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정성 리더십은 팀 내 피드백 풍토를 증가시키는가? 팀내 타인관점수용과 적극적 문제해결 스타일의 3차항 조절효과 검증

        정재금,최석봉 한국산업경영학회 2023 경영연구 Vol.38 No.-

        조직 구성원은 개인 및 팀의 성과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피드백 활동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조직에서 개인의 피드백 행동이 활발하게 나타나려면 피드백 행동이 장려되고 권장되는 풍토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피드백 행동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에도 풍토나 팀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팀 수준에서 팀 피드백 풍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진정성 리더십을 상정하고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또한, 타인관점수용과 적극적 문제해결스타일이 진정성 리더십과 팀 피드백 풍토 간에 긍정적 영향을 촉진하는 상황요인으로 보았다. 분석대상은 42개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종업원(81개팀, 3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진정성 리더십은 팀 피드백 풍토에 긍정적 영향관계임이 밝혀졌고, 타인관점수용 또한 진정성 리더십이 팀 피드백 풍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극적 문제해결스타일은 진정성 리더십이 팀 피드백 풍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관계에 무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끝으로 진정성 리더십이 팀 피드백 풍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관계에 타인관점수용과 적극적 문제해결스타일을 통시에 투입한 3차항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타인관점수용과 적극적 문제해결스타일 수준이 모두 높을 경우 긍정적으로 강화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팀 피드백 풍토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특히 타인관점수용과 적극적 문제해결스타일과 같은 상황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팀 수준에서 분석함으로 팀 피드백 풍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관계를 밝히는 보다 완성된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한계점과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ssumed authentic leadership as a leading factor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eam feedback climate at the team level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addition, perspective taking and problem-solving style were considered as situational factors that promote positive effects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team feedback climate. The analysis target was 81 teams (328 employees) of 42 domestic companies. Based on the analysis, we found that authentic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feedback climate. We also found that perspective taking played positive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team feedback climate. However, proactive problem-solving style was not shown sig-nificant moderating role in the above relationship. Finally, we analyzed the 3-way interaction effects that in-troduced perspective taking and problem-solving style into the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of authentic lead-ership on team feedback clim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ults of positive reinforcement were shown when both perspective taking and problem-solving style levels were high. These findings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and dynamic interaction effects affecting team feedback climate.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several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집단수준의 공정성풍토와 집단수준의 조직시민행동

        고욱(Wook Ko),문형구(Hyoung Koo Moon),최병권(Byoung Kwon Choi)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1

        그동안의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OCB)에 관한 연구는 주로 개인수준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집단수준에서의 공정성풍토와 OCB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수준에서의 공정성과 OCB의 관계에 대하여 다룸으로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함과 동시에 최근 집단(팀)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조직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수준에서의 공정성풍토가 분배, 절차, 상호작용 유형에서 모두 존재하는가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이러한 여러 유형의 공정성풍토가 집단수준의 OCB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에 대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정성풍토가 집단수준의 OCB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국내의 79개 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집단수준에서 분배, 절차, 상호작용공정성풍토가 모두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집단수준의 공정성풍토가 집단수준의 OCB와 긍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팀몰입은 상호작용공정성 풍토가 집단수준의 대인대상 OCB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가짐을 밝혔다. 특히 분배와 절차, 상호작용과 절차공정성풍토의 팀몰입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공정성과 OCB 연구의 분석수준을 집단수준으로 확대하였다는 점, 둘째, 여러 유형의 공정성풍토 및 팀몰입이 집단수준의 OCB에 대하여 갖는 긍정적 효과의 규명하였다는 점, 셋째, 집단수준에서의 팀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t a group-level. Prior researches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ve focused on the individual-level. Hence, this study tried to expand the level of analysis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as organizations are recently adopting a team-based work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hree-fold. First, we tried to identify whether justice climate existed in all three types, namely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existed as antecedents of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climates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we pioneered the underlying mechanism between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nally, we examined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and those of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commitment. We sampled 79 teams from 17 Korean firms in several industries. The result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rganization (OCB-O), and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individual (OCB-I). Also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CB,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CB-I was significant.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and between interactional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commitment. The positive influence of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commitment was stronger when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was low. Also wh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was low,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climate and team commitment was stronger. We provided here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we identified several types of justice climate and team commitment as antecedents of group-level OCB. Second, we expanded the research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the group-level phenomenon. Also, we found the mediating role of team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CB. We also present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풍토가 팀 발언 행동을 통해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원 보존 이론을 중심으로

