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종-세종대 上王(定宗) 예우와 喪禮의 정치사적 의미

        윤정(Yoon, Jeong) 역사실학회 2018 역사와실학 Vol.65 No.-

        본 논문은 한양에서 정종비 정안왕후의 사망 이후 전개된 상왕 정종에 대한 예우와 사후 상례과정에서 드러나는 태종의 입장 변화의 정치적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1, 2차 왕자의 난의 결과 즉위한 태종은 형인 정종의 世子로서 즉위하였기 때문에 태종과 정종 비 정안왕후와의 사이에는 의례적으로 모자관계가 수립되어 있었다. 태종 12년 정안왕후의 사망으로 이러한 명분을 확증하였지만 형의 아들이 되는 예외적인 조치를 항구적으로 유지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본래의 형제 관계로 전환하고 태종의 즉위명분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있었는데, 정종의 사망은 그러한 지향이 전면화되는 기점이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정종의 상례에서 태종의 역할이 바뀌는 점이 지적된다. 정안왕후의 상에서는 태종이 상주로서 상례를 주도하였다. 당시는 정종이 살아 있었다. 그런데 정종 사후에는 명목적으로만 喪主을 맡았을 뿐 대부분의 상례 행사는 정종의 장남인 元生이 攝喪主로 수행하였다. 이것은 상례 과정을 통해 정종과의 단절을 꾀하려는 태종의 의도를 잘 보여준다. 최종 의례인 祔廟에서 정종에게 廟號를 올리지 않은 것은 가장 단적인 조치였다. 이러한 조치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태종 왕위의 전제였던 정종을 배제하고 태조의 계승자로 직접 나서면서 이를 세종으로 연결하는 왕통을 수립하는 데 있었다. This thesis analyzes politically historic meanings of the respectable treatment of Grand King Jeongjong(定宗) which was developed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ng(定宗)"s wife Queen Jeongan Whang hu(定安王后) and change in position revealed during post- funeral rites process, King Taejong(太宗), who ascended to the throne as the result of the First and Second Strife of princes, enthroned as the crown prince of his older brother, King Jeongjong(定宗). Because of it, there was a phatic relationship of mother and son between King Taejong(太宗) and King Jeongjong(定宗)"s wife Queen Jeongan Whang hu(定安王后). Jus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mother-son relationship secured positive evidence by the death of Queen Jeongan Whang hu(定安王后) in the 12th year of King Taejong(太宗)"s reign, but exceptional action that younger brother became the son of older brother couldn"t continue permanently. Therefore, Transition of relationship between King Taejong(太宗) and King Jeongjong(定宗) from father-son relationship to original relationship of brothers and reestablishment of cause that could justify King Taejong(太宗)"s enthronement were needed. And the death of King Jeongjong(定宗) became the beginning time that such aim was completely consolidated. In that connection, it is pointed out that the role of King Taejong(太宗) was changed at the funeral of King Jeongjong(定宗). At the funeral of Queen Jeongan Whang hu(定安王后), King Taejong(太宗) took lead in the funeral rites as the chief mourner and King Jeongjong(定宗) still kept alive. However,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ng(定宗), not only King Taejong(太宗) formally assumed the role of chief mourner, but also Uipyenoggun, who was the firstborn son of King Jeongjong (定宗) took the role of chief mourner agent. This shows intention of King Taejong(太宗) that he would make an attempt at severance of the relationship with King Jeongjong(定宗). It was the most direct action that King Taejong(太宗) didn"t decide Posthumous King`s Name in the last rite, Bu’myo. The ultimate purpose of these actions were exclusion of King Jeongjong(定宗) who was the premise of King Taejong(太宗)"s enthrone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Royal descendants connecting King Saejong (世宗) by going into the direct successor of King Taejo(太祖).

      • KCI등재

        조선초기 開城 厚陵 건립의 정치사적 의미

        윤정(Yoon, Jeo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7 서울학연구 Vol.- No.68

