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명텍스트의 표지와 텍스트구조 분석

        양태영 한국어의미학회 2010 한국어 의미학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ext-structure and marker of text structures to give information about the writing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 total 32,030 syllables from Korean-language textbooks for native students and 43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are used for analyzing the text structures, which are divided into general explanatory texts and instructional explanatory texts. Furthermore, the divided explanatory texts are classified again as the micro-structure and top-level structure using texts linguistics. In the micro-structure, the markers of text-structure uniting semantic structure are categorized as enumeration, emphasis, transposition, causation, illustration-definition, contrast-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In the top-level structure, there are four types of models, such as an isosceles trapezoid, a triangle, a diamond, a frame. In conclusion, I put the informations of these text-structures to use writing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필자의 쓰기 수준에 따른 유형별 텍스트의 화제구조 분석 연구

        이윤빈 ( Yun Bin Lee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3

        이 연구는 필자의 쓰기 수준에 따른 유형별 텍스트의 화제 구조 특성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Lautamatti(1978)의 방법을 수정한 이윤빈(2013)의 화제 구조 분석(TSA) 방법을 사용하여 전문 필자, 상위 수준 대학생 필자, 하위 수준 대학생 필자 집단이 작성한 정보전달적·설득적·정서표현적 텍스트의 화제 구조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고찰했다. 연구 결과, 필자의 쓰기 수준에 따라 특정한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텍스트의 문장 화제들을 진행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정보전달적·설득적 텍스트의 경우, 필자의 쓰기 수준과 텍스트에 나타난 특정 화제 진행 유형의 비율이 단계적으로 비례 또는 반비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정서표현적 텍스트에서는 필자의 쓰기 수준과 화제 구조가 명확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문 필자 집단과 학생 집단(상·하위)의 문체적 특성으로 인한 화제 구조 차이가 발생했다. 이 연구는 필자의 쓰기 수준에 따라 유형별 텍스트의 화제 구조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실증적 자료에 근거하여 밝혔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이 연구에서 사용한 화제 구조 분석 방법은 텍스트의 질적 특성을 밝히는 분석 도구이자, 학생들의 쓰기 및 수정 과정을 도울 수 있는 교육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opical structure characteristic of types of text by writer’s level of writing. For this, topical structure of informative, persuasive, expressive text written by professional writer, high level college student writer, low level college student writer group using a new topical structure analysis method. Upon investiga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method of proceeding sentence topics of text to achieve certain communication purpose by writer’s level of writing. In case of informative, persuasive text, writer’s level of writing and the ratio of certain topical progression type in text were directly or inversely proportionate step by step. In expressive text, text structure difference by the stylistic traits of professional writer group and student group occurr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fact that text structure of text vary by writer’s level of writing based on positive data. Moreover, text structur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n analysis tool revealing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ext, and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tool that can help writing and revising process of students.

