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구활동의 요건과 탐구활동의 실제 - 품사 단원을 대상으로

        안윤주(Ahn, Yun-ju),신승용(Shin, Seung-yong) 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79

        본고에서는 탐구활동의 요건에 대해 고찰하였다. 어떤 활동을 탐구활동이라고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가지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직관(내재화된 문법 지식)을 활성화할 수 있는 활동이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가 스스로 예를 찾는 활동이 있어야 한다. 셋째, 왜 그 예를 찾게 되었는지에 대해 즉, 활성화한 직관을 표현할 수 있는 활동을 포함해야 한다. 이 요건을 기준으로 2015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품사 단원 용언의 학습활동을 대상으로 이들 학습활동이 탐구활동으로 적절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미 지식을 알고 있어야만 수행할 수 있는 학습활동, 단순히 지식을 적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학습활동, 주어진 보기대로 단순히 따라하기만 하면 되는 학습활동이 많았다. 이러한 유형의 학습활동은 탐구활동과는 거리가 있음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탐구활동을 통해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considered what the requirements for inquiry activities are. In order for an activity to be considered an inquiry activity, at least three conditions must be met. First, it must be an activity that can activate intuition(internalized grammatical knowledge). Second, there should be an activity for learners to find examples on their own. Third, it should include activities that can express the reason for finding the example, that is, the activated intuition. Based on this requirement, we analyzed whether the learning activities of Gugeo textbook in the 2015 curriculum were appropriate as inquiry activities.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learning activity of verbs in the part-of-speech unit. There were activities to simply ask knowledge, to simply apply knowledge, and to follow the given examples. These activities cannot be called inquiry activities. Based on this analysis, we presented the actual class of classifying verbs and adjectives through inquiry activities.

      •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최우수,조형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아가 탐구능력, 창의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제적인 교육 방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G유치원 만 5세 유아 52명(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6 명)이다. 실험처치 기간은 2014년 9월 1일부터 10월 17일까지 7주간이며, 주 2회씩 대집단으로 과학 탐구활동을 경험한 후 노래를 선정하여 과학 탐구 활동의 확장활동으로 노랫말을 바꾸어 부르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이경민(2000)이 개발한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와 전경원(2005)이 개발한 학지사 심리검사 연구소의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 1999년 개정판)’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연구 자료는 SPSS 22.0 for Windows 32-bit 프로그램으로 t검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과학적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탐구활동에 나타난 공학 설계 과정 요소 분석

        한화정 ( Han Hwa-jung ),심규철 ( Shim Kew-cheo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 탐구실험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 중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을 대상으로 각 탐구활동에서 반영하고 있는 공학 설계 과정 요소와 공학 설계 과정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의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대상으로 문제정의, 정보수집, 창안, 구현, 평가, 재설계 등과 같은 공학 설계 과정 요소를 활용하고 있는 탐구활동을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탐구활동의 공학 설계 과정 요소 반영 비율과 공학 설계 과정 요소가 어떤 순서로 전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43개의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이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에 제시되었으며, ‘생활 속의 과학 탐구’와‘첨단 과학 탐구’영역에서 대부분의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 활동을 다루고 있었다.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은 문제정의, 정보수집, 창안, 평가를 비슷한 비중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구현과 재설계는 활용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었다.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의 공학 설계 전개 방식 유형은 총 15개의 유형이 확인되었으며, 정보 수집, 문제정의, 창안, 평가 순서로 전개되는 방식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43개의 탐구활동 중 공학 설계 과정 요소를 모두 활용한 탐구활동은 10개였다. 아울러 공학 설계 전개 방식 유형은 정보수집의 순서와 목적에 따라 4가지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는데, 문제정의 전에 정보수집을 먼저 실시하여 문제를 구체적으로 명료화하는데 필요한 과학 지식, 기술 지식 등과 같은 문제와 관련된 배경 지식 등을 수집하도록 공학 설계 과정이 전개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생들에게 구현과 재설계를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공학 설계 과정 요소들을 빠짐없이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도울 수 있는 안내와 지도 방안의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reflected in each inquiry activity and the ways that such a process develops in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textbook under the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of 2015.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extracted inquiry activities based on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such as defining the problem, collecting information, generating the solution, implementing the best solution, evaluating the solution, and redesign from the inquiry activities of seven different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textbooks. These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he percentage of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reflected and the order of engineering design process elements. The findings show that total 43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were found in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textbooks. Most of such activities were covered in the areas of “Scientific Inquiries in Everyday Life” and “Advanced Scientific Inquiries.” The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utilized defining the problem, collecting information, generating the solution, and evaluating the solution in similar relative importance, but the utilization of implementing the best solution and redesign was relatively poor. There were total 15 types of developing an engineering design in these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m followed the order of collecting information, defining the problem, generating the solution, and evaluating the solution. Of the 43 inquiry activities, ten made use of all the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 addition, the types of developing an engineering design were categorized into four according to order and purpose of information collecting.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would develop in the highest frequency in a way that background knowledge was collected related to the issue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knowledge needed to clarify a problem specifically with information collection before problem definition. These findings imply a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have full experiences with implementing the best solution and redesign and prepare guidance and instruction plans to promote their diverse utilization of all the various elements i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 KCI등재후보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및 과학적 태도 분석

