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광 군동 마전 원삼국시대 토기와 가마의 제작특성 및 태토의 산지해석

        장성윤,이기길,문희수,이찬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9 보존과학회지 Vol.25 No.1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원흥리 군동과 마전에서 발굴된 원삼국시대 가마 2기와 토기 20점을 대상으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태토의 산지, 토기의 제작특성, 그리고 원삼국시대 가마의 재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 토기와 가마는 인근 토양과 유사한 광물조성을 갖고 있으며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에서 동일한 진화 경향성을 가져, 주변 토양으로 제작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일부 토기에서는 P2O5, CaO, Na2O의 부화현상이 관찰되어 토기가 오랜 매장기간동안 토양환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군동유적에서 동쪽으로 약 600m 떨어진 마전유적 집자리에서 발견된 토기도 군동의 토기와 같은 태토와 제작기법으로 생산되어 인근 마전 마을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토기들은 물리적 특성, 소성온도, 제작기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그룹 1은 적갈색 연질의 타날문 토기가 주를 이루는데, 붉고 공극이 많은 기질에 산화철을 많이 함유하고 비짐은 0.5㎜ 이하로서 소성온도는 700~800℃로 추정된다. 그룹 2는 회백색 및 회청색의 타날문 토기를 포함하는데, 유리질화된 기질에 공극이 적고 비짐은 0.5㎜ 이하로서 소성온도는 900~1,000℃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부 토기는 태토, 조직, 비짐의 특성상 그룹 2에 속하지만 소성온도가 1,100℃ 이상의 고온으로 해석되었다. 그룹 3은 적갈색 및 회청색의 타날문 토기를 포함하는데, 유리질화된 그릇에 공극이 적은 편이고 비짐은 2㎜ 이상의 다결정질 석영과 장석으로 구성되며 소성온도는 1,000℃ 부근으로 추정된다. 토기들이 같은 가마에서 동일한 태토로 제작되어도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것은 기형과 용도에 따라 다소 다른 제작방법(태토의 수비, 비짐, 가마의 소성조건)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호 가마는 가마벽이 600~700℃의 열을, 바닥면은 900~1,000℃의 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고온소성이 가능한 가마였고, 2호 가마는 바닥이 500℃ 이하의 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가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호남지역 마한·백제 토기가마의 특징과 신기술 도입양상

