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에르케고르의 절망의 형태와 삶의 단계의 상응에 관한 연구

        임규정(Im Gyu-Jeong)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5 No.-

        이 글은 키에르케고르의 실존 단계와 절망의 형태의 대응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키에르케고르의 철학적 심리학의 주제는 절망과 불안이다. 키에르케고르는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다루었고, 불안은 『불안의 개념』에서 다루었다. 키에르케고르는 절망과 불안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을 통해서 인간 실존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키에르케고르의 인간 이해를 위해 먼저 그의 절망 개념을 주로 다루고, 불안에 관해서는 절망의 이해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선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논구하고자 한다. 절망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물론 『죽음에 이르는 병』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의 방법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지만, 추상적인 이해에 그칠 염려가 있다. 왜냐하면 키에르케고르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필연성과 가능성과 같은 서로 대립되는 요소로 구성되는 자기의 존재론적 틀을 통해서 절망의 여러 형태를 추상적으로 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절망에 대한 이런 추상적 설명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것이냐 저것이냐』, 『두려움과 떨림』 등과 같은 저서들에 나오는 여러 실존의 양상들과 절망의 형태를 대비하면서 논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절망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언뜻 보기에 관련이 없는 듯이 보이는 키에르케고르의 여러 저서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논자는 절망의 형태와 실존 단계에 대한 키에르케고르의 이해를 밝히고자 한다.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Kierkegaard’s existential stages and the forms of despair. the subjects of Kierkegaard’s philosophical psychology are despair and anxiety. He studies the forms of despair in Sickness Unto Death, and anxiety in The Concept of Anxiety. He seeks to elucidate the human existence by way of the psychological inquiry on despair and anxiety. I will primarily study Kierkegaard’s concept of despair in order to make out his understanding of human existence and, then, inquire into his concept of anxiety supplementarily. Until now, many studies on Kierkegaard’s concept of despair have been carried out mainly focusing on his Sickness Unto Death. Of course, those studies focusing on his Sickness Unto Death are meaningful in a sense, but have a limit of abstract understanding, since Kierkegaard argues many forms of despair abstractly through the ontological form of the self which is constituted by the opposing constituents such as necessity and possibility. In order to understand his abstract explanation about despair, I think, we have to compare various modes of existence and the forms of despair which are portrayed in Either/Or and Fear and Trembling. Therefore, I will enquire into his seemingly unrelated works synthetically and elucidate his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 of the forms of despair and the stages of existence.

