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논문 : 소통적 관점에서 본 텔레비전 서사문화의 문제적 양상

        최인자 ( In Ja Choi ) 한국독서학회 2005 독서연구 Vol.0 No.14

        본고는 텔레비전 소통의 특징을 서사문화 개념으로 포착하고, 그 문제적 양상을 ‘공공성’ 범주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텔레비전이 현대 사회의 대표적인 대중매체로서 문화적 교류와 참여의 장이라는 점에서 ‘공공성’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또, ‘서사문화’란 개념을 쓴 것은 텔레비전이 매개하는 제작자, 텍스트, 수용의 포괄적인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하기 위해서이다. 논의 결과를 살펴보면, 텔레비전은 구비 문화적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열린 텍스트로서 개인과 사회를 연결짓고 문화와 문화를 연결하여 문화 간 교류와 참여를 진작시킬 수 있다는 매체적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의 텔레비전 이야기 제작 문화는 시청률을 의식한 상업주의적 경향이 강했으며 이는 전문 제작인을 강박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다매체, 다채널의 상황이 텔레비전 문화의 다양성으로 직결되지 않았다. 텔레비전 텍스트의 이야기 형태는 다소 획일적이고 이분법적인 틀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술 매개자를 생략하고 엿보거나 직접 대화하는 환유적 이미지를 생산함으로써 소통에서의 즉시성, 현시성의 효과를 만들고 시청자가 주어진 화면에 동일시하는 효과를 자아내고 있었다. 수용자의 이야기들은 저널리즘 등의 비평 담론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이들 담론의 다소 이분적인 시각과 단편적 서술에 의거하여 비판조차도 이들의 견해를 따르고 있었다. 또, 수용자들은 온라인 등으로 또 다른 수용 이야기를 펼치고 있었으나, 저항적 해독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 다채널, 다매체 등의 상황이 오히려 수용 경험을 사사화하는 등의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고는 텔레비전의 소통 현상을 개별적, 구체적으로 논의하지는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을 매개로 한 사회적 소통 현상 전반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국어교육에서도 텔레비전을 비롯한 실제 사회의 소통 문화에 입문하고, 비평 평가하는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공공성’의 범주는 극대화된 주관의 세계에서 비롯된 ‘세계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가치라고 할 수 있겠다. The task of this essay is to criticize television narrative culture on the point of publicness. The television mediates social communication through producer, text, audience. So, the publicness is very important category to criticize television narrative culture. The television mediates individual and society, different cultures, and promote audience`s participation. In produce of narrative culture, the commercial purpose has an enormous effect on broadcasting organization regarding to program rating. In spite of multi-channel, multi-media, the spectrum of broadcasting organization is under bias toward limitedness. The television narrative style is inclined to dichotomy and standardization. Through the conceal of narrative mediation, the television screen is seen as instant and immediate communication. The audience can`t reflect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elevision program is constructed of dichotomy of `we` and `they`. For example, the news story is constructed of dichotomy of `orderness` and `disorderness`. The public access program is reconstructed with dominant myth, such as `happiness`, `sucess` `femininity`. The audience tells story through on-line and in context of family community and group of the age. But their interpretation is inclined to preferred interpretation. They are influenced by a journalism comment passively.

