단지 소크라테스뿐 아니라 크리톤, 나아가 그 자리에 있던 소크라테스의 친구들 모두에 해당함을 알 수 있는데, 소크라테스를 제외한 다른 이들은 아직 죽음과 거리가 있다는 점에서 전통적 해석은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말을 자구와 충돌하지 않으면서 소크라테스의 삶의 방식의 연장선에서 해석할 필요가 있는바, 이 글은 뒤메질과 푸코의 논의를 참고하여 이러한 해석의 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먼저 뒤메질은 『크리톤』편을 참조하여 치유되어야 할 질병은 삶이 아니라 ‘그릇된 의견’이라고 주장한다. 나아가 푸코는 이러한 뒤메질의 주장을 자기 돌봄의 관점으로 가져와 자기를 돌보도록 돌보는 치유의 신으로서 아스클레피오스에 대한 감사로 확장한다. 그러나 푸코의 해석에도 몇몇 문제들이 발견된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 본고는 치유의 대상이 죽음은 누구에게나 나쁜 것이라는 그릇된 의견과 이로부터 비롯되는 죽음의 공포이며 아스클레피오스에 대한 감사는 소크라테스의 올바른 논변과 용감한 행동을 통해 그 치유가 이루어짐으로써 다시 자기를 돌보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운 것에 대한 것이라는 주장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