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생성 원리와 국내 연구 동향

        김희경(Kim Hee-kyung)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각 연구자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생성원리를 웹툰과 드라마, 영화의 사례를 들어 설명한 책이다. 국내의 경우, 2000년대 중반 이후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혹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관한 논문과 책의 출판은 양적으로 조금씩 늘어나고 있지만 기존의 스토리텔링과는 생성구조가 다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관한 책이 출판되었다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두 책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생성 원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나아가 미디어를 트랜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두 책을 통해서 알아봄으로써 국내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Webtoon, the structure and possibility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transmedia storytelling” are the basic concepts of trans media storytelling and the cre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is is the book I described. In Korea, since the mid-2000s, the number of publications and books on transmedia content or transmedia storytelling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but the publication of a book on transmedia storytelling that differs from that of existing storytelling It is quite encouraging. In both books, we will look at the current state of transmedia content research in Korea by exploring how to understand the cre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what it means to transform media.

      • KCI등재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박기수(Ki Soo Park)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애니메이션연구 Vol.12 No.3

        본고는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가능성을 모색하고 최적화 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은 향유를 지속·강화·확산하기 위하여 복수의 매체와 장르를 가로질러 스토리월드(story world)를 확장적으로 구축해나가는 스토리텔링 전략 혹은 그러한 세계를 의미한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장 큰 특징은 ⓐ 향유의 지속·강화·확산, 즉 활성화를 지향함으로써 콘텐츠의 가치를 늘 현재진행형 상태로 유지하려 한다는 점이다. 향유의 활성화는 생산자와 향유자라는 전통적인 경계를 붕괴시키고, 향유 행위 자체가 생산의 잠재태인 동시에 구체태로서 기능하며, 향유 공동체를 통하여 향유자들 간의 향유와 인정이 생산의 기반을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은 향유의 활성화라는 영원한 유예의 상태를 궁극의 지향으로 삼기 때문에 ⓑ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의 실천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 스토리월드를 구성하는 핵심의 정체성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개방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 그 결과 ⓓ 텍스트는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모듈로서만 완결될 뿐이며 ⓔ 끊임없는 자기 증식과 구현 매체 및 기술, 그리고 주변 장르와의 융합(convergence) 가능성을 열어놓게 된다. 가장 역동적인 장르인 웹툰이 급부상하는 이유는 독립적인 콘텐츠로서의 가치만큼이나 원천 콘텐츠로서의 잠재적인 역량 때문이다. 본 논의에서는 개방성·확장성·역동성·유목성을 지향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월드와 웹툰이 생산적으로 만날 수 있는 지점으로 스토리텔링에 주목했다.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웹툰을 실체적으로 파악할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장(field)’으로 파악할 것을 제안한다. ‘웹툰의 장’은 향유를 동력으로 생산과 소비의 경계를 넘어서는 개방성과 유목성을 지향하며, 참여·가치·즐거움·공유·체험이 연쇄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함께 즐기는 놀이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작품 수에서나 구현 양상 면에서 미완의 모색기라 할 수 있다. 향후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① 스토리월드 구축 양상과 전략적 구축 방안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요구하고 있으며, ② 비즈니스적 전개와 팬덤의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③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상호 텍스트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전략의 마련이 요구되고, ④ 향유의 기반이 되는 참여의 수준과 지속 정도에 대한 세분화된 논의가 필요하고, ⑤ 탈중심화에도 불구하고 선도하면서 다른 콘텐츠 창작을 자극하는 콘텐츠 간의 구도와 층위에 대한 탐구가 요구되며, ⑥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활성화에 적합한 스토리의 성격 및 필요 요소에 대한 실천적 탐구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the transmedia storytelling and researching the optimization strategy of webtoon. Transmedia storytelling is either a storytelling strategy or the world that crosses the multiple media and genre by expansion of story world to extend, strengthen and spread the enjoymen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storytelling are ⓐ Tend to stay current and in continuos status by focusing on extending, strengthening, and spreading the enjoyment. Stimulating the enjoyment demolishes the traditional barrier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user, while enjoyment itself becomes both potential and concrete status of the producer. Also, user acknowledgement build the foundation of production by building the enjoyment community. ⓑ Acknowledge the practical involveme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 Guarantee the oneness and autonomy of rest of the story world other than the core identity. As a result, ⓓ it would be completed as a module not as a complete text, and ⓔ open the possibilities for continuous self breed, realization medium, technology and convergence with other genre. The reason for sudden rise of webtoon is the potential capability as a source content as well as the value of a independent content. This article focuses on oneness, expansion, dynamic, and nomad aspect of storytelling where transmedia story world and webtoon can meet productively. Dynamic ‘field’ rather than nature of webtoon was understood to find the potential transmedia storytelling of webtoon. ‘Field of webtoon’ aim for oneness and nomad with power of enjoyment that crosses the border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Further it will be the playground that involve, value, fun, share, and experience through series of interactions. Transmedia storytelling of webtoon is at incomplete status considering the realization aspect and number of work. In the future ① Webtoon transmedia storytelling require practical discussion for story world building aspect and strategic building plan. ② Specific plan to create business development and fandom synergy must be considered. ③ Storytelling strategy on mutual text revitalization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 is needed. ④ Break down discussion of participation and extension degree basing on enjoyment is needed. ⑤ Leading creation while decentralization of other content stimulating structure and level must be examined. ⑥ Lastly, practical search for right story characteristics and needed element to activate transmedia storytelling must be studied.

