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모빌리스의 기업 이미지 통합(Corporate Identity)사례 연구

        김제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2

        Influence of image integration can be viewed as a very critical. Because integrated visual design is possible to form a company’s brand power. Even it’s necessarily required products, customers are not tend to purchase the lower recognition companies products. Since reputation of company is constructed via “Corporate image”, this phenomenon can be seen brand new small sized enterprises. In this paper, the case of build Corporate Identity for new start-up company Newmobilis’s image integration process for launch. Thus the expected effects through the integrate of Newmobilis Corporate Identity is as follows: First, Corporate Identity is going to play a major roles to increase reliability and brand awareness which can get out of start-up image. Second, a company can be to contribute to expansion of the business environment to build a system that is suitable for the mobile environment and focused on development of differentiation and practical platform development. Third, awareness of new image is accumulated, the company expect to expand sales growth through new Corporate Identity. Fourth, Newmobilis will be able to grow as a global company through build a image as specialized products which the product in harmony function and design. Fifth, Corporate Identity can be expected to cost saving in the field of various PR and design that occur in the future. Thus, Corporate Identity can grow corporate competitive power and create positive image which leads to the goals of the company. 현대의 소비자는 상품구매를 고려할 때 인지도가 낮은 회사의 브랜드는 구매를 선호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 신생 중소기업의 경우에 더욱 더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보여 진다. 그러므로 통합된 시각디자인 체계의 영향은 기업의 브랜드 파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통합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기업의 인지도란 곧 ‘기업의 이미지’를 통하여 구축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중소기업인 뉴모빌리스의 기업 이미지 통합(Corporate Identity)의 사례로, 런칭을 위한 이미지 통합과정을 전개 및 진행과정을 통해 그 결과물 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뉴모빌리스 기업 이미지 통합을 통하여 기대되는 예상 효과는 첫째, 기업인지도 및 신뢰도가 상승되어 신생기업 이미지를 벗어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둘째,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차별화와 실용적인 플랫폼 개발에 주력하는 회사로서 해당 시장의 확대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셋째, 새로운 이미지를 통한 인지도가 쌓여 기업의 매출 확대를 예상한다. 넷째, 기능과 디자인이 조화된 특화상품으로서 이미지 구축하여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통합된 디자인 안으로 앞으로 발생하는 각종 홍보 및 디자인 분야의 경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업 이미지 통합은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대외 홍보를 통한 이미지를 확보함으로서 기업의 성장과 목표에 일치하도록 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디자인 현황 및 제안

