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석회석 광산 수갱 굴착에 의한 통기효과 분석 연구

        이창우(Changwoo Lee),응우엔 반득(Nguyen Van Duc),키로 록키 키부야(Kiro Rocky Kubuya),김창오(Chang O Kim) 한국암반공학회 2018 터널과지하공간 Vol.28 No.6

        주선풍기가 설치된 통기수갱이 굴착된 국내 석회석 광산에서 수행한 통기수갱의 통기효과 분석결과 자연통기 및 기계통기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갱을 통하여 입기되는 자연통기량은 최대 11.7 ㎥/s 이었으며 갱내 공기온도의 측정에 의하여 비교적 정확한 정량적 예측이 가능하였다. 선풍기 가동에 의한 배기 통기량은 20.3~24.8 ㎥/s로 통기량의 변동은 갱도내 장비의 이동에 의한 통기특성곡선의 상향이동에 따른 선풍기 운전점의 변화에 의한 결과이므로 통기저항의 저감 노력이 요구된다. 갱구로부터 수갱까지 총 1912 m 갱도내 난류확산계수는 15 ㎡/s, 18 ㎡/s로 나타나 오염물질은 기류보다 상대적으로 빨리 확산되므로 공기질 제어를 위하여 신속한 배기가 요구된다. 따라서 통기용 수갱은 급격히 심부화 및 대형화되고 있는 국내석회석광산의 지속적 개발을 위한 필수적 갱내 환경제어 시설로 권장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a local limestone mine to analyze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shaft equipped with a main fan. The results show that its ventilation efficiency is clearly verified for the natural as well as the mechanical ventilation. The airflow rate of 11.7 ㎥/s was induced by the natural ventilation force and the maximum quantity is almost same as the airflow rate estimated by monitoring the average temperatures in the upcast and downcast air columns. Meanwhile, the airflow rate exhausted by the main fan through the shaft was 20.3~24.8 ㎥/s; variation of the quantity was caused by the upward shift of the mine ventilation characteristic curve due to the frequent movement of the equipment. This indicates efforts are required to reduce the ventilation resistance and raise the quantity supplied by the main fan. The turbulent diffusion coefficients along the 1912 m long airway from the portal to the shaft bottom was estimated to be 15 ㎡/s and 18 ㎡/s. Since these higher coefficients imply that contaminants will be dispersed at a faster velocity than the airflow, prompt exhaust method should be planned for the effective air quality control. The ventilation shaft and main fan are definitely what local limestone mines inevitably need for better work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대단면 석회석 광산 갱도 내 국부선풍기 승압력 및 통기효과 비교 연구

        박동준(Dongjun Park),강현호(Hyeonho Kang),이창우(Changwoo Lee) 한국암반공학회 2017 터널과지하공간 Vol.27 No.1

        국내 지하 석회석 광산은 대부분 대단면 갱도로 개발되고 있으며 갱내통기는 주요 선풍기에 의한 통기방식보다는 자연통기 및 국부통기에 의존하고 있다. 국부통기는 국부선풍기와 풍관을 이용한 급배기 통기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대단면 갱도 특성과 갱내 굴진․운반장비의 디젤화에 따라 소요통기량이 대폭 증대하여 통기의 효율 및 경제성 확보가 주요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단면 갱내 작업장 국부통기를 위한 선풍기 용량 최적화를 위하여 축류식 및 프로펠러 선풍기를 개발하여 갱내 승압력 및 통기효과를 비교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Most of the local limestone mines are developed as large-opening underground mines, while mine ventilation is heavily dependent on the natural ventilation and auxiliary systems, rather than the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using main fans. The current auxiliary ventilation system with fan and ducting requires optimization since enhanced deployment of diesel equipment demands higher airflow rate and the associated cost is expected to be too excessive for the local mine operators. This paper aims at optimizing the fan capacity for the working site ventilation through comparing the fan pressure in the mine airway and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an axial-flow fan and a propeller fan developed in this study.