      • KCI등재

        텔레비전과 영화의 새로운 스타일

        심은진(Shim, Eun-Ji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5

        텔레비전의 등장은 영화를 위협했지만 영화에 새로운 형식을 전달했다. 영화는 텔레비전에서 새로운 방식의 내러티브, 촬영과 편집, 사운드 효과를 빌려온다. 로버트 알트만의 〈내쉬빌〉에서 우리는 텔레비전의 특징과 제작 방식에서 영향을 받은 새로운 형식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야기, 이미지, 소리의 차원에서 이 영화가 어떻게 텔레비전 형식의 영향을 받았는지 분석하였다. 24명의 주요 캐릭터의 일상이 분산적이고 단편적으로 전달되는 멀티 플롯의 이야기 구조는 텔레비전이 만들어 내는 ‘동시적 리얼리즘’의 효과를 만든다. 산만한 이야기, 여러 명의 등장인물들을 연결하는 것은 일상의 진부함이다. 이 영화는 진부함으로 사람들을 모으는 대중문화 산업과 대중정치에 대한, 미국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담겨 있다. 〈내쉬빌〉에서 줌과 패닝을 통해 전달되는 이미지는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텔레비전 촬영 방식과 유사하다. 헐리웃 고전 영화의 편집방식에서 벗어난 ‘무작위적인 편집’은 여러 대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이미지를 연결하고 구성하는 텔레비전 생방송 스타일과 유사하다. 쇼트의 연결은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고 사실의 기록과 전달의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시각 이미지는 동일시를 통해 관객을 영화 속에 몰입시키기보다 이미지와 거리를 둔 관찰자로 만든다. 인물들의 대화를 중첩시키고, 소리의 위계질서를 없앤 사운드 효과는 텔레비전 인터뷰 방식과 유사하다. 소리와 이미지가 불연속적으로 전달되는 것 또한 텔레비전의 방식에서 영향을 받은 새로운 형식이다. 다양하고 자유로운 소리들은 텔레비전적인 사실주의 효과를 만들어 내지만 관객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관객은 능동적인 소리를 선택하고 해석해야 한다. 〈내쉬빌〉은 텔레비전적인 영화이다. 알트만은 텔레비전 형식을 통해 대중문화와 정치, 텔레비전이라는 매스미디어를 비판한다. 이러한 점에서 〈내쉬빌〉 메타 이미지적인 영화, 자기 반영적인 영화이다. The emergence of television threatened film industry but it also introduced a new format. Films adopted narratives, filming and editing methods, and sound effects of television. In 〈Nashville〉 by Robert Altman, we can easily find components influenced by television. This study analyzes how television influenced film in perspectives of story, image and sound. In 〈Nashville〉, the everyday life of 24 main characters is delivered decentralized and fragmented. This multi-plot creates ‘simultaneous realism’, which television first adapted. What connects the stories is the cliché of everyday life. This film heavily criticizes public cultures and politics of America, where the media try to gather people’s attention by cliches. Images 〈Nashville〉 create through zooming and panning are similar to those of television where they use to show the flow of time. Also, the ‘randomized editing’ used in 〈Nashville〉 is similar to live broadcasting style of television. This editing connects images from many cameras and distinct itself from conventional Hollywood-style editing. Connecting shorts show flow of time and have its function in delivering and recording facts. These imaging allows viewers to keep the distance from film, making them observers rather than immersing inside. Overlapping characters’ conversations and creating non-hierarchical sounds are similar to the interview form of the television. Discontinuous delivery of sound and images is also influenced by the television. Realistic effects of television can make a variety of free sounds, but this also confuses the audience. The audience must actively intake sounds and interpret them. 〈Nashville〉 is a televisional film. Robert Altman criticizes public culture, politics and mass media by using the televisional form. With this point of view, 〈Nashville〉 is a meta-imaged and self-reflecting film.

      • KCI등재

        1960~70년대 국가주의와 텔레비전 드라마의 ‘촉각적 설득’ : 텔레비전 출현 초기 텔레비전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수용