      • 로뜨만 구조 시학의 국내 수용 분석

        유재천(Yoo, Jae Cheon),어건주(Eo, Keon Joo),김소정(Kim, So Jeu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예술 작품 분석 방법에는 다양한 분석 방법론이 존재한다. 그러한 다양한 방법론들 가운데 과거 국내에서는 주로 순수 문학적인 입장을 지향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그러한 가운데 1980년대 들어 서구의 기호학이 국내에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국문학 작품들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경향이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그러한 경향은 국문학 작품 분석에 있어서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제공하였다. 그러한 기호학적 문학 작품 분석 방법을 통해 문학 작품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관심들이 나타나게는 되었으나, 실제 작품 분석에 있어서는 해당 분석 방법에 대한 피상적이고 개략적인 적용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1990년대 들면서 국내에 다양한 기호학적 연구 경향의 도입과 더불어 로뜨만의 구조 시학 또한 국내에 소개되면서 문학 작품 분석에 활용되게 되었다. 그렇지만 로뜨만의 구조 시학은 그 방법론적 독창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기호학적 연구 방법론과 거의 동일하게 취급되었다. 로뜨만에게 있어서 예술 텍스트는 고도로 질서화된 체계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그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로뜨만은 그러한 예술 텍스트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이해를 위하여 형식주의의 문학 이론과 구조주의의 언어학적 연구방법론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면서 텍스트를 다층적으로 구분하여 각 층위별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로뜨만의 분석 방법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전에 대한 주의 깊은 독해와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진다.그런데 국내에서 문학 작품들을 분석하며 인용하는 로뜨만의 이론과 연관된 부분들을 살펴보면 여러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즉, 로뜨만의 이론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피상적인 어구의 인용에 의지하여 작품을 분석하는 경우를 다수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뜨만의 문학작품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있는 다양한 논문들에서 나타나는 작품 분석 방법의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함 더불어, 그것을 통하여 로뜨만의 이론에 기초한 올바른 문학작품 분석 방법이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에서의 로뜨만의 구조 시학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해 볼 것이며, 어떠한 점이 부족한가를 파악해볼 것이다. This study addresses the Lotman's structural poetics and its application to korean artistic text. Language constitutes a material of the verbal art by its high degree of cognitive power, meta-linguistic function. And literary communication results from the conflict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modeling system of literary composition and their semiotic interaction. In connection with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reality Lotman expressed that the poetic world is a model of the real world but is correlated with it in an exceedingly complex fashion. And the poetic text is a powerful and deeply dialectical mechanism of the search for truth, for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world and our orientation in it. Then analysis on artistic text depend on accurate and consistent arguments. Lotman's theory of poetic language is based on the supposition that meaning arises not only from phonological oppositions, but from every kind of opposition that the devices of poetry can construct. And for the full understanding of literature Lotman employs the various linguistic methods in the text analysis. Nevertheless most of the korean literary works didn't take full advantage of Lotman's structural poetic theory. It is due to insufficiency of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otman's theory or researcher's naive ignorance. The Lotman's literary work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last 1980s - early 1990s. Because of defect of study through the korean translations, accurat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Lotman's theory fall into a difficult situation. Because structure of russian language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korean. Especially, the principles of morphological poetic analysis, that Lotman showed marked prominence in analysis, do not apply to korean texts. Besides that, unsatisfactory researches were found. The causes of mistakes were subjective application of concepts, imperfect of understanding of the Lotman's theory and superficial and individual use of each concepts. But recently properly analysed works are on the increase.