      • KCI우수등재

        국내 석회석 광산의 지속적 개발을 위한 적정 통기기술 제안

        이창우 한국자원공학회 2021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8 No.2

        Recently, most open-pit limestone mines went underground due to the depletion of easily accessible reserves, and strict environmental regulations. Moreover as the mines moved to deeper levels and heavy diesel equipments were deployed, the working site environment seriously deteriorated. Furthermore, heavy diesel equipment intensively deployed underground has increased fire risk. Existing studies indicate excessively high NOx and DPM concentrations at some sites and axial fans commonly used for coal and metal mines are widely used for auxiliary ventilation in the working area despite their low efficiency in large-opening mines. These problems of the local limestone industry necessitate the development of ventilation methods appropriate to the industr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paper aimed to propose appropriate ventilation techniques with low-cost and high-efficiency ventilation equipment such as propeller fan. It shows the auxiliary ventilation system consisting of a blowing propeller fan and an exhaust ventilation raise can be applied efficiently for auxiliary ventilation in the long blind entries. 최근 국내 노천 석회석 광산은 천부자원의 고갈과 엄격해진 환경규제로 인하여 갱내개발로 전환하고 있다. 광산개발의 심부화 그리고 많은 대형 디젤장비의 사용으로 인하여 갱내 작업환경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디젤장비의 집중사용으로 인하여 화재 리스크 또한 급격히 증가하였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독성이 강한 NOx와 디젤 매연(DPM)이 일부 허용농도를 초과하거나 높은농도를 보이기도 한다. 한편, 석탄 및 금속광산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국부통기팬이 대단면 갱도에서 낮은 통기효율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석회석 광산 통기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제반 문제들로 인하여 국내 석회석 광산의 지속적 개발을 위하여 적합한 적정 통기기술의 개발이시급하게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펠러 팬과 같은 대단면 갱도 통기용 저비용 고효율 통기설비를 이용한 적정 통기방법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1대의 급기식 프로펠러 팬과 배기용 통기승으로 구성된 통기시스템은 비교적 긴 맹갱도 형태의 작업공간의 국부통기방식으로 적절하게 적용될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

        광산 통기 네트워크 연구

        김수홍(Soo Hong Kim),김윤광(Yun Kwang Kim),김선명(Sun Myung Kim),장윤호(Yun Ho Jang) 한국암반공학회 2017 터널과지하공간 Vol.27 No.4

        최근 국내의 탄광들은 오랜 가행으로 작업심도가 깊어지고 운행갱도가 길어지면서 지열에 의한 온도증가로 인하여 작업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갱내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하여 A광업소를 대상으로 통기평가를 하였으며 갱내의 통기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통기전용수갱을 건설할 시에 온도 예측 프로그램인 CLIMSIM을 이용하여 온도에 대한 효과를 수치 해석하였다. A광업소의 필요 공기량은 6,152 m<SUP>3</SUP>/min으로 산출되었으며, 실제 총 입기량은 4,710 m<SUP>3</SUP>/min로 공기량이 1,442 m<SUP>3</SUP>/min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395 ML에서 -488 ML까지 93 m 길이의 통기전용수갱을 건설하였을 시에 -488 ML 작업장의 온도가 현재보다 약 3°C가 감소되었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523 ML 개발시의 CO2 용출을 예측한 결과 채탄량과 탄층 두께가 증가할수록 CO2의 발생량은 증가하였다. CO2 발생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탄층 두께와 채탄량으로 나타났으며 통기량이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의 농도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in domestic collieries where temperature is increasing due to heat of the earth that is caused by the long-term mining. In order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mine, a ventilation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Hwasoon Mining Industry. In order to increase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mine, nume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n temperature was carried out by using climsim, a temperature prediction program. The analysis shows that A coal mine needs 6,152 m<SUP>3</SUP>/min for in-flow ventilation rate but the total input air flowrate is 4,710 m<SUP>3</SUP>/min, 1,442 m<SUP>3</SUP>/min of in-flow ventilation rate shortage. The 93 m hypothetical ventilation shaft from -395 ML to -488 ML could result about 3°C temperature drop in the coal mine of -488 ML far. As a result of predicting the CO2 concentration at -523 ML development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emission of CO2 increased as the amount of coal and coal bed thickness increased.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amount of CO2 emissions were coal layer thickness and coal mining. And, as the air quantity increases, it has a great effect on the decrease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 KCI등재

        심부 광산의 효율적 환기 시스템에 관한 연구

        송두환(Doo-Hwan Song),김윤광(Yun-Kwang Kim),김택수(Teak-Soo Kim),김상환(Sang-Hwan Kim) 한국청정기술학회 2016 청정기술 Vol.22 No.3