        이종숙 한국소통학회 2024 한국소통학보 Vol.23 No.3

        이 연구는 텔레비전 미디어의 출현 초기 한국 사회의 텔레비전 수용양상을 텔레비전드라마 제작자의 인식과 이해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주로 초기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에참여했던 인력들의 회고록과 구술자료들을 통해 초기 텔레비전 미디어가 가져온 새로운 경험과 텔레비전 미디어의 출현이 한국 사회에 갖는 의미, 그리고 196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에 텔레비전 미디어가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가를 밝혀보고자 했다. 특히당시 텔레비전 방송의 설립과 운영, 관리의 주체는 국가 중앙행정기관의 하나인 공보부산하의 방송관리국 공무원이었으며,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제작은 연극계와 영화계연출자와 감독, 배우들, 그리고 라디오방송의 작가들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초기 텔레비전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접근에서의 간극과 충돌, 갈등은 컸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당시 한국 사회에서 텔레비전 방송의 출현 자체가 군사정부의 국가통치를 위한 기획이었다는 점이 고려되었으며, 초기 척박한 방송제작환경에서도 어떻게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자들이 기존 미디어인 연극이나 영화, 라디오와는 다른 텔레비전 제작의 방식들을 구축해갔는지, 방송에 대한 국가적 기획과 통제로부터 무엇으로 갈등하고 또 교섭해가고 있는지, 그 속에서 어떤 텔레비전 미디어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보여주며 제작에참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나아가 이러한 초기 텔레비전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당시 한국 사회의 변동과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한국 사회에텔레비전 미디어 출현의 의미를 찾아보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 of television acceptance in Korean society in the early days of the advent of television media, focusing on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elevision drama producers. Mainly through memoirs and oral materials of personnel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early television dramas, the study aimed to reveal the new experiences that were brought about by early television media,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emergence of television media in Korean society, and to discover how television media intervene in changes in Korean society since the 1960s. In particular, the gap, collision, and conflict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ward television media in the early days were large since the main agent of the establishm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elevision broadcasting was a public official of the Broadcasting Administration under the Ministry of Public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of the country, while the production of television broadcasting programs was carried out by the producers, directors, actors in the theater and film industries, and the writers of radio broadcasting. Above all, the study mostly considered that the emergen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itself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was a plan for the military government to rule the state. In addition, the study intended to explore how television program producers, despite the poor condition, construct different television production methods from existing media such as theater, film, and radio, what conflicts and negotiations are being made from national planning and control of broadcasting, and what kind of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elevision media were shown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emergence of television media in Korean society by disclosing how these early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of television media are related to changes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 KCI등재

        1970년대 텔레비전, 문화와 비문화의 양가성

        임종수(Jong-soo L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8 언론과 사회 Vol.16 No.1

        오랜 세월 텔레비전은 대중문화의 첨병이면서도 비문화적이고 야만적인 테크놀로지라는 이중성을 유지해왔다. 그것은 텔레비전이 근대적 삶으로서 문화를 향유하는 대중과 이에 대한 낭만주의적 거부감이 상호중첩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이전까지의 삶을 전환시켜내는 텔레비전-기계에 대한 통찰은 매우 유용하다. 텔레비전을 기계로 조명하는 것은 근대성의 경험, 다시 말해 텔레비전과 우리의 삶 혹은 사고방식의 결합양태와 그 결과를 이해하는 데 많은 설명을 제공한다. 이 글은 1970년대 텔레비전의 일상화 과정에서 문화매체로서 텔레비전과 비문화 매체로서 텔레비전 기계의 각기 다른 경험과 인식을 조명한다. 문화와 비문화라는 텔레비전 양가성은 압축적인 근대화 과정에서 배태된 동시병행적 이중성임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텔레비전은 한편으로 물질적인 삶의 수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근대적 오브제로서 세련되고 계몽된 세상의 문화적 중산층으로 살아가기 위한 바람직한 기계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가정 테크놀로지와 달리 그것이 전해주는 내용과 사용상의 부작용 등으로 말미암아 여전히 중요시되고 있었던 전통적 가치와 직접적으로 부딪힐 수밖에 없는 기계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사회가 문화와 문명, 비문화와 근대를 어떻게 정의하고 인식했는지를 살펴보는 데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Television maintains an ambivalence that is a vanguard of the mass culture as well as uncultured and uncivilized technology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inter-repeat the mass and a romanticism rejection about it that television enjoy the culture as the modern lives. On that point, it is useful that insight about television-machine converting the previous lives. Television viewed as a machine offered a many explanation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modernity, that is conjunction and the results of television, our lives and ways of think. This study examines in different experience of television-machine as the culture medium and the unculture medium in the everydayness of television in 1970s. Television ambivalence in the culture and unculture showed a simultaneous duplication that originated in the process of compacted modernization. In other words, television as a modern object showed the level of the material lives was the desirable machine to live cultural bourgeoisie in the elegant and enlightenment society. On the other hand, television was the machine to crash against the traditional values directly because of the content and the side effect in using on the contrary to other household technologies. These results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that examine how the culture and civilization, uncivilization and modem defined and perceived.

