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도계와 함수비를 이용한 토양의 비배수전단강도 추정에 관한 연구

        최인혁 ( Inhyeok Choi ),허기석 ( Giseok Heo ),곽동엽 ( Dongyoup Kwak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우리나라의 전체 비닐하우스 부지 면적은 2018년도 기준 53,225 ha이며, 이 중 21,440 ha만이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공하는 지역별 30년 빈도의 설계풍속·설계적설심 기준인 원예특작시설 내재해형 규격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규격은 대설, 강풍 등 기상재해로 인한 원예특작시설물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농림축산식품부, 2014). 반면, 농가 지도형 및 보급형 비닐하우스와 같은 내재해형이 아닌 비닐하우스는 강풍 시 기초의 인발파괴로 인한 구조물 전도가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보강이 필요하다. 농가 지도형 및 보급형 비닐하우스의 기초는 파이프 줄기초, 콘크리트 원형 기초와 사각 기초 등이 있다. 이러한 기초들의 인발강도는 토양의 강도 특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변수인 토양의 비배수전단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토양의 비배수전단강도는 현장에서 베인실험( KS F 2 342)과 콘관입시험(ASTM D 5778)을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 일축압축강도시험(KS F 2314)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앞선 세 가지 방법을 통해 다양한 현장 조건에서의 비배수전단강도를 획득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 보강에 필요한 토양의 비배수전단강도를 간편하게 유추할 수 있도록 토양 경도계의 관입깊이와 현장함수비의 함수로 토양의 비배수전단강도를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 수행에 필요한 시험은 흙의 다짐시험(KS F 2312)과 일축압축강도시험이다. 여기에 높이 40 mm, 지름 18mm의 원뿔 형태의 금속 관입기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토양 경도계로 토양 경도 측정 실험을 추가할 예정이다. 흙의 다짐시험은 특정 다짐에너지에서 함수비와 건조단위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짐곡선을 제공한다. 각 다짐상태에서 경도계를 사용하여 흙의 경도를 기록하면 함수비에 따른 다짐정도와 경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일축 압축강도시험으로부터 함수비와 건조단위중량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를 측정할 예정이다. 이러한 두 시험의 결과를 활용한다면 경도계로 측정한 흙의 경도와 함수비를 변수로 하여 흙의 건조단위중량과 비배수전단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현장에서 함수비의 측정과 경도계의 값으로 간단히 비배수전단강도를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기초의 인발강도평가에 활용하여 현장 조건에 맞는 농가 지도형 및 보급형 비닐하우스의 기초 보강법 선택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견인 부하 계측 전 토양 특성 분석

        김준희 ( Junhee Kim ),권오준 ( Ojun Kwon ),우승민 ( Seungmin Woo ),두윰우예다니엘 ( Uyeh Daniel Dooyum ),문용주 ( Yongju Moon ),하유신 ( Yushin Ha ),신창섭 ( Changseop Shin ),심성보 ( Sungbo Shim ),박두산 ( Tusan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밭에서 농기계를 사용할 경우, 밭의 상태가 농기계의 특성 및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토양의 경도는 각종 작업기의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트랙터 작업의 경우 토양경도에 따라 트랙터의 견인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소요되는 동력의 크기가 다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경도를 측정하고, 해당되는 지점의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각각의 함수율과 토성을 분석하였다. 경상북도 군위군에 소재하고 있는 경북대학교 밭농업기계개발연구센터 필드에서 진행하였으며 3개의 80 m 레인으로 나누어 8 m 간격 총 30곳의 토양 경도(FieldScout SC900 Soil Compaction Meter, Spectrum Technolgies, Inc.)를 측정하였다. 토양 깊이가 2.5, 5, 7.5, 10 cm 일 때 평균 토양경도는 69, 99, 130, 156 psi로 측정되었으며 1, 2, 3레인의 평균 토양경도는 78.875, 102.5, 159.9 psi로 측정되었다. 토양의 함수율은 건조기를 이용하여 16시간 건조 후, {(건조 전 토양 무게 - 건조 후 토양 무게) / 건조전 토양 무게 × 100}을 이용하여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30개 토양의 최대 함수율은 8.092%, 최소 함수율은 4.653%, 평균 함수율은 6.293%로 분석되었으며 토양 경도가 높을수록 함수율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토성은 체가름 시험기를 통해 4, 2, 1, 0.5, 0.25, 0.106, 0.053, 0.02 mm의 체를 이용하여 토양을 분리하였다. 미농무성법에 따르면 토양은 크기에 따라 굵기가 2 mm 이상인 것을 자갈, 0.02 mm 이상 2mm 미만을 모래, 0.02 mm 미만을 점토라고 하는데, 자갈 14.85%, 모래 55.95% 점토 29.2%로 분류되어 양토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되고 분석된 토양의 특성들은 다양한 밭농업용 작업기에 걸리는 견인력 등의 부하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되어진다.