      • KCI등재

        하이퍼링크 DB를 이용한 메타텍스트 연구 방법

        김원경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4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extuality of ‘The series ≪an Imperishable history≫’ based on Hyperlink Database inform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s a structured-hyperlink database system suitable for quantitative linguistics and text analysis. The database is made up to six modules: a bibliographic, a history & philosophy, an everyday language, a person’s name, a literature, an article database. In inquiring Text Analysis, formulation of the textuality is the most complicated and serious task. Since Beaugrande & Dressler(1981) suggested the textuality, many researchers laid emphasis on inquiry into the substance of coherence and cohesion. In this paper coherence is defined as semantic relationship gives consistency to texts, and cohesion as structural or overt representation enables texts to acquire a coherence inclusive of quantitative informa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This paper gives salience to a fact that ‘The series’ constitutes a metatext as a whole. These features of metatext are attributed to appreciable similarities between the texts in many respects: PLO, main characters, words of high frequency, narrative structures, information extraction structures and so forth. Based on the Hyperlink Database, these similarities are well-organized and features of ‘The series’ are made a close investigation. This methodology furnishes researchers with efficiency and accuracy in inquiring Text Analysis. 이 논의에서는 ‘총서’ 내용에 의거한 하이퍼링크 DB 정보를 이용해 총서 텍스트가 지니는 특성을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량적 방식의 연구에 적합하도록 구조화된 ‘총서’ 하이퍼링크 DB의 구성을 살펴보고, 이 정보를 이용한 ‘총서’의 메타텍스트 분석 예에 대해 논하였다. 여기에서는 특히 ‘총서’의 메타텍스트적인 특성에 주목하였는데, 이는 ‘총서’ 전체의 텍스트가 ‘수령 형상 문학’이라는 분명한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조직화되어 있다는 특징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각 텍스트의 중심에 위치한 ‘수령’의 모습이나 인물 간의 관계, 이야기 구조 등에도 상당한 수준의 유의성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총서’는 메타텍스트로 다루기에 매우 적합한 대상이다. 특정한 텍스트에 내재한 고유의 특성들을 규명하는 텍스트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여러 유형의 텍스트성 중 ‘통일성’과 ‘응집성’에 대한 논의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의에서는 ‘통일성’을 ‘텍스트의 일관성을 부여하는 의미 관계’로, ‘응집성’을 ‘통일성의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적인 지표 혹은 외현적인 지표로 계량적 정보나 가공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외연을 넓혀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는 외현적이거나 구조적인 텍스트의 정보를 의미 내용으로 환원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해석의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총서’와 같은 대용량의 텍스트나 구조적으로 복잡한 자료체의 연구에서는 유관 정보의 참조가 용이하도록 설계된 하이퍼링크 DB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 논의에서 제안하는 하이퍼링크 DB는 그 자체로 텍스트 내의 인물이나 용어, 역사적 사건 등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이 정보를 기반으로 빈도 분석, 공기어 분석, 캐릭터-레마 구조 등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은 단일 텍스트의 텍스트성을 연구하거나 복수의 텍스트 간에 존재하는 메타텍스트성의 실체를 규명하는 데 대한 핵심적인 근거를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 KCI등재

        텍스트 분석을 위한 화제 구조 분석 試論

        김병건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4

        As a communication tool, language should be examined from both formal (grammar) and informative aspects. In the latter, there are various ways to examine a language, and this study analyzes topics in sentence units. Based on how these topics are organized in the text, to this study reveals “with what” and “how” the information of the text is delivered. Despite previous discussions, there are insufficient regulations about topics and discussions based on specific analysis methods, so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be a meaningful. Additionally, the analysis method identifies an aspect of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each text, and is applicable as one of the methodologie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section 2,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topics and focuses on issues about Korean topics. Discussions that reveal the text structure centered on the topics are examined and several details encountered in the topic structure analysis of the actual text explored in section 3. Finally, this study presents examples analyz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discussed facts.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언어는 형식적 측면(문법)뿐만 아니라 정보적인 관점에서도 살펴야 한다. 정보적인 관점에서 언어를 살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문장 단위에서 화제(topic)를 분석하고 이 화제들이 텍스트 전체에서 어떻게 짜이는지를 통해 텍스트의 정보는 ‘무엇’으로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알아보는 분석방법을 밝히는 시도를 한다. 이런 논의들이 그동안 없었던 것 은 아니지만, 화제에 대한 정확한 규정과 함께 구체적인 분석방법을 보이는 논의는 부족했기에 이 시도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확립하고 자 하는 분석방법을 통해 각 텍스트들의 장르적 특성의 일면을 알 수 있을 것으로, 나아가 비판적 담화 분석의 방법론 중 하나로도 응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이를 위해 우선, 2장에서 화제에 대한 개념을 살피고 한국어 화제의 몇가지 쟁점을 살펴본다. 그 다음, 3장에서, 화제를 중심으로 텍스트 구조를 밝히는 논의들을 살핀 후 텍스트의 화제 구조 분석에서 만날 수 있는 문제점 몇 가지를 살펴 보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된 사실을 바탕으로 분석한 실례를 보인다.

