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가 된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심은희,이병인,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narrative of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becam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teacher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through a narrative inquir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s’ journals, and researchers’ journals for three teachers who majored in ECSE at the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and became ECSE teachers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ory plot of the participants was derived as ‘facing inclusive education as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looking at inclusive education while becoming an ECSE teacher’, and ‘expecting inclusive education by becoming a ECSE teacher.’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felt a burden as they faced inclusive education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the participants understoo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a simple behavioral problem. Third, the participants thought about how to suppo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urth, the participants worked as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ing in ECSE at graduate school, and developed their expertise in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Fifth, the participants re-recognized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CSE teachers is the main factor of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while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as an ECSE teach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necessary contents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by talking about the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qualified a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over time.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유아특수교사가 된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을 이야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경력 15년 이상의 유아교사 중에서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유아특수교사가 된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연구 참여자 저널, 연구자 저널 등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의 이야기 줄거리는 ‘유아교사로서 통합교육 마주하기’, ‘유아특수교사 되어가며 통합교육 바라보기’, ‘유아특수교사가 되어 통합교육을 기대하기’로 도출되었다. 주요 내용은 첫째,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사로서 통합교육을 마주하며 부담감을 느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사로서 통합교육을 마주하며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행동 특성을 단순한 행동 문제로만 이해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사로서 통합교육을 마주하며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교육지원 방법을 고민하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사로 근무하면서 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며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에 관한 전문성을 키워갔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는 유아특수교사로서 통합교육을 실행하면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이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주요 요인임을 재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로서 유아특수교사 자격을 갖춘 연구 참여자의 통합교육 경험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함으로써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특수유아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백경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which bo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on the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 in inclusion. The study adopted the method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ranscribing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iculti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mainly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cluding lack of education method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eachers education without real needs, lack of appreciation for the inclusion, lack of support for teachers.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ainly on the environment for the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ing lack of information about general young children and classrooms, the uncooperative relation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unhappy feelings about the class interrupted by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eacher education without real needs. After all,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ignora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gnora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us, they suffer difficulties where these two fields a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research suggests that forming reciprocally cooperative relations is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본 연구는 특수유아 통합교육의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는 주로 특수유아와 관련된 것으로 특수유아의 교육방법 부족, 그리고 현장감 없는 교사교육, 통합교육에 대한 낮은 의식 수준, 교사지원의 부족 등으로 구분되어지고, 유아특수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는 주로 일반유아교육 환경에 대한 것으로 일반유아와 일반교실의 정보 부족, 유아교사와의 비협력적인 관계, 그리고 특수유아의 수업방해로 인한 미안함, 현장감 없는 교사교육 등으로 구분되었다. 결국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은 두 영역 간에 서로 상치되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는 상호 협력적인 관계 형성이 특수유아의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 현황 및 지원 요구: 통합유치원 운영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소현,윤선아,이수정,박병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the support needs of including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as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 preschool inclusion model. We surveyed inclusive preschools across the country with the help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A total of 658 preschools(36.8%) responded to the survey. We analyzed 616 questionnaires of them, including 374 from preschools with special classes and 242 from preschools without special classes. Frequency analysis, t-test, χ2-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respons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for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re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preschools and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inclusion model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는 3-5세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통합유치원 운영 모델 개발을 위하여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 관련 현황 및 지원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 및 국립특수교육원의 협조를 받아 전국의 특수교육대상유아가 있는 유치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 유치원의 약 36.8%인 659개 유치원이 응답하였다. 그 중 특수학급 설치 유치원 특수교사 374명과 특수학급 미설치 유치원 유아교사 242명을 포함한 총 616명의 응답이 최종적으로 분석되었다. 응답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t 검정, 카이제곱 검정, 위계적 다중회귀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통합교육 현황 및 교육과정 운영 현황과 통합교육 실행 관련 인식 및 차이에 대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 관련 현황 및 지원 요구가 통합교육 현장의 발전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통합유치원 운영 모델 개발에 의미하는 바를 논의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유아 통합 중심 교과목 구성에 대한 고찰 : 통합 실행 교사 평정을 중심으로