      • KCI등재

        쿵푸팬더 시리즈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구조 연구

        김재규(Kim, Jae Kyu),이태구(Lee, Tae Gu)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7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2 No.-

        최근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살펴보면 트랜스미디어 형태의 작품들이 만들어져 성공하는 사례를 자주 접할 수 있다. 트랜스미디어 형태의 작품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근간이 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심도 깊게 연구되어져야 한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미디어를 가로지르는 의미의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이 합쳐진 용어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작품들은 원작이 성공을 하게 되면 다양한 미디어인 극장용 애니메이션, TV 시리즈, 단편, 게임 등으로 확장된 작품들이 만들어진다. 각각의 작품들은 독립적으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가거나 원작에서 서브캐릭터로 나온 캐릭터가 다른 작품에서는 주인공으로 탄생하여 스토리가 확장된 작품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전체적인 배경이 되는 세계관과 주변 캐릭터들은 서로 연관되고 공유한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쿵푸팬더를 주목한 이유는 주인공인 포를 비롯한 확장성 있는 주변 전사 캐릭터들이 등장하고 있고 2008~2016년까지 극장용 3편, 단편 3편의 작품이 제작되었으며 TV용 애니메이션은 시즌 1은 26편, 시즌 2은 25편, 시즌 3은 27편 등 많은 작품이 제작 되었다. 전세계적으로 성공한 애니메이션인 쿵푸팬더 시리즈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연구하여 원작이 확장되어 성공한 작품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잘되어진 성공한 작품들이 제작되기를 기대해본다. Reviewing recent animations, we can often access the successful cases of transmedia typed works. For the success of transmedia typed works, the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is the basis of work, should be deeply researched. Transmedia storytelling is a compound in which ‘transmedia’ +’story telling’ meaning across media. If the original work of transmedia storytelling succeeds, its extended versions are created such as Theater animations, TV series, shorts, games which are various medias. Each works lead the story independently or sometimes the character, which used to be a sub character in original work, is recreated as a main character in other works of which story is extended. But the world view and surrounding characters, which is the overall background, are connected and shared each other. The reason why I focus on Kung Fu Panda in transmedia storytelling, surrounding warrior characters with expandability appeared including main character, Po, and 3 theater films, 3 short films were produced from 2008 to 2016, TV animations were produced including 26 episodes for season 1, 25 episodes for season 2 and 27 episodes for season 3. I would like to research how successful works, which were expanded from the original, are made by studying transmedia storytelling of globally successful animation, Kung Fu Panda. Based on this, I expect the successful works with well structured storytelling will be produced in Korea.

      • KCI등재

        문학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간의 상관성 연구

        류선정(RYU SunJung),유은순(YOU Eun Soon)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6