        이지영 ( Lee Ji Young ) 백제학회 2023 백제학보 Vol.- No.46

        본고는 호남지역 마한·백제 토기가마의 최신 조사·연구현황 재정리하여 토기가마의 특징을 분포와 구조, 생산과 유통체계를 통해 살펴보고 신기술 도입양상에 대한 견해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호남지역 토기가마는 취락 내 자체 공급을 주된 목적으로 소규모로 분포하거나 독립된 대규모 생산공간을 갖춘 전문 토기생산집단을 형성한 경우로 구분된다. 가마의 구조는 Ⅰ기에는 반지하식 축조방식이 소형급 가마에 주로 적용되었으며, Ⅱ기에는 가마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경질토기 생산이 일반화되면서 지하식 축조방식의 확인 사례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수요의 급증에 따른 생산량 증대를 위한 사회경제적 목적이 가마에 적용된 것으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내부시설이 추가되는 양상을 보인다. 영산강유역에서는 수직연소식 구조가 추가된 3-2형식과 소성부의 계단식 바닥구조가 추가된 2-2형식 가마와 같은 새로운 구조가 토기 생산집단을 통해 도입된다. 토기 생산체계는 성형과 소성공정이 분리된 비전업·반전업 단계에서 전문생산집단을 통해 전업화되는 모습이 관찰된다. 취락 내 반전업 생산체계는 협역유통으로 Ⅰ기에는 반경 1~2㎞, Ⅱ기에는 반경 2~4㎞로 범위가 확대된다. 토기 전문생산집단의 전업생산체계는 광역유통으로 15~30㎞의 넓은 범위에 해당하며 유통 범위와 가마구조의 차이를 통해 생산집단을 운영하고 공유한 지역성을 구분할 수 있다. 토기가마를 통한 소성기술의 도입은 타날문토기 확산을 의도한 사회경제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기가마 이전의 경질무문토기 소성유구는 구형의 평면형태와 바닥경사면, 점토를 덮은 소성흔적 등을 통해 밀폐식 가마구조를 직접 도입하지는 않았지만 가마에 대한 인지정보를 바탕으로 간접 적용된 증거로 보인다. 이후 토기가마 소성기술은 생산품의 안전성 확보와 생산량 향상을 목적으로 3~4세기 무렵 전국적으로 확산되는데, 중국 남방지역의 장타원형 평면형태와 바닥경사면, 북방지역의 단시설과 짧은 요체, 지하굴착식 축조법 등이 다원적 경로를 통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생산기종의 다양화와 생산량의 증대는 가마 구조의 다변화로 이어지면서 지하식 축조방식, 수직연소식 연료투입방식, 계단식 바닥시설과 같은 신기술이 호남지역 Ⅱ기 토기가마에 도입되었다. 특히 수직연소식 구조는 파주·진천일원에 유입된 낙랑 제도기술이 파급되는 과정에서 충청지역이 매개체가 되어 호남지역에는 5세기 중엽 광주 행암동 생산집단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주변 취락에 기술정보가 제공되면서 확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y kilns of Mahan and Baekje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the Honam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atest excavation and research, including the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the kilns as well a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perated for the kilns. It also deals with various aspects rel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The pottery kilns in the Honam area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size and productivity: small kilns operated to meet the domestic demand of the settlements with which they were affiliated, and large, more productive kilns run by potters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As regards the structure of the kilns, the kilns in Period I were marked by a semi-subterranean, and comparatively small, structure, whereas those in Period II tended to feature larger, and increasingly subterranean, furnaces which were used to produce hard-plain pottery. Over time, facilities were gradually added to the kilns to improve their thermal efficiency, reflecting the socio-economic goal of increasing production to meet the rapidly growing demand. The pottery production group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adopted new structures for their kilns, such as the 3-2 Type, to which a structure designed for vertical firing was added, and the 2-2 Type, whose furnace had a stepped floor. The pottery production system is observed to become professional through specialized production groups in the non-professional and semi-professional stages where molding and firing processes are separated. Of the two, the semi-professional production system operated within a settlement was based on a narrow-range distribution, supplying products across an area with a radius of just 1 to 2 kilometers (Stage I) and gradually extending it to 2 to 4 kilometers (Stage II). The professional production system operated by professional potters was based on a wide-range distribution, covering an area with a radius of 15 to 30 kilometers. These differences in the range of distribution and the kiln structures have helped archaeologists to identify the areas covered by each group of professional potters. The introduction of new firing techniques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pottery kilns seems to have been relat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related with the need to spread beating patterned pottery. The extant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pottery firing that produced hard-plain pottery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pottery kiln are marked by ditch shapes with a sloped floor and a clay covering, providing evidence of an indirect application of the cognitive information of pottery kiln, although these features are not parts of a closed kiln structure. The firing techniques used by these pottery kilns were spread to nationwide sometim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by those seeking product safety and improved production, as suggested by the kilns with a long elliptical form with a sloped floor discovered in the southern part of China, the kilns with a stepped floor and a short furnace, and those with a subterranean tunnel-type structure in the northern area. Diversification of the vessels and improved productivity led to greater complexity in the kiln structure, resulting in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ical features - such as the subterranean furnace, vertical firing, and the stepped floor - to the Stage II kilns in the Honam area. Of the new features, the structure designed for vertical firing was introduced to the Chungcheong area when the pottery techniques from Nangnang advanced southward to the areas around Paju and Jincheon, before arriving in the Honam area in the mid-fifth century, where it was spread widely by potters based in the area Haengam-dong in Gwangju.