        윤민희(Min Hie Yun),김동언(Dong E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오늘날 문화는 고부가 가치의 산업으로 문화적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지역 축제가 활성화되고 있다. 1996년에 시작된 수원화성국제연극제는 수원화성의 오랜 역사적 전통과 문화유산을 현대 연극과 접목시킨 측면에서 연극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수원화성국제연극제는 2008년부터 수원화성과 정조임금의 정신과 역사적 사실들을 기본 모티브로 디자인한 포스터·웹사이트·팜플렛 등의 디자인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 축제인 에딘버러 페스티발, 베니스 비엔날레에 비하여 디자인은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원 화성의 역사가 어우러진 수원화성국제연극제에 관한 디자인 현황을 연구·분석하고 연극제의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1) 연극제의 현황 및 의의, 2) 디자인 현황 및 사례연구, 3) 국내·외 대표적 축제의 디자인 현황 및 사례연구, 4)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디자인 비평 및 제안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수원화성국제연극제 디자인 현황연구는 2008-2011년 동안의 홈페이지 디자인, 포스터, 로고타입, 어플리케이션 등을 연구·분석한다. 국내·외 대표적 축제의 디자인 현황 및 사례연구는 대표적 연극제인 에딘버러페스티발, 아비뇽 페스티발과 베니스 비엔날레와 광주 비엔날레의 디자인 현황을 연구·분석한다. 이러한 다각적인 축제의 디자인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수원화성 국제연극제의 디자인 현황을 분석한 후 연극제 디자인 방향 제안 및 활용 가능성을 제안한다.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디자인에서 가장 고려해야 할 부분은 디자인의 총체성을 위한 디자인 시스템과 매뉴얼을 작성하여 홈페이지·그래픽 모티브·로고·어플리케이션 등의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기술(전용 웹 채널·어플·SNS·QR코드 등)을 활용한 홈페이지 디자인과 그래픽 모티브를 바탕으로 캐릭터를 포함한 다양한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이 시대적으로 필요하다. 통합된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한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체계적인 디자인은 문화 콘텐츠화, 문화상품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구축 등으로 다양한 영역에 활용이 가능할것이다. 이러한 연극제의 디자인은 연극제의 콘텐츠 DB구축, 디자인을 통한 연극제 홍보, 연극제의 디자인 문화 상품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구축, 디자인문화의 다양한 산업적 활용 가능성, 수원시의 이미지 강화 및 산업적 경쟁력 확보 등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연구는 수원 화성의 역사적 전통과 디자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상호 연관하여 다양한 영역의 문화 콘텐츠로써의 활용가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문화 원형으로 수원화성의 역사적 중요성과 그것의 현대적으로 활용한 축제와 그 축제에 따른 다양한 시각적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가진 축제의 정체성과 차별화에 기여할 것이다. Today`s culture as high value-added industries is more important globally. With this trend, various local festivals that reflect the cultural identity have been created. Started in 1996,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combines Suwon Hwaseong which based on a long historical tradition & cultural heritage and modern theatres. Since 2008, the basic motifs which are based on historical fact the spirit of the King Jung-Jo and Suwon Hwaseong is designed for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design such as posters, sites, brochures, etc. In comparison to international festivals, Edinburgh international and Venice Biennale, however,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design system is not well orga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 improvement & design usability of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with the analysis of the design status of the festival.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tatu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festival, 2) design status and case studies of festivals, 3) design status and case studies of worldwide international and domestic festivals, 4) design criticisms and suggestions of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For the status of festival design,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festival design that has been partly done from 2008 to 2011 by a design firm. For design status and case studies of worldwide international and domestic festivals, this research analyzes the status of the design for the Edinburgh Festival, Avignon Festival, Venice Biennale and the Kwangju Biennale.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festival designs, based on the diverse cas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e proposal of design usability of the Suwon Hwaseong festival.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design is how the over all design will be coordinated with the totality of design system and manua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variety of design applications based on site design and graphic motifs utilizing new technologies in the digital age (web channel·application·SNS·QR code·etc.)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s well organized design with integrated homepage design would probably be utilized in various area of cultural contents design, brand portfolio and so on. The organized design of the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is expected to have many positive effects. Some of major positive effects are: creation of a design database, public relations through design, brand portfolio system of cultural goods, product usability of design, the brand image of enhancement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Suwon. These studies, the historical tradition of Suwon Hwaseong Fortress`s and lt`s cultural identity of design interrelate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as cultural contents in a variety of area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s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with diverse cultural values, developing.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Suwon Hwaseong Fortress as cultural archetypes in the digital era of the 21st century, utilizing it as a modern festival, and a variety of visual & cultural contents of the festival.