        석탄 광산의 심부화 및 운행갱도의 증가로 인한 온도상승으로 작업환경이 점차 악화되는 광산에서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A광업소를 대상으로 통기평가를 하였으며 갱내의 통기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작업장의 온도 저하를 위한 선풍기 통기 방식에 대해 유동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기방식에 따른 운반갱도의 온도분포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A 광업소의 소요환기량은 17,831 ㎥ min<SUP>-1</SUP>으로 산출되었으며, 실제 총 입기량은 16,474 ㎥ min<SUP>-1</SUP>로 환기량이 1,357 ㎥ min<SUP>-1</SUP>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운반갱도에서 작업장까지의 온도는 송기식 통기보다 배기식 통기방식이 2~3℃ 낮게 분포하였다. 운반갱도에서 작업장까지의 길이가 긴 경우 송기식 보다는 배기식 통기방식을 운용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The working environment is deteriorated due to a rise in temperature of a coal mine caused by increase of its depth and carriage tunnels. To improve the environmen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resulted by using the fan type ventilation system aiming for the temperature drop is calculated by using a fluid dynamic analysis program. The analysis shows that A coal mine needs 6,152 ㎥ min<SUP>-1</SUP> for in-flow ventilation rate but the total input air flowrate is 4,710 ㎥ min<SUP>-1</SUP>, 1,442 ㎥ min<SUP>-1</SUP> of in-flow ventilation rate shortage and the temperature between the carriage tunnel openings and the workings with exhausting ventilation system type is 2~3 ℃ less than that with blowing ventilation system type. The exhausting ventilation system type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blowing ventilation syste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arriage tunnel openings and the workings is relatively far.

      • KCI등재

        Optimization of the Unducted Auxiliary Ventilation for Large-Opening Underground Limestone Mines

        Van Duc Nguyen(응우엔반득),Chang Woo Lee(이창우) 한국암반공학회 2019 터널과지하공간 Vol.29 No.6

        본 논문은 무풍관 선풍기를 이용한 대단면 갱내 국부통기시스템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한다. 갱내 맹갱도 형태의 작업공간을 대상으로 일련의 CFD분석과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선풍기 위치, 운전방식 및 배치가 최적화의 주요 대상변수이다. 국부선풍기에서 토출되는 제트류는 대부분의 경우, 풍속이 15m/s이상으로 고속이므로 토출 후 갱도 바닥, 내벽, 천정 그리고 다른 선풍기에서 토출되는 제트류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충돌시 상당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므로 통기 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최적 선풍기 간격은 제트류가 충돌 없이 최대의 유동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거리로 정의하며, 반면 단면상의 최적 위치란 갱도내벽과의 충돌 가능성이 최소화된 위치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선풍기 설치위치의 최적화는 통기의 효율뿐만 아니라 에너지 비용 또한 최소화가 가능하다. 3차원 CFD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갱내 맹갱도 작업공간을 가정하였다. 무풍관 국부통기의 설계 및 최적화를 위하여 풍속 및 CO농도 분포를 CFD분석하였으며 동시에 비교 목적으로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풍관을 사용하기 않는 국부통기시스템을 최적화함으로써 대단면 맹갱도 작업공간에 고효율, 저비용 국부통기를 가능케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This paper aims at optimizing the auxiliary ventilation system in large-opening limestone mines with unducted fans. An extensive CFD and also site study were carried out for optimization at the blind entries. The fan location, operating mode, and layout are the parameters for optimization. Since the jet stream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fan is flowing faster than 15 m/s in most of the cases, the stream collides with floor, sides or roof and even with the jet stream generated from the other fan placed upstream. Then, it is likely to lose a large portion of its inertial force and then its ventilation efficiency drops considerably. Therefore, the optimal fan installation interval is defined in this study as an interval that maximizes the uninterrupted flowing distance of the jet stream, while the cross-sectional installation location can be optimized to minimize the energy loss due to possible collision with the entry sides. Consequently, the optimization of the fan location will improve ventilation efficiency and subsequently the energy cost. A number of different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domains representing a full-scale underground space were developed for the CFD study. The velocity profiles and the CO concentrations were studied to design and optimize the auxiliary ventilation system without duct and at the same time mine sit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comparison purposes. The ultimate goal is to optimize the auxiliary ventilation system without tubing to provide a reliable, low-cost and efficient solution to maintain the clean and safe work environment in local large-opening underground limestone mines.

      • KCI등재

        방이지(方以智)의 자연인식(自然認識)