      • 영남지방 원삼국시대의 토기가마구조에 대한 예찰

        김재철 국립문화재연구원 2007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0 No.-

        이 글은 아직 원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조사 예가 거의 없는 영남지역을 대상으로 당시의 그것이 어떤 구조형태였는지 시공적인 자료검토를 통해 예찰한 것이다. 영남지방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초기의 토기가마는 김해 대성동형 토기가마와 사천 봉계리형 토기가마가 병존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상호 복합적이며 계기적인 내적 변화과정을 통해 소성실 바닥이 편평하거나 또는 경사지고 규모가 조금씩 확대되는 실요(室窯)의 구조로 변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인 형태는 알 수 없으나 비슷한 시기 호남·호서지방의 구조와 유사한 수평연소식(水平撚燒式)이면서 평면형태가 장방형에 가까운 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진천 삼룡리 토기가마의 수평연소식 구조는 진천 산수리 토기가마군의 수직연소식(垂直撚燒式) 구조보다 선행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는 소성유구(燒成遺構)는 토기가마로 부르는 것이 적절하며, 평요(平窯)와 등요(登窯)의 분류개념은 6세기대 이후 복합적인 구조를 하고 있는 가와가마의 경우에 사용함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와질토기가마는 평요이고 도질토기가마는 등요라는 기존 가설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Since three has naver been any incidence of having investigated kilns for firing soft stonewar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so far, how they structured by reviewing historic literature and material was preconsidered in this study. It is presumed that after both Gimhae Daeseongdong-type and Sacheon Bonggyeri-type kilns for firing earthenware coexist early, through an internal alteration process which is mutually complex and momentous, the floor of plastic room has been flattened or slanted and expanded little by little into the closed-kiln structure. It seems that the structure of kilns for firing soft stoneware was a horizontal combustion type(水平撚燒式) and its plane shape was close to being rectangular in shape unlike that of kilns for firing stoneware found in Honam and Hoseo province in the period of(proto-)three kingdoms. On the other hand, it is likely that the horizontal combustion type structure of kilns for firing stoneware excavated in Samyong-ri, Jincheon preceded the vertical combustion type(垂直撚燒式)that of kilns for firing yiles. Thus, it does not seem likely that the absolute equality that Wajil earthenware(soft stoneware) pottery is Pyeungyo and stoneware pottery is Dyeungyo is applied in all cases.