      • KCI등재

        悲劇으로서의 텔레비전 드라마 : <다모>와 <미안하다, 사랑한다>를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9 한국문학연구 Vol.0 No.36

        텔레비전 드라마는 텔레비전 ‘매체’와 드라마 ‘장르’의 결합으로 탄생한 극예술이다. 하지만 그것은 장르에 대한 매체의 절대적 우위로 인해 예술과는 무관한 자리에 위치한 오락으로 인식되어 온 것이 일반적이다. 텔레비전을 매개로 창조되는 드라마는 이윤 창출을 위한 매체의 욕망과 즉발적 쾌락 및 위무를 향한 독자의 욕망이 합치되면서 선호적 ‘취향’의 범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텔레비전 드라마는 멜로드라마와 희극이라는 대중예술의 검증된 안전망으로부터 벗어나려 하지 않는다. 환언하자면 텔레비전 드라마에 있어서 비극이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장르로 간주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텔레비전 드라마를 둘러싼 내외적 변화는 이러한 장르적 편중으로부터의 탈피를 가능케 하고 있다. 특히 〈다모〉와 〈미안하다, 사랑한다〉와 같은 미니시리즈는 텔레비전 드라마 비극의 현전을 확인시켜준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하는 텍스트이다. 두 편의 미니시리즈는 시간과 공간의 차이를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비극의 직조 방식을 충실히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두 편 모두 거대한 세계 한가운데로 내동댕이쳐진 인간의 저항과 패배를 형상화함으로써 인간 존재에 대한 화두를 던짐과 동시에 삶의 비감과 비참을 비극적 정서로 환기시킨다. 대단히 빼어난 현대 비극인 두 편의 미니시리즈는 결국 극예술로서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원천적으로 성립 불가능한 장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새삼스런 ‘사실’을 재삼 각인시켜 준다. Television-Drama is a term used to refer to dramatic art created by the combination between television media and drama genre. However, it has been generally perceived as an entertainment which has no connection with art because of the television media's absolute superiority over genre. A drama transferred through the television can not be free from audiences' selective taste which consists of the media's desire to make profits and the readers' desire toward immediate pleasure and consolation. For that reason, Television-Drama does not really try to adventure, but stay in the proven safety net of popular art, melodrama or comedy. In other word, the tragedy has been regarded as an impossible genre in the television-drama. Since 2000's, however, Television-Drama's surroundings have been changed so that they make it possible to free from these genre-preponderance. Especially, miniseries such as 〈Damo〉, 〈I'm Sorry, I love you〉 are significant text in that these drama represent the nowadays state of tragedy in Television-Drama. Though both mini-series have the gap in space-time, they still have the similarity in the point of expressing a weaving way of tragedy tangibly. By representing the resistance and defeat of human who is thrown to the middle of the huge world, the both works give the question for the human existence and transfer the sense of misery and sorrow to tragic emotion. These outstanding works, modern tragedy, reconfirm the ‘fact’ that there is no genre barrier on television-drama as dramatic art.

