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료 섭취와 구내 pH 변화의 관련성 분석

        정영혜,이동은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6

        본 논문은 음료 섭취 후 시간의 변화에 따른 구내 pH 변화 정도를 측정하고, 타액분비량과 타액완충능 등 다양한 요인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 실험 연구이다. 실험의 재료로 선별된 음료를 섭취한 직후, 섭취 후 1분, 그리고 5분이 지났을 때의 구내 pH의 변화량을 측정하였고, 대상자들의 타액분비량, 타액완충능, 구강위생 및 식이 습관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초기 구내 pH는 평균 약 6.8±0.3으로, 모든 대상자의 수치는 정상 범위에 속해있었다. 산도가 낮은 음료인 콜라와 오렌지주스를 섭취하는 경우, 섭취 직후 구내 pH가 감소 하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pH의 회복에는 타액분비량과 타액완충능이 관여하 였다. 구내 pH 변화는 섭취한 음료의 종류에 따라 달랐으며, pH 회복량은 개인의 타액분비량과 타액완충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This article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measures the pH change in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beverage consumption. The pH in oral cavity was measured at 3 time point (Immediately, 1 min after, and 5 min after).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pH change and other factors such as saliva secretion, saliva buffer, oral hygiene and dietary habits. Initial intra-oral pH was 6.8±0.3 and all data were in the normal range. When drinking coke and orange juice, the intra-oral pH decreased and recovered over time, and saliva secretion and saliva buffering ability were involved in the recovery of pH. pH chang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s, and the pH recovery amount differ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saliva secretion and buffering capacity.

      • KCI등재

        CARIES-RELATED MICROBIOLOGICAL SCREENING IN CHILDREN UNDER THREE YEARS OF AGE

        박재홍,이긍호,Park, Jae-Hong,Lee, Keung-Ho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4

        3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구강 내 미생물과 타액완충능이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87명의 어린이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치태와 자극성타액을 각각 면봉과 면구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0.94%의 lactic acid를 타액 표본에 첨가하기 전과 후의 pH를 각각 측정하였고 타액표본을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선택배지와 비선택배지에 접종하였다. Mutans streptococci (MS), lactobacilli (LB), total viable count (TVC)의 집락수와 타액의 pH와 완충능을 어린이의 치아우식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극성타액과 치태 모두에서 MS와 LB가 치아우식증과 높은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2. 치아우식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미생물의 집락수는 다음과 같았다. 1) 자극성 타액 1 ml당 MS 집락수가 $10^5$ 이상 2) 치태 1 ml당 MS 집락수가 $2{\times}10^5$ 이상 3) 자극성타액 1 ml당 LB 집락수가 $10^3$ 이상 4) 치태 1 ml당 LB 집락수가 $10^3$ 이상 3. 타액의 pH와 완충능은 유아기우식증과 관련이 없었다. 4. MS 검사는 LB 검사 보다 높은 예측치 (predictive value)와 교차비 (odds ratio)를 보였다. 5. MS 집락수는 어린이에 있어서 치아우식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믿을만한 미생물학적 검사로 일반적인 세균배양법을 이용하거나 상품화된 검사기구를 이용하여 쉽게 임상에 적용할 수 있다. To evaluate microbial data and salivary measurements from clinically compatible, culture-based screening procedures employed with children younger than 36 months old. Plaque and stimulated saliva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87 children. The pH of each saliva sampl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0.94% lactic acid was added. Specimens were diluted and plated on selective media and non-selective media. Data collected were counts of mutans streptococci (MS) and lactobacilli (LB). In addition, total viable counts (TVC) of specimens, salivary pH and buffering capacity were also assessed. Each variable was compared to caries status of subject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aries rates were found for counts of MS and LB. 2. The specific counts/ml saliva or plaque above which caries is predicted, or below which caries is not predicted were as follows: 1) Saliva MS; $10^5$ 2) Plaque MS; $2{\times}10^5$ 3) Saliva LB; $10^3$ 4) Plaque LB; $10^3$. 3. Salivary pH and buffering capacity versus caries status were not significant. 4. Microbial screening methods based on mutans streptococci had higher predictive values and odds ratios than methods for lactobacilli. 5. MS counts were clearly the best indicators of caries status in young children. This measurement can easily be obtained in a dental clinical setting both by conventional culture techniques, or commercial kits for MS recovery.