        본고는 태종-세종대 개성에 건설된 定宗과 그의 비 定安王后의 무덤인 厚陵의 조성에 내포된 정치적 의미를 태종대 정안왕후의 상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2차 왕자의 난으로 권력을 장악한 靖安君(태종)은 “동생을 아들로 삼겠다”는 정종의 입론에 따라 世子로 책봉되어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 태종은 정종을 상왕으로, 정종비를 大妃로 추봉하였는데, 상왕과 부자관계가 수립됨에 따라 대비와는 의례적으로 母子관계가 수립되었다. 하지만 상왕과 대비가 전면적인 권한을 행사하기는 어려웠다. 특히 權知國事에 머물렀던 정종의 위상은 대명관계에서 현저히 약화되었으며, 태조의 후궁이 誠妃로 책봉되어 왕비의 위상이 부여됨으로써 유일한 대비로서의 위상도 약화되었다. 정종비는 사망 후 ‘定安王后’로 시호가 정해지고 ‘厚陵’이 개성에 건설되었다. 상례에서 ‘兄妻’나 ‘母’라 칭하는 것을 문제로 삼아 명나라에 대비의 사망을 알리지 않은 것은 嫡妃로서 태종의 母后라는 명분을 명나라에 그대로 알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태종은 사망 당일부터 제사를 모두 섭행하는 등 상례의 전 과정에서 상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정안왕후의 위상은 태조의 嫡長子로서 즉위하고 嫡長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난 정종에게 자신의 왕위정통성과도 관련되는 중요한 요소였다. 후릉의 건설 역시 정종의 뜻이 반영된 것이다. 정안왕후의 졸기에 “上王의 嫡妃”임을 명시되어 있는데, 태종의 왕위 계승이 이로부터 연원하기 때문이었다. 태종 4년에 세워진 齊陵碑에는 태조와 神懿王后의 적장자인 정종의 위상과 정종과 대비 사이에 적자가 없어 태종을 세자로 삼았다는 태종의 즉위 명분을 충실히 정리하였다. 또한 신의왕후가 正嫡으로 응당 왕비가 되었어야 하는데, 개국에 앞서 사망함으로써 그러지 못한 아쉬움을 표현하여 1차 왕자의 난을 정당화하였다. 태종이 즉위한 후에도 端午와 秋夕의 제사를 정종이 직접 지낸 것은 신의왕후의 장자라는 위상에 따른 것이었다. 결국 태종과 정종이 후릉을 한양이 아니라 개성에 조성한 것은 이곳에 있는 제릉과 여러 의례를 연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신의왕후와 정안왕후의 관계를 드러냄으로써, 신의왕후의 적장자로서 왕위에 오른 정종의 즉위 명분을 부각시키고자 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centers on the political meaning connoted in construction of Hurung Royal tomb which was the tomb of King Jeongjong(定宗) and his wife Queen Jeongan Whang hu(定安王后), built through King Taejong-Saejong(世宗) period, and the next paragraph is abstract of the discussed contents. Jeongangun who came to power through the Second Strife of Princes was proclaimed the crown prince of King Jeongjong who was his older brother, and ascended to the throne. As he proclaimed King Jeongjong as the abdicated king and the queen as queen dowager(大妃) after his ascending the throne, blood relationship with sister-in-law turned to the ritualistic mother-son relationship. Justifying that the queen of King Jeongjong didn’t have the son as the cause, King Jeongjong made his older brother as his son. This cause is intactly extension of the logic that King Jeongjong who denied the successor selection of his father, King Taejo(太祖) through the First Strife of the Princes justly succeeded to the throne as his primogeniture. Going through this political course, status of the queen mother was embossed as important element in regard to the throne legitimacy of the heir. Because of that, when Queen Jengan Whang hu died in the 12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 he built Hurung Royal tomb, tomb of Queen Jeongan Whang hu in Gaeseong even though he made Geonwolleung Royal tomb(建元陵), tomb of King Taejo close by Hanyang(漢陽) after he returned to Hanyang. As building Hurung Royal tomb close by Jeleung Royal tomb(齊陵), tomb of Queen Sinyi Whang hu(神懿王后) who was the mother of King Jeongjong and Taejong, he emphasized status of the queen and tried to rationalize the legitimacy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with King Taejo, Jeongjong and Taejong.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 초기 태종(太宗)과 하륜(河崙)의 천견론(天譴論)을 빙자한 정국 운영 양상