      • KCI등재

        국내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 분석에 따른 신개념 CPI 전략구축 연구

        홍성수(Sung Soo Hong),홍경민(Kyung Min H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최근 한국기업들의 위상이 선진국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대등하고 앞서가는 기업들이 늘고 있으며 국제적인 기업으로 급속히 성장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화 되는 과정에서 디자인경영의 역할이 크게 기여하였다. 국제적인 경쟁력을 위하여 기업들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한 것이 20년 정도밖에 안되고 그것도 실질적으로 기업경영의 도입된 것은 10년 정도 일 것이다. 그렇다 보니 기업에서의 디자인 경영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업경영을 체계적으로 적용한 기업은 그리 많지가 않아서 국가에서 디자인브랜드경영대상 제도를 도입하여 장려 차원에서 평가에 따른 포상을 하고, 그에 따른 지원과 혜택을 함으로서 국가 디자인 위상을 높이는 정책을 하여왔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현황은 아직도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을 확립하여 이를 적극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국내 기업들 중에서 디자인브랜드경영대상에 선정된 후 계속하여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기업경영에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을 선정하여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의 활용 및 현황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디자인경영관리 기본이 되는 CI (Corporate Identity), BI (Brand Identity), CPI (Corporate Product Identity)에 대한 시스템을 잘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보다 체계적인 활용 방안도 연구 하고자 한다. 그동안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디자인경영전략의 일환으로 CPI 전략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 왔으며 그로 인하여 기업이미지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CPI 전략 시스템은 초기 단계이며 현재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으며 CPI 전략시스템 구축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며, 그 전략 체계도 확립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기본 목적은 국내 기업들의 디자인경영 전략을 분석함으로서 공통적인 전략, 우수하고 훌륭한 전략, 개선되어야 할 전략, 새로운 개념의 전략들을 발췌 정리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신개념의 CPI 전략체계를 구축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국내 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경영전략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CPI전략 구축을 위한 새로운 구축체계를 확립하고자 신개념의 CPI 전략 시스템을 체계화하도록 하는 연구내용이다. 또한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국내 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에 관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CPI 전략 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개념의 CPI 전략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의 객관화를 위하여 선행 연구와 기존의 통계자료의 분석, 관련 기관을 통한 정보자료의 입수를 통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신개념의 CPI 전략은 기존의 국내 기업들이 설정한 CPI 전략들이 심히 개념적이거나 실행 불가능한 비현실적인 전략들을 분석하여 더욱더 실질적이고 모든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실행가능 한 실제적인 CPI 전략의 새로운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향후 신개념의 CPI 전략을 도입 활용함으로서, 자신들만의 기업 특성화 이미지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Recently, more ``Korean-Corporations`` are expanding their businesses into other(oversea) countries and they are equal or getting better in their competition with advanced country as an international company is going to grow rapidly. Without a doubt, such a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the role of design management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nations`s economic success. The companies started to introduce a design management system for a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at will be only about 20 years, and it has been used actually about 10 years to introduce the real corporate management. Thus, the companies that apply a systematic corporate management with design management in the companies did not have too much design management system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Design Brand Management Awar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 terms of encouraging and national policy has been improved for the design`s status by the supports and benefits. But the situations of domestic companies are not still actively using and establishing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well. Therefore, in order to find more systematic and useful application method, it needs to do the analysis and utilization of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nd find the companies are utilizing their company management by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fter selected ``The Design Brand Management Award`` in the domestic companies. In addition, this research studied more systematic utilization methods with an analysis of good using CI(Corporate Identity), BI(Brand Identity),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system or not in the same context of the basic design management. In the meantime, developed countries actively utilized CPI strategy system that is a part of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from a long time ago, it is improved company images and it is given great contribution by using that. But CPI strategy systems of the domestic companies are basic stages and the works are now in progress, the structure of CPI strategy system was not properly installed. That strategy structure also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e reality. The basic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studying the extract and organization of the common strategy, the excellent and outstanding strategy, the improved strategy, the new concept of strategy by analysis of the domestic companies`s design management strategy. Also this is studying and building the new concept of CPI strategy structure. Therefore, the basic content of this studying is an analysis with present conditions of the domestic companies`s design management strategy and establishing a new construct system for the CPI strategy structure that is the core of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with this results, and the studying is a new concept of the CPI strategy`s systematization. In addition, a study of methods is building of a new CPI strategy system and understanding the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s by analysis of the domestic company`s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nd research of the CPI strategy system`s present condition.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eceding study and analysis of existing statistical data, the obtainments of information data by the related organization for the objective study with the disinterested and quantitative method. For such a reason, the new concept CPI strategy is new structure system of practical CPI strategy for the more practical and all company can use in common by analysis of the existing domestic companies, impractical set CPI strategies up, are quite conceptual or impossible to do. Therefore, this result of the study will help the improvement strategy of own specialized company images after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y use and institute the new concept CPI strategy system.