      • KCI등재

        바쟁과 텔레비전 : 영화와 텔레비전 스타일

        심은진(SHIM, Eun Jin) 한국영화학회 2017 영화연구 Vol.0 No.72

        텔레비전의 대중화는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었고 인접한 다른 매체들을 변화시켰다. 영화는 텔레비전을 시기하고 적대시했지만 또한 텔레비전으로부터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된다. 1950년대 텔레비전이 대중화될 때 지식인이나 영화인들은 텔레비전을 무시했다. 텔레비전은 영화와 같은 예술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앙드레 바쟁은 텔레비전에서 영화의 미래를 보았다. 본 연구는 텔레비전에 대한 바쟁의 글을 중심으로 로셀리니, 르누와르, 그리고 트뤼포의 영화 속에 표현된 텔레비전적인 스타일을 논의하고자 한다. 바쟁은 1952년부터 1958년 사망할 때까지 텔레비전에 대한 100여 편의 글을 발표한다. 바쟁은 텔레비전이 영화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인지 그리고 영화가 텔레비전에서 배워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탐색한다. 그의 글에는 텔레비전이 영화의 형식을 새롭게 만들 것이라는 예리한 통찰력이 담겨 있다. 바쟁은 텔레비전이 만들어 내는 사실효과에 주목했다. 텔레비전은 영화와는 다른 방식으로 사실성을 구현한다. 바쟁은 현전성(présence), 생방송이 전달하는 직접적인 시간, 개인의 일상 속에 존재하는 친밀감을 새로운 방식의 리얼리즘으로 보았다. 그는 이러한 텔레비전의 스타일이 영화의 형식을 새롭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텔레비전에 대한 바쟁의 관심은 새로움을 추구하는 창조적인 감독에게 영향을 주었다. 로베르토 로셀리니, 장 르누와르, 프랑소와 트뤼포는 고전영화에서 현대영화로 넘어가는 지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들은 바쟁과의 인터뷰를 통해 혹은 평론을 통해 영화와 텔레비전의 공생을 주장하였으며, 자신들의 영화 속에 변용된 텔레비전 스타일을 표현하였다. 이들의 시도는 현대 영화라는 새로운 세계의 문을 열게 했다. 텔레비전은 1950년대 가장 개혁적이고 새로운 형식의 영화에 영향을 주었다. 로셀리니의 <이탈리아 여행>은 텔레비전이 알려준 새로운 시각성을 표현한다. 주인공의 시선을 통해 관객의 눈앞에 우연처럼 펼쳐지는 사건의 나열은 텔레비전의 현전성을 구현한다. 르누와르는 <코들리에 박사의 유언>에서 텔레비전 생방송 방식으로 영화를 촬영하며, 사실효과를 연출하고자 했다. 쇼트 중심의 영화적 촬영에서 벗어나 여러 대의 카메라를 통해 시퀀스 중심으로 촬영하여 텔레비전 스타일의 연속적이고 직접적인 시간을 표현했다. 트뤼포는 <400번의 구타>에서 텔레비전이 보여주는 친밀성을 인용한다. 일상 언어로 된 대사, 텔레비전 인터뷰 스타일의 장면 연출과 편집, 핸드 핼드의 롱테이크, 카메라 정면보기 등 텔레비전적인 스타일이 트뤼포의 영화에서 재탄생한다. The popularization of TV has influenced people’s lifestyle and also changed other media formats. Film industry did not welcome the emerge of TV, but to find new aspects from it. At the early stage of TV, intellectuals and film staffs ignored TV and did not consider it as a form of art. Meanwhile, Andre Bazin saw the future of film in TV. This study is based on Bazin’s writings on TV, discussing TV-like styles shown in films of Rossellini, Renoir, and Truffaut. André Bazin publishes around a hundred writings regarding television from 1952 to the year he died, 1958. He explores the world of TV and seeks what film industry can learn from it. In the writings, he shows a sharp insight on the fact that TV will reconstruct the formality of the film. He mainly focused on the realism. TV builds realism with the different way film does. Présence, simultaneity and the sense of closeness to individuals. Bazin considered these as the new way of realism. He thought this TV style can refresh the film industry. His thoughts provoked directors who were willing to try and create new things. Roberto Rossellini, Jean Renoir and Francois Truffaut: these directors had an important role in transition period between classic films and modern films. Through interviews and critiques with Bazin, they argued that the films should go along with the TV. They also portrayed TV-like styles in their films. It was their attempts that opened the new era of modern films. TV had a great impact on the most revolutionary and new films in the 1950s. Rossellini’s <Viaggio in Italia> adopted a new perspective that the TV gave. The array of events shown in the main character’s view implies coexistence of TV. Renoir’s <The Testament Of Doctor Cordelier> was filmed like the TV records live broadcast, creating the realism of TV. He portrayed TV’s continual and directional time by filming with multiple cameras and sequences, not in the traditional way of shorts centered filming. In <The 400 Blows>, Truffaut uses the sense of closeness from TV. Lines that are ordinary, edited scenes that looks like a TV interviews, long takes with handheld, character looking strait into the camera. These are all TV styles that are recreated in Truffaut’s films.