        류창규 ( Chang Gyu Ryu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태종대 정국 운영의 향방은 왕권의 안정과 강화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태종 대 정치체제의 개편과 정치세력의 부침에 대한 연구가 그러한 점을 뒷받침한다. 특히 왕권 강화를 위한 여정이 6조의 기능 강화를 비롯한 통치체제의 변화와 공신이나 외척 등 특정 정치세력의 제거로 나타났다고 하겠다. 여기에는 태종의 신하 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한, 곧 왕권에 위협이 될 만한 세력을 용인하지 않은 정치적 술책이 작용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태종의 왕위 계승에서 비정통성, 도덕성의 결여가 작용하였다고 한다. 태종대 정국에 대한 이러한 일반적인 견해는 큰 틀에서 어긋나지 않지만, 태종의 정국 운영 방식과 특정 정치세력 제거 과정의 의미는 다시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태종과 그의 최측근 신하였던 하륜의 정치적 행보를 통해 정국 운영의 양태를 다시 살펴보았다. 특히 재이에 따른 천견론을 내세워 태종 이 선위 파동을 일으킬 때나, 천견론에 따른 하륜의 사직 사건이 이어졌을 때 정치적 변화가 심하였다. 나아가 태종의 선위 파동과 하륜의 사직은 서로 연관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함으로서 태종의 정국 운영 방향과 하륜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었다. 태종 즉위 후 왕위의 정통성과 도덕성 문제로 왕위가 위약할 수밖에 없었다. 제도 개편을 통한 왕권 안정 추구 노력에 하륜이 앞장섰다. 이러한 노력에 가장 위협이 될 만한 인물들은 태조를 따르던 이들 가운데서도 병권을 장악하고 있던 이들이었다. 태조의 인척이자 좌명공신이었던 이거이가 본보기다. 하륜의 천견론을 빙자한 사직은 바로 이거이의 제거를 노린 것이었다. 태종과 하륜의 천견론을 매개로 한 정국 변화 모색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사사전 혁파나 동북면 양전 등을 둘러싸고 이에 반대하는 이들이 태조를 등에 업고 천견론을 매개로 태종과 하륜에게 압박을 가함으로써 상황은 반전되었다. 태조를 배경으로 하는 친 태조 성향 세력은 태종 왕위의 안정에 걸림돌이었다. 태종 2년, 태조를 등에 업고 일어났던 동북면의 조사위 난을 평정하고 이어서 명 영락제로부터 왕위를 인정받은 이후 태종의 왕위는 안정되었다. 그런데 태종 6년 천견론에 따라 하륜이 사직을 요청하고, 얼마 후 태종이 선위 파동을 일으킨다. 하륜의 사직과 태종의 선위 파동에는 무관 세력들의 불만이 작용하였다. 사사전 혁파와 토지 지급에 불만을 품은 무관층이 하륜을 비방하였으며, 태종의 외척이었던 민무구 등이 병권과 관련하여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 태종으로 하여금 천견론을 빌어 선위 파동을 일으키게 하였던 것이다. 이로 인해 결국은 민씨 외척 세력의 제거의 단서가 열리게 되었다. 태종 9년, 다시 천견론을 빌어 하륜의 사직과 태종의 선위 파동이 일어난다. 태종의 선위 파동은 외척 민씨 일파와 가까웠으며 태종의 즉위에 공로가 컸던 이무를 겨냥한 것이었다. 이무 역시 오랜 동안 병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그를 따르는 무인 세력이 포진되어 있었다. 민씨 일파를 두둔하였다는 점 등 여러 죄목으로 태종이 이무를 죽였지만, 결정적인 요인은 이무를 중심으로 무인 세력이 형성되었다는 점이었을 것이다. 태종은 이무와 친밀한 관계였던 하륜을 사직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건에 비켜서도록 하였다. 천견론을 매개로 한 태종의 선위 표명과 하륜의 사직은 병권을 장악하고 있는 이들 가운데 왕위에 위협이 될 만한 세력 제거를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고도의 정략적인 정국 운영 방식이었던 셈이다. 표면적으로는 반왕세력이나 외척세력, 공신세력의 약화·제거와 정치세력 개편으로 보이지만 병권을 사적으로 장악한 세력과 무인을 측근 집단으로 세력화한 인물들에 대한 불식이었던 것이다. 하륜이 일정한 역할을 맡게 된 것은 태종이 가장 신뢰하는 신하였다는 점도 작용하였지만. 하륜이 병권에 가까이 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 그것을 가능하게 하였을 것이다. Stabilizing and reinforcing king`s power was critical in managing political situations in King Taejong era. Studies of revision of political system and fluctuation of political parties in Taejong era support the aspect. Especially, the process of reinforcing Icing`s power was a form of changing political system such as fortifying the six department`s(6曹) functions or removing specific political parties such as retainer`s or Min(queen`s family)`s. Taejong`s political strategy of taking advantage of mutual containment and according equilibrium, which is also a zero-tolerance policy toward political parties that could be a possible threat to his power seemed to work in the process. And the lack of linear descent of royalty and the lack of morality affected the strategy in the background. The aforementioned perspective rega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Taejong era is general, and reasonable in the large scale. However, it is neede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aejong`s way of managing political situation and removing specific political parties.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figure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through political stance of Taejong and Ha, Ryun(河崙) who was a close retainer of Taejong. Especially, political fluctuation was extreme in Taejong`s trial of abdication and Ha, Ryun`s trial of resignation according to Cheon-gyeon theory when natural disaster occurred. Moreover, both trials seem to be related to each other. By focusing this fact, it is able to understand Taejong`s way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and Ha, Ryun`s role in it. After Taejong`s enthronement, Weakness of the king`s power was inevitable because of its lack of orthodoxy and morality. Ha, Ryun actively pursued stabilizing king`s regime via revising system. Possible threats especially came from those following King Taejo with military power. I. Geo-i(李居易) who was Taejo`s cousin and Jwamyeong-Gongsin(retainer) is the case. Ha, Ryun`s resignation according to the Cheon-gyeon theory aimed to remove I, Geo-i. It`s was the start of Taejong and Ha, Ryun`s pursuing political system change via Cheon-gyeon theory. However, the phase was upside-down when those opposing the demolition of Sasa-jeon(寺社田) and revision of Dongbukmeon pressed Taejong and Ha, Ryun via Cheon-gyeon theory, backed by Taejo. Pro Taejo party backed by Taejo was obstacle toward stabilization of Taejong`s regime. In the second year of Taejong`s regime, his regime was stabilized after putting down Jo, Sa-eui`s revolution in Dongbukmeon area and getting approval of emperor Yeongrak of Ming dynasty. Suddenly, in the sixth year of Taejong`s regime, Ha, Ryun requested resignation according to the Cheon-gyeon theory and Taejong consequently tried to abdicate his throne. Dissatisfaction of military officers was the background of the request and trial. Taejong tried to abdicate because of the fact that Military officers dissatisfying to the demolition of Sasa-jeon and distribution of land criticized Ha, Ryun and Min, Mu-gu(閔無咎) who was Taejong`s cousin had a discontent regarding to the distribution of military power. Taejong used Cheon-gyeon theory as an excuse. The trial of abdication finally made a way to remove Min`s party. In the ninth year of Taejong`s era, Ha, Ryun`s trial of resignation and Taejong`s trial of abdication via Cheon-gyeon theory recurred. This time Taejong aimed to remove I, Mu(李茂) who was close to Min`s party and took a big role in Taejong`s enthronement. I, Mu had military power under his control for a long time and there was military party following him. Though Taejong removed I. Mu apparently for the reason of taking Min`s side, the main reason of his removal was the fact that I. Mu was the leader of a military party. Taejong accepted Ha, Ryun`s resignation request so as to make Ha, Ryun who was close to I, Mu irrelevant to the I. Mu`s removal. Taejong`s announcement to abdicate and Ha, Ryun`s resignation via Cheon-gyeon theory were highly political maneuver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aimed at removing military personnel who was possible threat to the regime. Though the maneuver seemed to be the enfeeblement or removal of anti-king party, Min`s party and retainer`s party and the reformation of political parties, it was indeed the removal of those having military under their control. The reason of Ha, Ryun`s taking active role in the removal was partly because of the fact that Ha, Ryun was confidant of Taejong. And the main reason was that Ha, Ryun didn`t bold military power.