      • 간척지용 트랙터 개발을 위한 토양 특성 분석

        강나래 ( Na-rae Kang ),최일수 ( Il-su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choi ),현창식 ( Chang-sik Hyu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농업의 기계화에서 기본이 되는 트랙터는 경운·정지, 운반 작업 외에 다양한 농작업에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 트랙터 보유대수는 ‘00년 19만대에서 ’16년 28만대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농가에 공급 되고 있는 트랙터는 50마력급 이하의 중소형 트랙터에서 100마력 미만의 중·대형 트랙터로 변화하고 있다. 현재 보급 되고 있는 트랙터는 다양한 토양 환경에서도 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농기계이지만 기존 트랙터는 간척지 같은 연약지반에서는 견인력이 떨어지고, 지상고가 낮아 배수 상태에 따라 본체가 가라앉거나 잠기는 문제 등이 발생하여 농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간척지용 트랙터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간척지 토성 및 배수상태에 따른 토양 경도와 함수율을 분석하였다. 데이터 측정은 2015에 조성된 당진시 석문지구에 소재하고 있는 간척지에서 진행하였으며, 배수상태에 따른 토양경도 및 함수율을 조사하였다. 당진시 석문지구 간척지에는 4월 19일, 5월 11일 2번에 걸쳐 진행하였다. 토양경도(FieldScout GSC900 Soil Compaction Meter, Gilwoo Trading)와 함수율(PMS710, Gilwoo Trading)은 임의의 지점을 측정하였으며, 토성은 2 mm, 53 μm, 20 μm 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척지 토양 분석결과 토양 깊이는 0 cm에서 5 cm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4월 19일 배수가 양호한 간척지에서 토양 깊이 0, 5, 10, 15, 20, 25, 30 cm일 때 평균 토양경도는 186.7, 481.2, 1078, 2672.9, 2501, 2080.9, 1759.5 kPa, 토양함수율은 33.56±13.1%였으며, 배수가 배수상태가 좋지 않은 간척지의 토양경도는 48.7, 214.1, 390.3, 515.6, 1058.8, 1797.3, 1909 kPa, 토양함수율은 41.68±6.6%였다. 5월 11일 배수상태가 좋지 않은 간척직의 토양경도는 30.4, 183.8, 360, 570.9, 1260.9, 2324.1, 2915 kPa, 토양함수율은 44.05±3.2%로 측정되었다. 당진 석문지구 간척지 토성 분석결과 모래 84.88%, 실트(0.002∼0.02㎜ 토양입자) 15.12%인 심한 자갈성 양사토로 분석되었다.

      • 처방농업을 위한 논 토양 특성 지도 작성

        한준영 ( June Young Han ),주현식 ( Hyun Sik Joo ),신주원 ( Ju Won Shin ),김성민 ( Seung Min Kim ),김대철 ( Dae Cheol Kim ),이봉기 ( Bong Ki Lee ),감동환 ( Dong Hwan Kam ),상완규 ( Wan Kyu Sang ),조용진 ( Yong J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작물의 생장뿐만 아니라 수확량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토양 경도가 높은 토양의 경우 작물 뿌리의 침투를 방해하며, 낮은 토양은 작물을 지탱할 수 있는 지지력이 낮아지므로 작물의 생장, 수확량 및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토양 수분함량은 작물 성장에 가장 효과적인 요소로 작물 뿌리의 영양분 흡수를 책임지는 역할을 하여 경작의 시작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 농업에 있어서 기초가 된다. 토양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EC)는 질소 사용의 효율성 및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는 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다양한 토양의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할 수 있는 많은 방법이 있지만, 현장에서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센서의 활용은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줄이며 손쉽게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센서를 활용한 토양 특성의 연구는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간 측정 토양 센서들을 이용하여 논 토양에서 토양 경도, 토양 EC, 수분을 측정하고 논의 토양 특성 지도를 작성하는 데 있다. 측정 대상은 국내 대규모 논 단지인 경기도 화성시의 필지를 선정하였으며, 필지 내 20여 개 이상의 구역별로 나눠서 구역별로 토양 시료 조사와 토양 경도, EC, 수분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통계학 기법을 적용한 토양 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는 향후 비료 살포 및 농약 처방 등 다양한 농작업 시 토양 성분 기반하여 적합한 처방 농업의 실현을 기대할 수 있다.