        임종수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49 No.-

        이 논문은 명청교체기의 학문풍토를 배경으로 방이지의 자연인식의 특징과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논문에서 인용된 방이지의 『물리소지(物理小識)』는 천문, 역산, 수학, 생물, 의학 등 각 학문분야의 지식을 포괄한 서적이다. 그의 자연관과 자연인식을 담은 『물리소지』는 체재 면에서는 중국역대의 전통적인 類書의 전통을 계승하고, 나아가 서양의 자연과학적 지식을 수용하면서, 고대에서 명대에 이르는 자연과학의 성과와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 또한 반영하였다. 그러나 그의 책은 백과사전적인 사실의 나열이 아니라 物의 법칙과 유래를 탐구하고 기록하고자 한 점에서 기존의 유서류와는 분명한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물리소지』에 드러나는 방이지의 자연인식의 근원은 기존의 학문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서 비롯한다. 그에 따르면, 송명이학의 格物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말미암아 物에서 理를 구하거나 혹은 心에서 理를 구하는 차이가 생겨났고, 전자는 정이와 주희의 理學을 대표로 하고, 후자는 육상산과 왕양명의 心學을 대표로 하게 되었다. 그는 이처럼 物을 완전히 배제하고 心만을 존중하는 心學의 병폐와 物을 배제한 채 理만을 강조하는 理學의 폐단을 모두 비판하였다. 왜냐하면 心 또한 物로 파악하는 그의 문제의식 속에서 心과 物은 처음부터 분리된 채 구별되어야 할 것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았고, 무엇보다 이 두 가지 학문적 태도에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는 경향은 자연과 인간현상을 온전하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이지의 비판의 근거에는 ``천지에 가득한 것은 모두 物이다.`` (盈天地間皆物也)라는 그의 주장이 놓여 있다. 그가 말하는 物은 자연과 인간의 온갖 것을 모두 포괄한다. 그는 경서, 역사, 언어와 고증의 영역뿐만 아니라 동시에 자연과학의 연구에 종사하였고, 특히 객관적인 탐구 속에서 자연 질서의 법칙을 다루는 학문을 物理라고 통칭하였다. 그의 이러한 학문방법론은 ``質測``과 ``通幾``라는 자연인식의 방법에 토대를 두고 있다. 전자는 자연에 대한 객관적 관찰과 추론이고 후자는 그러한 자연변화의 내재적인 필연성에 대한 깊은 연구이다. 그는 이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자연현상에 대한 탐구의 과정을 지속시켰는데, 일반적으로 질측은 오늘날의 자연과학에, 통기는 철학에 가까운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둘은 각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보적인 관계에 놓여있다. 왜냐하면 그는 자연과학과 철학의 상호보완을 통해 온전한 자연이해가 가능해질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는 이러한 방법론을 토대로 西學을 받아들였는데, 그 수용의 태도는, 자연과학에 집중된 반면, 종교적 신앙과 지식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배제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주목되는 것은, 그가 서양과학에 상세한 면이 있다는 것을 역시 인정하면서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불완전함을 지적, 또 비판하기도 하였다는 점이다. 그 결과 그는 서학중원설(西學中原說)에 가까운 주장도 하게 된다. 17세기의 명말청초의 지적 풍토에서 방이지는 서학이라는 중국 밖의 새로운 학문적 성과에 대한 깊은 관심과 연구를 통해 오히려 전통적인 중국의 자연관에 대한 이해를 재검토하며 심화시키는 바탕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這篇論文擬將方以智的自然認識置于明淸之際的學術思潮背景中可以考察, 以了解其自然認識的性格和意義. 方以智所著物理小識包括了天文, 數學, 地理, 生物, 醫學, 文學, 藝術以及文字言語各學科的知識. 他的自然認識主要見諸其物理小識的券次按排. 其實這一套自然認識的架構竝不是他的獨創, 而是傳承了中國歷史的類書傳統. 物理小識中西方自然科學作了批判的吸收, 反映了從古以來至明代後期關于自然科學的硏究成果和傳說. 宋明理學中因對於格物解釋的不同而有求理於外物與求理於內心的不同, 前者以程朱爲代表, 後者以陸王爲代表. 明末因求理於內心發展之極端而産生流弊, 方以智反對王學末流之掃物存心, 程朱學的舍物言理之弊. 方以智主張盈天地間皆物也. 因此他所謂的物除了書籍文獻以外, 還包括自然界的萬物, 所以他在從事經史考據的同時也從事自然科學的硏究, 換言之, 當時的自然秩序之學, 方以智總稱之爲物理, 他强調硏究客觀物理的重要. 一般的解釋以爲質測等于現今所言自然科學, 通幾相當于現今所言哲學. 則質測與通幾相通相益, 其意義自然就在于提唱自然科學與哲學互補互濟. 只有這種科學與哲學的相互依賴, 才是全面而又合理的方法. 方以智所謂的質測實際上是關于現象界的認識方法, 而所謂通幾也就是關于本體界的認識方法. 由于方以智認爲超然不能脫離本然, 所以他强調通幾于質測. 方以智所接受的西學是科學技術, 而不是宗敎神學. 西方科學有詳備者, 他總是肯定地接受. 但是對於未備的科學, 他却是終批判. 在西學新潮面前, 方以智傾注了極大的關注. 十七世紀的西學新潮, 不僅刷新了他的耳目, 開拓了他的視野, 而且促進了他以質測通幾之學特質的實學思想的形成.

