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익환의 평화·통일 사상 담론과 성찰

        이유나(You-Na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88

        본 논문은 문익환의 평화 사상과 통일 사상의 변화와 특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문익환의 평화 사상과 통일 사상에서 얻을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문익환의 평화 사상은 생명 평화, 민주 평화, 통일 평화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먼저 문익환의 생명 평화로서 문익환의 ‘생명 사랑’ 의식은 인간을 넘어 자연에까지 확대, 발전하였다. 그는 인간과 인간,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 곧 평화라고 인식했다. 또한 문익환의 평화 사상은 민주 평화로서, 단순히 전쟁을 반대하여 남북 간의 평화적 통일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국민들의 생존권과 인권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인권 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덧붙여 문익환의 평화 사상은 통일 평화로서, 통일 평화는 한반도에서 진정한 평화는 민족의 통일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특히 민족 통일을 위해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추구해 나갈 뿐만이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를 통해, 아시아와 세계 평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문익환의 통일사상은 첫째, ‘통일은 자주하는 민족의 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민족 자주적 통일을 지향하였다. 둘째, 민주 통일병행론 입장을 견지하였다. 셋째는 통일은 좌나 우에 치우치지 않은 ‘중립적’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고하였다. 넷째는 통일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북아와 세계 평화에까지 기여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1980년대 민통련 의장이었던 문익환은 민중 주도의 통일을 지향하였다. 그리고 통일 이념에 대해 문익환은 자유와 평등이 조화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절충하는 입장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통일 방법에 대해서 문익환은 연방제 3단계 통일 방안을 제시하여 남북의 공존과 평화적 통일을 추구하였다. 문익환은 방북 이후 통일에 대한 사고가 수정되었다. 방북 이전에는 통일 운동의 주체가 ‘민’이었으나, 방북 이후에는 ‘민’뿐만 아니라 ‘관’도 함께 통일 운동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으로 변화한 것이다. 그는 1991년 범민련을 결성하여 관뿐만이 아니라 남과 북, 그리고 해외의 민이 통일 운동을 함께 주도해 나가고자 했다. 그런데 그는 남북한 당국에 대해 중립성을 잃고 북한에 경도된 범민련의 한계 상황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하에 그는 통일을 위한 점진적 준비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새로운 통일 운동체의 설립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Moon Ik-Hwan’s understanding of peace and unification. Moon Ik-Hwan’s peace ideology and unification ideology are as follows. Moon’s peace ideology can be divided into life peace, democratic peace, and unification peace. First, Moon’s life peace, his “life love” consciousness, expanded the notion of love beyond humans to nature. He recognized that the coexistence of man and man, nature and man is peace. Moon’s peace ideology is democratic peace, which aims not only to pursue peaceful reunif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y opposing war, but also to solve the problems of people’s right to life and human rights. Based on this,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human rights and democratization movements. Included in Moon’s peace thought was unification peace, and unification peace was possible through the unification of nations. In particular, he recognized that not only should war be prevented and peace be should pursued for national unification, but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contribute to peace in Asia and the world. Next, Moon Ik-Hwan’s idea of unification focused on national independence, that ‘unification should be made by the power of a nation that is frequented.’ Second, he maintained the position of democracy·unification parallelism. Third, unification was thought to be in a “neutral” position that is not biased towards the left or right. Fourth, he emphasized that unification should contribute not only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o peace in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In the 1980s, Moon Ik-Hwan, chairman of Mintonglyeon (Democratic Unification People’s Movement Union), pursued the unification of the people. Regarding the unification ideology, Moon was in a position to compromise capitalism and socialism, which harmonized freedom and equality. On the basis of this, he proposed the third stage of the unification plan to pursue coexistence and peaceful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Moon Ik-Hwan changed his thinking about unification after his visit to North Korea. Before this visit, the subject of the unification movement was ‘the people’, but after the visit he began to call for ‘the government’ also to unify. Furthermore, Moon Ik-Hwan hoped that the overseas Koreans would work together as independent organizations to propel the unification movement. However, he becam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the Beomminryeon (the Pan-Korean Alliance for Unification, BMR) that had been taken over by North Korea. Recognizing this, he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unification movement.