      • 할인점 시장에서 디자인 중심의 경영 혁신을 내세운 타겟의 성공 사례 연구

        이원제 ( Won Je Yi ) 상명대학교 디자인硏究所 2007 디자인硏究 Vol.19 No.-

        소비자의 소득수준, 개성과 생활양식, 가치관, 경제 환경, 즐거움 등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이기도 한 할인점 업계는 로열티가 높은 소비자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아이디어 경쟁이 일어나는 곳이기도 하다. 할인점 타겟은 이러한 대내외 환경 가운데 디자인 중심의 경영이라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부동의 1위 월마트를 위협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디자이너들과 타겟만의 디자인 중심의 조직과 문화가 있었다. 따라서 유통시장에서 혁신적인 디자인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는 타겟의 사례연구를 통해 디자인 중심의 경영이 어떠한 형태로 이뤄지고 있는지 그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주로 타겟사의 정기간행물, 논문, 국내외 서적, 매체 등의 자료조사와 현장방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국내외 할인점의 유형과 발전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타겟이 취급하는 제품, 매장, 디스플레이, 제휴카드 그리고 광고를 통해 디자인 중심의 비니지스 철학을 보여주는 여러 사례와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나타난 타겟의 디자인 중심의 경영혁신성공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고 이러한 타겟에 대해 연구된 사례를 통해 통합이미지경영(TIM) 모델에 비추어 그 장단점을 분석해봤다. 결론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된 타겟의 경영사례 분석을 통해 CEO의 확고한 디자인 마인드, 디자인을 제품전략의 출발점으로 인식, 소비자를 선도하는 디자인제품이나 문화제공, 독립적인 디자인팀 운영 등 디자인 중심의 경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 discount store business, which is a space representing consumers` lifestyle in terms of their income level, personality, mode of living, value system, economic environment and pleasure, intensive competition is taking place for attracting consumers with high loyalty through new ideas and changes. In the middle of such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however, discount store Target is adopting a differentiate strategy, which is design-centered management.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make a case study of Target displaying innovating design leadership in the distribution market and to examine the pattern and direction of design-centered management. Target is a foreign enterprise that is not running busines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surveys using annual reports, foreign books and theses, periodicals, magazines and media related to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conomy. Types and development of discount stores, Although it is a distributor, Target reveals its design-centered business philosophy through its items, counter display, affiliated credit card companies, and advertisements. Thus, We examined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arget`s design-centered management by reviewingand interpreting previous case studies through the TIM business process of enterprise image management. Through the case study of Target`s design-centered management. Based on the case study of Target`s design-centered management and the change of external environment, we suggest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design-centered management as follows.