        조윤경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2

        최근 장애아동 교육은 최소한의 제한적인 환경인 일반 환경에 참여하고 적응하는 통합교육이 주류를 이루며, 2010년부터 장애유아 3-5세 중 만 5세를 대상으로 의무교육이 시행됨에 따라 통합으로의 배치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에 장애유아 통합과 관련된 유아교육·보육 및 유아특수교육 관련 교사들을 양성하는 대학(교)의 교과목이 변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장애아동과 관련해서 유아교육 및 보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특수교사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어떤 교과목의 도입이 필요한지를, 교사 양성과정의 당사자인 통합 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2008년 서울시 통합 우수보육시설로 선정된 국공립 어린이집 4곳과 삼성복지재단 산하 어린이집 7곳을 대상으로 통합 경력 2년 이상의 유아특수교사 11명과 통합 학급 담당 유아교사 11명 총 22명에게 4회에 걸쳐서 델파이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장애 관련 영역의 개론, 유아교육의 기초, 개별화교육 및 실습 등의 실제 교수 방법, 장애 범주 별 특성 및 교육에 대한 이해 등과 관련된 과목들의 중요성이 제시되었다. In recent, inclusive education is the major trend in th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ccording to 『Special Education Act for Individuals with the Disabilities(2007)』, 3-5 year compulsory education had begun from 2010.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need to be changed in order to implement the more effective and helpful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was to know what courses are needed to appropriate inclusive education.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11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11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ed at the best inclusive setting for 2 years over.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4 times. They responded the introduction of each disciplines,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practical instruc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each disability categories courses should be included with the inclusion centered teacher training courses.

      • KCI등재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박윤자 ( Park Youn-ja ),조광순 ( Balir Kwang-sun Cho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소재한 유치원 통합학급 일반유아교사 37명,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 47명, 유아특수학교 유아특수교사 51명, 전체 135명을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을 통해 교사들이 느끼고 있는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 변화 및 사회성 변화, 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 및 학습의 변화, 또한 교육계획 및 교육과정 개발ㆍ운영, 공동 교수 등 일반 유아교사와 유아특수 교사의 공동협력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인식은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들과 3년 이상의 통합교육 경력이 있는 교사들은 일반유아의 사회성 변화에 대한 인식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특수학교 교사의 경우에는 장애유아의 학습변화에 인식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교사의 통합교육경력이 많을수록 교육계획 및 교육과정 개발ㆍ운영에 있어서의 공동협력이 더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유아특수교사는 다른 집단의 교사들에 비해 공동교수에 있어서 의 변화에 대한 인식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survey approach using a self-rating scale was employed for this research. The survey involved 135 kindergarten teachers who responded out of 230 who were invited to participate from inclusive and segregated kindergarten programs across the n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17 questions in three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groups.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of program, types of certification, and years of inclusive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have high levels of perceptions on improvement of children’ attitudes toward their peers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the teachers of segregated classroom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perceptions compared to teachers in other groups. 2.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have moderate levels of perceptions on improvement of social development amo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ypes of program, types of certification, and years of inclusive teaching experience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have moderate levels of perception on improvement of social development amo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inclusion.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ypes of program, types of certification, and years of inclusive teaching experience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4. It was also found that the teachers have moderate levels of perceptions on improvement of academic learning amo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the teachers of segregated kindergarten program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perceptions compared to teachers in other groups.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ypes of certification and years of inclusive teaching experience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5.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have moderate levels of perceptions on improvement in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lans and implementing curriculums. It was found that teachers with more than three years teaching experience in inclusive classroom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perceptions than teache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6.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have relatively low levels of perceptions on improvement in organizing collaborative teams.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ypes of certification and years of inclusive teaching experience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have moderate levels of perceptions on improvement in co-teaching. It was found that teachers with certification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perceptions than teachers with different certifications.

