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가 된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심은희,이병인,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narrative of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becam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teacher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through a narrative inquir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s’ journals, and researchers’ journals for three teachers who majored in ECSE at the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and became ECSE teachers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ory plot of the participants was derived as ‘facing inclusive education as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looking at inclusive education while becoming an ECSE teacher’, and ‘expecting inclusive education by becoming a ECSE teacher.’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felt a burden as they faced inclusive education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the participants understoo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a simple behavioral problem. Third, the participants thought about how to suppo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urth, the participants worked as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ing in ECSE at graduate school, and developed their expertise in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Fifth, the participants re-recognized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CSE teachers is the main factor of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while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as an ECSE teach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necessary contents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by talking about the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qualified a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over time.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유아특수교사가 된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을 이야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경력 15년 이상의 유아교사 중에서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유아특수교사가 된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연구 참여자 저널, 연구자 저널 등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의 이야기 줄거리는 ‘유아교사로서 통합교육 마주하기’, ‘유아특수교사 되어가며 통합교육 바라보기’, ‘유아특수교사가 되어 통합교육을 기대하기’로 도출되었다. 주요 내용은 첫째,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사로서 통합교육을 마주하며 부담감을 느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사로서 통합교육을 마주하며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행동 특성을 단순한 행동 문제로만 이해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사로서 통합교육을 마주하며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교육지원 방법을 고민하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사로 근무하면서 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며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에 관한 전문성을 키워갔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는 유아특수교사로서 통합교육을 실행하면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이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주요 요인임을 재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로서 유아특수교사 자격을 갖춘 연구 참여자의 통합교육 경험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함으로써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특수교사 교육체제 실태 분석

        왕파,강영심,전인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중국의 특수교사 교육체제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동부지역(산둥성, 하북성, 천진 직학시)의 18개교 특수교사 310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의 양성교육, 직전훈련, 현직교육을 포함하는 특수교사 교육체제에 대한 설문지를 실시하여 조사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 특수교사의 양성교육기관은 특수교육과 설치와 미설치 두 유형 중 미설치 비율이 높았으며, 특수교육과 설치 기관의 교과목에서 실천과목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교사 소지자격은 일반교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둘째, 직전훈련 참여 여부는 여러 사유 중 관련된 과정이 없기 때문이라는 이유로 인해 미참여가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시수는 120시간이 가장 많았다. 셋째, 중국 특수교사의 현직교육 참여는 단기집중훈련과정으로 1년에 1회 이상 참여하는 비율이 미참여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 특수교사 양성교육, 직전훈련, 현직교육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problems analyzing the education system rea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China, and to find improvement plan. For this, we conducted a survey of 310 special education teacher of 18 schools in eastern China(Shandong, Hebei, Tianjin jikhak) conducting a questionnaire about training education, pre-service training, in-servic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se things. First, education institu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China have two types : institution with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without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The percentage of the latter was high. Also the percentage of the practice courses in education courses was low.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general teacher certificates. Second, in the participation decision of pre-service training, the percentage of non-participation is high by reason that there is no related-major, and 120 hours are the highest rate of participation hour. Third, in-service education`s particip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China is short immersion course and the ratio which is participated more than once a year is higher than non-participation. The result of this paper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to problems about training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China, pre-service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초임 특수교사의 직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진보향,황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job experience of beginning special teachers who was first appointed to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to prepare support plans and teacher education plans for them.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what the job experience of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as first assigned to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6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first appointed to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 4 upper categories, 14 lower categories, and 29 semantic units were derive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sturbed classes while doing itinerant education in a poor class environment. Second,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performing heterogeneous tasks and were experienced identity confusion as a result. Third,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ped that experienced teachers would be assigned in the support cente. In addition,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y wanted improvement plans for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curriculum and various support plans for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urth,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but they felt rewarded as teachers and showed growth in the process of handling their wor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e job experience of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suggested various ways to help them adapt.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첫 발령을 받은 초임 특수교사의 직무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고 이들을 위한 지원방안 및 교사교육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첫 발령을 받아 근무하는 초임 특수교사의 직무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첫 발령을 받은 초임 특수교사 6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1~3차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자기 경험을 진술하므로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였다. 심층 면담 결과 4개의 상위범주, 14개의 하위범주, 29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임 특수교사는 열악한 수업환경에서 순회교육을 하며 수업 방해를 받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초임 특수교사는 동료 초임 교사와 달리 이질적인 직무를 수행하고 있었고 그로 인해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임 특수교사는 지원센터에 경력 교사도 함께 배치되길 바랐다. 그 밖에도 이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초임 특수교사를 위한 각종 지원방안을 원하였다. 넷째, 초임 특수교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교사로서 보람을 느끼고 업무처리 과정에서의 성장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초임 특수교사의 직무 경험을 알아보고 이들의 적응을 도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체육과에 대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연구