      • 고령지역의 대가야 토기가마-고령 송림리 토기가마 유적의 소개를 중심으로-

        정동락,손정미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3 한국고대사탐구 Vol.14 No.-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urrent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s of Songnim-ri earthenware Kilns’ recently excavated and to present the known places of earthenware Kilns in Goryeong region in order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Daegaya earthenware Kilns over Goryeong region. ‘The remains of Songnim-ri earthenware Kilns’ were built to produce earthenware, and they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y are new materials related to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Daegaya earthenware. Such relics as earthenware and bricks were excavated from this place of Kilns. First of all, the sort of earthenware includes almost all types excavated from Daegaya old mounds including that of Jisandong. This earthenware was not used in daily life but buried in tombs, which indicates the objective of operating earthenware Kilns in time. In addition, the excavation of bricks made it possible to assume the existence of brick Kilns in the 5th to 6th centuries, which is also of significance.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remains excavated so far, it is thought that Songnim-ri earthenware Kilns were operated since long before and after the late 5th century. It is reported that in Goryeong region, earthenware Kiln places were found in Naegok-ri, Goryeong-eup, Hapga 1·2-ri, Ssangnim-myeon, etc. Most of the remains including Songnim-ri are located around the water system of Anrimcheon(安林川). It is of high possibility, therefore, that in the future, more remains for earthenware production, etc will be found around this area. A lot of efforts have been put forth into the study on Daegaya history so far to complement insufficient documental data, accommodate existing achievements in the area of archeology, and make a breakthrough to advance further. The excavation of the Songnim-ri earthenware Kilns contributed to drawing interests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producing relics in Daegaya remai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come a major turning point in the study on Daegaya earthenware and the restoration of Daegaya history. 현재까지 대가야의 토기가마에 대한 연구는 지표조사 수준의 자료 소개가 전부였고,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최근 새롭게 발견된 ‘송림리 토기가마 유적’의 현황과 특징을 소개하고, 아울러 기왕에 알려진 고령지역의 토기가마터를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고령지역 대가야 토기가 마의 분포 특징을 제시하였다. ‘송림리 토기가마 유적’은 토기를 만들었던 생산유적으로, 대가야 토기의 생산과 공급과 관련한 새로운 자료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이 가마터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토기와 벽돌 등이다. 먼저, 토기류는 지산동고분군을 비롯한 대가야 고분에서 출토되는 거의 전 기종에 해당한다. 이 토기들은 일상적인 생활용기라기보다 고분에 부장되는 것들로, 토기가마의 조업 목적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벽돌도 출토되어 5∼6세기의 벽돌가마의 존재를 상정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도 의미가 크다. 현재까지 확인되는 출토 유물의 양상을 통해 볼 때, 송림리 토기가 마의 운영 시기는 대체로 5세기 후반을 중심으로 오랜 기간 동안 조업이 이뤄졌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령지역에는 그간 고령읍 내곡리와 쌍림면 합가1·2리 등에서 토기가마터가 보고되었다. 이번에 확인된 송림리를 비롯한 대부분의 유적이 安林川수계에서 분포하고 있다. 향후, 토기를 비롯한 생산유적이 안림천 수계를 중심으로 추가로 발견된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의 대가야사 연구는 부족한 문헌자료를 보완하기 위해 고고학 분야의 성과를 수용하면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이번 송림리 토기가마터의 발견을 통해 대가야 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을 생산·공급했던 생산유적의 실상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대가야 토기 연구, 나아가 대가야사 복원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다만, 지표상에서 확인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기 때문에 대가야 토기가마의 구조와 분포 양상, 조업시기와 성격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어려웠다. 이점에 대해서는 앞으로 보완해 나가기로 한다.