        한지영,윤지환 한국기업경영학회 2022 기업경영연구 Vol.29 No.4

        This paper identified communication climates as a team process positively influenced to team commitment at the team level drawing on Conservation Of Resources (COR) theory. The authors also hypothesized that team voice behavior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limates and team commit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multi-source survey data which were taken from 27 firms, 135 teams and 529 employees in South Korea with two data collection sessions at a six weeks interval to verify each hypothesis. The aggregation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t the team level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ommunication climate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m commitment. Additionally , team voice behaviou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limates and team commitment. This study applied COR theory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limates on team commitment via team voice behavior. This study integrates the motivational aspect of organizational resources such as team voice behavior and communication climates by examining its role in the relationship with team commitment. This study also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to manage commitment for team members effectively by shedding light on organizational resources as motivating factors as well as fostering organizational culture. 팀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커뮤니케이션은 팀 구성원들 사이에서 유대감을 형성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중요한수단이자 조직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고 목표를 달성하는데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조직 자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 보존 이론에 의거하여 커뮤니케이션 풍토가 팀 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이며, 나아가 팀 발언행동이 커뮤니케이션 풍토와 팀 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이라는 가설을 세워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의 검증을 위해 다양한 업종의 팀을 대상으로 6주간의 시차를 두고 1, 2차에 나누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국내 중소/중견 기업을 포함한 135개 팀, 539명의 팀원이 응답한 설문을 팀 단위로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결과, 커뮤니케이션 풍토는 팀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팀 발언행동은 커뮤니케이션풍토의 모든 하위 차원과 팀 몰입의 관계를 부분 매개 혹은 완전 매개 하는 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풍토와 팀 발언행동, 팀 몰입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자원 보존 이론으로 설명함으로써 조직내 커뮤니케이션 풍토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넓히는 데 기여하는 것은 물론, 경영자나 조직의 부서장들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몰입되어 있는 팀을 운영하기 위해 조직 내에서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기업 문화적 토양을 조성하는 데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창의적 팀 풍토가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선형,이효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4

        창의성 관련 선행연구들은 창의성이 조직 속에서 발전적으로 생성 창출되기 위해서는 조직 환경변수(예: 팀 풍토 등)와 구성원의 직무몰입을 유도하는 내적 동기 및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단위학교 수준에서 창의성 구현을 위해 각 변인이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 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 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3가지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조직환경 변수로서의 창 의적 팀 풍토와 구성원의 직무동기 및 창의적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성을 체계적으로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창의성 구현을 위한 조직 환경변수라고 할 수 있는 팀 풍토 측정도구(TCI)모형의 국내 적용 적합성을 탐색하였다. 또한 팀 풍토와 교원의 직 무동기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창의적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소인 창의적 잠재성은 창의적 팀 풍토와 교사의 직 무동기에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또 다른 하위요 소인 실행적 창의성과 전체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동 변인들 이 개인의 내재적·외재적 차원에서 교사의 창의적 직무활동에 대한 방향성과 지속성을 결정하 는 직무동기에 주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팀 풍토와 직무동기의 관계성 규명을 위한 혼합방법 활용 등의 향후 연구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direction of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regarding team climate, work motivation and creative self-efficacy in secondary school from the awareness of issues that creativity should be created in an organization expansively. To this end, this study was examin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or three research model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Seoul, Gyeonggi and Incheon 208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bout the team climate(TCI) for creativity, the individual's work motivation(WPI) and creative self-efficacy.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actor model fits for TCI tool showed acceptable construct validity.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am climate elevated levels of work motivation and this effects were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creative potential. And the test for mediating effect of practised creativ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revealed that there have been relatively strong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limate and work motivation. This implies that it is crucial role of teacher's work motivation for creative activity. Based on the resul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ddressed.

      • KCI등재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 팀 지식공유, 팀 혁신행동 간의 관계: 팀 절차공정성 풍토의 조절된 매개효과

        배범수,김학수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3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6 No.1