        김창건 ( Chang Geon Kim ),고용철 ( Young Chul Ko ),이상칠 ( Sang Chil Lee ),강동식 ( Dong Shik Ka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적인 야외탐구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과학적 태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2년 7월 3박 4일간 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주관으로 운영한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에 참여한 50명의 중학생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야외탐구활동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를 조사했고, 기존 야외탐구활동 경험이 있는 집단과 야외탐구활동 경험이 없는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에 대한 흥미도를 조사한 결과 야외탐구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 집단의 평균 점수가 경험이 없는 학생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t-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과 교실수업과의 관계에 대해 야외탐구 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야외탐구 활동의 가치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을 통한 과학적 태도에서는 야외탐구활동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과학적 태도 영역별 검사에서는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은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 중 적극성, 솔직성, 준비성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scientific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for three nights and four days in July, 2012, which were run by Jeju National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and attitudes of the students in relation to inquiry-based field activities were examin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a group with a prior experience of field inquiry activitiesi and a group with no experience of field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n the students` interest in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the group with an experience of ifield inquiry activities exhibit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the group with no such experience. A t-test confirmed that the abov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and classroom teaching, the students with an experience of field inquiry activities were revealed to recognize the value of field inquiry activities more highly than the students with no such experience. In terms of scientific attitudes according to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 with an experience of field inquiry activities and the group with no experience. However, through a scientific attitude test by sub-categories, the group with an experience of field inquiry activities revealed differences in terms of activeness, truthfulness, and preparedness. Therefore, the consistent operation of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 KCI등재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선미 ( Sun Mi Byun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되는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와 함께 자유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해 보고자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여학생 8개 학급 262명을 연구 대상으로 4개 학급은 자유 탐구 활동을 실시하고 4개 학급은 전통 수업을 실시하였다. 리커트 설문조사에 의하면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탐구활동을 하며 모둠별 탐구 활동과 토의 활동을 통해 협동성을 배우고 있고 자유 탐구 활동을 그다지 어렵지 않은 활동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자유 탐구 활동이 과학 공부에도 도움이 되고 흥미롭고 재미있는 활동이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자유 탐구 활동이 잘하는 1~2명에 의해 이루어진다거나 방과 후 시간 여유가 없어 모둠원이 함께 모이는 것 자체에 어려움을 겪는 등 자유 탐구 활동의 운영에 있어 문제점과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 탐구 활동은 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통합탐구능력 향상 역시 유의미한 차이의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기초탐구능력 향상에는 유의미한 차이의 영향을 주었다. 특히 기초탐구능력의 하위 요소 중 예상 능력을 향상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free inquiry activity and to investigate what effect the free inquiry activity of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has on the science inquir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conduct the research we worked with 262 female students, 8 classes of first graders in a middle school. Among them, 4 classes were taught in free inquiry activity and the remaining 4 classes were taught in the traditional way. The results of Likert-questionnaire indicate that students were learning about cooperative spirit through group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discussions and did not take the free inquiry activity as a hard activity. Also they showed positive reaction agreeing that this activity is both a helpful method in learning science and interesting. However, it seemed that the investigation tends to flow between the leading 1~2 members of the group and showed difficulty in carrying out the investigation as a group after school hours. It showed there are few problems and obstacles in operating the free inquiry activity. The free inquiry activity did not give an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cience inquiry ability of students. Integrative inquiry process skills did not give a relevant influence, however, it showe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basic inquiry process skills. Especially, among the low-ranking element of basic inquiry process skills, it enhanced the capacity for prediction.