      • KCI등재

        호남지역 마한·백제 토기가마의 특징과 신기술 도입양상

        이지영 백제학회 2023 백제학보 Vol.- No.46

        본고는 호남지역 마한·백제 토기가마의 최신 조사·연구현황 재정리하여 토기가마의 특징을 분포와 구조, 생산과 유통체계를 통해 살펴보고 신기술 도입양상에 대한 견해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호남지역 토기가마는 취락 내 자체 공급을 주된 목적으로 소규모로 분포하거나 독립된 대규모 생산공간을갖춘 전문 토기생산집단을 형성한 경우로 구분된다. 가마의 구조는 Ⅰ기에는 반지하식 축조방식이 소형급 가마에 주로 적용되었으며, Ⅱ기에는 가마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경질토기 생산이 일반화되면서 지하식 축조방식의 확인 사례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수요의 급증에 따른 생산량 증대를 위한 사회경제적 목적이 가마에 적용된 것으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내부시설이 추가되는 양상을 보인다. 영산강유역에서는 수직연소식구조가 추가된 3-2형식과 소성부의 계단식 바닥구조가 추가된 2-2형식 가마와 같은 새로운 구조가 토기 생산집단을 통해 도입된다. 토기 생산체계는 성형과 소성공정이 분리된 비전업·반전업 단계에서 전문생산집단을 통해 전업화되는 모습이 관찰된다. 취락 내 반전업 생산체계는 협역유통으로 Ⅰ기에는 반경 1~2㎞, Ⅱ기에는 반경 2~4㎞로 범위가 확대된다. 토기 전문생산집단의 전업생산체계는 광역유통으로 15~30㎞의 넓은 범위에 해당하며 유통범위와 가마구조의 차이를 통해 생산집단을 운영하고 공유한 지역성을 구분할 수 있다. 토기가마를 통한 소성기술의 도입은 타날문토기 확산을 의도한 사회경제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기가마 이전의 경질무문토기 소성유구는 구형의 평면형태와 바닥경사면, 점토를 덮은 소성흔적 등을통해 밀폐식 가마구조를 직접 도입하지는 않았지만 가마에 대한 인지정보를 바탕으로 간접 적용된 증거로 보인다. 이후 토기가마 소성기술은 생산품의 안전성 확보와 생산량 향상을 목적으로 3~4세기 무렵 전국적으로확산되는데, 중국 남방지역의 장타원형 평면형태와 바닥경사면, 북방지역의 단시설과 짧은 요체, 지하굴착식축조법 등이 다원적 경로를 통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생산기종의 다양화와 생산량의 증대는 가마 구조의다변화로 이어지면서 지하식 축조방식, 수직연소식 연료투입방식, 계단식 바닥시설과 같은 신기술이 호남지역 Ⅱ기 토기가마에 도입되었다. 특히 수직연소식 구조는 파주·진천일원에 유입된 낙랑 제도기술이 파급되는과정에서 충청지역이 매개체가 되어 호남지역에는 5세기 중엽 광주 행암동 생산집단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주변 취락에 기술정보가 제공되면서 확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y kilns of Mahan and Baekje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the Honam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atest excavation and research, including the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the kilns as well a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perated for the kilns. It also deals with various aspects rel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The pottery kilns in the Honam area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size and productivity: small kilns operated to meet the domestic demand of the settlements with which they were affiliated, and large, more productive kilns run by potters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As regards the structure of the kilns, the kilns in Period I were marked by a semi-subterranean, and comparatively small, structure, whereas those in Period II tended to feature larger, and increasingly subterranean, furnaces which were used to produce hard-plain pottery. Over time, facilities were gradually added to the kilns to improve their thermal efficiency, reflecting the socio-economic goal of increasing production to meet the rapidly growing demand. The pottery production group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adopted new structures for their kilns, such as the 3-2 Type, to which a structure designed for vertical firing was added, and the 2-2 Type, whose furnace had a stepped floor. The pottery production system is observed to become professional through specialized production groups in the non-professional and semi-professional stages where molding and firing processes are separated. Of the two, the semi-professional production system operated within a settlement was based on a narrow-range distribution, supplying products across an area with a radius of just 1 to 2 kilometers (Stage I) and gradually extending it to 2 to 4 kilometers (Stage II). The professional production system operated by professional potters was based on a wide-range distribution, covering an area with a radius of 15 to 30 kilometers. These differences in the range of distribution and the kiln structures have helped archaeologists to identify the areas covered by each group of professional potters. The introduction of new firing techniques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pottery kilns seems to have been relat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related with the need to spread beating patterned pottery. The extant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pottery firing that produced hard-plain pottery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pottery kiln are marked by ditch shapes with a sloped floor and a clay covering, providing evidence of an indirect application of the cognitive information of pottery kiln, although these features are not parts of a closed kiln structure. The firing techniques used by these pottery kilns were spread to nationwide sometim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by those seeking product safety and improved production, as suggested by the kilns with a long elliptical form with a sloped floor discovered in the southern part of China, the kilns with a stepped floor and a short furnace, and those with a subterranean tunnel-type structure in the northern area. Diversification of the vessels and improved productivity led to greater complexity in the kiln structure, resulting in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ical features - such as the subterranean furnace, vertical firing, and the stepped floor - to the Stage II kilns in the Honam area. Of the new features, the structure designed for vertical firing was introduced to the Chungcheong area when the pottery techniques from Nangnang advanced southward to the areas around Paju and Jincheon, before arriving in the Honam area in the mid-fifth century, where it was spread widely by potters based in the area Haengam-dong in Gwangju.