      • KCI등재후보

        태종 집권기 동년 급제자들의 관직 활동과 동년에 대한 태종의 인식

        전세영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硏究 Vol.37 No.-

        King Taejong(太宗) was the only king in the history of Joseon(朝鮮) who passed the state exam and entered government service before ascending to the throne. Those who passed the state exam(Munsaengs) would serve the Jwaju(座主) who selected them to pay back the favor. The Tongnyen(同年) would strengthen their solidarity through frequent private gathering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kind to pass the exam together in the middle of fierce competition. King Taejong(太宗) himself participated in the political culture of those days and was assimilated into the group. As King Taejong ascended to the throne after the founding of Joseon(朝鮮), the Jwaju(座主) Munsaeng(門生) system as an institution was abolished to reinforce the royal authority. The consciousness of kind among the Tongnyen(同年) was replaced by a superior-subordinate relationship. The private intimacy and solidarity that King Taejong(太宗) consolidated with his Tongnyen(同年), however, continued to remain valid to him even as a king. After seizing power, King Taejong(太宗) appointed many of his Tongnyen(同年) in Mungwa(文科) to Daegan(臺諫) and military posts(軍職), thus granting them political and military roles to stabilize and reinforce his royal authority in the public domain and guaranteeing them his respectful treatment and consideration in the private domain. His Tongnyen(同年) in Mungwa(同年) made an important group essential to the understanding of Lee Bang-won(李芳遠) as a human being and further King Taejong(太宗). 태종은 조선시대 왕 가운데 유일하게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한 후에 왕의 자리에 오르는 인물이다. 문생은 자신을 발탁해 준 좌주를 은혜로 모시고 동년들은 치열한 경쟁을 뚫고 함께 합격한 동류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빈번한 사적인 모임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결속을 다져 나가던 당시의 정치문화에 본인도 그 일원으로서 동화되어 함께 참여 하였다. 과거에 함께 급제한 동년이 존재한다는 것은 다른 국왕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태종만이 가지는 독특한 이력에서 비롯하는 것이며 이들과의 교유관계는 태종의 집권 이전이나 이후의 정치적 활동과 사적인 영역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조선이 건국된 이후 태종이 왕으로 즉위하면서 제도적인 차원의 좌주・문생제는 왕권강화와 관련하여 폐지되었으며 동년의 동류의식 역시 상하관계로 바뀌었다. 그러나 이전에 동년들과 함께 하면서 다져두었던 사적인 친밀감과 유대는 왕이 된 후에도 태종에게 여전히 유효한 것이었다. 또한 태종은 즉위 후에 적지 않은 동년들과 인척관계를 맺으면서 동년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었다. 동년은 유교적 소양을 가진 관료이며 잠저시절부터 동류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유대관계가 형성된 태종의 사적인 인간관계망이었다. 왕권에 위협이 될 만한 정치적 집단으로 성장할 소지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재위 후 본인의 세력을 등용하고자 했던 태종의 의중에 적합한 인물들이었다. 문과 동년은 태종의 정치적인 영향력 확대와 집권을 계기로 하여 많이 등용되어 두각을 나타냈으며 특히 태종은 이들을 대간(臺諫)과 군직(軍職)에 많이 배치함으로써 공적으로는 왕권을 안정시키고 강화시킬 수 있는 정치・군사적인 역할을 부여하였고 사적으로는 그들에게 예우와 배려를 베풀었다. 동년은 인간 이방원, 나아가 국왕 태종을 이해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조선 태종의 왕권 확립

        남지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3 No.-

        왕위와 왕통을 정당화한 뒤 태종은 왕권을 확립해 나아갔다. 태종의 과제는 漢陽 還都였다. 定都 논의에서 대신들이 모두 松京에 머물려 하자 태종은 양경제를 수용하는 선에서 정리하였다. 가뭄 뒤의 장마로 물난리가 난 와중에서 1404년(태종 4) 8월에 세자를 책봉하였다. 태종은 嫡長을 세자로 책봉하여 태조-태종-세자로 왕통을 바로 세웠고, 민심을 안정시켰다. 9월초 태종은 태조의 명에 힘입어 1405년 10월에는 한양으로 옮겨갈 것임을 선포하였다. 10월 초 태종이 宗廟에 들어가 동전을 던져 도읍을 한양으로 정하였다. 한양 정도로 태종은 태조의 칭찬을 들었다. 이렇게 태종은 왕권의 안정에 중요한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태종은 1404년 10월 중순 대표적 공신·인척인 李居易와 그 아들들을 내쫓고, 11월 중순에 開國·定社·佐命 3공신이 동맹하여 충성을 다짐하도록 하여 훈척을 제어하였다. 이어 태종은 1405년 정월에 육조를 정2품아문으로 승격하고 서무를 귀속시켜서, 왕이 인사를 포함하는 행정체계와 군사를 장악하고 중요 사안만을 의정부와 협의하는 체제로 바꾸려 하였다. 태종은 1405년(태종 5) 3월 이후 심한 가뭄과 기근 속에서 한양 환도를 준비하고 추진하여 10월에 한양으로 돌아왔다. 태종은 10월 8일 松京을 출발하여 11일에 漢京에 이르러 종묘에 알현하였고, 20일 새 離宮 창덕궁으로 이어하여 한양 還都를 마무리 지었다. 세자 책봉과 한양 정도, 대표적 공신 인척의 축출하는 훈척 제어와 육조를 승격하여 행정체계를 장악한 위에서 1405년(태종 5) 한양으로 환도함으로써 태종의 왕권은 확립되었다. After rendering legitimate his rulership and the line of succession to the throne of the Chosun dynasty, King Taijong proceeded to secure his regal authority. The major challenge to his authority at that time was the issue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of the new dynasty back to Hanyang. Since all of the high public officials wished to continue to live in Songkyong, the capital of the previous dynasty, and have it remain as the capital of the new dynasty, he gave some concessions to them by designating both cities as the capital of the new dynasty. Then he dared to set up one of his sons as the Crown Prince on August 1404 in the midst of a serious flood that strangely followed a drought. He expected to win the mind of the people by designating his eldest son by his legal wife as the Crown Prince. On September of that year he declared that he would bring the task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back to Hanyang to completion by October 1405. At the beginning of October 1404 he tossed a coin at the royal ancestors' shrine to decide which city would be the capital of the new dynasty, selecting Hanyang as the new capital. Thus Taijong successfully met the two challenges most crucial to securing his regal authority, the issue of setting up the Crown Prince and that of designating Hanyang as the capital of the new dynasty. On mid-October 1404 Taijong banished Yi Geo-yi and his sons, representative merit subjects/royal in-laws, from the capital. On mid-November he ordered the three groups of merit subjects-Gaeguk, Jeongsa, and Jwa-myong-to form an alliance with one another and make a pledge of allegiance to the throne. On January 1405 he raised the Six Ministries to the status of the second court rank, assigning appropriate tasks to each of them. Thereby he attempted to transform the political system into a new one in which the throne keeps the Samgunbu (the armed forces) and the Six Ministries under his control and consults with the Prime Ministry only in the case of significant political issues. After March 1405 Taijong promoted and made preparations fo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back to Hanyang in the midst of severe drought and famine, and at last he returned to Hanyang on October of the year. He left Songkyong on October 8 1405, and arrived at Hanyang and presented himself at the royal ancestors' shrine three days later. On October 20 1405 he moved to a royal villa, Changdeok-gung, putting an end to the protracted and tumultuous process of transferring the capital back to Hanyang. Taijong's regal authority was secured while vigorously coping with a series of formidable political challenges--the issues of the setting up the capital at Hanyang, the designation of the Crown Prince, the banishment of representative merit subjects/royal in-laws from the capital, the promotion in status of the Six Ministries, and the transfer of the capital back to Hanyang.