      • KCI등재

        하절기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한 통기성 지붕의 통기 구조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상훈(Park, Sang-Hoon),조구상(Jo, Goo-Sang),이선우(Lee, Sun-Woo),여명석(Yeo, Myoung-Souk),김광우(Kim, Kwang-Woo) 대한건축학회 201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0 No.9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envelope is mainly required for guaranteeing a comfortable and hygienic interior climate. A roof is a part of the building envelope which provides protection from the thermal damage of the sun. To improve this protection ability, we can consider using a ventilated roof, which has a ventilation layer known as a cavity, beneath the roof cover pane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uch factors as the slope of the roof, size or shape of the openings (i.e. inlet or outlet), effective cross section and cavity depth on the improvement of the air flow in the cavity for better thermal performance of the ventilated roof.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n air flow which i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elements is researched. The evaluations are carried out by way of experiments.

      • KCI등재

        A Study on the Optimal Installation of Ducted Fan Ventilation System in Long Mine Airways

        Chang Woo Lee(이창우),Van Duc Nguyen(응우엔반득) 한국암반공학회 2017 터널과지하공간 Vol.27 No.1

        국내 석회석광산은 주로 자연통기에 의존하고 있으나 자본 및 운전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광산 전체통기방법보다 풍관과 선풍기를 이용한 국부통기방법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평가된다. 국내 대단면 장대 광산갱도에 풍관이 접속된 국부선풍기를 직렬로 연결 설치하는 경우에 통기시스템의 경제성과 효율의 최적화가 반드시 요구된다. 최적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두가지의 설계변수는 벽면 이격거리와 풍관 간의 이격거리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및 환경적으로 최적화된, 즉 풍관간의 이격 공간을 통한 압력손실, 누기 그리고 오염된 공기의 재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두 설계변수 값을 도출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CFD분석을 시행하였다. 기존 연구결과와 권고기준들을 고려하여 이들 변수의 연구대상 범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국내 장대 광산갱도내 설치되는 풍관 접속 선풍기의 직렬연결 국부통기시스템의 최적화를 통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작업장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In local underground mines heavily depending on the natural ventilation, ducted fan auxiliary ventilation system is strongly recommended instead of the total mine ventilation system requiring large capital and operating costs. Optimizing the installation of ducted fans in series in long large-opening mines is required to assure the economy and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system. The two most critical design parameters for optimization are the wall separation distance and gap length between adjoining ducts. This study aims at deriving the optimal values for those two parameters concerning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through the extensive CFD analysis, which minimizes pressure loss, leakage and entrainment of the contaminated air in the gap space. The ranges of the wall separation distance and gap length for study are select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xisting recommendations and guidelines. The ultimate goal is to optimize the auxiliary ventilation system using ducted fans in series to provide a reliable and efficient solution to maintain clean and safe workplace environment in local long underground mines.

      • KCI등재

        갱내 온도 예측을 이용한 최적 광산 환기 시스템

        권준욱,송두환,김윤광,장윤호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3

        Working on the prediction of temperature under propriety examin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deep coal bed and safety ventilation design is important. This paper focuses on its ultimate goal in optimizing the work place environment by assuring that the required optimal ventilation rate a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irflow. The working environment is deteriorated due to a rise in temperature of a coal mine caused by an increase of its depth and carriage tunnels, so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 a ventilation evaluation on J coal mine is carried out. Also, the effect of the tunnel length on the temperature to enhance the ventilation efficiency on the subsurface is numerically analyzed. The temperature prediction for the main carriage gallery 9X in -475 ML is under construction and once completed and made. The result would be 30.2 o C. 깊은 심도의 석탄 광산 개발의 타당성 검토나 안전을 위한 통기계획을 수립할때 심부 작업장의 온도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정 소요통기량의 확보를 통한 갱내 환경의 최적화를 위한 기초연구로 갱내 소요통기량을 추정하였다. 채굴의 심부화 및 운행갱도의 증가로 인한 온도상승으로 작업환경이 점차 악화되는 광산에서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A광업소를 대상으로 통기평가를 하였으며 갱내의 통기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갱도의 길이에 따른 온도에 대한 효과를 수치 해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현재 굴진중인 -475 ML이 관통이 되었을때의 A생산부 주운반갱도 9X지점의 온도를 예측하였다. 예측 결과 A생산부 주운반 갱도 9X지점의 온도는 30.2oC로 예측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