        본 논문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과 같은 현대 이야기 기술의 출현을 디지털 환경과 미디어의 활용적 측면에서 조명했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그 기술의 근원이 문학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세기 프랑스 사회의 벽화’라고 일컬어지는 오노레 드 발자크(Honoré de Balzac)의 소설집 『인간희극(La Comédie humaine)』에 나타난 현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징적 요소들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발자크가 얼마나 시대를 앞서가는 혁신적인 글쓰기를 시도하였던 작가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다수의 미디어 사용과 다양한 변형을 통해 이야기 세계를 확장해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자크는 19세기라는 시대의 특성상 다양한 매체로 외연의 확장을 시도할 수는 없었지만, 이야기의 변형을 통해 다양한 이야기를 양산하는 내연의 확장을 기획하고 추진하였다. 『인간희극』은 90여 편에 이르는 소설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띠면서 하나의 세계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하나의 이야기가 여러 텍스트로 나누어져 전체 이야기를 새롭고 풍부하게 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과 부합한다. 둘째, 발자크가 독립된 텍스트들 사이의 연결 고리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했던 대표적인 서사 기술은 ‘인물 재출현’기법이다. 이것은 한 인물이 여러 작품에 직접 출현하거나 다른 인물들에 의해 언급되는 기법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는 마블(Marvel)의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이야기 확장의 전략으로 자주 사용되는 ‘크로스오버(crossover)’의 원형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발자크의 인간희극의 서사 구조가 탈중심성과 열린 결말을 띤다는 점에서 당대의 소설들과 구별되고, 오히려 현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응된다. 발자크가 시도한 비선형적 서사 구조와 복수의 플롯, 암시와 복선 등은 작품에 대한 독자들의 흥미와 상상력을 자극하여 작품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발시켰다. 마지막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처럼 발자크 또한 독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공유, 생산을 이끌어 냈다는 점이다. 발자크의 소설들 사이에 관찰되는 모순점과 오류, 비선형적 구조와 불연속적인 특징 등은 오히려 독자로 하여금 상상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게 하고 그들의 삶을 재구성하게 함으로써 개별 작품 사이의 간극을 좀 더 풍부한 의미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발자크의 작법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서사 전략이 어떻게 상응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발자크가 왜 근대성의 미학을 구현한 작가로 평가받고 있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paper investigates how modern narrative technique, such as transmedia storytelling, has emerged by tracing back to its origin in the literature through expansion of research scope beyond the existing focus o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media usage. To this end,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distinctive elements of modern transmedia storytelling from the collection of interlinked novels written by Honoré de Balzac entitled “La Comédie humaine” or “The Human Comedy”in English. The collection is often known as the literary fresco of the French society in the 19th Century. The following research outcomes have affirmed that Balzac was a writer exploring a revolutionary writing technique way ahead of his time. First, transmedia storytelling is distinctive in that the narrative world expands while transcending diverse media and going through diverse transformations. Although Balzac could not try external expansion through diverse media due to the limitations unique to the times back in the 19th Century, the writer pursued the internal expansion of his narrative world by transforming and producing a great quantity of various stories. The collection, “The Human Comedy”, creates a world shaped by a vast series of some 90 organically interlinked novels. This is akin to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offers new perspectives into and enriches the entire plot by breaking down one story into many different texts. Second, “personage reappearance” is Balzac’s representative narrative technique aimed to interlink independent texts. The technique allows one personage either to appear or to be mentioned by other personages in many of Balzac’s writings. This technique can be suggested as the origin of crossover strategy often used by Marvel to expand the cinematic universe for its superhero films. The strategy is cited as a classic case of successfully utilizing transmedia storytelling. Third, “La Comédie humaine”by Balzac is different from novels of his time in that its narrative structure is decentralized and open-ended. It rather corresponds to transmedia storytelling of modern times. Balzac’s attempts at nonlinear narrative structure, multiple plots, hints and foreshadowings spark readers’ interests and imagination, thereby capturing readers’ lasting attention for his writings. Lastly, Balzac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sharing and creation by readers just as transmedia storytelling does. The contradictions, errors, nonlinear structure, discontinuity and other features that characterize Balzac’s novels invite readers to use their imagination for exploring various possibilities that can spread out for characters whose life can be reconstructed afterwards. Then, the gaps separating individual piece in his collection can be filled with a wealth of meaning. This paper investigates how Balzac’s writing technique corresponds to the narrative strategy found in transmedia storytelling while reaffirming why, in our times, Balzac is deemed to be a writer who had materialized the aesthetics of modernity.

      • KCI우수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역동적 참여와 융합 그리고 공유의 즐거움: 콘텐츠IP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박기수(Park, Ki-Soo)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2