      • 고추 재배 토양의 함수율에 따른 경도 측정

        허민호 ( Min-ho Heo ),김태한 ( Tae Han Kim ),김현태 ( Hyeon Tae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국내 농업은 농업기계의 도입으로 매년 시사되는 농촌의 노동력문제를 일정 부분 해소하였다. 하지만 가장 많은 노동력이 투하되는 이식 작업은 기계화율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식기계 모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토양의 함수율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였다. 토양은 함수율에 따라 각각 다른 경도가 나타난다. 이러한 부하는 토양에 관입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이식기계에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실험은 고추 재배에 많이 활용되는 토양 3가지(사질토, 미사질 양토, 양토)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였다. 함수율 조절은 초기 함수율을 높게 설정하고 토양의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함수율의 변화를 토양 수분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였다. 경도 측정은 매 20분마다 8시간 진행하였고, 측정은 토양 수분센서 위치의 5점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토양의 경도는 함수율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개공기의 모형에 따른 부하를 환산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서울시 강북구 솔밭근린공원 소나무림 답압 피해 개선사업 효과 연구

        권기영,한봉호,박석철,최진우,Kwon, Ki-Young,Han, Bong-Ho,Park, Seok-Cheol,Choi, Jin-Woo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솔밭근린공원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울타리 설치, 관목 및 초본식물 식재 등의 답압 피해 개선사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2005년과 2010년 현장조사를 통해 소나무 식재유형, 식재구조, 토양경도, 토양단면구조, 토양 이화학적 특성 등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소나무의 가지생장량과 직경생장량을 측정하여 개선사업전과 후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답압 피해지역 개선사업에 따른 효과를 고찰하였다. 식재유형 변화에서는 하층 식생이 없는 소나무림이 2005년 48.5%에서 2010년에는 6.8%로 감소하였으며, 관목 및 초본이 식재된 소나무림이 7.4%에서 46.8%로 크게 증가하였다. 식재구조 변화에서는 대부분 조사구가 하층식생이 거의 없는 소나무림에서 진달래, 철쭉꽃, 원추리, 돌단풍, 옥잠화 등 관목 및 초본식생이 넓게 피복된 소나무림으로 변화되었다. 2005년 솔밭근린공원의 토양경도는 평균 $54.8kg/cm^2$로 딱딱한 토양층이었다. 2010년 솔밭근린공원 개선사업 후 토양경도는 대부분 $4kg/cm^2$ 미만으로 식물생육에 영향이 없는 양호한 상태였다. 2005년에 토양단면구조는 답압 영향으로 인해 낙엽층이 소실되어 있었으며, 유기물층이 1.0cm로 식물이 생육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개선사업 후 2010년에는 답압에 대한 피해가 줄어서 낙엽층이 3.0cm까지 새롭게 형성되었고, 지속적인 시비에 따라 유기물층의 깊이도 1.5~8.0cm로 증가하였다. 2005년 토양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pH 5.76~6.70, 유기물 함량 7.15~10.55%, 유효인산 9.38~26.47mg/kg으로 소나무 생육 토양환경조건으로 큰 문제가 없었다. 또한 소나무 15주를 선정하여 가지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개선사업 이후 가지생장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토양경도 등급에 따라 소나무 70주를 선정하여 직경생장량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조사구에서 소나무가 개선사업 이후 생육이 양호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울타리 설치, 관목 및 초본식물 식재 등의 답압 피해 개선사업이 소나무 생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 of improvement such measures as fence installation or planting of bush and herbaceous plants taken from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lbat Neighborhood Park in Seoul, which was damaged by stamp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05 and 2010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planting types, planting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 soil hardness, cross-sectional structure of soi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It was also measured by the growth of the branches and the diameter of Pinus densiflora,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improvement to study the effect of restoring Pinus densiflora forest damaged by stamping. When it comes to a change in planting type, Pinus densiflora forest without underlay was reduced from 48.5% in 2005 to 6.8% in 2010. Pinus densiflora forest with bush and herbaceous plants was increased dramatically from 7.4% to 46.8%. Regarding planting structure, in most area of the subject site, Pinus densiflora forest without under layer was transformed into the one with bush and herbaceous plants including Rhododendron mucronulatum, Rhododendron schippenbachii, Hemerocallis fulva, Aceriphyllum rossii, Hosta plantaginea growing in a wide area. The soil in the Solbat Neighborhood Park was very stiff with soil hardness of $54.8kg/cm^2$ in average. After the improvement efforts made in the Park in 2010, the soil hardness was mostly less than $4kg/cm^2$, being in a good condition with little influence on the growth of plants. When it comes to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soil, litter layer didn't exist in 2005 because of stamping and the organic matter layer was only 1.0cm thick, which provided an unfavorable condition for plant growth. However, after improvement, litter layer was formed up to 3.0cm and thickness of the organic matter layer also went up to 1.5~8.0cm in 2010 because the damage from stamping was reduced. Concern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soil, in 2005 soil showed pH 5.76~6.70, organic matter content 7.15~10.55%, and available phosphorus 9.38~26.47mg/kg, having no big problems as a soil environment for growth of Pinus densiflora. 15 trees of Pinus densiflora were selected to see branch growth and it was found that the branches tended to grow better after improvement. 70 trees of Pinus densiflora from various grades of soil hardness also were selected to identify changes of diameter growth. In most cases, it was analyzed that Pinus densiflora grew better after improvement. After conducting this study, it was validated that such measures as fence installation or planting of bush and herbaceous plants to restore Pinus densiflora Forest damaged by stamping were effective in improv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 KCI등재