      • KCI등재후보

        근대 한국 민족주의의 정치사상 (2)

        정영훈(Jeong Young Hoo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6 No.2

        이 논문은 근대 한국에서 전개된 민족주의운동의 정치사상을 정리하는 대과제의 일부로서, 특히 삼일운동후 1920년대-40년대에 전개된 합작통일운동의 그것에 대해 살핀 것이다. 한국민족주의는 삼일운동후 민주공화주의에 토대한 임시정부를 결성함으로써 민주적 민족주의로의 사상적 진전을 이룩하였지만, 민족운동진영은 사회주의의 유입과 함께 바로 좌우익으로 분열되게 된다. 그리고 이후 1920년대 중반이후부터 40년대 후반까지 민족운동의 우선과제는 좌우익 분열을 수습하여 통일된 투쟁전선과 자주독립역량을 형성하는 일로 집약되게 된다. 합작통일이야말로 적을 물리치고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는 데 필수조건이었기 때문이다. 이같은 과제에 부응하여 전개된 것이 바로 1920년대 중반 이래 유일당운동과 민족연합전선운동 또는 좌우합작운동이라는 이름하에 전개된 일련의 합작통일운동이었다. 이 합작통일운동은 물론 역사의 추이가 증명하듯이 실패로 돌아갔고 분단과 전쟁이라는 한국현대사의 아픈 비극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 운동이 정치사와 사상사에서 가지는 의의는 매우 크다. 이 합작통일운동은 민족주의라는 기준에서 보면 한국사 속에서 가장 전형적이면서 치열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한말이후 본격화한 한국 민족주의는 이 합작통일운동에 이르러 그 민족의식과 실천에서 가장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합작통일운동은 통일을 위한 지도이론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사회주의와 자유주의라는 근대 세계의 양대 이데올로기와 씨름해야 하였으며, 좌우 사상의 장단점을 지양종합하면서 동시에 민족의 현실과 전통에 부합한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민족의 안전과 통일에 그치지 않고 인류평화 문제도 고민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이상적인 국가와 정치에 대한 많은 독창적 이론과 명제들을 창출하였다. 삼균주의나 신민족주의, 조선적 민주주의, 신형민주주주의, 삼본주의, 대공주의 등이 그것으로, 이 합작통일운동 시기는 한국 정치사상사 전반을 두고 보더라도 그 사상적 성과와 축적이 부각되는 시기였다 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on the political thoughts of Korean nationalism, especially on that of the unification movements in 1920s-1940s. The nationalism movement after the Samil Movement developed into the stage of democratic nationalism by accepting the democratic government ideas in the Constitution of the S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the Samil Movement. But after the influx of socialism, nationalism movement camp devided into the two camps of left and right and the two camps were hostile to each other. And the cooperation and unification of the two camps was embossed as the first task of Korean nationalism. Cooporation and unification was the best necessary condition in the liberation movement and in the state establishing process. And to acting up that task, the coordinating-unification movements were spread out in the 1920s and 1940s by many leaders. Josoang's Samkyunism, Anjaehong's Sinminjokjuui, Sinsuk's Sambonjuui, and Anchangho's Daegongjuui were the representative theories which intended to unify the divided liberation forces and to establish the independent unified nation state. These theoriests selected the proper ideas in socialism, liberalism and democracy at the viewpoint of Korean situation and tasks at that time. And these political thoughts of unifying movements may be called as socialistic nationalism. This paper analysed these political theories especially in the aspect of their plans and thoughts how to unify and coorporate.