        본고는 콘텐츠IP(Intellectual Property)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주목하고, 그것의 구현 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콘텐츠IP의 가치와 중요성이 강조되고 다양한 방식의 비즈니스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전략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콘텐츠IP 활성화의 구현 전략으로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출발하지만, 개념적 파악 보다는 구체적인 구현 및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현재적 의미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현재 콘텐츠 현장에서 대상, 구현방식, 수익구조, 전개 양상 등에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콘텐츠IP를 중심으로 한 개방적인 연계와 융합의 역동적 양상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그 개념 역시 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인 접근으로 변화 양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콘텐츠IP 비즈니스에서는 확장 가능성과 지속 가능성이 중요하다. 이를 전제로 한 콘텐츠의 융합 및 전개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재적 의미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현 동력에 주목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그것을 ‘역동적 참여와 개방적 융합 그리고 자발적 공유의 즐거움 창출’로 파악하였다. 콘텐츠IP 비즈니스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개별 콘텐츠의 독립성과 트랜스미디어스토리월드의 통합성을 전제로 하며, 그것의 역동적인 지속-강화-확장의 동력은 향유자의 참여와 연계 그리고 공유의 즐거움을 통해 창출되는 까닭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pay attention to Transmedia storytelling as specific methodology and investigate its materialization strategy, with the purpose of vitalizing contents IP. Whil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contents IP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and diverse methods of the business have been embodied, the reality is that research about its specific strategy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article paid close attention to Transmedia storytelling as a specific materialization strategy for contents IP vitalization. While starting from the discussion over existing Transmedia storytelling, this article concentrated on the specific aspects of materialization and development; it focused more on identifying the features of today’s Transmedia storytelling than its conceptual understanding. Contents IP is diversely developed in contents fields nowadays; if its dynamic aspect of open affiliation and convergence can be understood through Transmedia storytelling, the change of its notion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more flexible and open approach. Moreover, because extensibility and sustainability are the two key elements in the business of contents IP, both universe building based on affiliation and convergence and users’ constant engagement and sharing are essential. In order to seek methods to vitalize contents IP, this article paid great attention to the motivity of Transmedia storytelling’s materialization, identifying it as ‘dynamic engagement, open convergence, and pleasure of voluntary sharing’ in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the business of contents IP or Transmedia storytelling presuppose both the independibility of individual contents and integrity of the story world, and that motivity of its dynamic sustenance-reinforcement-extension is created through engagement, convergence and pleasure of sharing.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 개념과 분석 방법에 관한 시론

        권호창(Kwon Hoch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복수의 미디어와 장르 그리고 생산 주체를 가로질러 스토리 세계를 확장적으로 구축해나가는 스토리텔링 전략 혹은 그러한 세계를 의미한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일관성은 콘텐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수용자들의 몰입과 참여를 끌어내는 데 있어 핵심적인 속성이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통합적인 논의와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혼동이 있으며, 분석 방법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도 부족한 형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에 관한 개념 체계와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관련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에 관한 개념 체계를 만들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에 관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 분석 항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개념 체계와 분석 항목을 연결하여 구체적인 분석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에 관한 기초 연구로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기획 및 분석과 관련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ransmedia storytelling is a storytelling strategy or a world that expands the story across multiple media, genres, and subjects. Consistency in transmedia storytelling is a key attribute in maintaining the content identity, contributing to recipients’ immersion and participation. However, the concept causes confusion due to the lack of integrated discussion and definition compared to its importance, accompanied by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analysis methods.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ual system and analysis method to achieve the consistency in transmedia storytelling. First, related studie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to create a conceptual system for the consistency in transmedia storytelling, and the analyzed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discussions on the components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 addition, specific analysis contents and methods were proposed by linking the conceptual system and analysis items. Thus, this paper is a foundation study on the consistency in transmedia storytelling, and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planning and analysis of transmedia contents and related education.

      • KCI등재

        아동용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 융합 디자인 연구

        조성용(Cho, Seong Yong),김규정(Kim, Kyu J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최근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2가지 특징은 아동용 콘텐츠의 성장과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 확산이다. 성인용 콘텐츠에서 두각을 나타낸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아동용 콘텐츠에서도 발전 가능성이 무한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연구를 통해 아동용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의 개발에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동용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를 스토리텔링과 이용자를 기준으로 다학제적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복수의 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리텔링 구조를 반영한 아동용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 〈Traveler Jake〉의 프로토타입 디자인을 제시해보았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첫째, 연구의 목적과 이론적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다. 아동용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 뒤, 헨리 젠킨스(Henry Jenkins)의 트랜스 미디어 개념과 OSMU(원소스 멀티유스)1)와 트랜스 미디어를 비교를 토대로 아동용 트랜스 미디어의 개념을 기술하였다. 둘째, 아동용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의 개념을 스토리텔링과 이용자 측면에서 분석했다. 스토리텔링 요소는 에듀테인먼트, 음악, 캐릭터라는 3가지로, 이용자 요소는 부모세대와 아동 2가지로 세분화하였다. 셋째, 선택된 아동용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 사례 4가지를 스토리텔링과 이용자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는, 이전 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용 콘텐츠와 트랜스 미디어를 융합한 새로운 창작아동용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 〈Traveler Jake〉의 프로토타입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The two features of recent media content industry are the growth of children’s content and spread of transmedia storytelling.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stands out in adult content field, has also enormous potential in children’s content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new direction of design in development of transmedia content for children by convergence study. Therefore, we analyzed transmedia storytelling based on storytelling and users in multi and interdisciplinary way. And we presented a prototype design of the children’s transmedia content 〈Traveler Jake〉 which reflects storytelling structure allowing multi platform for content. The research process is structured as follows. Firstly,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ere described. After presenting the extensibility of transmedia content for children, we described the concept of transmedia for children based on Henry Jenkins’ concept of transmedia and comparison of OSMU and transmedia. Secondly, the concept of transmedia content for children was analyzed in terms of storytelling and users. Storytelling element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edutainment, music and characters, and user elemen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arents’ generation and children. Thirdly, the selected four transmedia content cases for children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torytelling and users.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previous chapter, we suggested a prototype design of new children’s transmedia content named 〈Traveler Jake〉 converging media for children and transmedia.