      • KCI등재

        군산국가산업단지의 이미지통합화를 위한 디자인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문은배(Eun Bae M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정부주도의 산업화 정책에 따라 사회기반시설 확충의 일환으로 산업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해 국가와 지역경제의 거점으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산업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면서 산업단지의 기능재편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1990년대 산업화가 고도성장을 이룩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성장중심의 개발로 이어졌다. 이는 공공성이 배제되어진 채 이루어 졌다고 볼 수있으며, 그 결과 공공의 가치와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을 간과함으로서 산만하고 지역성을 배제한 무미건조하고 획일적인 산업단지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었다. 과거의 생산기능 중심의 단순한 산업집적지에서 탈피하여 산업혁신의 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할 시점으로 국민의 정서에 부합하도록 산업단지의 공공디자인은 변화하여야 하는 시기인 것으로 사료된다. 군산국가산업단지 역시 1987년도 8월 산업기지개발구역으로 지정되어 1988년도 개발기본계획 수립과 함께 인구 및 산업 시설을 분산시키고 국가산업단지 형성에 따른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하지만 군산지방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한 성장중심의 도시계획은 체계화 되지 못한 건축물, 공공시설물, 도시상징물을 낳게 되었다. 이러한 경관의 부조화는 도시의 정체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비응항과 새만금 미래지구의 우수한 관광 자원의 경쟁력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때문에 도시의 문제점들을 이해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도시라는 지역특수성을 찾는 과정으로 인문, 자연, 인공 환경의 특징을 조사하여 군산국가산업단지의 공공디자인과 브랜드를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군산국가산업단지의 고유한 도시 아이덴티티를 발굴하고, 브랜드디자인, 공간디자인, 공공디자인 계획을 통합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은 군산국가산업단지만의 도시브랜드를 확립하고 도시계획과 디자인계획을 일체화함으로서 보다 체계화된 도시이미지를 확립하고자 한다. Country since the 1960`s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industrial policy as part of the expansion of the infrastructure industry is just beginning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al and local economy has grown as a base. However, the rapidly changing industry environment and industrial complex function of the demand for restructuring the reality is that being raised steadily. Achieve rapid growth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990s and the local economy, and led to the development of growth-oriented. These results have been developed without considering the publicity. As a result, the public ignores the value and importance of Public design was eliminated distractions and locality in general and undifferentiated industrial complex was formed image. Current production capabilities of the past-oriented industries should be moving away from simple industrial cluster innovation is time to transform the space. To meet people`s emotions industrial complex that must be changed when the public design is thought to be. Gunsan Industrial Complex too industrial base development area in August 1987, is designated as the primary development plan in 1988, with a dispersed population and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formation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 order to promote the local economy was raised. Gunsan Industrial Complex, but with a focus on growth-oriented urban planning of the building could not be organized, public facilities, the city landmark was earned. The incongruity of this officer of the city`s identity as well as a decrease in anti bieung excellent tourism resources of the earth and the future competitiveness of the Saemangeum to have influence.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of the city because of the efforts to solve these problems, more than ever is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ocess of trying to find the industrial city of the local distinctiveness humanities, natural and artificial environment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unsan Industrial Complex analyzes of public design and brand. Through this unique city of Gunsan Industrial Complex and the identity dig, dig, and brand design, space design, public design, integrated planning is proposed. Course of these studies, but the city of Gunsan Industrial Complex established brand and by integrating urban planning and design plans to establish a more structured image of the city is.

      • KCI등재

        지역이미지 통합과 축제 활성화를 위한 인천시 부평로의 사인시스템 디자인개발

        고영준(Ko, Young Jun),김미연(Kim, Mi Yeon) 韓國商品學會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1

        오늘날 사람들의 욕구가 훨씬 다양화, 고도화되고, 세계화의 영향으로 외국인들의 거주 및 왕래가 잦아짐으로써 기존 사인시스템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지역에서 열리는 축제를 포함한 지역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지역을 방문하는 다양한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인시스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시 부평구의 상징도로인 부평로 가로환경을 개선하고 부평구의 대표적인 거리축제인 풍물축제를 활성화하기위한 방안의 하나로 부평로의 종합안내사인, 방향유도사인, 관광안내사인을 디자인개발하기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해 첫째, 사인시스템의 종류 및 특성과 지역이미지 통합과 축제 활성화를 위한 사인시스템의 역할에 대해 문헌 고찰하였다. 둘째, 사인시스템개발에 필요한 대상지의 지역적 특성 파악을 위해 부평구의 현황, 그리고 부평구의 지역이미지 및 부평로에서 매년 개최되는 거리축제인 풍물축제를 조사하였다. 셋째, 사인시스템디자인개발을 위한 디자인요소 추출을 위해 일본 도쿄의 록본기힐,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지역의 사인시스템을 실태 조사하였고 부평로에 설치되어 있는 사인시스템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적 특성과 부평로를 이용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니즈 등을 고려하면서 종합안내사인, 방향유도사인, 관광안내사인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Considering diversified people's needs and increasing number of foreigners who visit and reside in the country under globalization trend, changes of existing signs are required. Especially, facing the local autonomy perio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ign system which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elps a variety of visitors to use it convenient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general information sign', 'direction sign' and 'tourist information sign' to improve the street environment of Bupyong-ro which is a symbolic road of Bupyong District, Inchon and revitalize Pungmul Festival which is the representative street festival. For the research, the first, literature study was carried out over the characteristics of signs and the role of sign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regional images and the revitalization of festivals. The second, in order to identify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urrent situation of Bupyong District, the images of Bupyong District and Pungmul Festival were analyzed. The third, a field study to draw design elements of signs was conducted for sign systems in Rokponggi Hill of Tokyo and Minatomira of Yokohama, Japan as well as an existing sign system in Bupyong-ro. As a result of synthesis of the analysis, its design directions were formulated. Finally, three types of sign designs which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various people's needs were proposed.