      • ‘미의 판단’에 대한 통일사상과 칸트의 차이

        정시구 통일사상학회 2016 통일사상연구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선천적인 미의 판단에 대한 이해와 자율성에 주로 연구한 칸트의 미의 판단과 통일사상의 미의 판단과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통일사상에서의 예술 활동에는 창작과 감상이라는 2가지의 측면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이러한 두 측면은 분리된 별개의 측면이 아니라 통일적인 하나의 활동으 로 본다. 즉, 창작에 있어서도 감상이 뒤따르게 되고, 감상에 있어서도 주관적 작 용에 의한 창조가 뒤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창작과 감상은 떨어질 수 없는 불가 분의 관계이다. 통일사상에서의 미의 판단은 감상의 조건을 구비한 주체(감상자)와 대상(작 품)과의 수수작용에 의해 미가 결정된다. 즉, 감상자의 미에 대한 추구욕이 작품 에서 오는 정적 자극으로 채워짐으로써 미가 판단되고 결정된다. 본고에서 통일 사상의 ‘미의 판단’과 관련하여 칸트의 ‘미의 판단’에 관심을 갖고 비교를 시도하 게 된 것은 칸트가 사물에서 어떻게 미를 찾는가 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주체가 어떻게 미를 알 수 있는가하는 문제에서 통일사상의 미의 판단과 동일하기 때문 이다. 칸트는 미의 판단에서 무엇이 아름다운가에 대해 말하지 않고 어떻게 아름답 다고 판단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칸트 미학은 인간능력의 가능성을 묻는 인간학 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은 이러한 판단을 통해서만 소통할 수 있기 때 문이다. 이러한 소통의 가능성을 위해 먼저 자연과 자유를 매개하는 반성적 판단 력이 필요하다. 칸트 미학에서 출발한 소통의 가능성은 사회적·정치적 영역 등 다방면으로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칸트의 미의 판단은 주체의 일방적인 판단이 아니라는 점은 통일사상의 미의 판단과 맥락을 같이하 지만 인간의 순수이성의 비판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fference of Unification Thought and Kant who researched mainly into self-autonomy and understand for the natural human judgment of beauty in the Judgment of Beauty. There are creation and impression in artistic activities of Unification Thought. These two aspects have not a separate and distinct aspects, however, a uniform one activity. In other words, appreciation comes from the creation, the creative action comes from the subjective appreciation. Therefore, these two aspects have inseparable relationships. In Unification Thought, the Judgment of Beauty is determined by give and take action of object(work) and the subject(listener) who provided the condition in impression. In other words, the Judgment of Beauty is determined by the listener's quest for beauty and static stimulation that comes from works. In this paper, attention for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Unification Thought and Kant in the Judgment of Beauty is that Kant is not finding the Beauty in things. How can we know the Beauty ourselves. About this problem, the Judgment of Beauty in Unification Thought and Kant is same. Kant said about how to do judge not talking about what is beautiful in the judgment of Beauty. Kantian aesthetics can be said anthropology to be asking the possibility of the people ability. Because humans can communicate only through such a judgment. Antecedently the reflective judgment that connect the nature and freedom is required for the possibility of these interactions. Communication ability which comes from Kantian aesthetics influence many areas, including a social and political field. In this context that is not a one-sided judgment of the subject, the Judgment of Beauty in Unification Thought and Kant connect each other, but theory of Kant is the limitation as criticism of pure reason.

      • 청소년(靑少年)과 민족정신(民族精神) : (제4) 지도사상부와 이념당(理念黨) 건설을 -민족통일(民族統一)을 위하여-

        노태구 ( Tae Goo Noh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1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17 No.-

        통일은 상생이 필요하다. 양보하고 타협해야 한다. 폭력에 의한 통일이 아닌 보다 성숙한 사상과 이념의 통합을 통한 통일이 시급하다. 서로의 장점을 받아들이고 단점은 버릴 수 있는 성숙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3권분리의 정부형태를 바탕으로 독재를 방지하고, 이에 제4부인 지도사상부를 더해 민족의 발전과 평화통일을 위한 사상교육, 정신교육이 필요하다. 이로써 우리는 동학의 인내천사상을 바탕으로 한 상생, 평등, 통합 등에 대해 배우고, 인간중심철학에 대하여 배워야 한다. 그럼으로써 한반도의 평화통일에 한 발자국씩 앞으로 나아가고, 평화통일을 이룩하는 기본바탕이 될 것이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서로 다르다. 이 세상에는 완벽하게 대립되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없고, 완전히 통합되어 하나인 사상도 없다. 모든 것이 융합의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을 가지는데 만약 융합된 부분이 더 크면 통일되었다고 보는 것이고 대립되어 있는 부분이 더 크면 대립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렇게 대립되어 있는 사상을 하나로 통일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과제이다. 이러한 인간중심 인내천 사상이 우리 모두가 가지게 된다면 폭력은 자연히 사라지고 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이를 견인하는 지도사상부의 통일교육과 이념당의 통일운동이 수반되어짐으로써 민족의 평화통일은 비로소 앞당겨지게 될 것이다. The unification needs mutual life. We should concede and compromise. It is hurried to achieve unification through ripeningly thoughtful and ideological integration, not by violent means. It is necessary to accept mutual merits and to forgive mutual faults. Therefore, by protecting the dictatorship of the executive based on the separation of 3 powers(the legislature, the executive, the judiciary), it is essential to teach the necessity of the 4th government guiding thought for the ideological, spiritual education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We have to learn the human-centered philosophy. As a result, we can advance forward to the national unification step by step. So it is the basis of the completing peaceful unificatio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s different each other. In this world, there is neither absolute separating thought nor absolute unifying thought. All the things have not only the separating part, but also the unifying part. So if the separating part looks to be larger, we can call it confrontation, if the integrating part seems to be larger, we can call it unification. Our imminent problems is to integrate the still confronting thought as one unity. If we have to know the Innaecheon(人乃天) democracy built on the human-centered philosophy, we can accomplish the unification naturally without violence. Therefore the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n nation, at last, can be moved a date up forward by accompanying the logical teaching of the (4th) government guiding thought and the practical movement of the ideological political party of democracy.