      • KCI등재

        텍스트 <The Soothayer's Recompense>, <Pressure>의 ‘분절’과 ‘결속’에 대한 연구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6

        This study is a continuation of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ext- Painting' that I have been working 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rst examine each unit principle's 'articulation' of text <The Soothayer's Recompense> & <pressure>, then to find the 'cohesion' of units through articulation of text style. Text-painting is made by the 'cohesion' of each unit and this cohesion is made by the 'articulation' of units, just like text in language. In order to understand text- painting, first you have to analyze the text then interpret it with the analysis results. Analyzing text is to see how cohesion is created between 'unit principles' and what meanings are produced when the cohesion is detected through the articulation of unit principles. Each articulated unit exists within the context of adjacent texts, relys on one another and creates cohesion. Thus, 'cohesion' is made through 'articulation' and both cohesion and articulation are the connection of the text's surface structure. this study analyzes text <The Soothayer's Recompense> & <pressure>,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ulation' and 'cohesion' is an extension of studying how the structure of text-painting is set up, and how it can be interpreted would be the priority direction of the study. 이 연구는 필자가 그동안 지속적으로 연구해 온 ‘회화 텍스트의 분석과 해석’에 대한 연장에서 시도된 논문이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회화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각 단위소별 분절과 결속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며 둘째, 텍스트 <The Soothayer's Recompense>와 <Pressure>의 분석을 통하여 단위소의 분절과 결속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는 것이다. 회화 텍스트도 언어로 이루어진 텍스트와 마찬가지로 각 단위 요소들의 ‘결속’에 의해 이루어져 있고 그 결속은 단위 요소들의 ‘분절’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회화 텍스트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분석해야 하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해석을 한다. 회화 텍스트의 분석은 텍스트를 이루고 있는 ‘단위소’들이 어떻게 결속을 이루고 의미를 발생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는 것인데 여기서 결속은 텍스트를 이루고 있는 단위소들의 분절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분절된 각 단위소는 서로 인접하고 있는 전체 텍스트의 맥락 속에서 존재하고, 서로 의존하며, 결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결속’은 ‘분절’을 전제로 이루어지고 분절과 결속은 텍스트 표층구조의 연결성이다. 이 연구는 텍스트 <The Soothayer's Recompense> 와 <Pressure>의 해석 부분이 아니라, 분석 부분이 된다. 두 가지 텍스트의 구조가 어떻게 설정되어 있으며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의 연장에서 ‘분절’과 결속’ 관계를 파악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방향이다.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마케팅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정기백,최석봉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2 마케팅논집 Vol.30 No.1

        지금까지 대부분의 경영학 및 마케팅연구들은 실증분석을 위주로 연구됨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지식구조를 탐색하는데 한계점을 갖고 있다. 또한 연구 주제들 간의 체계적인 분석이 매우 부족한 실 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에 착안하여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를 분석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1년 9월까지 한국전략마케팅학회의 마케팅논집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기간 동안 총 47권이 발간되었으며 외국어로 작성된 논문을 제외하고 총 319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도별 게재된 논문 수, 연구 방법론을 분석함으로써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주제어의 빈도를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주제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전략마케팅학 회의 마케팅논집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익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을 통하여 한국전략마케팅학회에 게재된 논문들의 주요 주제어들 간의 지식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마케팅논집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중요한 함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lthough previous many business and marketing research had been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alysis of knowledge structure on these studies. In light of this, we examined the various relationships among keyword of papers in marketing research.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published papers in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of Korean Strategic Marketing Association from 2010 to 2021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47 volumes and 319 papers were publish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excluding papers written in foreign languages. We firstly classified our sample papers by year and methodological type. Secondly conducted the content analysis and network text analysis to review the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We found the research trend over times and key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tructure between keyword of published papers in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The findings of our study provided usefu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Korean Strategic Marketing Association and business and marketing researchers.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적용한 ICT융합 트렌드 분석