      • KCI등재

        김수영의 「반시론」에 나타난 키에르케고르 아이러니의 영향

        이미순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9

        본고에서는 김수영이 「반시론」에서 언급한 ‘반어’가 키에르케고르 아이러니에 연원을 둔 개념으로 보고, 「반시론」에 드러난 키에르케고르 아이러니의 영향을 구체적 으로 고찰하였다. 김수영은 「반시론」을 쓰기 이전에도 키에르케고르를 전위적 불온성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키에르케고르 이론을 광범위하게 수용하였다. 특히 아이러니와 관련하여, 키에르케고르 아이러니의 특징인 ‘긴장’의 원리로 아이러니를 이해하고, 실존의 아이러니, 현대성의 아이러니 등을 거론하였다. 「반시론」에서는 현대 사회의 실존을 아이러니로 표현하였고, 아이러니를 통해 진정한 주체성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또한 실존의 아이러니로 위장을 활용하였는데, 이것은 주체성을 세우기 위해 위장을 택한 키에르케고르를 닮아 있었다. 김수영은 「반시론」을 제출하면서 하이데거의 릴케론으로 대표되는 당대의 서정시 이론을 부정하고 ‘반어적인 릴케’를 내세웠다. 「미인」을 비평하면서도 현실성과 가능성의 긴장 가운데 새로운 의미를 산출하는 키에르케고르 아이러니를 활용하였다. 「반시론」에서는 하나의 문장 속에, 한 사건의 이야기 속에, 나아가 글 전체에 걸쳐 부정성의 아이러니가 이어졌다. 「반시론」은 그 자체로 아이러니 글쓰기에 해당하는데, 이것은 키에르케고르 아이러니의 무한한 절대적 부정성의 원리를 따른 것이었다. Kim Soo-young's reference to "An Essay on Anti-Poetry" was viewed as a concept rooted in the Kierkegaard’ irony. Kim Soo-young has been widely affected by Kierkegaard's theory. Even in pre-written writings of "An Essay on Anti-Poetry", he already looked at Sören Kierkegaard from the perspective of avant-garde and noted the irony of existence. He then discussed the irony around the principle of "tension," and mentioned the irony of modernity. In "An Essay on Anti-Poetry", Kim Soo-young embraces the Kierkegaard’ irony in earnest. Here, the irony of subjectivity, the irony of actuality, and the irony of infinite absolute negativity were utilized in many ways. Kim Soo-young expressed the existence of modern society through irony in "An Essay on Anti-Poetry", which was revealed with emotional reaction. Like Sören Kierkegaard, he secretly submitted his own poetics, hiding himself in the theories of many critics. Kim Soo-young's use of the trick resembled Sören Kierkegaard, who chose to disguise himself to establish his own subjectivity. Kim Soo-young denied the theory of lyric poetry which is represented by Martin Heidegger's poetics on Rainer Maria Lilke, and interpreted it on his own way. Kim Soo-young presented a 'the ironical Lilke' in accordance with Kierkegaard's irony. Kim Soo-young introduced the irony of absolute negativity. In "An Essay on Anti-Poetry", the irony of negativity ensued in one sentence, in a story of an event, and even throughout the writing. "An Essay on Anti-Poetry" was in itself equivalent to the writing of irony.

      • KCI등재후보

        키에르케고르와 하이데거 - 실존개념의 비교 -

        강학순 ( Kang Hak Soo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9 기독교철학 Vol.28 No.-

        실존 망각과 존재 상실을 앞서 목격한 키에르케고르와 하이데거는 ‘실존’의 문제가 철학함의 가장 화급한(not-wendig) 문제라는 데 인식을 같이한다. 실존이란 인간만의 고유한 존재방식이다. 그들은 공히 소유와 향락으로 내모는 세상에서 우리는 대개 감각적 실존에 매몰되어 있음을 경고하면서 참다운 실존을 묻는다. 이 물음을 통해 ‘나의 마음’ 혹은 ‘자기 존재’가 속하여야 할 근원 및 그것이 깃들어야 할 처소를 찾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일상에서의 평균적 ‘생존’으로부터 고유한 ‘실존’에로의 길의 모색이다. 키에르케고르와 하이데거의 철학의 초점을 이루며 모든 이론적 연관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것이 실존개념이다. 본고에서는 실존개념을 중심으로 키에르케고르와 하이데거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양자는 시대정신과의 불화 속에서 군중의 일원으로 전락한 개인의 실존 망각과 ‘세상 사람’(das Man)으로 퇴락한 개인의 존재 상실을 사유의 과제로 삼는다. 이것은 학문의 고향을 잃고서 사변적인 관념론 철학과 인식론 중심의 주관주의 철학, 생철학 및 실증주의로 치달은 당대의 주류 철학에 대한 사상적 저항과 봉기를 의미한다. 여기서는 1. 시대정신과의 불화: 영혼에 대한 염려, 2. 키에르케고르가 하이데거에 미친 영향 3. 키에르케고르와 하이데거: ‘실존이해’의 차이, 4, 키에르케고르와 하이데거에 있어서 실존개념은 양립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Kierkegaard and Heidegger, who witnessed the loss of existence and existence earlier, share the view that the issue of "existence" is the most urgent issue of philosophy. Existence is a unique way of being. They ask for the true existence of human being, warning that it is buried in sensual existence in a world that is driven by possession and pleasure. Through this question, we want to find ‘our heart’ or the source of ‘our real existence’ and the place where it should reside. These attempts are the search for a path from the average 'survival' to the unique 'real' in everyday life. The existential concept is to focus on the philosophy of Kierkegaard and Heidegger and to play the central role of all theoretical connections. We want to compare Kierkegaard and Heidegger with the concept of existence. Both make it their private tasks to forget about the existence of individuals who have become members of the crowd amid a discord with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existence of individuals who have degenerated into "das Man." This means the ideological resistance and uprisings of the mainstream philosophy of the day, which have lost its academic hometown and has been developed into subjectivism philosophy, philosophy of life and positivism centered on ideology and epistemology. This article examines: 1.discord with the Spirit of Ages: Concern for the Soul, 2. Influence of Kierkegaard on Heidegger 3 Kierkegaard and Heidegger: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of ‘existence’ 4. whether the concepts of existence are compatible with Kierkegaard and Heidegger.