      • KCI등재

        효율적인 심볼마크 관리 및 검색을 위한 웹 콘텐츠 제안

        박은영 한국정보과학회 2015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1 No.2

        CI(Corporate Identity) is widely utilized as the tool of the corporate image integration and application of its identity. Especially the higher the influential power of the images of the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to the consumers increases, the more become the utilization and importance of CI.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that are difficult to develop the appropriate company images because CI has not achieved the appropriate communication and sympathy with the general public. Also there are some cases that often do not reflect the trend of times or lack of differentiation and uniqueness of the brand. The symbol mark which is the core of CI is the visual element to show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iation of the company. If the symbol mark is developed and managed systematically, it would be helpful to create the desirable image of the company but also en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nsumers and develop the relationships.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system to manage and search the efficient symbol mark design in this study. To do this, we analyzed the design elements, principles, integration methods, etc besid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existing symbol mark design, and laid out the system and database based on these. The existing searching methods of the symbol mark images were feasible simply to look for the image and company information, while the current study suggested various searching according to the design elements, characteristics, and integration methods proposing the symbol mark saving algorithm based on the certain tags. The suggestive system is expected not only to highlight the company identity which they try to deliver to the consumers but also to develop the differentiated and unique symbol mark from others, enabling the systemic management of symbol mark designs developed by the companies. CI(Corporate Identity)는 기업의 이미지를 통합하고 정체성을 반영하는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 및 기업의 이미지가 소비자에게 차지하는 영향력이 높아짐에 따라 CI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져 가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CI가 대중과의 소통이나 공감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올바른 기업이미지의 구축이 힘든 경우를 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하거나 브랜드 고유의 차별성과 독창성이 부족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CI의 핵심이 되는 심볼마크는 기업의 사회적 개성과 차별성을 나타내는 시각적인 요소이다. 심볼마크의 제작뿐만 아니라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기업의 바람직한 이미지 창출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와의 친밀한 소통 및 유대관계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심볼마크 디자인의 관리 및 검색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심볼마크 디자인의 기본 정보 이외에도 디자인 요소, 디자인 원리, 조합 방식 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다. 기존의 심볼마크 이미지의 검색이 단순히 이미지 및 기업의 정보에 관한 검색이 가능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특징 태그 기반의 심볼마크 저장 알고리즘을 제안함으로써 디자인적 요소와 조형별 특성 및 조합 방식에 따른 다양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업이 개발한 심볼마크 디자인의 체계적 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업이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기업이념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기업과 차별화된 독창적인 심볼마크의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기업의 브랜드이미지 제고를 위한 통합디자인커뮤니케이션 전략

        조선희 강원대학교 조형예술연구소 2003 조형예술논문집 Vol.5 No.-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Strategy to Strengthen Brand Image In today's society characterized by a plethora of information, accuracy and spee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have become prerequisites for all successful communication. Accordingly, product and business brands, being strategic marketing communication tools, are becoming the object of growing attention on the part of an industry in search of more effective designs. More and more companies brand the company ID and many of them no longer distinguish company ID from their product or business brands. Adopting a single-brand strategy offers the advantage of making brand management easier and more effective. As a matter of fact, in today's business world, where company branding and management philosophy branding have become a crucial element of corporate operation, branding has ceased to be what it once was, and is now an integral part of management strategy. Many foreign companies provide excellent examples of design integration where visual images chosen to represent the company are ideally matched to and evocative of company name for clear and easy recognition. In comparison, most Korean company IDs and brands constitute examples of poor application of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realizations of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as found in different domestic companies, and subsequently proposes a model of improved application of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using Namyang Aloe as a sample case. The example proposed by this study can significantly benefit Korean companies for achieving more fully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to create distinctive and well-defined corporate images, which are critical for company value growth.