        Military organizations have regulations on clothes, words and actions, and have various manuals such as training norms and code of conduct for barracks life. Accordingly, since members of a military organizations acquire regulations and rules with explicit knowledge, there is no need to share knowledge among members and to create new results that are not in regulations, rules, and manuals. However, as uncertainty increases in the face of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it is impossible for military organizations to have complete regulations, rules, and manual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mportance of sharing team knowledge is increasing. Focusing on the fact that leadership and military ethics are emphasized, this study examines team leader’s ethical leadership as antecedent factors of team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eam knowledge sharing can increase substantially new results in the context of military organizations,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 of team knowledge sharing on team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team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ethical leadership and team innovative behavior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The military organization is a typical bureaucratic organization that regulates decision-making procedur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rather than the autonomy of the team leader. Contrary to the argument that it is an substitute relation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justice,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relation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procedural justice will b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oderating role fo the team procedural justice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ethical leadership and team knowledge sharing as well a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m procedural justice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ethical leadership, team knowledge, team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social exchange perspectiv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with data from 131 teams of military organiz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eam leader's ethic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knowledge sharing, team knowledge shar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innovative behavior, and team knowledge sharing ha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ethical leadership and team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team procedural justice climate strength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ethical leadership and team knowledge sharing, and the team procedural justice climate plays a moderated mediating role in the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ethical leadership, team knowledge sharing, and team innovative behaivor. Specifically, the higher team procedural justice climate, the stronger the indirect effect of the team leader's ethical leadership on team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eam knowledge shar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as derived. 군 조직은 복장, 언행 등에 관한 규정이 있고 훈련규범, 병영생활 행동강령 등의 매뉴얼이 있다. 이에 군 조직의 구성원은 규정, 규칙 등을 명시적 지식으로 습득하므로 구성원들 간에 지식을 나눌 필요가 없으며 규정, 규칙, 매뉴얼 등에 없는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 필요가 없다고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돌발 상황에 직면하면서 불확실성이 높은 군 조직에서 완벽한 규정, 규칙, 매뉴얼화가 불가능하므로 팀 지식공유가 중요할 수 있다. 이에 팀 지식공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군 조직에서 리더십, 군대 윤리가 강조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을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군 조직에서 팀 지식공유가 새로운 결과물을 향상시키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결과변수로 팀 혁신행동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계를 토대로 군 조직에서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팀 지식공유의 매개역할이 성립하는 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군 조직은 관료제 특성으로 팀장의 자율성보다 조직에서 의사결정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이에 윤리적 리더십과 공정성 간의 관계는 대체적 관계일 수 있다는 주장과는 달리 본 연구는 팀장이 발현하는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에서 규정하고 있는 절차공정성 관계는 상보적 관계일 수 있다는 보았다. 이러한 이유로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팀 지식공유 간의 관계에서 팀 절차공정성 풍토의 조절역할과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 팀 지식공유, 팀 혁신행동 간의 간접적 관계에서 팀 절차공정성 풍토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군 조직의 131개 팀 자료를 가지고 실증 분석을 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팀 지식공유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고, 팀 지식공유는 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팀 지식공유는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 절차공정성 풍토는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팀 지식공유 간의 정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 팀 지식공유, 팀 혁신행동 간의 간접적 관계에서 팀 절차공정성 풍토는 조절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팀 절차공정성 풍토가 높을수록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 지식공유를 거쳐 팀 혁신행동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함의하는 시사점 및 한계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팀내 과업 및 관계갈등간 영향관계에서 참여적 안전 풍토의 조절역할에 관한 연구