      • KCI등재

        유아특수교육전공 일반유치원 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특수교육대학원 석사과정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현숙,이병인,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how the inclusive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studie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have become positive perception on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experience.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narrative inquiry study was used and two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operating inclusive classrooms for more than five years while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Research design was us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research participants’ diaries, an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the following changes while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irst,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have become education philosophy as an inclusive education teacher by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 they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wi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studying the graduate studies. Third, they have become more active teachers of education to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urth, it is possible to talk about how to implement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provide helpful data and effective methods for effectively operating inclusive education for inclusive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 교사들이 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며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면서 5년 이상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 교사 2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과 연구 참여자 일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유치원 교사들은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면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함으로써 통합교육 교사로서의 교육철학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유아특수교사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장애유아 부모에게 교육전문가로서 담임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적극성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행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통합유치원 교사에게 통합학급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와 실제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장애유아의 통합에 있어서 효과적인 일반유아교사 지원 방법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유은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1. 일반유아교사들의 경력유무에 따른 일반유아교육 프로그램에의 장애 유아 통합에 대한 견해를 재검토하고, 2. 일반유아교사들의 경력유무에 따른 유아교육 및 특수교육관련 정보 수집 통로와 그 내용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아, 일반유아교사지원의 한 부분인 특수교사의 주도적인 정보제공의 실제적인 통로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삼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내 보육사 양성 기관에 다니는 특수교육관련 필수 과목을 수강 중인 교육생과 현장 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라는 주제의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수거된 총 152개의 사례를 SPSS로 빈도 및 교차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유아 통합에 관한 일반적인 견해에 대한 분석 결과〉와 관련해, 1. 일반유아교육기관에의 장애유아 통합에 대한 응답자의 경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나, 경력이 있는 경우, 경력이 없는 경우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더 많이 보이고 있다. 2. 장애유아가 통합된 학급을 담당해본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통합학급 경험이 없을지라도 앞으로 장애유아가 통합된 학급을 담당할 의향이 대체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장애유가가 통합된 학급을 담당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 장애유아 통합의 어려움으로 느끼는 것은 관련 전문지식의 부족, 장애유아의 문제 행동, 특수교사의 지원 부재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관련 전문지식의 부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유아교육 또는 특수교육관련 정보수집 방법과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와 관련해, 1. 일반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전반적으로 "인터넷 사이트"와 "유아교육관련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유아교육전문잡지"를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부차적으로 "전문서적"을 통해서도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유아교사들의 유아교육 및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보는 유아교육 전문 잡지는 경력 유무와 무관하게 "원간유아"로 월등히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꼬망세"로 나타났다. 3. 일반유아교사들의 유아교육 및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찾는 인터넷 사이트는 "서울시 보육정보센터", 그 다음으로는 "한국어린이 육영회" 사이트를 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경우 "기타" 항목에 반응할 수가 많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내용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많은 수의 일반 유아교사들이 특별한 선호 경향 없이 필요에 따라 관련정보를 검색하여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4. 유아교육 및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하여 가장 많이 참석하는 교사교육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특정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선호하기보다는 주제에 따라 필요한 교육을 선택하여 참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5. 일반유아교사들이 장애유아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 할 때, 선택하고자 하는 정보전달 방법에 대한 결과를 정리해 보면, 주로 "특수교육 관련 기관(복지관 등)에서 개최하는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유아교육 관련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인터넷 사이트", "특수교사의 직접지원", "유아교육 전문잡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디오테입", "방송", "전문서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디오 테입", "방송", "전무서적"에 대한 선호도는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일반 유아교사들이 장애유아에 대해 얻기 원하는 정보는 주로 "장애유아의 교육 방법"과 장애유아의 선별 및 진단",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장애유아의 발달 및 특성", 그리고, "장애유아의 문제 행동 다루는 전략"과 같이 교실에서 일어나는 장애유아와 직접 관련된 것이라는 경향을 보여준다. 반면에 "관련법 및 제도적 장치에 대한 정조", "특수교육관련 기관에 대한 정보", "장애유아 부모의 이해"와 같은 보다 대의적이며 간접적인 측면의 정보에 대해서는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대체로 경력유무에 따라 특별한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므로, 유아교육기관에의 근무 경력 유무에 대한 특별한 고려 없이 지원이 진행되면 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indergarten teachers judgements on the inclusion in their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in young children education field and is to find out channels of information related to kindergarten and special education programs and preferences of the contents, then to make it sources to develope the practical information channel as a special educator leading supporting system. For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sheet, which contains 14 question, were distributed to kindergarten teachers taking part in the workshop titled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tudents who were taking a required course of special education of a nursery teacher training school attached to university. Based on 152 responses, the result is examined by SPSS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About General judgements on the inclusion 1. The responses show positive attitudes overall regardless of young children education career. 2. Most of respondents would love to run inclusive classes whether they have the career or not. 3. From their former inclusion experiences, we found what made them feel difficult to be a inclusive class teacher. Expert knowledge poverty, behavioral problem and the absence of specially trained staffs or teachers appeared to be difficulties. Among them the lack of expert knowledge is high-rated as a major difficulty. About Channels of preschoo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information 1. Internet web-sites and special education workshops or training programs, and technical magazines for preschool education are usually referred. And journals for specialists are secondary resources. 2. To upgrade their quality as a specialist, kindergarten teachers use 'Wolgan Yuah" most often and the next-best is Commencer. 3. The topmost favored web-site is Seoul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and Korean Association for the Fostering and Education of the New Generation is followed by. But, in this case, the rate of response to the others is relatively high and its details are various. It means there are no fixed preferences to them because they just surf and search information whenever they need. 4. For the workshops or the training programs. as the needs arise, they choose particular programs regardless of particular institution. 5. As channels of special education information. workshops and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teachers held by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like welfare centers, preschoo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b-sites and direct supports of experts are more popular than video tapes, "broadcasts (TV channe1s)" and "journals for specialists". 6. Kindergarten teachers, in common, demand the knowledge especially about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uch as teaching method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iagnosis and screening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understanding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velopment and trait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trategy for managing behavioral problem -they all seem directly related to children in a classroom. In contrast indirect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bout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al devices, "information about relevant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and "understanding the parents" are less popular.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