        아파트 조경 식생불량공간 리모델링 설계를 위한 토양특성 연구

        한승원,김광진,윤지혜,정나라,유수진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단지 내 불량한 식생공간을 보수하거나 다양한 식생으로의 재조성하여 녹색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아파트 단지 내 조경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식재지반인 토양상태를 파악하여 합리적인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파트 준공시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규격의 수목이 동시에 식재되는 것을 감안해 준공연도를 5년 단위로 구분하고 식재기간 경과에 따른 수목생장과 토양성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지 9개소에 모두 식재된 수종 중 침엽수 4종과 활엽수 4종의 생육상태를 조사하여 한 결과 침엽수 중 가이즈까향나무 소나무, 활엽수 중에서는 꽃사과나무가 5년 이상의 식재기간이 경과되었을 때 가장 생육이 좋았다가 10년 이상 되었을 때는 생장이 감소하였다. 측백나무와 단풍나무는 10년 이상 된 지역의 수목이 생육이 가장 좋아 비교적 생장을 위한 기간이 많이 요구되는 수종이었다. 수목은 식재되어 있으나 지표면이 나지가 되어있는 지점의 토양경도를 분석한 결과 준공 후 5년 이상이 되면 20㎜ 이상의 답압 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토양이화학성은 준공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pH는 높고 유기물함량은 비옥한 토양의 1/3 정도로 추가 시비가 필요한 상태였다. 본 결과를 토대로 나지부분의 재식재시에는 식재지 주변 배수로 설계와 토심 50㎝ 정도를 객토하고 왕겨 등의 유기질재료를 혼합하는 정도의 토양 개량 계획을 추가하여 수목 하부에 지피식물을 식재하는 것만으로 토양의 답압과 토양건강성을 회복하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information that can be utilized in surveying the status of landscape management within apartment complexes and grasping the conditions of the soil for planting plants,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green spaces by repairing poorly vegetated spac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and remodeling them with diverse species of plants. Considering that trees and shrubs of equal sizes are simultaneously planted upon the completion of apartment complexes, they were divided based on their completion year at the interval of 5 years and differences in the growth of trees and the components of soil over time were analyzed. Out of the species of trees planted in all the 9 apartment complexes surveyed in this study, the growth of 4 species of needleleaf trees and 4 species of broadleaf trees were surveyed. Juniperus chinensis 'Kaizuka' and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out of the needleleaf trees and Malus floribunda Siebold ex Van Houtte out of the broadleaf trees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when over 5 years passed after planting and their growth rate decreased when over 10 years passed. Platycladus orientalis and Acer palmatum Thunb. in the apartment complexes that were built over 10 years ago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which indicates that the species require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for growth. The hardness of the soil at the areas where trees were planted but their soil surface was bare was analyzed. When over 5 years passed after the completion of apartment complexes, over 20 mm of the soil was found to be stamp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also surveyed and the pH level was found to have been continuously high ever since the completion. The organic content in the surveyed soil was about 1/3 of the content in fertile soil, which means that additional fertilization is requir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amped soil and the health of soil can be restored, when replanting plants in bare areas, by adding plans to improve soil, such as designing drain ways around the planted areas, transporting soil for the 50 cm depth of the ground and mixing organic matters such as chaff, and simply by planting groundcover plants in the lower part of tress and shrubs.