      • KCI등재

        호남지역 원삼국~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조업방식 연구

        김은정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3 고문화 Vol.82 No.-

        The shape of pottery becomes to be various and color tone, hardness show fundamental changes from in Honam area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These chenges in pottery production come from work technique of advanced kiln. This writer, therefore, intended to restore work form of pottery kiln operated in Honam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in this paper. For this, this study closely investigated relics excavated and tested firing of pottery with making kiln in person. The test result for firing is that although pottery was experimented in same kiln, it was tinged with red line in the case of oxidizing atmosphere in firing pottery and tinged with gray line in case of reducing atmosphere in firing pottery. It is analysed to be result that color tone of firing production in the kiln was influenced not by firing devices, but by treatment of intercepting fire. Pottery of red line can be also possible to be hard firing like hard porcelain. That is to say, the highest firing temperature is important for hardness of pottery, and color tune can be regulated as one wishes. Analysis for pottery excavated in kiln showed that pottery of soft red line was excavated much more than pottery of gray line in the first stage and this proportion became to be reverse in the second stage. The quantity pottery of gray line with hard porcelain grows at exponential rate in the second part of the second stage. Through this result, pottery kiln in Honam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indicates changes in color tone and hardness of pottery, developing from first stage to second stage. It is estimated that firing mode of pottery became to be active and be developed in this course. In short, pottery which don’t need firing in kiln uses open firing structure. It is guessed that this make firing mode stable, compared with early days kiln appeared, and technical changes were made in kiln work as well. It is suggested that this also controlled firing atmosphere in kiln work, and these techniques were adjusted by the subject of that technique, pottery producer’s need. 호남지역에서 원삼국~삼국시대가 되면 토기의 기형이 다양해지고, 색조와 경도면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나타난다. 토기 생산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이전 단계에 비해 발달된 가마 조업 기술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원삼국~삼국시대 호남지역에서 운용된 토기가마의 조업방식을 이해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지역 토기가마 출토유물을 면밀히 검토하고, 직접 가마를 제작하여 토기 소성을 진행하였다. 소성 실험 결과 토기는 동일한 가마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개방 소성 시에는 적색계열을 띠고, 밀폐 소성 시에는 회색계열을 띠었다. 이는 가마 소성품의 색조가 소성설비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소성의 마지막 단계인 불막음처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적색계열의 토기도 회색계열의 경질토기처럼 경질소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토기 경도는 최고소성온도와 소성지속시간의 문제이며, 색조는 얼마든지 조절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살펴볼 때, 호남지역 원삼국~삼국시대 토기가마는 Ⅱ기에 이르면서 토기 색조와 경도의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과정에서 토기 소성법이 분화/발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시말해서 토기 소성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마에서 소성 할 필요성이 없는 토기는 노천요를 이용하는 등 가마 등장 초기보다 소성법이 안정화되면서 가마 조업 상의 기술적 변화도 함께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영산강유역 삼국시대 토기 생산체계의 전개양상과 지역성

        이지영 호남고고학회 2022 湖南考古學報 Vol.72 No.-

        본고는 영산강유역 삼국시대 토기가마와 생산품을 대상으로 토기 생산체계의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권역별 특징을 검토하여 토기 생산집단의 지역성을 비교하였다. 분석 권역은 토기 생산유적의 분포를 바탕으로 반경 5㎞ 범위로 설정하였으며, 영산강 상류의 태목리권, 비아동권, 연산동권, 행암동권과 영산강 중류의 신가리권, 오량동권, 예덕리권으로 총 7개 권역을 주된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영산강유역 토기 생산체계의 전개양상은 3세기 대 이후 밀폐식 등요 구조의 토기가마가 출현하여 확산하는 시기를 Ⅰ기, 4세기 후반 이후 사회적 수요에 의해 전문 토기생산집단이 등장하고 생산량이 증가하는 시기를 Ⅱ기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밀폐식 토기가마는 취락 내에서 공동 소성작업이 필요한 반전업 생산체계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점차 전문 생산집단이 등장하고 전업 생산체계를 통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가마구조는 점차 대형화되고 열효율을 높여 고온소성이 가능한 구조로 변화되었으며, 가마 생산품은 경질무문토기 단계에서 이어진 토착기종이 발전함과 동시에 신기종이 등장하면서 기종 구성이 다양해지고 점차 생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토기 생산체계의 전개양상을 권역별로 세분하여 연관성을 살펴보면 Ⅰ기에는 권역별 속성차이가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았지만, Ⅱ기에는 나주 오량동유적과 광주 행암동유적을 중심으로 전문 생산집단이 형성되면서 인접권역인 행암동권, 연산동권, 신가리권의 가마구조에서 유사한 양상이 관찰되고 오량동권과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반면 가마 생산품은 Ⅱ기에 등장하는 신기종 구성이 오량동권을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반영되어, 가마구조와 생산품의 변화속도 차이를 보여준다. 오량동권에서는 토착적인 가마구조가 오랜기간 지속되지만, 행암동권은 새로운 가마구조의 유입을 통해 신기종의 생산이 이루어졌으며 주변지역으로 새로운 문화요소를 전파하는 파급력이 컸다. 따라서 전문 토기 생산집단이 형성된 영산강 중류역의 오량동권은 토착성과 전통성, 영산강 상류역의 행암동권은 개방성과 다양성이라는 토기 생산체계의 지역성이 관찰된다.