      • KCI등재

        황장엽의 ‘통일한국’ 구상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

        김회권(Kim Hae Kw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6

        이 글은 황장엽의 인간 중심주의 철학인 주체사상에 입각한 ‘통일한국’ 구상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이다. 황장엽은 남한에 와서도 자신의 주체사상이 김정일의 수령절대주의체제는 물론이거니와 마르크스주의 계급독재주의나 계급투쟁론 그리고 무산계급독재론을 극복한 인문사회변혁론이라고 주장한다. 김정일 중심의 북한 체제에 대한 비판의 준거는 자신이 창시한 주체사상 이다. 따라서 그의 주체사상의 얼개를 먼저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가 남한에 와서 저작한 중심 저작들의 주제들을 일별해 볼 필요가 있다. 글의 목차는 황장엽의 북한 체제 비판, 황장엽의 남한 체제 비판, 황장엽의 주체사상 개요, 황장엽의 통일한국 구상 그리고 황장엽의 통일한국 구상에 대한 기독교적 비판으로 구성될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황장엽은 사상적으로 남한 체제에 전향하지 않았고 자신의 인간 중심 주체사상으로 남북한 사회를 공히 비판적으로 지양함으로써 통일한국을 제시한다. 그는 절대적 계급주의 사상, 수령론으로 각질화된 주체 사상, 주체사상을 타락시킨 김정일의 선군정치 등을 비판하면서도 자신의 집체주의적 사회역사관을 조금도 부정하지 않는다. 소련 및 동구권의 몰락을 두고 사회주의에 대한 자본주의의 승리라고 보는 자본주의 국가들의 견해를 지극히 단선적인 해석이라고 단언하며, 소련과 동구의 몰락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갈등 너머에 있는 미래 사회를 가리키는 예후라고 파악한다. 황장엽은 남한의 민주주의적 체제의 통일한국 창조에서의 선도적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지만 남한 사회의 현재 모습에 대해서는 심각한 의구심을 피력했다. 황장엽의 인간관, 사회 역사관, 세계관 등은 ‘통일한국’ 구상에 결정적인 요소들이다. 이 논문은 황장엽의 주체사상에 입각한 통일한국 구상을 세 가지 기독교 신학적 관점으로 비판한다. 즉 인류 역사의 무한 진보에 대한 종말론적 비판, 개인의 사상개조를 주도할 국가사상권에 대한 기독교적 인간론과 하나님 나라 사상에 입각한 비판 그리고 황장엽의 무진장한 자연관에 대한 창조신학적 비판을 제시한다. The present essay is a Christian response to noted North Korean defector Hwang Jang-yeob’s blueprint for a Unified Korea, a blueprint based on his human-centric Juche Idea. Even after defecting to South Korea, Hwang claims that his Juche Idea is a humanistic, socially revolutionary idea that has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rxist ideology of the Proletariat dictatorship and class struggle, not to mention the absolutist regime of Kim Jong-il. The standard against which Hwang criticizes the North Korean system, which revolves around Kim Jong-il, is his own Juche Idea. To first grasp the framework of Hwang’s Juche Idea, what is first needed is an overview of the themes that run through the major works published after his defection to South Korean. This paper will cover the following: Hwang Jang-yeob’s criticisms of the North Korean system, Hwang Jang-yeob’s criticisms of the South Korean system, an overview of Hwang Jang-yeob’s Juche Idea, Hwang’s ideas for a reunified Korea, and a Christian critique of Hwang’s ideas on a reunified Korea. To begin with the conclusion, Hwang Jang-yeob has not been won over ideologically by the South Korean system. He rejects and criticizes both North Korean society and South Korean society equally and calls for a reunified Korea. Yet, even while criticizing an absolute class ideology, a Juche Ideology that has been ossified by an absolute ruler, or the militarism of Kim Jong-il, Hwang stands firm in his own view of history and society, which favors collectivism. Hwang criticizes the one-dimensionality capitalist view, which sees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Bloc as a victory of capitalism over socialism. Rather, Hwang sees the failures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bolc of communist states as a prognosis for a future society, beyond the conflict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Hwang Jang-yeob emphasizes the leading role and the responsibilities of South Korean democracy in the creation of a reunif