        최현홍(Hyunhong Choi),심동녘(Dongnyok Shim)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국내 ICT 유관기관에서 발간한 보고서·간행물 자료에 대하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적용하여, 최근 10년 동안의 ICT융합 이슈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텍스트마이닝을 적용한 신기술 이슈분석은 주로 논문이나 특허를 활용하여 수행되었는데, 이러한 자료는 기술 개발로부터 자료가 산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는 기술개발이 완료된 후 실용화/상용화 단계에서 출원·등록 하는 것이고, 학술지 역시 연구를 수행하고 논문을 작성한 후 심사를 거쳐 등재되는 것이기에 자료 산출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를 이용한 분석은 특정 분야의 유망기술이슈 탐색과 같이 자료의 적시성이 요구되는 분석에서는 성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ICT산업 전반에서 비정형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ITFIND 포털 내에 존재하는 보고서 자료를 활용하여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ITFIND 내 ICT융합 카테고리의 보고서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어 빈도에 기반한 기초적인 분석과 토픽 모형을 활용하여 문서 내에 잠재되어 있는 맥락적 토픽(주제)을 도출해내는 심층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ICT융합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토픽이 식별되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술 토픽의 상승/하락 패턴 역시 관찰할 수 있었다. 토픽모델링 분석에 따르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승하는 기술토픽은 1) 타산업분야와의 ICT융·복합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거나, 2) ICT분야 내 차세대 먹거리로 주목받는 분야들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ICT convergence trend with technical reports published by ICT related government agencies or institutes using text mining methodology, and provide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Majority of existing research in textmining domain used academic research papers or pat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observe trend of technology innovation. Such approach has a critical limitation in a point that there is a time gap between sources and realization of emerging technology, which cannot be neglect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research targeted technical reports published by various ICT-related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such as ETRI, NIA as sources of text mining.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two steps. First, important words in ICT convergence domain were identified using TF-IDF analysis. Then, topic modeling was adopted to capture change of ICT convergence trend in time domain. As a result of analysis, we could find self-driving vehicles, renewable energy, medical devices are emerging issues whereas mobile service, digital broadcasting are unwatched recently.

      • KCI등재

        구약성경 석의와 텍스트언어학 적용의 예(시편 23편) : 그 유용성을 찾아서

        조휘 ( Cho Hwi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39 No.-

        텍스트언어학은 1960년대 이후 등장해서 상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다양한 이론과 접근이 시도되고 있는 언어학 연구 분야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텍스트언어학은 텍스트(본문) 차원에서 언어의 활용과 규칙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전의 언어연구는 단어와 문장 단위에 집중했던 반면에 텍스트언어학은 텍스트 단위의 언어연구에 집중한다. 텍스트언어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언어학은 주로 문장의 결속구조와 의미구조를 연 구했다. 하지만 텍스트언어학의 등장으로 언어학의 연구범위가 문장 이상의 텍스트로 확장된다. 특히 텍스트언어학은 의사소통을 위한 텍스트의 생성과 사용 및 수용에 작용하는 기준(또는 법칙)과 요인들을 규명하려는 시도에 집중해 왔다. 이와 더불어 텍스트를 유형화하는 기준을 파악하는 것 역시 텍스트언어학의 주요 관심이다. 일반 언어학계의 관심은 텍스트성, 텍스트유형, 텍스트의 규칙성과 정형성을 규정하려고 한다. 반면에 성경신학에서 텍스트언어학적 접근은 텍스트언어학 연구의 결과물을 성경본문 해석에 적용하고 그 유용성을 언급하려고 한다. 물론 구약성경이나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텍스트의 유형 및 개별유형의 규칙성과 정형성을 발견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본 소고에서는 텍스트언어학의 기본개념과 연구 결과물에 따른 석의적 적용을 시도하고 그 유용성을 언급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1) 텍스트언어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본문성(Textuality)의 주요요소인 결속성에 대해 언급하고, (2) 결속성 분석 방법에 따라 시편 23편의 결속성을 살피고, (3) 텍스트언어학의 관점에서 시편 23편을 주해할 것이다. 달리 말하면 구문론(syntactics), 의미론(semantics), 화용론(prgamatics)의 차원에서 시편 23편을 분석하여 적용의 예를 제시하고 텍스트언어학의 유용성을 서술할 것이다. Since textlinguistics was introduced in 1960’s, a significant amount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yet various theories and approaches are still suggested. Before the emergence of textlinguistics, linguistics has focused on lexeme and the syntactic and semantic connectivity of sentences. Yet with textlinguistics the area of linguistic investigation has extended to the area beyond the sentence, that is, the text. Especially textlinguistics has attempted to define the regularities, rules, and elements working in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the text for communication. It also has identified the standards for th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of texts. While secular textlinguists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research on textuality, text types and function, and the regularity of the text, biblical textlinguists apply the results and contributions of textlinguistics to biblical exegesis and present its usefulness. In the present article, we present an example of the exegesis on Psalm 23 according to the textlinguistic concepts and approaches, and then comment on the usefulness of textlinguistics. In so doing, we will briefly explain the concept of connectivity which is the main element of textuality, examine the connectivity of Psalm 23 on the surface level as well as the deep level according to analytical methods, and exegete Psalm 23 from the textlinguistic perspective. In other words, Psalm 23 will be exegeted in the realms of syntactics, semantics, and pragmatics in order to provide an example. Textlinguistics is useful for biblical exegesis in providing a systematic and holistic analysis, appreciating pragmatic elements, focusing on authorial meaning, and appreciating pragmatic elements and the author’s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글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내용 구조 분석 연구