      • 토기 제작기술의 실험적 연구 : 가마복원 및 소성실험 자료를 바탕으로

        홍진근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0 동원학술논문집 Vol.11 No.-

        2009년 5월 경남 양산 호계동에서 발굴 조사된 삼국시대 토기 가마를 복원하고 여기에 다양한 형태의 삼국시대 토기를 성형, 소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고고학적으로 처음 시도된 삼국시대 가마 복원, 토기 소성실험 과정을 소개하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삼국시대 토기 생산과 제작 기술을 살펴보았다. 삼국시대 대형 무덤의 축조는 토기 제작기술과 생산체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짧은 시간에 많은 토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중첩소성 하였고, 이상재(離床材)·이기재(離器材)라는 새로운 기술적 발전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질토기는 가마와 소성법, 태토와 성형 등 모든 측면에서 이전 시기에 비해 획기적으로 변화, 발전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번에 실시한 가마 복원과 토기 소성실험은 흙, 물, 불이라는 구성요소 각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토기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한번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삼국시대 토기제작 기술을 밝혀내고 토기 생산체제를 추적, 복원한다는 것은 무리가 따르지만 토기제작 실험과 복원을 위한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를 두고자 하였다. Attempts were made to reconstruct the pottery production kiln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in Hogye-dong, Yangsan, Gyeongsang province, and manufacture various forms of pottery of this period. Firing experiments we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restore the pottery manufacture technolog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the experiments, various aspects were confirmed regarding firing techniques of Three Kingdoms pottery. The advent of large size tombs required many pottery pieces for burial purpose. In order to produce a large quantity in a short period of time, ceramics were stacked (about 2 to 3 levels) and then fired. Rice straw, sandy soil, branch and kiln tools were placed between the pottery pieces and at the bottom of kiln so as not to let the pieces stick together. However, only traces of stacking and firing are visible on the wares. Mass production through stacking pottery began with the advent of large size tombs. Since then, kiln tools for stacking were employed. Pottery firing using various kiln tools reveals the best manufacture technology of pottery and its development. The firing experiments left a number of questions to be answered, such as the firing time and temperature. At the same time, they provided an opportunity for verifying ancient pottery manufacture technology. This will provide basic data in reconstructing the social contexts of the period in regard to pottery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 KCI등재

        삼국시대 토기가마를 통해 본 생산 · 유통 구조 -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