      • KCI등재
      • KCI등재

        녹차음용이 아동의 치아우식발생에 미치는 영향

        이은정 ( Eun Jung Lee ),이정옥 ( Jeong Ock Lee ),배광학 ( Kwang Hak Bae ),진보형 ( Bo Hyoung Jin ),백대일 ( Dai Il Paik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1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5 No.4

        연구목적. 우리나라 국민의 우식발생을 억제시킬 목적으로 녹차폴리페놀의 우식예방효과를 구강내우식원세균수 변화와 구강내완충능 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하여, 녹차의 우식예방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식발생가능성이 높은 연령대의 집단을 대상으로 녹차가 아동의 치아우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서울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4학년 25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군(n=131)에게 아침 등교 후와 점심식사 후 매일 2회 신선한 녹차를 12개월 동안 마시도록 하였고 대조군(n=97)은 녹차를 마시지 않도록 하였다. 세계보건기구의 기준에 따라 연구시작시점과 6, 12개월 후의 우식경험영구치아를 조사 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자극성타액을 수집하여 구강 내 S. mutans수와 Lactobacillus 수 및 타액완충능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우식경험영구치아수는 녹차비음용군보다 녹차음용군에서 둔화되었고(p=0.8065) S. mutans는 녹차음용군에서 녹차비음용군보다 감소하였다(p=0.0031). Lactobacillus는 녹차음용군과 녹차비음용군 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006), 타액완충능은 녹차음용군에서 녹차비음용군보다 증가하였다(p<0.0001). 결론. 녹차 음용에 의해 구강 내 S. mutans수의 증가가 억제되고 타액 완충능이 증가 되는 양상을 보이므로, 우식발생 가능성이 높은 집단에서의 녹차음용법은 구강건강을 증진시키는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되었다.

      • KCI등재

        Caries-related Microbiological Screening in Children under Three Years of Age

        Park, Jae-Hong,Lee, Keung-Ho 大韓小兒齒科學會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4

        3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구강 내 미생물과 타액완충능이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87명의 어린이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치태와 자극성타액을 각각 면봉과 면구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0.94%의 lactic acid를 타액 표본에 첨가하기 전과 후의 pH를 각각 측정하였고 타액표본을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선택배지와 비선택배지에 접종하였다. Mutans streptococci (MS), lactobacilli (LB), total viable count (TVC)의 집락수와 타액의 pH와 완충능을 어린이의 치아우식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극성타액과 치태 모두에서 MS 와 LB 가 치아우식증과 높은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2. 치아우식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미생물의 집락수는 다음과 같았다. 1) 자극성타액 1 ml 당 MS 집락수가 10^5 이상 2) 치태 1 ml 당 MS 집락수가 2×10^5 이상 3) 자극성타액 1 ml 당 LB 집락수가 10^3 이상 4) 치태 1 ml 당 LB 집락수가 10^3 이상 3. 타액의 pH와 완충능은 유아기우식증과 관련이 없었다. 4. MS 검사는 LB 검사 보다 높은 예측치 (predictive value)와 교차비 (odds ratio)를 보였다. 5. MS 집락수는 어린이에 있어서 치아우식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믿을만한 미생물학적 검사로 일반적인 세균배양법을 이용하거나 상품화된 검사기구를 이용하여 쉽게 임상에 적용할 수 있다. To evaluate microbial data and salivary measurements from clinically compatible, culture-based screening procedures employed with children younger than 36 months old. Plaque and stimulated saliva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87 children. The pH of each saliva sampl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0.94% lactic acid was added. Specimens were diluted and plated on selective media and non-selective media. Data collected were counts of mutans streptococci (MS) and lactobacilli (LB). In addition, total viable counts (TVC) of specimens, salivary pH and buffering capacity were also assessed. Each variable was compared to caries status of subject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aries rates were found for counts of MS and LB. 2. The specific counts/ml saliva of plaque above which caries is predicted, or below which caries is not predicted were as follows: 1) Saliva MS; 10^5 2) Plaque MS; 2×10^5 3) Saliva LB; 10^3 4) Plaque LB; 10^3 3. Salivary pH and buffering capacity versus caries status were significant. 4. Microbial screening methods based on mutans streptococci had higher predictive values and odds ratios than methods for lactobacilli. 5. MS counts were clearly the best indicators of caries status in young children. This measurement can easily be obtained in a dental clinical setting both by conventional culture techniques, or commercial kits for MS reco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