      • KCI등재

        사회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분석

        이지현 ( Ji Hyun Yi ),이진석 ( Jinseok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4

        교과서는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다양한 자료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교재이다. 사회 교과서 내의 탐구활동은 7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강조되고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창의적 사고력 함양’을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실려 있는 탐구활동을 비교·분석하여 사회 교과서 탐구활동의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크게 탐구활동의 빈도와 탐구활동의 내용 구성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내용 구성은 제시 자료 형태, 자료 유형, 발문 수준에 따라 탐구활동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탐구활동의 빈도는 일본의 사회 교과서에 비해 한국의 사회 교과서에 탐구활동이 더 빈번하게 등장했다는 점은 긍정적 의미가 있다고 본다. 다음으로 제시 자료 형태에 따른 탐구활동 분석 결과를 보면, 한국의 탐구활동은 그림보다는 사진을 더 많이 제시하고 있는데 비해 일본의 경우에는 사진보다는 그림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자료 유형에 따른 탐구활동의 분석 결과는 한국은 자료 비교·분석형, 학습내용 확인형, 의사결정형과 문제해결형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본은 의사결정형, 학생활동형, 자료비교·분석형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교과서의 탐구활동은 내용이 본문 학습의 연장선상에서 단순한 결과만을 유도하거나 본문의 자료를 바탕으로 비교하는 문제가 많고, 일본 교과서는 자신의 입장을 정리하고 토론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는 유형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발문의 수준에 따른 탐구활동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 교과서는 폐쇄적 발문이 개연적 발문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본 교과서는 개연적 발문이 폐쇄적 발문의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한국과 일본의 사회교과서 비교분석 결과는 한국의 사회 교과서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활동에서 의사결정력과 학생활동형의 비중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문자자료와 함께 시각적 자료를 통해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한편, 본문 내용을 새로운 측면에서 해석하도록 유도하는 탐구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다. 끝으로, 한국의 사회 교과서 탐구활동은 전체적으로 폐쇄적 발문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개연적 발문으로 고차적 사고와 탐구기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탐구활동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7th national curriculum focus on self directed exploratory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was revised in 2009 to expand the area of ‘inquiry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inquiry activities corresponds with the intent of self-directed learning have been reflected properly in Korean and Japanese social studies textbooks.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analyzed under four criter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inquiry activities were presented more frequently in Korean textbooks. Second, both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had more portions of complex material than text material. But while Korean textbooks had many entries of photographs, illustrations were found in Japanese textbooks. Third, learning content verification and comparison analysis questions accounted for 51.8% in Korean textbooks. However, decision making questions accounted for 45.9% in Japanese textbooks. Fourth, a systematic analysis of adjunctive questioning in Korean textbooks showed that low standard questions consisted of closed questions for students`` content recollection and convergent thinking which made up 71.4% of the total questions. However, in Japanese textbooks open questions accounted for 58.1% of the total questions. The analysis on the inquiry activities suggests: tasks giving much room for various ways of thoughts through content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Discussion activitie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not only small in numbers but also insufficient in quality. The discussion questions tend to simply confirm ideas in the main text rather than discuss and apply these ideas in real terms. Therefore, improvements are needed both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for inquiry activities to promote cognitive development which is one of the goals of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Ⅰ 및 화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개방성 및 활동 유형 분석