      • KCI등재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역사: 미국을 중심으로

        정옥희 ( Ok Hee Jeong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3 무용예술학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미국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역사를 거시사적 관점에서 서술한다. 1930년대 상업화된 텔레비전이 널리 보급된 이후 무용은 다양한 형식과 방법을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주요 콘텐츠가 되어왔다. 텔레비전에서 무용이 재현되는 방식의 역사를 주요 전환점을 중심으로 재구성해보면 크게 상업성과 공영성의 가치가 교차적으로 부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텔레비전의 초기 단계부터 상업방송채널을 중심으로 춤의 오락적 가치가 소비되었다면, 1952년 미국교육방송(National Educational Television and Radio Center; NET)이 출범하고 1967년 공영방송법이 발효되어 공영방송이 활성화되면서 춤에 대한 교육적, 공영적 접근이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이후 90년대 이후 케이블 TV를 중심으로 이른바 “리얼리티 TV” 프로그램들이 크게 유행하고 공영방송에서의 무용 프로그램들이 침체되면서 다시금 춤은 상업방송의 오락적 요소로 소비되는 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변화의 역사는 간헐적으로 등장하는 무용 프로그램을 바라볼 수 있는 기초적 배경을 제공해줄 뿐 아니라 무용 프로그램의 성격과 특징이 사회문화적 요인 및 제도적 변화에 따라 크게 영향받아 왔음을 일깨워준다. 국내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역사, 편수, 다양성은 하나의 담론을 형성할 만큼 풍부하지 않다. 무용 및 다른 공연예술을 소개해온 < 예술의 광장(EBS, 1992-2004, 2007) >를 제외하고는 이렇다할 정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최근 유행하는 무용 리얼리티 TV 프로그램 역시 해외 프로그램의 포맷을 직수입하거나 변용시킨 것이라는 점에서 자생적 담론을 형성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은 본 연구가 국내 매스미디어 상의 무용 연구를 위한 선결과제로 우선 미국의 사례를 종합하여 소개하는 주요원인으로 작용했다. 미국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이 한국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역사와 다양한 포맷을 지닐 뿐 아니라 최근 한국에서도 유행하는 <댄싱 위드 더 스타>나 <갓 탈렌트> 등 무용을 주요 소재로 한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들이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세계적으로 전파되었다는 점에서 미국의 사례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텔레비전의 역사 속에서 무용을 비롯한 예술 장르는 텔레비전의 담론이 공영성과 상업성 중에서 어디로 치우치느냐에 영향받아 매우 다른 방식으로 재현되어 왔으며, 특히 미국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경우 상업성-공영성-상업성의 가치가 교차적으로 부각되는 변화를 거치면서 오늘날에 이르렀다. 이러한 거시사적 틀거리는 현재 한국의 케이블 채널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리얼리티 무용 프로그램 현상에 대해 세계적, 역사적 맥락에서 위치지울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텔레비전에서의 무용 노출빈도의 증가가 무용관객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단순한 기대를 넘어 매스 미디어로서 텔레비전이 지니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무용 프로그램이 태생적으로 지닐 수 밖에 없는 딜레마에 대해 보다 복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최근 리얼리티 무용 프로그램들이 텔레비전 초기 역사의 상업방송에서 무용을 재현해온 방식과 공유점이 많으면서도 차별화되는 지점을 정확히 짚어낼 때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가 소모적으로 반복되지 않고 풍부해질 수 있다는 점에 기초조사로서의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시민(성)

        박노현(Park, Noh-Hy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서강인문논총 Vol.0 No.35