        김일수 ( II Soo Kim ),정훈영 ( Hoon Young Jung ),전헌선 ( Hun Sun Ju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는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체육과에 대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차이를 밝히고, 관련 변인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 체육교사로, 교사 관련 배경 변인으로는 성별, 교육 경력, 연령, 설립 형태, 학교 종류, 학교급별, 연수경험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작성하였고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은 기초통계량과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범주형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체육교사는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체육과 목표 영역에서 여교사, 교육경력과 연령이 낮은 교사, 발달장애학교 교사, 고등학교 교사, 교육과정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내용 영역에서 고등학교 교사가 높게 인식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영역에서 여교사, 연령이 낮은 교사가 높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특수학교 체육교사는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체육과를 발달장애학교 교사, 고등학교 교사, 교육과정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인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physical education in the 2008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teachers` background were gender, teaching experience, age, school establishment form, school type, class type, and training experie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physical education in the 2008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are gender, teaching experience, age, school type, class type, and training experience in the goals category, class type in the contents category, and gender, age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category. That is, the teacher who was woman and have been lower teaching experience and age were highly recognized in the goals category. In addition, the teacher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school and high school class in the contents category and who was woman and have been lower age i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were highly recognized. Seco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physical education in the 2008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are school type, class type, and training experience. That is, the teacher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school and high school class were highly recognized. In addition, the teachers who have been more training experienced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were highly recognized as to the 2008 revised special school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

      • 특수교육 교사의 교과 지도 역량 강화 방안

        김희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교과교육 실행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특수교육 교사들의 교 과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를 위해서 특수교육 교사의 자질 과 교과 수행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특수교육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은 여러 학자들과 연구 에 의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교원양성체제 개선방안에서 제시한 신규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관한 일반기준과 미국 CEC의 신규 특수교육 교사를 위한 기준에서 요구하고 있는 특수교 육 교사로서의 자질과 전문성에 대해 살펴보고, 특수교육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성 중 기본적 으로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사와 마찬가지로 교과교육 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함 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수교육 교사의 교과 지도 역량 강화 방안으로는 첫째, 특수교 육 교사 양성과정의 개선, 둘째, 특수교육 교사를 위한 교과교육에 대한 현직 연수 강화, 셋째, 특 수교육과 일반교육 전문가 간의 협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present problems and issues of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Teache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should be establish an authority in their subject's instruction. To keep highly qualified competency in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teacher's professionality should be demonstrated in teaching the subject content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one of suggestions is change of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y.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in-service educa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and teaching skills in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required skill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perform their jobs and to provide in-service education based on the skills. Third, last suggestion is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special educators and the general educators.