        김학수,이준호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6

        As uncertainties grow in the business environment, more and more companies have come to see teams as a basic element of their organizational structure. Though teams play an essential role in helping an organization achieve its goals, the continued interdependence characteristic of teams in performing a task inevitably leads to conflicts among team members. That necessitates the need to discuss conflicts that can undermine team effectiveness and may act as a barrier to helping the organization achieve its goals. A host of researches looking into differential influences relationship and task conflicts have on teach effectiveness have separated positive effects from negative ones, and also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nflict management. Yet, these researches on effect relations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also came to view various causes of conflicts as dysfunctional relation conflicts, thus ultimately weakening team effectiveness. So,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positive effects of conflicts, situational factors which lessen the effects of task conflict on relation conflict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Yet, empirical research on this is relatively limited. This study views participative safety climate as one of the situational moderating factors that plays an indispensable role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the teams. Participative safety climate, a sense that team members can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and can share ideas without fear of ridicule or ostracism, will have a negati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the teams. This study has used materials collected from heads of 276 tea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task conflict on relationship conflict as well as the moderating roles of participative safety climate in the tea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ask conflict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relationship conflict in the teams. In addition, as for the negatively moderating roles of participative safety climate in a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the teams, the greater the participative safety climate, the less the significant effect of task conflict on relationship conflict.Theoretical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 First of all, this research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conflict and task conflict of the teams in Korean companies. Secondly, the negatively moderating role of participative safety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s empirically proved.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suggested. First of all, the research finding strongly advises team leaders in organizations to maximize participative safety climate to get away from relationship conflict. While relationship conflict should be prevented, task conflict is not always unfavorable; rather, task conflict would be beneficial if well managed. Secondly, organizations and team leaders should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of team members and communication with them when the organizations, teams are involved in empowerment, role assignment and resource allocation, all of which are reconciling behavior that maximize participative safety climate. Third, participative safety climate that debilitates transference of conflict should be considered as a useful practice of conflict management since it enables team member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differences among them. Thus, an organization and its leader should implement and facilitate this climate. Moreover, we emphasize that interpersonal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enables team-level goal achievement. Therefore, a firm and its managers should maintain team atmosphere based not on monolithic and oppressive organizational culture but on mutual respect and trust. This atmosphere will attenuate the relationship conflict among team members while it assists in the enhancement of efficient, effec...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기업들은 조직구조의 기본단위로 팀을 활용하고 있다. 팀은 조직목표 달성의 필수적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팀 구성원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팀 구성원간의 갈등을 동반하게 된다. 따라서 팀 효과성을 약화시키고, 조직목표 달성의 방해요인이 되는 갈등에 대한 논의는 필요하다. 관계 및 과업갈등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력 연구들은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구분하고, 갈등 관리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과업갈등과 관계갈등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한 연구들은 팀 구성원들이 다양한 갈등 원인들을 역기능적인 관계갈등으로 인식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갈등이 팀 효과성을 약화시킨다고 보았다. 따라서 갈등의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에 미치는 효과를 약화시키는 상황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인 상태이다. 본 연구는 상황적 조절요인으로 참여적 안전 풍토를 규명하였다. 참여적 안전 풍토는 팀 구성원들 간의 상호 조롱 및 멸시 없이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하므로, 과업갈등과 관계갈등간의 영향관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276개 팀의 팀장을 통해 수집한 자료로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에 미치는 영향 및 참여적 안전 풍토의 조절역할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과업갈등은 관계갈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적 안전 풍토의 조절역할을 보면, 참여적 안전 풍토가 높을수록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적응성과 및 지속적 학습활동에 대한 학습목표성향, 실책관리풍토 및 변화지향적 팀 리더십의 영향

        김태홍(Tae Hong Kim),한태영(Tae Young Han) 한국인사조직학회 2009 인사조직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daptive performance and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in team contexts. To meet the changing nature of work and work environment, workers in today’s organizations need to be more adaptive to demands in their job and proactive to learn future require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two organizational behaviors and test the effects of individual motivation in terms of goal, team climate factor, and team leadership on those outcome variables. Following a multilevel approach, the study examines the predictor variables at two levelsindividual and team levels. As an individual-level predictor, this study examines learning goal orientation. Given the previous argument that individuals’ motivational state induced by goal influences the direction, intensity, and duration of behaviors, adaptive performance and continuous learning may be explained by the individual motivation associated with goal orientation. Workers with high learning goal orientation focus more on developing new skills, understanding their tasks, and successfully achieving self-referenced standards for mastery (Dweck, 1986). Thus, its’ positive effect on adaptive performance and continuous learning was predicted in this study. Regarding the cross-level effect from team level on the two criteria, this study consider team climate as a team characteristic. Team climate is defined as the share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cies, practices, and procedures, both formal and informal (Carr, Schmidt, Ford, & DeShon, 2003). Although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behavior and performance of members in teams, more specific types of climate have been suggested for more detailed explanation.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error management climate that is defined as a shared climate under which team members openly communicate and strategically find solutions based on shared knowledge about errors (Van Dyck, Frese, Baer, & Sonnentag, 2005). 본 연구는 팀제 조직의 구성원이 보이는 적응성과 및 지속적 학습활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팀 리더의 리더십 요인, 팀 풍토 요인, 개인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적응성과 및 지속적 학습활동에 대한 선행변수로서 개인수준에서 학습목표성향, 팀 수준에서 실책관리풍토를 고려하였다. 또한, 학습목표성향과 실책관리풍토의 선행변수로서 변화지향적 팀 리더십의 관련성을 검증하여 팀 맥락에서 적응성과와 지속적 학습활동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개인수준과 팀수준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팀 단위로 자료를 수집하여 62개 팀의 31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활용한 다수준(multilevel)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개인수준에서 학습목표성향과 적응수행 및 지속적 학습활동은 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또한 팀 수준의 실책관리풍토와 적응성과 및 지속적 학습활동이 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었고, 이러한 학습목표성향과 실책관리풍토에 대하여 변화지향적 팀 리더십은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변화지향적 팀 리더십과 적응수행 및 지속학습활동의 관계에 서 실책관리풍토는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팀제 조직의 구성원이 변화가 필요한 직무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조직현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팀 내 갈등이 팀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이상현,김민수,권성우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8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조직의 팀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에 대한 연구로 지금까지 갈등의 연구에서 관심이 크지 않았던 레벨이슈(level issue)를 다루고 있다. 조직의 다수준 시스템적 본질은 갈등에 있어서도 예외가 될 수 없기 때문에, 개인들이 팀에 대한 특정한 태도를 형성하는 데에는 개인수준의 갈등뿐 아니라, 팀 수준에서의 갈등이 풍토(climate)와 같은 팀의 특성으로 발현하여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설명하기 위해 개인수준에서의 갈등뿐 아니라 개인이 속한 팀 수준에서의 갈등을 동시에 고려하는 다수준(multilevel) 접근을 이용함으로써 팀 몰입에 대한 갈등의 영향력을 재조명해 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의 한 시중은행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31개의 지점을 팀 수준으로, 각 지점 193명의 지점구성원들을 개인 수준으로 측정하여, 응답된 설문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개인 수준의 갈등지표(직무갈등 & 관계갈등)와 구성원의 팀 몰입 간에 직접적인 관계를 검증한 결과 관계갈등만이 팀 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고, 팀 수준의 관계갈등 풍토는 팀 몰입에 주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개인수준의 갈등과 함께 상호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갈등이 설명하는 구성원들의 팀 몰입에 집단의 영향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해 주는 것으로, 갈등의 연구에 개인이 속한 집단의 갈등풍토가 중요한 변인으로 간주되어야 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향후 갈등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nflict is inevitable in teams since the interdependence of organizational life have increased, and diverse individuals have worked together within teams. Thus, team-level conflict as a set of global perceptions held by individuals about their teams' conflict climate can have the effects on each members' team commitment. However, most conflict research investigated phenomena by examining them at single levels of analysis(e.g., individual, group/team). This study, therefore, explores multilevel relationships between team-level conflict, individual-level conflict, team commitment. Using a sample of 193 employees of 31 branch in a bank, our findings suggest that relationship confli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Moreover, regarding relationship conflict, team-level conflict was strongly related to negative influence of individual-level conflict on team commitment, while low team-level conflict is weekly related to negative effect of individual-level conflict on team commitment. However, team-level task conflict had no cross-level interaction with individual-level task conflict on team commitment. Drawing from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we find support for a multilevel relationships between team-level conflict, individual-level conflict, team commitment. Implications for addressing this result are discussed.