      • 간척지용 트랙터 개발을 위한 간척지 기초조사(Ⅱ)

        강나래 ( Na-rae Kang ),최일수 ( Il-su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choi ),현창식 ( Chang-sik Hyun ),김용주 ( Yong-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간척지 벼 재배면적 감소에 따른 밭작물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 간척지 특성(대구획, 평지 등)에 맞는 중·대형 농기계를 이용한 농작업이 필요하다. 하지만 간척지와 같은 특수한 습지 조건에서는 구동륜의 침하와 슬립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행성능 및 견인성능이 떨어져 트랙터 등을 사용한 농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배수가 좋지 않은 간척지의 경우 강수 후 약 2주 정도 트랙터와 같은 동력 농업기계 작업이 불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간척지 적합 트랙터 개발을 위한 간척지 토양 기초조사로 김제시 새만금지구 간척지의 강수 후 토양 경도, 함수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김제시 새만금 지구에 소재하고 있는 간척지에서 진행하였으며, 토양경도(DIK-5532, Daiki, Japan)와 함수율(Trime-Pico 64, IMKO, Germany)은 1필지(800평)내 임의의 12지점을 측정하였다. 강수 후 2일 간격으로 토양경도 및 함수율, 지온을 조사하였으며, 토양경도는 0cm를 기준으로 5cm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조사결과 강수 후(강수량: 48 mm) 2일차 토양경도는 0cm 68kPa, 20cm 2,923.67kPa, 4일차 0cm 169kPa, 20cm 3,167.17kPa, 6일차 0cm 703kPa, 20cm 3,294.83kPa로 토양경도가 증가하였으며, 함수율은 2일차 34.07%(지온 28.29℃), 4일차 31.74%(지온 26.98℃), 6일차 31.23%(지온 28.48℃)로 점차 감소추세를 보였다. 토성은 2mm, 53μm, 20μm 체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래 85.13%, 실트 13.85%, 점토 1.03%인 양질사토로 분석되었다. 추후 간척지 적용 트랙터 개발 시 작업 부하분석을 위해 간척지 토양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KCI등재