        김미영(Gim Mi young)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9 No.-

        본고는한국어중급학습자의쓰기텍스트를질적분석하고텍스트의내용구조의특징과 오류양상고찰을통해대학(원) 입학전필요한글쓰기교육과정개발을위한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그목적이있다. 나아가대학내외국인신입생들의글쓰기부담을덜어주고, 이 들이 전공 과제 수행에글쓰기 능력을 효과적으로 전이하여 발현할 수 있도록 돕고자한다.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려면 ‘내용 지식(명제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통합된 개념)’의 습득이 필수적인데 이를 습득하고 글쓰기에 적용하는 능력은 단시간에 이루어지기 힘들다. 따라서 기존의 어휘·문법 중심의 글쓰기 교육에서 벗어나 현실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내용·맥락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현재 중급학습자들의 글쓰기 능력을 텍스트 질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중급학습자의텍스트를‘내용의적절성’과‘내용의전개구조’를기준으로적절함과부적절함으로 나누어 평가하였고 그 특징과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내용 및 과제 수행 분석결과, 중급학습자들은서론-본론-결론에서내용의구성과과제수행능력에서부족함을보였다. 이는 중급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이를 단락으로 구성하는 일이 낯설고, 어려운 과정이기 때문이다. 또한 내용에 따라 텍스트를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데에도 미숙했는데 이는 텍스트 내용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인식 부족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내용과 단락을 구성하는 일은 대학 글쓰기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단시간에 이러한 능력을 향상시키는 일은 어렵다. 그러므로 글쓰기 교육이 적절한 단계에 따라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때에라야 대학 내 유학생들은 교양과 전공 과목에서 수준 높은 글쓰기 능력을 발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eek the desirable way to the prerequisite writing education for KAP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by considering the error patterns that presented in the written texts of the intermediate learners. Furthermore, it is to help effective transfer of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s and navigate its effectiveness. To obtain effective writing skills, it is essential to acquire the content knowledge (a notion combining proposition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goals to learn the knowledge and put it in practice in a short time. This infers that there is a need to focus on content and context-centered educations, which Korean-language learners actually need in reality, rather than the education that makes students immersed in learning grammar and vocabulary. In order to focus on the content &context-centered educati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writing skills of learners at intermediate level. Written texts have been analysed and described in two parts of evaluation categories which are ‘content and task execution’ and ‘Development structure’. As the result, it appeared that most intermediate level learners appropriately divided paragraphs by making indentations perfunctorily. However, inappropriateness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writing. In fact, it was found that intermediate level learn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organizing contents and composing a paragraph even for a short writing. The organizing contents and composing a paragraph are very important in academic writing, but they are hard to enhance in a short time which are needed in writing Korean academic essay. Therefore, when overseas students at universities are taught writing skills based on their level, they could find the way of improving their skills to write advanced level of essays for cultural subjects as well as their maj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