      • KCI등재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스토리세계 확장 전략 연구 -‘히어로즈(Heroes)’ 유니버스에 구현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례를 중심으로-

        조희영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1

        to secure a large IP using transmedia storytelling. Nevertheless, in Korea, only media mix strategy-based adaptation of original webtoons proven in popularity is active, whereas the true advance in transmedia storytelling is still very slow. This study diagnoses the reason for such situation 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properties, especially the intertextual characteristics, at the content development and production phase.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requires participants to traverse multiple media, asks them to recognize the intertextuality between intertexts belonging to the transmedia network and cross as many intertexts as possible. In view of such situation,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implications to local media & entertainment practioners by analyzing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intertexts that make up the “Heroes” universe based on one of the highly successful North American TV shows in the late 2000s. The “Heroes” universe is also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cessful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effectively exploited webcomics as a hypertext in constructing transmedia propert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rned universe using Howard’s storyworld extension strategy and Ruffel’s ‘migratory cu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webcomics Heroes seamlessly expands the storyworld of the entire universe through strategically structured intertextuality, and induces users to discover and assemble missing puzzle pieces in the vast universe’s timeline through optimized migratory cues. In addition, in order to optimize participants’ immersion, the webcomics is successfully inducing them to feel willing to navigate additional intertexts such as TV shows and alternative reality games. It is expected that the implications of the strategic intertextuality of the “Heroes” universe will provide meaningful insights in improving the monotonous pattern of media conversion currently found in Korea. 세계적으로 매체의 증가와 소비의 개인화로 인해 새로운 콘텐츠 및 스토리텔링의 수요가 폭발 중이며 국내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거대 IP 확보 열망이 거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성공한 웹툰 중심의 미디어 믹스 전략에만 국한된 원작의 자기복제 양상이 가열되고 있을 뿐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성장이 여전히 매우 더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의 원인을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특성, 그중에서도 상호텍스트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가 콘텐츠 기획 및 제작 현장에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사용자들로 하여금 다매체를 횡단하도록 유도해야 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는 사용자들이 트랜스미디어 네트워크에 속한 텍스트들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인지하고 이를 통해 가급적 여러 텍스트를 횡단하는 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대 북미 드라마 <히어로즈>(Heroes)를 거점 텍스트로 삼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히어로즈’ 유니버스를 구성하는 상호텍스트 간상호텍스트성에 초점을 두고 분석함으로써 국내 트랜스미디어 기획자들에게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히어로즈’ 유니버스는 웹코믹스를 후텍스트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성공시킨 대표 사례이기도 하다. 하워드의 스토리세계 확장 전략 및 러펠의 ‘이동 신호’를 활용하여분석한 결과, ‘히어로즈’ 유니버스 주요 구성 텍스트인 웹코믹스 『히어로즈』는전략적으로 구조화된 상호텍스트성을 통해 전체 유니버스의 스토리세계를 효과적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통상적으로 거점 텍스트들에서 드러낼 여유가 없었던 캐릭터들의 전사나 심리, 관점 외에도, 이동 신호를 통해 사용자들이 다매체를 향유하는 과정에서 방대한 유니버스의 타임라인에서 비어있는 퍼즐 조각을 발견하고 맞추어 부가적 이해를 획득하도록 유도하는 점이 탁월했다. 또한 사용자들의 몰입의 최적화를 위해 드라마나 대체현실게임 등 여타 상호텍스트들을 추가로 향유하는 과정을 자연스레 유도하는 연결고리 기능까지도 담당할 수 있었다. ‘히어로즈’ 유니버스의 전략적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스토리세계 확장의 시사점이 국내의 획일화된 매체 변환 양상을 개선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국내 영상콘텐츠에 적용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조희영(Hee-Young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국내 영상콘텐츠 산업의 진일보를 견인하는 기획개발 트렌드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과 그 원천 콘텐츠로서 웹툰의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고민과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1세기 이후 디지털 기술과 참여문화 발달로 다매체를 횡단하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제작의 핵심 서사 기법으로 대두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영화, TV드라마, 웹드라마, 게임이라는 국내 영상콘텐츠 4대 대표 매체들과 웹툰과의 결합 내에서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부터 시작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적용은 단순한 홍보 마케팅 차원의 마케팅 트랜스미디어에서 2014년 드라마 〈미생〉의 성공을 필두로 더딘 속도로나마 프랜차이즈 트랜스미디어로 진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영화와 TV드라마의 경우는 여전히 마케팅 트랜스미디어의 일환으로 웹툰이 전방위적으로 활용되는 실정이다. 게임의 경우 원작 인기 웹툰을 활용한 모바일게임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적용된 사례라 평가할만한 경우는 거의 엿보이지 않았다. 고무적으로 웹드라마의 경우 2016년부터 〈마음의 소리〉, 〈특근〉과 〈통 메모리즈〉 등 웹툰과 시너지를 내며 내러티브 및 세계관 확장을 시도한 주목할 만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향후 기획적 측면에서의 작품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세부 분석 및 지향 제시에 대한 예비 과정으로서 본 연구가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audiovisual works have so far tried to employ transmedia storytelling, no matter how tenuously they may have, with a primary focus on the applic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to media franchise based on or utilizing webtoons. Examination of patterns in which local feature films, TV shows, games, and web dramas are associated with webtoons reveals there are few Korean audiovisual works yet that can be viewed as genuine transmedia products intended to provide additive comprehension, one of the major distinctions between crossmedia storytellling and transmedia storytelling defined by Henri Jenkins, by offering different texts through their respective media platforms deployed. However, a few promising exemplary projects such as The Sound of Your Heart illustrate the synergistic storytelling between webtoons and their stretched web dramas where more enriched storyworlds within a larger universe can be shaped than would be possible in a single medium. An increased number of trials of such synergistic strategies and further enhanced analyses on the trials are needed in that transmedia storytelling utilizing low-end media platforms such as webtoons and web dramas as stepping stones is deemed one of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in Korea to expand a media property into other more mainstream formats such as feature filmsm, TV shows, or games by building brand awareness from initial fan base who has already consumed the earlier formats of the property within the same storyworld.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반의 방송콘텐츠 제작 과정 연구