        정도준 ( Dojun Ju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4 현장과학교육 Vol.18 No.2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Ⅰ 및 화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탐구적 성향을 알아보고, 탐구활동 실행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교육과정에 제시된 필수 탐구활동을 탐구활동의 개방성 및 활동 유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Ⅰ 및 화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탐구적 성향은 대부분 유사하게 나타났다. 탐구활동의 개방성은 탐구 문제 및 탐구 절차가 모두 제시된 유형이 대부분이었으며, 탐구 문제나 탐구 절차를 학생들이 설계해 보는 활동은 드물었다. 탐구활동의 활동 유형은 수공적 활동 유형, 사고 활동 유형, 탐구활동 전 논의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탐구활동의 수공적 활동은 주로 탐구를 절차대로 수행하거나 관찰 또는 탐구 후 해당 내용을 표현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사고 유형은 과학적 용어를 사용하여 관찰 사실을 기록하는 형태였다. 탐구활동 전 논의는 주로 탐구와 관련된 개념이나 이론에 대해 논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빈도는 낮았다. 따라서 탐구의 본성을 강조한 과학 학습의 실현을 위해 교사는 교과서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탐구적 성향을 높이기 위한 교과서 재구성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tendencies of the practical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Chemistry(Ⅰ) and Chemisty(Ⅱ) textbook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essential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2015 revised curriculum in terms of openness and types of inquiry activities. As a result, most of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textbooks showed similar patterns. The openness of the inquiry activities was mostly of the type where both inquiry problems and processes were presented, activities requiring the design of inquiry problems and processes were rare.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into the types of hands-on contents, minds-on contents, and argumentation before activities. Hands-on inquiry activities involved conducting inquiry according to procedures or expressing relevant content after observation or investigation. Minds-on contents involved recording observations using scientific terms. It was found that argumentation before inquiry activities mainly discussed concepts, theories, and aspects of scientific inquiry, but there were not prevalent. Therefore, teachers will need to make efforts to reconstruct textbooks to enahnce the inquiry tendency of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along with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extbooks.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및 대안 모색 -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을 중심으로 -