      • KCI등재

        팀강화 및 전체강화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 통합학급 영어시간의 학급풍토와 학생들의 영어받아쓰기 성취도에 미친 효과

        최재완,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eam and whole reinforcement class-wide peer tutoring on the elementary inclusive English class climate and students' spelling achievement. For the cohesiveness of the class climate, the whole reinforc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satisfaction, the whole and team reinforcement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competitiveness, the team reinforc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whole reinforcement and control groups. For the friction and difficul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nglish spelling achievement for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of the whole reinforc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team reinforcement and control groups. English spelling achievemen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eam and whole reinforcement groups had improved gradually during the interven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ovided. 본 연구 목적은 팀강화 및 전체강화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 통합학급 영어시간의 학급풍토와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영어받아쓰기 성취도에 미친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서울Y초등학교 4․5학년 6개 통합학급(장애학생 6명, 비장애학생 154명)이 팀강화 혹은 전체강화 학급차원 또래교수 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참여하였다. 영어시간의 학급풍토와 비장애학생의 영어받아쓰기 성취도에서 세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 검증을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장애학생의 영어받아쓰기 성취도 변화 추이는 기술통계분석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어시간의 학급풍토의 응집성은 전체강화 학급차원 또래교수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학급풍토의 만족도는 팀강화 및 전체강화 학급차원 또래교수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학급풍토의 경쟁성은 팀강화 집단이 통제집단과 전체강화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영어시간의 학급풍토의 갈등도와 곤란도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비장애학생의 영어받아쓰기 성취도는 전체강화 학급차원 또래교수 집단이 팀강화 집단과 통제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팀강화 및 전체강화 학급차원 또래교수 집단의 장애학생의 영어 받아쓰기 성취도는 중재 회기가 더해갈 수록 향상되는 변화 추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팀강화와 전체강화 학급차원 또래교수의 차별적 효과를 통합학급 영어수업에서 비교 검증한 자료를 국내에 처음으로 새롭게 제공함으로써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증거기반 실제의 하나로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국내 통합학급 수업 내실화 요구가 높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초등 통합학급 영어수업에서 학생들의 영어성취도 제고에 효과적인 한 교수방법으로 전체강화 및 팀강화 학급차원 또래교수의 실제 적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통합학급의 긍정적 학급픙토 조성에 기여하는 잠재력을 다시 한번 확인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