      • KCI등재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박영근 ( Park Yung Ke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지적장애아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분석하기 위한 혼합연구(Mixed Method Study)이다.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통하여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 특히 전공과 교사들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중 전환교육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에 기반 하여 전반적인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전공과 교사들의 심층적인 인식을 알아보고자, 질적 면담을 양적 연구에 뒤이어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섯 가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즉,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을 모두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질적 구성요인들에 대한 수행은, 교사들의 중요 인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전환교육의 질이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있었고, 급별에 따라서는 전공과 교사들이 전환교육의 질이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전공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환교육 전반에 걸친 수행에 대하여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전환교육의 수행에 있어서는 다수의 교사들은 전환교육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환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전환교육의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천적인 부분들이 많이 괴리된 상태라서 효과적으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 가운데 특히 전문성을 요구하는 전환 평가가 특히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하였고, 교사의 신분으로 학생들의 취업까지 책임져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국가 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인식 하였다. 개별화 전환계획 수립은, 교사의 부족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해야 하기 때문에 제대로 능력을 갖추어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사연수가 필요하고, 전환훈련은 좀 더 지역사회에 기반한 훈련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서 지역사회 관련 인사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추수지도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학교 여건상 교사들이 담당하기에 부담이 크기 때문에 추수지도를 담당할 수 있는 교사 인력을 확충하거나, 추수지도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This study utilized a mixed method design including 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purpose of the quantitative survey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various program components and to evaluate the current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provide the foundation knowledg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quantitative survey study, special school teacher recognized that the five quality component are all important component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mong five quality components of program, includ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operation, transition, documentation, and administration support, the quality of transition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perceived transi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but the quality of transition service was perceived as low. Also, the special school teachers in postsecondary vocational training program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among five quality indicator the most. Thus,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implemented with only post secondary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bout their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services. According to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teachers expressed that they felt undereducated about transition services and how to apply them most effectively to each individual student’s needs. Yet despite their perceived importance, most special school teachers felt that they were lacking in their ability to implement more exact transition assessment for their students, and indicated that more professional training was required in this area. When asked about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planning, educators stated that it was higher than their preparations for building transition planning. This is due to the necessity for building transition plans despite lacking in the necessary skills. Thus, the 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transition services is necessary. Teachers thought that transition training should be implemented as practically through community based instruction. Also, national support are necessary in order to provide enough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in order to help teachers to provide effective follow-up service for students to maintain their employ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personnel who can work for follow-up services.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교사의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 수준 인식

        이태형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4 지적장애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교사의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 수준의 인식을 알아보고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교사 8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원격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인식 수준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통합교육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구체적인 지원 역할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저경력 교사와 고경력 교사를 대상 통합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고, 유치원 및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대상 통합교육 교육(연수)의 실시로 통합교육 전반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사의 지원 역할에 대한 실행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특수교사들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할 수 있는 기간 연장을 통해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긴밀한 협력이 잘 이루어 질수 있는 지원 역할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한 실행 수준을 더 높일 수 있게 해야 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교사의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 수준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support role of special teacher who support inclusived education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to suggest operational plans. Surveys were collected online and remotely from 84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cross the countr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pecial teacher wh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s: First,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support role of special teacher and prepare and support guidelines for specific support roles. Second,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and present inclusived education support programs for low- and highly-experienced teachers,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clusive education as a whole by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 (training)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to be.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support role of special teacher, it is necessary to create conditions in which special teachers can demonstrate their expertise by extending the period during which they can work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addition,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role of the special teacher should be further improved through a support role that enables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special teacher and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support role of special teacher was discussed.

      •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구조 연구

        김은정 ( Kim Eun-j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

        개별화교육계획은 장애학생의 개개인의 교육적 욕구를 지원하기 위한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이다. 이 연구는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고 초임특수교사 때 경험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 경력 5년 미만의 초임특수교사 560명과 특수교육 경력 5년 이상에서 10년 미만의 경력특수교사 439명을 대상으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해당하는 13개 문항을 설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차별성이 없었다. 둘째, 초임특수교사 때 형성한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아니었다. 이 연구에서는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구조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IEP) is a student centered curriculum to support educational need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were the perception differences to IEP flame which means to make the IEP between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and how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novice experiences to make the IEP flame to expert teachers. The 560 novice special teachers who had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nd 439 expert specia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with 13 item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IEP flame; and (b) the expert teachers’ structure to IEP flam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knowledge during the novice special teacher experiences. This study also discussed why the expert special teachers’ IEP flame structur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novice special teachers.