        텔레비전은 어원이 시사하듯 ‘멀리’에서 ‘보는’ 미디어이다. 당연히 텔레비전의 시청은 전파를 이용한 화면의 송수신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화면에 대한 원거리 시청을 가능케 하는 전파는 주로 국가 단위로 관리된다. 그렇기 때문에 텔레비전은 사회의 안정과 안녕이라는 명목으로 공공과 공익을 강조하며 작동되는 이데올로기적 국가 기구의 일환이다. 정치적 공공영역에서 보수적 미디어로서의 텔레비전은 역설적으로 기능한다. 그것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내면화를 위한 정치적 목적에 부합하는 화면을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오히려 탈정치 혹은 몰정치의 감각을 주입시키는 수단인 셈이다. 특히 허구의 서사로 이루어진 텔레비전 드라마는 현실에 대한 망각을 한층 더 강력하게 촉발시킨다는 점에서 대중을 탈정치 혹은 몰정치로 이끄는 대표적 콘텐츠로 폄하되어 왔다. 실제로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정치적 의미의 시민(성)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지배적 패러다임으로부터 탈주할 소지가 있는 화면과 소리를 좀처럼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 화면 안팎에서는 시민(성)의 흔적이 의미 있는 문학적 메타포로서 포착된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시민(성)은 텔레비전 안과 밖, 즉 텍스트 내부와 외부 혹은 드라마 안의 등장인물과 드라마 밖의 시청자로부터 감지된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시민(성)을 언제나 메타포로서만 암시한다. 텔레비전은 드라마의 특정한 화면과 소리가 지금/여기의 사회에 대해 정치적으로 발화하고 있음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려 하지 않는다. 이러한 메타포를 감지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곧 이와 마주하는 시청자의 몫이다. 시청자는 텔레비전 안에서 묘사되는 허구의 세계를 바라보는 시민(視民, tivizen)으로서, 그러한 세계 속에서 펼쳐지는 인간의 길항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단하며, 이를 통해 다시 텔레비전 바깥의 현실 세계를 성찰하는 시민(市民, citizen)으로 탈태한다. 이를테면 텔레비전 드라마의 시민(성)은 일종의 숨은 그림 찾기처럼 존재하는 셈이다. 화면 안에 기입된 시민(市民)의 은유가 시민(視民)에 의해 발견되어야지만 비로소 의미를 획득하기 때문이다. Television is the ‘watching’ media ‘from a distance’, as its etymology suggests. Watching television is composed of picture transmission/reception with radio waves under the control of nation. Television is the part of ideological state apparatus, emphasizing public interest for social stability. Television as the conservative media lies paradoxically in the political public domain. It is because television is an effective means infusing postpolitical sense or lack of political sense by showing repeatedly pictures matched up with political purpose for internalization of ruling ideology. Television drama, consisted of fictional narratives, is diminished as representative contents driving the public post-political or apolitical in that it triggers more strongly forgetting about reality. Actually, it is not easy to find citizen(ship) as political meaning in television drama. Television drama does not allow screen and sound, which could escape from ruling paradigm. However, we could grasp marks of citizen(ship) on the television screen as literary metaphors. The citizen(ship) in television drama could be caught from the inside/outside of television or text, from characters of drama/viewers of television. Television drama always suggests citizen(ship) as metaphor. It does not show plainly the fact that particular pictures and sounds in drama tell the ‘now/here’ society politically. Grasping such metaphors and giving them a special meaning depends on television viewers. As a tivizen watching the fictional world represented in drama, television viewer judges right and wrong about human lives. Through this process, reflecting on the real world outside television, tivizen comes to be citizen. The citizen(ship) of television drama is a kind of pictorial puzzle. The metaphor of citizen inscribed in the screen could have meanings only after citizen’s discovery.