        지모선 한국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연구 Vol.- No.16

        In this study, inquiry activities was suggested by observing its constitution and problem of Chapter 6 based on background on which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that was edited and published according to revised curriculum of 2009 was initiated. From the start, contents of 'Korean History' textbook of high school of which subject was changed from previous subject of 'History' was improvis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and initiated with involving controversial problems from its writing to verification. As an analysis result of inquiry activities, a method comprising inquiry tasks based on one kind of data was represented most frequently and all the three publishers who followed such method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In case that only one data was suggested, all the three publishers' editing rate of textbook based on words only was dominant compared with total rate and even in case of combination of two elements, frequency of 'words+photos' combination was represented to be high. This means that most of the learning is progressed through learning method of 'just reading' only and textbook of Korean History is highly likely to be recognized as a boring textbook by the students. Therefore, in inquiry activities, utilization of visual data is required to be enhanced by composing textbook in a diversified combin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by classifying the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of textbook based on its intention and postscript, it could be confirmed that it focused on inquiry-oriented learning type among the methods of enhancing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we may find its problem in that it lacks conceptual hierarchy between integrity of inquiry activities itself and activities that is required to be performed by learners. Therefore, as could be seen through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a method of being able to enhance thinking ability eventually while increasing level of understanding for the learning topics being suggested in curriculum is required to be explored. Therefore, a method of reconstitution as a 'set type inquiry activities' in a sequential or structured form fit for systematic, hierarchial development is judged to be effective. SOLO taxonomy is considered to be implicative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fit for developing a set type inquiry activities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출판된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가 탄생된 배경과, 6단원을 중심으로 탐구활동의 구성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탐구활동을 제시하여보았다.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는『역사』과목이 바뀐 것으로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급조되어 집필부터 검정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며 탄생되었다. 탐구활동을 분석한 결과 한 종류의 자료를 바탕으로 탐구 과제를 구성하는 방식이 가장 빈도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세 출판사 모두 절반 이상 차지하고 있다. 단일 자료를 제시하는 경우, 세 출판사 모두 글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이 전체 비율 대비 압도적이며, 두 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글+사진’의 조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읽는 것’만을 통해 대부분의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자칫 학습자들에게 한국사 교과서는 어렵고 지루한 책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탐구활동에 있어서 시각자료의 활용을 높이고,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교과서의 탐구활동의 그 의도와 발문을 기준으로 내용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역사적 사고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탐구력 신장형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탐구활동 자체의 완결성, 학습자들이 수행해야 할 활동들 간의 위계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탐구활동 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교육과정상에 제시된 학습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의 탐색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체계적, 위계적 전개에 적합한 순차적 형태나 구조화된 형식의 ‘세트형 탐구활동’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세트형 탐구활동을 개발하기 위해서 적합한 구성 원리는 SOLO 분류법이 시사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SOLO 분류법을 기반을 두어 ‘탐구력 신장형’과 ‘역사 인식 심화형’을 결합한 탐구활동을 제시하였다. 재구성한 사례들은 학습자들이 활동 단계를 수행하면서 SOLO 분류법의 단일 구조화 단계→ 다중 구조화 단계 → 관계화 단계 → 일반화 확장 단계의 과정을 거치고, 그로 인하여 역사적 사고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 KCI등재후보

        읽기역량 계발을 위한 초등학교 읽기탐구활동 탐색

        박수자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1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reading inquiry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reading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by utilizing inquiry activities used as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al methods in the competencies curriculum pursued as a global educational trend. To this en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composition of reading inquiry activities was review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in subject units a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quiry and questioning, and explored cases of restructuring or reconstructing read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Korean textbook for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were studied. As a result of theoretical exploration of previous studies,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that fit the subject characteristics for each subject are classified, and reflective considerations are made on whether or not they are reflected in textbooks. Inquiry and question were closely linked in backward design, IB curriculum, inquiry-based learning, etc. In this context, in order to develop reading competencies in Korean language subjects, the principle of developing reading inquiry activities was derived, and among the units of the 2015 revised Korean textbook for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t was reconstructed as a case of reading inquiry activities targeting practical learning. Such case studies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shared a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s a kind of toolkit that can be immediately used in clas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the case of reconstructing reading inquiry activities targeting reading activitie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for developing and reconstructing reading inquiry activitie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or Korean language class design. 이 연구는 세계적 교육흐름으로서 역량교육과정이 역량 계발 교육방법으로 주목하는 탐구활동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국어과 읽기역량 계발을 위한 읽기탐구활동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 단위 탐구활동 유형에 관해 고찰하고 탐구활동과 학습자 질문 생성의 관계를 검토하여 읽기탐구활동 구성에 대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2015 개정 초등학교 고학년 국어교과서에 제시된 읽기활동을 역량교육과정의 구현과 탐구활동 반영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읽기탐구활동으로 재구성하는 사례를 탐구하였다. 선행 연구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결과, 교과 별로 교과 특성에 부합하는 탐구활동 유형을 분류하고 교과서 반영 여부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백워드 설계나 IB교육과정, 탐구기반학습 등에서 탐구활동과 학습자의 질문 생성이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었다. 이론적 탐색을 토대로 국어 교과에서 읽기역량 계발에 적합한 읽기탐구활동의 개발 원리를 도출하고, 2015 개정 초등학교 고학년 국어교과서 단원 중 실천학습을 대상으로 읽기탐구활동 사례로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사례 탐구는 수업에서 즉시 사용가능한 툴킷(toolkit) 제작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에도 이와 같은 사례 탐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교수학습자료로서 지속적으로 공유되어야 한다.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제시된 읽기활동을 대상으로 읽기탐구활동 재구성 사례에 대해 탐구하는 것은 향후 국어교과서 개발이나 국어수업설계에서 읽기탐구활동을 개발하고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물리 영역 탐구 활동의 특징 비교