      • KCI등재

        대학 홍보상품 활성화를 위한 방안 제안

        박은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대학 홍보상품 이용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대학교 홍보상품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연구되었다. 설문조사는 배포된 150부의 설문지 가운데 유효한 105부를 회수하여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sion 12.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사용자 실태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 홍보상품의 구입경험의 유무는 서로 비슷한 분포를 차지하고 있었다. 대학 홍보상품의 구매이유는 학교에 관한 자긍심 및 소속감이 가장 높았으며, 구매의사가 없는 이유는 디자인의 불만족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가격인 경우 대학 홍보상품에 비해 일반 상품을 구입할 의사가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러한 이유 역시 일반 상품의 디자인이 더 우수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학 홍보상품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한 상품의 지속적인 보급으로 학생들의 기대와 관심을 유도한다. 둘째, 품질 좋은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보급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넷째, 학교를 홍보할 수 있는 제품을 통하여 내부적으로는 소속감을 대외적으로는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일반 상품에 견주어 기능성이 떨어지지 않는 질 좋은 상품들의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학교의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변화를 줄 수 있는 디자인 방안으로 다양한 그래픽의 활용을 제안한다. 일곱째, 학교 UI의 메인 컬러와 함께 어울리는 보조컬러를 활용한 디자인을 제안한다.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purchasing university promotional products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and intention. 150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 total of 150 questions were answered.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were performed in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e following observations. Firs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xperience when purchasing promotional products is similar to each other. Second, among all factors, pride and sense of belonging are the main reasons for purchasing the product. And the main reason for not purchasing the promotional products was dissatisfaction with design. Third, if promotional products and general products have the same price, then users prefer to purchase the general products. This is because people tend to think that general products are superior to promotional products in quality. Based on these survey observations, we propose a method on popularization of university promotional products. To do so, first, we propose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consumers by continuous supply of various high-quality and low-cost promotional products. Second, we propose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design promotional products by themselves, since, it would increase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pride for promotional products. Third, we propose the design method using various enhanced graphics while maintaining university identity. Fourth, we propose the design method using enhanced sub-colors harmonized with the main colors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재래시장 현대화 사업에 따른 광명시장 이미지 통합연구

        김부치 ( Kim Boochi ),김영희 ( Kim Young-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18 No.-

        21세기 급변하는 시대적 경제변화로 계속되는 침체 속에서의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2004년 10월 `재래시장 육성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정부와 지자체에서 재래시장 현대화사업을 지원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사업은 재래시장의 시설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실적위주의 업무진행으로 재래시장 고유의 특색을 잃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래시장을 상징하는 기본 이미지를 디자인 원리에 맞춰 형태와 구성으로 표현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양한 응용모티브와 상품사례, 적용사례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재래시장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토록 하게 함으로써 재래시장 고유의 특성 및 긍정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타 유통 업태와의 차별화 및 재래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나아가 지역주민과 상인들 간의 융화 등을 통해 랜드마크의 역할을 하고, 재래시장 상인들의 긍지를 높이고자 한다. Facing the continuing recession with the 21st century`s rapidly-changing economic situa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Special Law for Promoting Traditional Markets" in October of 2004 and is supports a traditional market-modernization project i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However, this project focuses mainly on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for traditional markets, and its performance-based execution undermin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Thus, this study depicted basic traditional market images using shapes and composition, according to design principles. In addition, based on these images, this study proposed various practical motives, product cases and application cases. By promoting the use of traditional market images,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the positive images of traditional markets and to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 distribution channel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make the traditional market play a landmark role in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harmony between local residents and merchants in order to raise the pride of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