      • (제4)지도사상부와 이념당건설을 : 민족통일을 위하여

        노태구(Tae-goo Noh) 韓國精神科學學會 2011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4 No.-

        통일은 상생이 필요하다. 양보하고 타협해야 한다. 폭력에 의한 통일이 아닌 보다 성숙한 사상과 이념의 통합을 통한 통일이 시급하다. 서로의 장점을 받아들이고 단점은 버릴 수 있는 성숙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3권분리의 정부형태를 바탕으로 독재를 방지하고, 이에 제4부인 지도사상부를 더해 민족의 발전과 평화통일을 위한 사상교육, 정신교육이 필요하다. 이로써 우리는 동학의 인내천사상을 바탕으로 한 상생, 평등, 통합 등에 대해 배우고, 인간중심철학에 대하여 배워야 한다. 그럼으로써 한반도의 평화통일에 한 발자국씩 앞으로 나아가고, 평화통일을 이룩하는 기본바탕이 될 것이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서로 다르다. 이 세상에는 완벽하게 대립되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없고, 완전히 통합되어 하나인 사상도 없다. 모든 것이 융합의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을 가지는데 만약 융합된 부분이 더 크면 통일되었다고 보는 것이고 대립되어 있는 부분이 더 크면 대립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렇게 대립되어 있는 사상을 하나로 통일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과제이다. 이러한 인간중심 인내천 사상이 우리 모두가 가지게 된다면 폭력은 자연히 사라지고 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이를 견인하는 지도사상부의 통일교육과 이념당의 통일운동이 수반되어짐으로써 민족의 평화통일은 비로소 앞당겨지게 될 것이다. The unification needs mutual life. We should concede and compromise. It is hurried to achieve unification through ripeningly thouhtful and ideological integraion, not by violent means. It is necessary to accept mutual merits and to forgive mutual faults. Therefore, by protecting the dictatorship of the executive based on the seperation of 3 powers(the legislature, the executive, the judiciary), it is essential to teach the necessity of the 4th government guiding thought for the ideological, spiritual education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We have to learn the human-centered philosophy. As a result, we can advance forward to the national unification step by step. So it is the basis of the completing peaceful unificatio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s different each other. In this world, there is neither absolute separating thought nor absolute unifying thought. All the things have not only the separating part, but also the unifying part. So if the separating part looks to be larger, we can call it confrontation, if the integrating part seems to be larger, we can call it unification. Our imminent problems is to integrate the still confronting thought as one unity. If we have to know the Innaecheon(人乃天) democracy built on the human-centered philosophy, we can accompish the unification naturally without violence. Therefore the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n nation, at last, can be moved a date up forward by accompanying the logical teaching of the (4th) government guiding thouht and the practical movement of the ideological political party of democracy.

      • KCI등재

        도산 안창호의 "통일"사상이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

        박의수 안암교육학회 2005 한국교육학연구 Vol.11 No.1

        이 논문은 도산 안창호의 "통일"사상이 현대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산의 통일사상 형성의 배경을 고찰하고, 그의 통일사상을 개인적 차원, 사회적 차원, 민족적 차원, 그리고 대공주의 등 네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해 본 후 현대의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도산은 일찍이 민족이 독립을 잃은 것은 힘이 없기 때문이라고 보고, 민족의 힘을 기르는 일에 평생을 바쳤다. 그의 활동은 정치·교육·경제·언론·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전개되었으며, 이런 삶의 과정을 통하여 민족의 역량을 하나로 모으기 위한 조건으로 '통일'을 강조했다. 필자는 도산의 통일사상을 인격적 통일, 사회적 통일, 민족적 통일의 세 차원으로 구조화 하여 각각의 이념과 목표와 내용 및 운동방법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민족 통일의 원리로서 제창한 대공주의에 대하여 논의함으로써 현대 통일교육에의 시사점을 모색해 보았다.