        경기도 양평군 땅밀림지의 토양의 물리적 특성 연구

        박재현,강한별,탁경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8 No.2

        2010년 경기도 양평군 자연리에서 발생한 땅밀림 지역의 활동연약대 부근 토양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산지는 기반암 상부의 표토층이 두텁지 않으므로 강우가 계속되면 물이 사면에 집중포화되어 점차 하부로 미끌어지기 쉽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기후로 인해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산지토사재해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지토사재해 중 하나인 땅밀림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땅밀림의 선제적 대응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땅밀림의 평균 경사는 10.2°로 경사가 완만한 지형에서 발생하였다. 땅밀림의 활동연약대 단차지역의 상부와 하부지역을 분석한 후 과학적으로 비교하였다. 토양 삼각도를 이용하여 토양 형태를 판별한 결과, 미사토양, 점토성 모래토양, 모래토양 등으로 다양하였으며, 토양경도에 있어서 땅밀림지의 상부면의 경우 평균 18.74kgf/cm2, 하부면의 경우 평균 21.51 kgf/cm2 로 분석되었다. 땅밀림지의 상부면의 붕적토가 교란되어 경도가 낮게 형성되어 있었고, 단차로 붕괴되어 사면이 와해된 결과로 판단된다. 특히 인장균열 및 단차로 영향받은 하부 지역은 경도가 높으면서 토심이 깊게 측정되어 땅밀림에 취약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단차가 발생된 활동연약대에 대해서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2010, soil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ics of the soil near the active weak zones in landcreep area that occurred in jayeon-ri, Yangpyeong-gun, Gyeonggi-do. In the mountainous areas of Korea, the topsoil layer above the bedrock is not thick, so if rainfall continues, the water is intensively saturated on the slope and is likely to slide gradually downward. Due to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torrential rain frequently occurs, and interest and alarm about mountainous soil disasters are increa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 preemptive response to the land forest by grasp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creep, which is one of the mountainous soil disasters. The average slope of the landcreep was 10.2°, which occurred in a terrain with a gentle slope. After analyzing the upper and lower areas of the active weak zones in landcreep with cracks and ste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scientifically.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soil shape by using the soil trigonometric map, it was analyzed as mass soil, clay sand soil, and sand soil, and in terms of soil hardness, it was analyzed as an average of 18.74 kgf/cm2 for the upper surface of the landcreep and an average of 21.51 kgf/cm2 for the lower surface. It is judged that the result was that the hardness was formed low due to disturbance of the boronic soil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andcreep, and it was collapsed by the steps and the slop was collapesd. In particular, since the lower areas affected by tensile cracks and steps have high hardness and deep soil depth, it is vulnerable to ground push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for the activity weak zone where steps and tensile cracks have occurred.

      • KCI등재

        토양개량제로 활용하기 위한 EM을 첨가한 폐석회의 함량 분석

        김영규 ( Young-kyu Kim ),송재환 ( Jae-hwan S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9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0 No.3

        토양에 폐석회를 살포하므로 야기될 수 있는 투수력 증진과 보수력 감소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으로 EM 퇴비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폐석회 함량에 따라 변화하는 경도 및 알칼리도의 완충능력을 파악하기 위해서 EM의 발효정도와 퇴비화 과정에 적정한 폐석회 함량을 결정하였다. EM을 첨가한 폐석회를 유기질 토양개량제로 활용하기 위한 EM의 발효조건은 폐석회 함량 60%까지 적합하였다. 폐석회 투입에 따른 토양의 염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EM 발효부산물인 각종 유기산류의 킬레이트 결합이 효과적이며, 결합된 염류는 EM 발효토양에서 투수능력을 증진시키고 하층 침투가 용이하여 작물피해는 격감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EM 투여로 인한 토양의 경도 감소효과는 약 30%이었다. 폐석회가 함유된 토양개량제는 발효기간 중 유기탄소원(COD)이 감소되었다. 이는 탄소원인 유기산이 경도제거를 위한 킬레이트화에 소모되었기 때문이며, 발효와 킬레이트화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폐석회의 최대 함유율은 60%로 나타났다. 폐석회를 토지개량제로 활용할 경우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메카니즘의 활성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발효가 완료된 EM 발효제, EM 활성액 및 폐석회를 적절히 혼합한 후 2주 발효를 통한 토양살포가 유효하였다. EM(Effective microorganisms) composting method was investigated using waste lime that had a bad influence on soil such like to increase the water permeability and decrease the water retention of soil. In order to measure the buffering capacity for hardness and alkalinity which is determined by adding of waste lime, the mixing ratio of EM activated solid to waste lime is need to sustain good condition for EM fermentation and soil. From the result of EM fermentation on various containing ratio of waste lime to solid amendment that will be fermented with EM activated liquid, solid and waste lime, the maximum composition ratio of waste lime was determined to 60 % in soil amendment. Additionally, the hardness removal efficiency was accomplished about 30 % by adding an EM activated liquid. The organic carbon(COD) of soil amendment consisted with waste lime was gradually decreased on the period of EM fermentation. This phenomenon could be explained that the organic acid of carbon source was consumed in making a lot of chelating compounds and removing the hardness simultaneously. In order to get a soil amendment mixed with waste lime and give a real ability such as biological, chemical and physical activation, there were demanded that the suitable mixing with EM activated solid, liquid and waste lime and above 2 weeks` EM 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