        김영희 중앙문화재연구원 2014 중앙고고연구 Vol.0 No.14

        영산강유역 토기가마의 생산과 유통구조는 지역단위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주거 군에서 공방지가 확인되어 분업화가 이루어지고 연질의 자비용기 위주로 제작하여 자급자족하는 소비가 이루어진다. 이후 지역단위가 성장하면서 점차 수요와 공급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경질화 되고 기종에서도 다양성을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업적 전문장인집단이 등장하는데 토기가 마는 취락과 별도의 공간에 군집으로 조성된다. 5세기 후반 이후에는 광역적인 세력을 구축하여 분업화된 양상을 보인다. 중심거점은 백제가 영산강유역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지면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중심거점에는 백제 의 영향하에 주변의 하위거점에서 생산된 토기를 비롯한 수공업 제품이 공납의 형태로 집중되는 데 상업적 목적이 강한 조계지가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거점지에서 생산되었던 제품의 유통은 반경 20~25㎞ 이내에 대부분 소비되었겠지만 백제가 직접 관리한 생산품은 서남해안의 지 역단위체를 통해 가야나 왜 등과 같은 정치체와 광역의 유통망을 형성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영산강유역의 토기가마 운영체계는 지역단위의 형성과 통합, 해체를 통해 복합적 이고 다양한 생산체계를 갖추게 되고 백제가 전남 동부지역에 대한 진출이 이루어지는 시기까지 지속되고 석실이 들어온 이후에 점차 사라져 간 것으로 보인다. Yeongsan River basin of the earthenware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s are the local unit has seen a difference. In the early days, etc. appeared to focus on production and costs, and yoga. Since the head of living water is produced with the diversification of models remains hard and specialize in accredited groups. Finally, due to the inuence of Baekje style earthenware production but gradually vanish. In the late 5th century after the Division of the greater enemy forces seems to be the aspect of the building. Center the base on the banks of the Baekje's active intervention facilitated the Yeongsan River district was formed. Center the base on the lower base edge around under the influence of a number of industrial products, including earthenware ball of lead concentrates in the form which was formed strong commercial concessions is presumed. Distribution of the product, which is produced from a base radius 20~25㎞, most is consumed but managed directly by the production of Baekje in the South Coast region of monomers to go through or why such a political body and greater distribution channels was estimated to be formed. And do you like the Yeongsan River basin earthenware operating system through the formation and integration of the unit area, disassemble and comes equipped with a variety of production systems and the town for the Chonnam Baekje Eastern region until that takes place during the duration of the class came after increasingly seems to be gone.

      • KCI등재

        三國時代土器재임방법에 대한 檢討 -古式陶質土器재임방법과 변화를 중심으로-

        이정근 영남고고학회 2012 嶺南考古學 Vol.- No.60

        A pottery’s study has to be examined on the basis of a detailed analysis of potteries. Especially the examination of various traces on potteries gives us important data about how to make potteries. This study restores the method of piling up potteries through the surface observation of potteries discovered from the kiln at Ugeo-ri, Haman in Early-style Dojil pottery. Moreover, it examines the difference in the methods of piling up potteries between Late-style Dojil pottery in Haman and Dojil pottery in Yeongnam region. The methods of piling up Dojil pottery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at of Early-style dojil pottery in Haman is to pile up jars with short neck to lay the jar on its side. It has a difference in not piling up jars with short neck and setting them right in another regions. Late-style dojil pottery has a changed method. Mounted dishes and small potteries are piled up right but jars with short neck are laid the jar on its side in all Yeongnam region. The reason of this change is not only technological advancement. Aproduction intention of potteries would be changed by the social situation like a change of the demand for some potteries. The method of piling up potteries would positively reflect such production intention. 토기에 대한 연구는 토기자체에 세밀한 檢討가 필요하다. 특히 土器表面에 남겨진 다양한 흔적에 대한 관찰은 토기가 어떻게 成形되고 燒成되었는지를 복원하는 직접적인 증거로 활용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소위‘古式陶質土器段階’에 해당하는 咸安于巨里土器가마에서 출토된 토기의 표면관찰을 통하여 于巨里가마의 토기재임방법을 복원하고 咸安地域新式陶質土器段階의 재임방법과 다른 영남지방의 陶質土器재임방법의 相似性, 相異性에 대해 검토하였다. 陶質土器재임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다. 古式陶質土器段階함안지역은 短頸壺를 重疊하여 橫置燒成하는 특징이 있으며, 다른 지역이 短頸壺를 重疊하지 않고 定置燒成하는 것과 차이를 보인다. 이에 비해 新式陶質土器段階에는 전 영남지방이 高杯를 비롯한 小形土器를 重疊하고 短頸壺를 定置燒成하는 재임방법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단순히 燒成技術의 발전에 의한 것만은 아니며, 기종별 토기수요의 증감과 같은 사회적 상황 변화에 따라 토기제작 공인의 생산의도가 바뀌었고, 이를 생산방법에 적극 반영한 결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