      • KCI등재

        정치가 태종의 사정(私情)과 왕권(王權)

        박홍규(Park Hong-Kyu),이종두(Lee Jong-Doo) 한국정치사상학회 2007 정치사상연구 Vol.13 No.1

        태종은 반역사건들을 다루거나 정적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신하들과 공법(公法)과 사정(私情)의 논쟁을 벌였다. 이 때 신하들은 태종이 모든 사건들을 공법에 따라 처벌할 것을 주장하였다. 만약 태종이 신하들의 의견을 받아들였다면, 그는 신하들의 지지 속에서 왕권을 강화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태종은 사정(私情)으로 보이는 행동을 하였으며, 직접 사정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태종은 사정이라는 신하들의 일관된 비판에 대해 다양한 대응방식을 보여주었다. 첫째, 태종은 왕실과 종친들에 대해서는 신하들의 강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사정을 보였다. 이는 왕실과 종친의 단합에 기여하였다. 둘째, 태종이 자신의 행위를 사정 때문이 아니라 적절한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밝히는 경우이다. 이 때 태종은 법의 원칙적인 적용보다는 정치적 결과를 계산하는 신중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태종이 사정을 정치적 수사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태종은 이를 통해 신하들이 공법과 같은 원칙에 충실한 것에 그치지 않고 군주에게 절대적으로 충성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다양하게 대응한 결과 태종은 신하들이 제시하는 지공(至公)의 정치, 인정(人情)의 정치 혹은 권도(權道)의 정치와는 다른 자신만의 방식으로 왕권을 강화하는데 성공하였다. 태종은 정변과 주자학의 제약조건 속에서 권력을 창출하고, 유지하고, 계승시키는데 성공함으로서 정치가의 진면목을 보여주었다. When King Taejong judged rebellious subjects, he debated with his royal subjects over public law(公法) and personal feelings(私情). At this time, the royal subjects demanded that they should be punished by public law. If he had accepted the royal subjects' claim to get their support, he could have strengthened his royal power, However, King Taejong did not act in the cause of public law and said that he himself acted upon personal feelings. He showed that he had varied responses to his subjects' criticisms. First, he did not suppress his personal feelings when judging the cases regarding rebellious subjects with his royal family, which contributed to his royal power. Second, King Taejong said that he used proper judgement in some cases, and showed that he was a prudent man who calculated political outcomes. Third, King Taejong used the idiom of "personal feelings" as political rhetoric, and made his subjects be loyal to him by it. In conclusion, King Taejong did not follow the principles of the Confucianism. He strengthened his power in his own way, and succeeded in taking and retaining power.

      • KCI등재

        태종 초 태종과 대간 언론의 갈등

        남지대(Nam, Ji-da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역사문화연구 Vol.47 No.-