        이순자,김병건,박유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actical implications (a) to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 quality by analyzing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program)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S) and (b) to improve the teacher education/preparation for practice in inclusive settings. Te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and eight in the US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across each country were analyzed in terms of ways to obtain licensure, courses and credits required for graduate/certificate, practicum/internship, and courses for special education. Results showed that (a) both countries provid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endorsed higher education institutes, i. e., 3(2)-year colleges or 4-year universities, and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in curriculum across high education institutes in South Korea; and (b) there were differences in courses and credits required for graduate/certificate, practicum/internship hours, and required courses of inclusive education across the two countries. Finally, a need of establishing a supervising committee or institute to evaluate and manag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ways to develop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curriculum (e.g., increasing practicum/internship hours, reorganizing curriculum for teacher expertise to promote teacher quality for inclusive sett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대학의 유아교육교사 양성학과의 교육과정(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함 으로써 통합교육 현장에 적합한 역량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 우리나라 유아교육교사 양성과정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 해 4년제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한국 10개 대학, 미국 8개 대학을 선정하여 교육과정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미국에서는 공통적으로 유아교육교사 자격증은 교육부에서 인 준된 3(2)년제 및 4년제 혹은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주어지고 있으나, 유치원교사 자격증 취 득을 위한 교과목의 선정 및 취득 학점에 대한 기준, 질관리 등의 세부사항을 관리하고 감독 하는 형태는 달랐으며, 한국의 경우 교육과정 편제 내용에 대학 간 큰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교과목 개설 현황 분석 결과, 한국대학은 미국대학에 비해 개설된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의 수와 이수학점 비율, 현장교육실습 시수가 현저히 낮아 두 나라간 차 이가 두드려졌다. 결론에서 한국의 유아교육 교사 양성 발전 방안으로 대학의 교사양성 프로 그램을 전반적으로 관리․감독하고 평가하는 중앙심의회기구 설치,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 육 관련 내용을 포함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재고와 그에 근거한 교사교육과정 편성, 현장교육실습을 강화한 이론과 실제가 연계된 교육과정 편성 등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영유아 통합보육·교육기관의 실태 및 관리자와 교사의 요구