        서정호 ( Suh Jung-ho ),백상기 ( Baek Sang-ki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반의 방송 콘텐츠 제작 과정을 살펴보는 연구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란 헨리 젠킨스(Henry Jenkins)에 따르면 하나의 이야기를 체계적으로 구분해 다양한 매체에 적용하는 것으로, 원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다양하고 조화로운 향유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이론적으로 고찰한 다음,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례로 만들어진 정치예능형 시사방송인 ‘YTN 안드로메다 프로젝트’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로 구현된 방송결과물과 제작모형 그리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스키마 등을 도출하기로 했다. 또 도출된 제작모형과 스키마는 인접 방송매체들로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최근 방송사들이 겪고 있는 레거시 미디어와 뉴 미디어 매체 사이의 신-구 플랫폼 간 반목을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 방송제작 방식으로 변증(辨證)해 봄으로 공진화(Co-evolution)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transmedia storytelling' based video content 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Henry Jenkins, transmedia storytelling is defined as a process to share a various, harmonized, and pleasing experience by systematically dividing a story and developing it into different kinds of media. Such a process effectively provides a strong experience that puts the audience together in one story who are scattered due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age of multimedia. The conductor of this study firstly study the 'transmedia storytelling' theoretically and analyzes 'Andromeda Project', which is recently produced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 by per season in terms of the purpose, production method, etc. and seeks the possibility to extend to an adjacent field of production by drawing a series of production models, schema, etc. By doing so, the conductor seeks for a measure to reasonably and logically co-evolve the legacy media and the new media platform, which is a rising issue of conflict within broadcasting companies, through the production method of 'transmedia storyte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