      • Academic Approach of an Engineer to Pursue a Peaceful World

        Lee, Sang Heon 통일사상학회 2020 통일사상연구 Vol.19 No.-

        과학과 종교의 상충되는 논점은 현상이론의 충돌과 그 충돌로부터 이론을 조화 시켜가는 갈등해소과정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과학과 종교의 조화로운 진보 과정 을 논술할 수 있는 기능이 가능해진 현재의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도 근본주의에 입각해 창조주의 논리만을 유지하는 과정 또한 존재한다. 반면에 통일사상과 같이 명백한 양자론적인 과학적 사실들을 하나의 새로운 기조로 받아들이거나, 이런 과 학적 사실들을 통일신학 및 사상에 접목하여 인류에 봉헌하는 가르침으로 신학적 진실을 탐구하려는 움직임도 노도의 물결과 같이 거세지고 있다. 과학적 진리는 인간의 경험에 입각한 직관적인 사실에 유래한다는 것이 경험주의의 입장이다. 경 험주의의 기본원리는 과학적 개념과 의미가 실제적인 경험과 연결되었을 때만 증 명될 수 있으며, 과학적 명제나 신념의 타당성은 반드시 과학적 사실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시도하고자 하는 초전도 공학과 통일사상과의 효율적 인 접목을 시도하는 작업은 현재까지 과학 및 종교적인 관점에서 시도된 적이 없 는 연구 수행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자의 통일사상에 관한 이해도는 매우 미천한 실정이다. 다만, 본 연구자의 분석에 의하면 통일사상이 매우 과학적이고 통일사상 설립자의 과학에 근거한 말씀이 현대 과학을 정립한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의 양자학 논점과도 일맥상통하고 있는 과학적 논점 등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이 객관적인 과학적 연구 결과를 통일사상이라는 논리적인 관 점에서 바라보는 시도를 통해 매우 의미있는 연구수행 과정이 그려질 것이다. Resolving the conflict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needs to harmonize theories from the clash phenomena. However, the current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which has become possible to describe a harmonious progress of science and religion, also involves a process of maintaining the fundamentalist logic. 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to explore theological truth needs to accept clear quantum scientific facts such as the idea of unification as a new basis and combine scientific facts with the idea of Unification Theology to serve humanity. The position of empiricism is that scientific truth comes from intuitive facts based on human experience. The basic principle of empiricism can only be proved when scientific concepts and meanings are linked to practical experiences. The validity of scientific propositions or beliefs is necessarily dependent on scientific facts.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work of attempting to efficiently connect superconducting engineering with the idea of ‘unification’ in Unification Thought(UT) which is attempted in this study is a research that has never been attempted from a scientific and religious point of view. This researcher's understanding of the idea of ‘unification’ in UT is very humble. However, according to this researcher's analysis, the following scientific points are found: 1)1) the idea of ‘unification’ is very scientific; and 2) 2)words based on the science given by the founder in the idea of unification are consistent with Albert Einstein's quantum theory which has established modern science. Thus, attempts to look at objective scientific research results from the logical point of view of the idea of unification such as this study will draw a very meaningful process of conducting research.