      • KCI등재

        HLKZ-TV, 텔레비전과의 조우

        임종수(Jongsoo L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텔레비전이었던 HLKZ-TV 시절(1956~1959), 텔레비전이 우리사회에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 텔레비전이 어떤 문화적 가능성과 미학적 관점에서 인식되고 실천되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위해 HLKZ-TV가 함의했던 물질적 대상으로서 오브제이자 문화생산물의 매개체로서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었다. 당대의 문헌을 토대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텔레비전은 갑작스런 박래품으로 등장하여 라디오적 특성으로부터 보여주기를 위한 매개체로서 진화해 왔다. 그런 텔레비전은 공공적 매체의 속성과 사적 매체의 속성을 동시에 보이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사적 공간의 개방성과 폐쇄성의 실험을 통해 폐쇄된 공간을 점유하는 매체로 정착했다. 텔레비전만의 고유한 문화적 양식으로서 이러한 사적 매체로서의 특수성은 텔레비전의 미학적 시도로 이어졌다. 이로부터 향후 근대화 과정의 동시병행적으로 진행된 텔레비전 시대의 전개가 바로 이 시기의 텔레비전 문화와 상호 조응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Encountering the television is core theme in the field of media and cultural studies, especially in historical approach. This study explores how the television was accommodated, what kind of cultural potentiality and aesthetic standpoint was perceived and practiced in the first TV broadcaster period, HLKZ-TV(1956 -1959). Although initiated by Hwang Tae-Young, Korean engineer, HLKZ-TV was officially Korea Office RCA Distributor(KORCAD) signifying an overseas branch of RCA. We can much more read the meaning of encountering the TV from this unique history of Korean broadcasting. For our study, this article focused on significances as not only material object but also as medium of cultural text involved in HLKZ-TV. Article utilized the references of technical journal, newspaper, and weekly, monthly life magazine in those days. From this exploring, we could find that television has evolved as showing medium gotten out of the radio specificity, afterward emerged surprisingly imported goods. That television simultaneously proved to have attributes of public goods and private goods, and ultimately settled down the medium occupying the closed space through the experiment of openness and closure of private space. These characteristics of private medium as an uniquely cultural mode of television were connected a trial of aesthetic of television. After all, we could reason that deployment of television age which was simultaneously unfolding modernization was corresponding with television culture of these days.

      • KCI등재

        노인들의 텔레비전 시청 동기가 장르 시청, 시청총량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강형(GangHeong Lee),신동호(DongHo Shi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5 No.5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노년의 삶에 대한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과 노인들의 텔레비전 의존성 심화라는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노인의 삶에 있어서 텔레비전이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기능이 텔레비전 장르 시청과 텔레비전 시청총량 및 텔레비전 일반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노인들의 사회적 · 정서적 특성을 설명하는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과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 개개인의 전략을 설명하는 선택적 최적화 모형 이론을 바탕으로 노인들의 텔레비전 시청 동기의 원천에 대해 논의했다. 그리고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했다. 주요 결과를 보면, 사회적 관계망이 넓은 노인들일 수록 세상에서 돌아가는 일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텔레비전을 이용하고, 정서적으로 외로움을 느끼는 노인들이 하나의 정서적 보상으로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그리고 노인들의 정서적 시청 동기가 강할수록 각종 드라마와 농촌/실버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향이 높고 텔레비전 시청총량이 많으며 만족도도 높은 반면, 도구적 텔레비전 시청 동기가 강하고 사회적 관계에 참여하는 정도가 많을수록 뉴스와 시사 문제를 다루는 토론/대담 및 일반 프로그램 시청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ming of ‘aged society’ in our society realizes us the importance of older persons’ successful aging in the process of which television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lder persons’ TV viewing motives on program genre viewing, total TV viewing time and TV satisfaction. For this, we examined the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and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SOC), both of which are related to the older persons’ psychological origins of television viewing mo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veral important variables(independant and dependant), we analyzed the large-scale survey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s in rural a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lder persons who are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relationship tended to use television to acquire the necessary information while those who feels lonely tended to use it for the emotional compensation. Second, the ‘emotional motives’ of television viewing among older persons explained drama genres and rural society/silver genre significantly while the ‘instrumental motives’ and social participation did news, current affairs, and the related talk/debate program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motives’ and total TV viewing and TV satisfaction were stronger than the ‘instrumental mo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