        태종 초반의 태종과 대간 언론의 관계를 언론 통제와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태종은 納諫을 의식하였으나 대간 언론을 제어하려 하였고, 언론의 시비를 자신이 분별하였다. 1401년 대간의 상호보복을 금하고, 대간이 서로 다투면 파직하거나 외직으로 내보냈다. 1404년 10월 대간의 풍문탄핵 금지를 확인하였는데, 이는 소재를 제한하여 언론을 통제하는 조처이다. 태종이 대간 언론을 압박하는 가장 강한 무기는 문서로 하지 말고 ‘와서 말로하라’는 것이었다. 이 명령을 어긴 대간을 처벌하지는 않았다. ‘와서 말로 하라’는 명령은 納諫을 전제로 대간 언론을 제어하는 장치이자 언론에 대한 강력한 억압이었다. 왕 앞에 나아가 말로 허물을 지적하고 캐물을 때 실수 없이 대답하며 왕을 설득하는 것은 어렵고도 무서운 일이었을 것이다. 대간 언론을 억압 봉쇄한 실상을 확인하기 위해 태종과 대간의 갈등 사례를 검토하였다. 권위에 저촉한 사례로는 1401년 1월 許稠 사건과 7월 사간원에서 궁궐 짓기를 중지하라고 청한 상소 건이 있다. 전자는 대간은 鷹人이 왕명을 받드는 대간을 능멸하였다고 보았고, 태종은 자신이 鷹牌를 준 응인의 종을 가둔 것은 태종 자신을 능멸한 것으로 보았는데, 뜻을 거스른 臺官들은 외직으로 쫓겨났다. 후자는 간관을 순군에 내렸다가 소동을 벌인 뒤에 용서하였는데, 언론에 대한 판단이 태종의 읽기에 달린 문제였음을 보여준다. 허물을 지적한 표현이 문제된 사례를 검토하였다. 1402년 1월 ‘참소를 들었다’는 소동은 간관을 하옥하여 귀양보냈다. 역시 언론에 대한 판단은 태종의 읽기에 달려 있었음을 보여준다. 1402년 4월 李之直 사건은 태종과 대간 언론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태종은 처음부터 간관의 지적을 확대하여 ‘응견 성색에 빠짐’ 내지 ‘荒淫’으로 읽고 분노하여, 간관도 죄가 있으면 죽여도 된다고 하였다. 태종은 諫官을 말실수로 벌할 수 없다는 명분을 내세우면서도, 국론에 따르지 않을 수 없다는 우회적 방법으로 간관들을 파직하였다. 이렇게 왕이 언론의 시비를 판단하였던 데에 대간 언론의 근원적 한계가 있었다. 태종은 성리학의 가치를 의식하고 표방하였지만, 간관도 죄가 있으면 죽여도 된다고 하여 왕권의 우위를 내세웠다. 이후 대간은 자기 검열을 강요당하여 더 심각한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 왕권이 안정 강화되며 納諫을 의식하여 대간을 폭압하지 않으려 한 태종과 개인의 허물을 지적하여 왕을 자극하는 것을 자기 검열한 대간 사이에 어정쩡한 관계가 형성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관계의 표상이 잔일로 封章을 금지하고 ‘와서 말로 하라’는 것이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King Taejong and Daegan (combination of The Office of the Inspector General[司憲府] and the Office of the Censor General[司諫院]) by looking into the examples of the king's press control and conflicts between them. Conscious of the acceptance of the requests from the remonstration officers, King Taejong attempted to control the activities of Daegan and played the role of final judge on them. In 1401 he forbade the mutual counter-attack among the officers of Daegan. Those who disobeyed this order were either fired or sent to a local government post. In October, 1404, the king ordered the Daegan "not to impeach based on rumors", which is an act of the royal press control over the activity of Daegan by limiting the latter's subjects. One of the King Taejong's strongest means of oppressing Daegan was his order that all the officers in Daegan must "come to the king and speak in person". Though the officer who broke this order was not punished, the king must have known that the officers would find it a very difficult and fearful job to persuade the king into acceptance of their remonstrations not by paper but by pointing at the wrong doings through question and answer process in the face of the king. The conflict cases between the king and Daegan were examined to confirm the facts of King's oppression and blocking of Daegan activities. Examples of challenging the sovereign authority are as follows; the case of Huh Joh[許稠] in January, 1401 and a memorial sent up to the throne in July, 1401 concerning a petition to suspend the construction of a palace. The former case was about an incident in which Daegan indicted the falcon manager for neglecting the king's order and despising Daegan while the king understood it as an act of scorn at the king because Daegan imprisoned one of the falcon manager's servants. In the course of the case, the officer at Daegan[Daegwan 臺官] was sent to a local government post. The latter case was about an imprisonment of a Gan-gwan[諫官 an officer at the Office of the Censor General] who later was transferred to Soongunok[King's prison] to be forgiven after an ado. These two cases indicate that judgement on Daegan's press dependant on the king's (Taejong) reading of the case. Such cases as when the expression of finding faults with by Daegan became an issue were examined. In January 1402, the Gan-gwan who had sent up a report on "A slander was heard" case was imprisoned and banished to a distant place. Another case was "Yi Jijik[李之直] Case in April, 1402", which symbolically indicates the relation between Taejong and Daegan. Here Taejong said even a Gan-gwan can be sentenced to death if he is proved guilty. He even indirectly fired some Gangwans on the ground that even the king should respect the public opinion while he takes sides with the idea that a Gan-gwan should not be punished for his mistakes in speech and writing. The fundamental limitation of Daegan press lied in the kings power to judge the right and wrong of its activities. Despite his public respect for values of Neo-Confucianism, he still maintained sovereign predominance over Daegan activity. Since the rule of Taejong, Daegan was forced to do self-censorship and there no longer happened more serious cases of conflict between the king and Daegan. A subtle relation between the king and Daegan was established because of the king's consciousness of acceptance of the remonstration and the Daegan's spontaneous self-censorship not to provoke the king's authority. The symbol of this relation is the order of "come to the king and speak in person" instead of sending up sealed memorials.

      • KCI우수등재

        태종과 공론정치

        박홍규(Park Hong-Kyu),이세형(Yi Se-Hyoung) 한국정치학회 2006 한국정치학회보 Vol.40 No.3

        본 논문은 태종조 공론정치의 모습을 확인함을 통해, 권력정치가를 넘어선 유가적 군주로서의 태종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태종이 태종 10년(1410년) 7월에 선언한 '유신의 교화(惟新之化)'에 주목한다. 유신의 교화를 기준으로 집권 전반기의 태종이 왕권강화를 목표로 한 권력군주이자 무가적 군주였다면 후반기의 태종은 전반기에 다져진 정치제도와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스스로가 쿠데타를 통해 부정했던 본래의 성리학적 정치질서로 복귀하려고 하는 유가적 군주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집권 후반기의 태종은 분명 한 공론정치의 사례를 보여주고 있으며, 세종조의 공론정치 역시 이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이것은태종조 전반기의 권력정치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지속된 조선의 제도화와 태종의 왕권강화정책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태종의 사례가 보여주는 공론정치와 왕권의 긍정적 관계는, 오늘날 주목받는 토의·심의민주주의에서 리더십의 역할을 환기시킨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salient traits of the character of King Taejong(1367-1422) as a confucian ruler by studying the Gongron Politics(公論政治) at his reig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ocuses on Yusinjihwa(惟新之化) proclaimed by King Taejong in 1410. At this momentum, King Taejong's ruling styles dramatically shifted to the confucian ruler who pursued to restore the confucian political structure that he himself had overthrown from the tyrant as man of power and militarist. After promulgating Yusinjihwa, which shaped the bifurcation of his reign, King Taejong strived to realize Gongron Politics, under which context King Sejong the Great's profound Gongron Politics could be achieved. Due to such a fact, the concentration of regal power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in King Taejong's time should be revaluated in spite of his harsh power politics in the former period of his term. The case of King Taejong reveal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ongron Politics and regal power, and evokes the role of leadership in today's deliberative democracy.