        이정림,강경숙,김은영,엄지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conjunction with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the Welfare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t” that are related to supporting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the status of the current support system and needs for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to find out potential for the improvement of this system, and to come up with ways to fully embed the laws and regula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the current system. Nine session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60 educators, including administrators and teachers, who work in the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field such as daycares and preschool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interview are divided into 3 categories: staff condition, physical environment, and operation principles of inclusive education program. Staff condition includes the areas such as teacher-student ratio, lack of teacher training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shortage of support and substitute staff, and hiring difficulties. Physical environment includes improving regulations on facility standards, and needs for educational materials and textbooks. Inclusive education is operated differently based on how infants and toddlers are included in inclusive classes. Mainly, the availability of self-contained special education classroom in a facility affects how they are included in the class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are suggested: First, in order to operate and provide high quality program,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improve staff condition: for example, decreasing staff-student ratio for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Second,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s of responsibilities between a general teacher, a general teacher of an inclusive class, a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ir roles should be clearly defined. Regular and periodic training and instruction for teachers and staff should be a part of this measure. Third, there should be a regulation to provide standards for facility to appropriately organize space when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are included in inclusive daycare or preschool. Fourth, there should be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mplement and manage different types of inclusion models including full inclusion, partial inclusion, and reverse inclusion. Through these improvements, all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provided with quality care and educational services. 본 연구는 최근 ‘장애아동복지지원법’ 등 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교육을 위한 법과 제도가 갖추어지기는 했으나 실제적으로 교육현장에서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교육의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여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기관장, 교사 등 통합보육․교육 관계자 60명을 대상으로 9차에 걸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관리자와 교사의 집단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인적 환경, 물리적 환경, 통합교육 프로그램 운영 형태로 범주를 나누어볼 수 있었다. 인적 환경으로는 교사 대 아동비율, 통합관련 교사 연수 부족, 대체인력 및 보조인력 지원 부족 및 수급의 어려움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물리적 환경은 시설 규정의 개선 및 교재교구 관련 요구가 파악되었다. 또한 통합학급의 통합 형태에 따라 프로그램이 달라지는데 특수학급의 유무에 따라 그 여건과 활용 실태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지원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질 높은 프로그램이 운영되기 위해 장애영유아 대 교사 비율을 감축하는 등 통합보육‧교육 지원 인력을 조정해야 한다. 둘째, 일반교사 및 특수교사에 대한 통합보육‧교육 운영을 위한 역량을 제고해야 한다. 역할이 명확하게 규정되고, 이에 맞는 교육과 연수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적절한 물리적 환경을 제공해야 하는데, 장애영유아 통합어린이집이나 통합학급 유치원의 경우, 이들이 포함되었을 때의 공간이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설치기준령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완전통합, 부분통합, 역통합 등 다양한 통합 형태를 운영하는데 교사간 협력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모든 장애영유아에게 질높은 통합보육․교육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통합교육과 팀 협력

        정길순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19 특수교육논집 Vol.23 No.2

        There are still many issues to be solved at the educational scene, even though kindergarten inclusive education is based on legal and policy. In particular,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perform general dutie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but there are less reference to specific advice or resources to consult. Teachers report that inclusive education is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at they are struggling because they have the passion to teach well, but do not know how.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eam cooperation as a way for teacher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The research was formed in order explaining the status and effectiveness of inclusive education, difficulties that teachers might go through, and team cooperation. Team cooper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method to achiev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and this includes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sive teachers, parents, school administrators, and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s. Team members need the following to successfully lead the cooperation. (1) Spontaneous progress of cooperation, (2) Forming an even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3) To pursue common goals and ideals, (4) Sharing the responsibilities and resources of a cooperative team, (5) Having the opportunity to express one's thoughts and opinions in a spirit that is safe in spirit, (6) The joint responsibility for the team's decision, (7) Systematic meeting procedures and regular meetings, (8) Positive attitude toward cooperation. 유치원 통합교육이 법적, 정책적으로 기반을 마련했음에도 교육현장에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 특히,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은 통합교육 상황에서 일반적인 의무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 늘고 있으나 구체적인 조언 자료나 참고할 만한 자료들이 부족하다. 교사들은 통합교육이 시대의 흐름이고, 잘 하고 싶은 의지는 있으나 방법을 잘 몰라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통합교육 상황에서 어려움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법으로 팀 협력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유치원 통합교육 현황과 정의 및 효과, 통합교육 시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팀 협력에 대하여 설명하는 순으로 진행하였다. 통합교육에서 팀 협력은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며,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보호자, 학교행정가, 특수교육 실무원과의 협력이 포함된다. 팀 구성원은 협력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이 필요하다. (1) 협력의 자발적 진행, (2) 참여자 간 균등한 관계 형성, (3) 공동의 목표와 이상 추구, (4) 협력팀의 책임과 자원 나누기, (5) 심리적으로 안전한 분위기에서 자신의 생각과 의견 표현 기회 갖기 (6) 팀의 결정에 대한 공동 책임, (7) 체계적인 회의 절차와 규칙적인 모임, (8)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