      • 통일사상의 공의주의로 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종교평화운동

        안연희 통일사상학회 2023 통일사상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종교간 대화운동의 효시라 할 수 있는 1893년 시카고 세계종교회의의 정신과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종교평화운동의 접점으로 인류 공통의 윤리와 가치 모색을 위한 종교간 대화와 협력의 역할 강조에 주목하고 이를 통일사상의 공의주 의의 구체적 실현사례로 고찰하였다. 나아가 참사랑을 중심한 가정 뿐 아니라 종교 의 역할을 강조하는 공의주의가 초종교적 연대와 종교평화운동의 이념적 기반이 될 수 있으며, 초종교적 종교평화운동이야말로 21세기 다종교적 지구공동체의 상황에 서 종교가 나아갈 필연적 길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통일사상의 공의주의는 하나님의 참사랑을 중심한 가정윤리를 모델로 삼는 3대 주체(참부모, 참스승, 참주인)의 역동적인 참사랑의 실천으로 공동윤리사회가 이루 어지면 더 이상 종교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고 한다. 본 논문은 그와 동시에 통일사 상의 공의주의 서술이 도의세계 실현을 위한 종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음에 주목 하였다. 통일사상의 공의주의는 참사랑의 역동적 운동이 일어나는 보편적인 조건으 로서 부모와 자녀의 사랑과 생명과 혈통이 연결되는 가정이 윤리의 거점임을 명확 히 한다. 그러나 타락한 현실세계의 가정은 공의주의의 요람으로서의 이상가정과 간극이 있으며, 쉽게 편협하고 이기적인 가정주의로 축소될 위험도 있다. 따라서 공의 주의적인 이상사회의 실현 과정에서 타락한 세계를 본연의 이상으로 회복하기 위해 등장한 종교의 역할이 있는 것이다. 현실 가정의 한계를 넘어 개인의 보편적 양심을 자극하고 더 큰 우주적 가정을 지향하게 하는 종교는 인류 공통가치와 윤리를 찾아 가게 하는 커다란 연대를 이루는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종교의 차이를 넘어 초종교적으로 인류 공통의 가치와 윤리를 함께 모색 하여 인류의 평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종교평화운동은 가정연합의 공생공영공의주의 의 근간인 공의주의의 이론적 함의와 구체적 실천의 방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 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section of the 1893 Chicago Parliament of the World's Religions and the religious peace movement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noting the emphasis on interreligious dialogue for the search for common ethics and values and the role of religion for global peace, as a concret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Co-righteousness in Unification Thought.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religious peace movement through interfaith solidarity can be the Principle of Co-righteousness of Unification Thought, and that the religious peace movement through such interfaith solidarity is the way forward for religion in the 21st century multi-religious glob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righteousness in Unification Thought, when a common ethical society is established through the dynamic practice of love by the three Great subjects of Parents, Teachers, and Leaders, modeled on a family ethic centered on God’s true love, religion will no longer be necessar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notes that Unification Thought's description of the Principle of Co-righteousness emphasizes the role of religion in realizing the highly ethical society. It clarifies that the family, where the love of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connection of life and lineage are the universal conditions under which the dynamic movement of true love takes place, is the base of common ethics. However, the reality of families of the fallen world is far from the ideal family as the cradle of Co-rigtheousness and can easily be reduced to narrow-minded and selfish familism. Therefore, the role of religion, which emerged to restore the fallen world to its original ideal, become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realizing a co-righteous and ethical society. By stimulating the universal conscience of individuals and promoting their orientation towards the larger cosmic family, religions can create a great solidarity that leads to the search for common human values and ethics. Therefore, the religious peace movement, which seeks to contribute to the peace of mankind by searching for common human values and ethics together on a trans-religious basis beyond religious differences, has value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concrete practice of the Principle of Co-righteousness at the center of th idealism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KCI등재

        남북 통일사상의 ‘하부구조’에 관한 시론

        손석춘(Shon, Seok Cho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9 No.-

        남북 사이에 체제경쟁이 사실상 끝났다는 논리의 연장선에서 ‘흡수통일론’이 통일론의 헤게모니를 얻어가고 있다. 남쪽의 자유민주주의 헌법철학과 북쪽의 헌법철학인 주체사상에는 접점이 없기에 양립불가능하다는 철학적 논의는 흡수통일론에 힘을 실어주었다. 하지만 흡수통일론의 철학적 사유는 현실을 고정불변의 실체적 개념으로 파악하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담론의 하부구조에는 결국 남쪽의 신자유주의식 자본주의 체제가 자리하고 있다. 남북통일의 하부구조로서 통일 민족경제론을 적극 사유해야 할 이유다. 이 논문은 남과 북이 통일된 나라의 하부구조로서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을 어떻게 일궈갈 것인가라는 이론적 탐색과 함께, 통일 민족경제론을 공적 의제로 설정해가며 통일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야 한다는 제안을 담고 있다. 그 하부구조를 구체화해가는 과정에서 인간의 삶을 중심에 둔 새로운 통일의 사상도 영글어갈 수 있다. Unification through absorption is gaining hegemony in debate on unification based on the idea that the regime competi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ended in reality.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that the liberal democracy of South Korea and the Juche Idea of North Korea have no common ground and can’t coexist supports unification through absorption. However, the idea of unification through absorption has limitation that considers reality as unchangeable substance but also contains South Korea’s neo-liberal capitalism in the substructure of the discourse. This is the reason why unification through national economy should be considered positively as the substructure for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paper explores academically how South and North Korea are going to achieve a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s the substructure of a united nation and also proposes to open a new prospect of pro-unification movement by setting unification through national economy as a public agenda. Through the process of reifying the substructure, a new idea for unification which is human-centered can be ri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