      • KCI등재

        조선 초기 太宗과 河崙의 天譴論을 빙자한 정국 운영 양상

        류창규 호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태종대 정국 운영의 향방은 왕권의 안정과 강화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태종대 정치체제의 개편과 정치세력의 부침에 대한 연구가 그러한 점을 뒷받침한다. 특히 왕권 강화를 위한 여정이 6조의 기능 강화를 비롯한 통치체제의 변화와 공신이나 외척 등 특정 정치세력의 제거로 나타났다고 하겠다. 여기에는태종의 신하 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한, 곧 왕권에 위협이 될 만한 세력을 용인하지 않은 정치적 술책이 작용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태종의왕위 계승에서 비정통성, 도덕성의 결여가 작용하였다고 한다. 태종대 정국에대한 이러한 일반적인 견해는 큰 틀에서 어긋나지 않지만, 태종의 정국 운영방식과 특정 정치세력 제거 과정의 의미는 다시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태종과 그의 최측근 신하였던 하륜의 정치적 행보를 통해 정국 운영의 양태를 다시 살펴보았다. 특히 재이에 따른 천견론을 내세워 태종이 선위 파동을 일으킬 때나, 천견론에 따른 하륜의 사직 사건이 이어졌을 때정치적 변화가 심하였다. 나아가 태종의 선위 파동과 하륜의 사직은 서로 연관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함으로서 태종의 정국 운영 방향과 하륜의역할을 파악할 수 있었다. 태종 즉위 후 왕위의 정통성과 도덕성 문제로 왕위가 위약할 수밖에 없었다. 제도 개편을 통한 왕권 안정 추구 노력에 하륜이앞장섰다. 이러한 노력에 가장 위협이 될 만한 인물들은 태조를 따르던 이들가운데서도 병권을 장악하고 있던 이들이었다. 태조의 인척이자 좌명공신이었던 이거이가 본보기다. 하륜의 천견론을 빙자한 사직은 바로 이거이의 제거를노린 것이었다. 태종과 하륜의 천견론을 매개로 한 정국 변화 모색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사사전 혁파나 동북면 양전 등을 둘러싸고 이에 반대하는 이들이 태조를 등에 업고 천견론을 매개로 태종과 하륜에게 압박을 가함으로써 상황은 반전되었다. 태조를 배경으로 하는 친 태조 성향 세력은 태종 왕위의 안정에 걸림돌이었다. 태종 2년, 태조를 등에 업고 일어났던 동북면의 조사위 난을 평정하고 이어서 명 영락제로부터 왕위를 인정받은 이후 태종의 왕위는 안정되었다. 그런데 태종 6년 천견론에 따라 하륜이 사직을 요청하고, 얼마 후 태종이 선위 파동을 일으킨다. 하륜의 사직과 태종의 선위 파동에는 무관 세력들의 불만이작용하였다. 사사전 혁파와 토지 지급에 불만을 품은 무관층이 하륜을 비방하였으며, 태종의 외척이었던 민무구 등이 병권과 관련하여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 태종으로 하여금 천견론을 빌어 선위 파동을 일으키게 하였던 것이다. 이로 인해 결국은 민씨 외척 세력의 제거의 단서가 열리게 되었다. 태종9년, 다시 천견론을 빌어 하륜의 사직과 태종의 선위 파동이 일어난다. 태종의 선위 파동은 외척 민씨 일파와 가까웠으며 태종의 즉위에 공로가 컸던 이무를 겨냥한 것이었다. 이무 역시 오랜 동안 병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그를따르는 무인 세력이 포진되어 있었다. 민씨 일파를 두둔하였다는 점 등 여러죄목으로 태종이 이무를 죽였지만, 결정적인 요인은 이무를 중심으로 무인 세력이 형성되었다는 점이었을 것이다. 태종은 이무와 친밀한 관계였던 하륜을사직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건에 비켜서도록 하였다. 천견론을 매개로 한 태종의 선위 표명과 하륜의 사직은 병권을 장악하고있는 이들 가운데 왕위에 위협이 될 만한 ... Stabilizing and reinforcing king’s power was critical in managing political situations in King Taejong era. Studies of revision of political system and fluctuation of political parties in Taejong era support the aspect. Especially, the process of reinforcing king’s power was a form of changing political system such as fortifying the six department’s(6曹)functions or removing specific political parties such as retainer’s or Min(queen’s family)’s. Taejong’s political strategy of taking advantage of mutual containment and according equilibrium, which is also a zerotolerance policy toward political parties that could be a possible threat to his power seemed to work in the process. And the lack of linear descent of royalty and the lack of morality affected the strategy in the background. The aforementioned perspective rega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Taejong era is general, and reasonable in the large scale. However, it is neede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aejong’s way of managing political situation and removing specific political parties.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figure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through political stance of Taejong and Ha, Ryun(河崙) who was a close retainer of Taejong. Especially, political fluctuation was extreme in Taejong’s trial of abdication and Ha, Ryun’s trial of resignation according to Cheon-gyeon theory when natural disaster occurred. Moreover, both trials seem to be related to each other. By focusing this fact, it is able to understand Taejong’s way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and Ha,Ryun’s role in it. After Taejong’s enthronement, Weakness of the king’s power was inevitable because of its lack of orthodoxy and morality. Ha,Ryun actively pursued stabilizing king’s regime via revising system. Possible threats especially came from those following King Taejo with military power. I, Geo-i(李居易) who was Taejo’s cousin and Jwamyeong -Gongsin(retainer) is the case. Ha, Ryun’s resignation according to the Cheon-gyeon theory aimed to remove I, Geo-i. It’s was the start of Taejong and Ha, Ryun’s pursuing political system change via Cheon-gyeon theory. However, the phase was upside-down when those opposing the demolition of Sasa-jeon(寺社田) and revision of Dongbukmeon pressed Taejong and Ha, Ryun via Cheon-gyeon theory, backed by Taejo. Pro Taejo party backed by Taejo was obstacle toward stabilization of Taejong’s regime. In the second year of Taejong’s regime, his regime was stabilized after putting down Jo, Sa-eui’s revolution in Dongbukmeon area and getting approval of emperor Yeongrak of Ming dynasty. Suddenly, in the sixth year of Taejong’s regime, Ha, Ryun requested resignation according to the Cheon-gyeon theory and Taejong consequently tried to abdicate his throne. Dissatisfaction of military officers was the background of the request and trial. Taejong tried to abdicate because of the fact that Military officers dissatisfying to the demolition of Sasa-jeon and distribution of land criticized Ha, Ryun and Min, Mu-gu(閔無咎) who was Taejong’s cousin had a discontent regarding to the distribution of military power. Taejong used Cheon-gyeon theory as an excuse. The trial of abdication finally made a way to remove Min’s party. In the ninth year of Taejong’s era, Ha, Ryun’s trial of resignation and Taejong’s trial of abdication via Cheon-gyeon theory recurred. This time Taejong aimed to remove I, Mu(李茂) who was close to Min’s party and took a big role in Taejong’s enthronement. I, Mu had military power under his control for a long time and there was military party following him. Though Taejong removed I, Mu apparently for the reason of taking Min’s side, the main reason of his removal was the fact that I, Mu was the leader of a military party. Taejong accepted Ha, Ryun’s resignation request so as to make Ha, Ryun who was close to I, Mu irrelevant to the I, Mu’s removal. Taejong’s announceme...