      • KCI등재

        우리나라 특수교사의 자질 및 교사양성 과제에 관한 논의

        김성애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2

        The study suggests teaching-qualities and - capa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following criteria: First, describing tasks on general - and special education in the 21th century, and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it. Second, identifying ro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quired teaching-capabilities based on the 2008 new special education law, in which they are considered in CEC(2004)'s recommendation. Third, suggesting roles and appropriate teaching-qua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2006 “general criteria on teaching- qualities and - capabilities of beginning teacher” has been used as basic teaching-qualities, of which it is teaching-qua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Forth, contents for teacher training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commended teaching capabilities. Teaching-qualified requirements of Special Educator have been suggested with following criteria, those are teacher-personalities and a sense of duties in terms of education, dedicating for welfare of students, understanding development of student in terms of learning, professional knowledge in terms of subjects, developing and managing curriculum, effective lesson plan and management, monitoring and assessing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creating on settings and culture for learning supporting, and building up the education-union for teaching collaboration. Teacher training for improving teaching-qualities has been discuss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those are the ethic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pecial education, human development and behavior, educational settings and system, life-long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s and policies.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의 범위를 가지고 우리나라 특수교사의 자질을 제안한다: 첫째,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과 특수교육의 과제를 진술하고, 그에 따른 특수교사의 역할수행을 제안한다. 둘째, 특수교육법에서 본 특수교사의 수행역할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교사의 자질을 제안하여, 그 자질 및 역할 영역이 CEC(2004)의 신규 특수교사 자질 분류영역에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에 대해 탐색한다. 셋째, 우리나라 특수교사의 역할과 자질을 제안한다. 넷째, 특수교사의 자질을 위한 관련 교사양성 과제를 제안한다. 논자가 제안하는 특수교사 자질은 교육인적자원부(2006)가 발표한 “신규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관한 일반 기준”의 분류 영역을 교사의 인성과 교직 사명감 및 윤리, 학생들의 학습 복지를 위한 헌신, 학생의 학습발달 이해, 교과 전문지식, 적절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효과적인 수업계획 및 운영, 학생의 학습 모니터 및 평가, 학습지원을 위한 환경 및 문화조성, 교육 공동체 구성원 간의 협력관계 구축 등으로 재설정하여 그 테두리 안에서 진술되었다. 특수교사의 자질을 위한 교사 양성의 과제는 앞 장에서 언급된 교사 자질 분류 영역을 크게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제안되는 데, 그 영역은 특수교육의 윤리 및 철학적 기초, 인간발달과 행동, 교육 환경 및 시스템, 생애 주기별 교육, 특수교육 관련 법·정책 및 행정 차원 등이다.

      • KCI등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교육과정적 통합교육 실시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김의정,김애화,최혜승,권택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교육과정적 통합교육 실시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총 30명의 교사(특수교사 15명과 일반교사 15명)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였고, 인터뷰는 5개의 개방형 질문에 따라 진행되었다. 인터뷰 데이터를 전사한 후 3차에 걸쳐 코딩하였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요구하는 교육과정적 통합교육 실시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과 관련된 4개의 주제와 이들 주제 하에 특수교사 13개, 일반교사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견해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적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 요구 사항 및 해결방안에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 공통점과 차이점이 동시에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적 통합교육을 위해 필요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고유의 전문성에는 두 교사 집단 간 뚜렷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는 기본적인 교사로서의 사명감 및 자질을 교육 과정적 통합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공통의 전문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curricular inclusion. Thirty teachers (1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5 gener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s involved five open-ended questions.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then coded three times. Through the coding processes, four themes with thirteen sub-categories emerged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ixteen sub-categories emerged for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inclusion differently. Second, the findings revealed both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bout difficulties, needs, and solutions for curricular inclusion. Third, the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felt that the unique expertise of both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s needed for successful curricular inclusion. Lastly, they felt that the commitment and qualities of teachers should be their common expertise in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ar i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