        정하나 ( Ha Na Jung ),전영석 ( Young Seok Jhu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을 물리 영역 중심으로 비교하여 그 특징을 찾고, 교과서 및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탐구 활동의 특징 비교를 위해 탐구 활동 수, 탐구 과정 요소, 탐구 목적, 탐구 과제의 개방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이봉우(2005) 의 탐구 과정 요소 분석 틀과 Millar 등(1998)의 탐구활동 분석틀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탐구 활동 수가 싱가포르에 비해 1.5배 가량 많았으나 주당 과학 수업 시간은 같거나 싱가포르가 조금 더 많았다. 탐구 과정 요소를 비교해 본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기초 탐구 과정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고 싱가포르는 기초 탐구 과정과 통합 탐구 과정이 거의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5~6학년의 경우 싱가포르는 통합 탐구 과정의 비율이 더 높았다. 탐구 활동 목적을 분석해 본 결과 우리나라는 내용 중심적인 활동이 많았고 싱가포르는 내용 학습과 과정 학습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용 학습 중``변인이나 개념 사이의 관계를 학습하는 것``에서는 싱가포르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우리나라도 과정 학습 중``의사소통 학습하기``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하지만 교과서의 의사소통 활동이 실제 의사소통의 목적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정리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아닌지 조심스레 의문을 던져 본다. 탐구 활동 과제 개방성을 비교한 결과``문제인식``은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모두 교사에 의해 이루어져 개방성이 낮은 것으로나타났다. ``실험 과정``, ``결과 해석``의 개방성은 싱가포르에서 높았고``사용할 실험장치``, ``데이터를 다루는방법``에서는 우리나라의 개방성이 높았다. 우리나라는재료나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법은 자율성을 주지만 실험과정이나 결과 해석은 주로 교사 주도로 이루어지고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시사하는 점은 첫 째, 탐구활동수를 줄여 핵심적인 내용으로 적정화 하는 것이다. 둘째, 기초 탐구와 통합 탐구의 균형을 추구하되 고학년은 통합 탐구 과정 요소를 늘리는 것이다. 셋째, 탐구활동의 목적을 내용 학습과 과정 학습의 균형을 이루되내용 학습에선 단순한 사실·개념 전달보다는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마련하고 과정 학습에선 실제적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탐구 활동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실험 과정``과``결과 해석``의 개방성을 높여 요리책 식의 과학책에서 탈피하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 of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Kore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The modified framework of Lee(2005) and Millar et al.(1998) was used to compare inquiry activities in the Korean and Singaporean science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Korean text books have more activities than Singapore`s, but both countries have similar time allotment for science classes. In the area of ``inquiry process skill``, Singapore is more balanced in ``Basic inquiry process skills`` and ``Integrated inquiry process skills`` than Korea. Singapore`s integrated inquiry rate is also higher than Korea`s. Next the results of comparing leaning objectives to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shows that Korean text books tend to focus on ``contents objectives``, while Singapore`s text books focus on balancing ``contents objectives`` and ``process objectives``. Korean science textbooks encourage students to communicate the results of experiments but in most case these communication activities are actually not performed. Lastly Korea and Singapore have low degree of openness in inquiry activities. Remarkably ``Suggest questions`` are totally conducted by teachers. This study implies that Korean science textbooks should have lower amounts of inquiry activities to accomodate enough time for communication about results. Next we need to make balance not only ``Basic inquiry process skills`` and ``Integrated inquiry process skills`` but also ``Content objectives`` and ``Process objectives``. Lastly we need to make student to be the leader in science classes through encouraging them to plan procedures for experiments and to discover results by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