      • KCI등재

        朝鮮 太宗代 厖村 黃喜의 정치적 활동

        소종(So, Jong) 효원사학회 2015 역사와 세계 Vol.- No.47

        황희는 재상직을 탁월하게 수행하여 세종에게 수많은 업적을 남기도록 도운 인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앞선 시기에 행했던 사실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태종대에 그가 행했던 활동은 세종대에 재상직을 해내는 배경이 되었다는 점을 생각할때,이 시기의 활동은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의 역할은 태종조에서 정치적으로나 사상적으로나 유력 인물들에 비해 덜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며, 도리어 국왕의 지근거리에서 더많은 핵심적인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고려말에 과거에 급제했는데, 조선 건국 직후에는 관직생활이 그리 평탄치 못하다가 태종이 즉위하고 박석명의 추천을 받으면서 태종이 행한 정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지신사 임명 후에는 외척세력 제거를 비롯한 공신세력 견제에 크게 공헌하였고, 승진하여 육조의 여러 판서직을 수행하면서는 각종 제도나 법령을 제정하는데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지신사 시절부터 판서 시절에 이르기까지 태종과 매일같이 면대하여 정사를 논할 정도로 친밀하였으나 양녕대군을 지지한 탓으로 조정에서 퇴출되었는데, 태종이 그를 퇴출하면서 구구절절하게 이유를 드는 모습은 태종이 그를 얼마나 신임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태종이 그를 한가족처럼 여기고 양육하다시피 했다는 발언을 볼때. 그는 처음부터 태종에 의해 철저하게 키워지고 길러진 관료였고 태종의 공신세력 견제 및 국정운영을 위해 크게 쓰여진 인물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면모는 황희에 대한 이전의 시각과는 다르게 바라 보아야 할 필요성을 가지게 한다. It is widely known that Hwang Hee(黃喜) excellently carried out the job of prime minister and help King Sejong(世宗)’ remained lot’s of achievement, but unknown the fact of his actually works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太宗). It is necessary to see carefully his activity on that time, because that works came to background of his activities as prime minister.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太宗), It seems that his role of politics and political idea is not short as compared with influential people, and that accompanied more important roles within easier distance between him and the King on the contrary.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last period of Koryo Dynasty(高麗), was not going very well in life of government service immediatelt after begin of Choson Dynasty. But Taejong’s acceding to the throne and Park Suk-Myoung(朴錫命)’s recommendation, He began to accompany the important role of Taejong’s reign. After appoint Chief of Presidential Secretary(知申事) he contributed to restrain meritorious retainer(功臣)’s power including removal of maternal relative influence, after moving up Minister(判書) he remained much excellent achievement for establishing laws and social system. During Almost time of the reign of King Taejong(太宗), he was on intimate terms with King so much as to talk about political issue meeting face to face everyday. But the King expelled him from political circles in the last time of throne, becase He supported YangNyoungDaeGun(讓寧大君) as the Crown Prine(世子). That time his being leaved, the King especially gave a suitable reason. Hereby we can see how much King Taejong trust him. Seeing Taejong’s comment that considered him as one of same family and bring him up, Hwang Hee was the person growed thoroughly from the beginning and employed for restraining meritorious retainer(功臣)’s power and administrating state affairs by King Taejong. This point make us take different sight about Hwang H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