      • KCI등재

        인간에게 있어서 영원성의 의미

        손상용(Son, Sang-Yo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6 No.-

        본 논문은 인간에게 있어서 영원성의 의미를 키에르케고르와 니체를 통해 밝혀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원성이란 개념적으로는 시간을 초월한 무(無)시간적인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영원성을 실존철학에 맞추어 그 의미를 해석해보려고 한다. 이러한 해석을 위해 실존철학의 선구자인 키에르케고르와 니체의 사상을 고찰할 것이다. 왜냐하면 키에르케고르와 니체의 사상에는 영원성이라는 공통요소가 발견되기 때문이다. 우선 키에르케고르의 저서 『불안의 개념』과 『죽음에 이르는 병』을 통해 그의 영원성의 의미를 밝혀본다. 그리고 니체의 저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묘사되고 있는 영원회귀 사상을 통해 그의 영원성의 의미를 밝혀볼 것이다. 키에르케고르와 니체의 영원성의 의미를 밝혀낸 후, 양자의 영원성의 의미를 시간이라는 요소를 통해 고찰할 것이다. 왜냐하면 영원은 시간이 끝없이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양자의 영원성의 의미를 비교분석하여 공통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만약 두 철학자의 영원성의 의미의 공통점이 발견된다면, 그것은 인간에게 있어서 실존적 영원성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왜냐하면 키에르케고르와 니체는 인간이 실존함이라는 것을 그들의 사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두 철학자의 영원성의 의미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무(無)의 의식인 불안, 절망 그리고 극단적 니힐리즘의 극복하는 방법을 다르게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차이점을 분석하여 양자가 인간 자신을 어떠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논의된 영원성을 바탕으로 현대인들의 모습을 고찰할 것이다. 그들에게 왜 영원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영원성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해야 이 영원성을 회복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eternity for human beings through Kierkegaard and Nietzsche. Eternity is a conceptually transcendent thing that cannot be measured by time. My aim is to analyze eternity based on existential philosophy. For this analysis, I consider Kierkegaard and Nietzsche, pioneers in existential philosophy, because eternity is a common element found in their ideas. First of all, I researched Kierkegaard’s meaning of eternity by studying his The Concept of Anxiety and The Sickness Unto Death. And I investigated Nietzsche’s meaning of eternity by examining the eternal return described in his, Thus Spoke Zarathustra. After I demonstrated the meaning of eternity for the two philosophers, I clarified the meaning of eternity for each of the philosophers by discussing time. This is because eternity seems to be endless in terms of time. Subsequently, I explicate the common grounds of the two philosophers by comparing their meanings of eternity. If a common ground is to be discovered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ideas of eternity, it is the existential eternity of human beings. This is because Kierkegaard and Nietzsche demonstrated that human beings are existence through their thoughts. However, the two philosophers’ meanings of eternity differ in their methods of overcoming the consciousness of nothingness: anxiety, despair and radical nihilism. After I examined this difference, I examined their viewpoints about the human self. Finally, I explain the form of modern human beings based on the eternity discussed until now. I analyze why humans lack eternity in themselves, what meaning eternity has for them and how they can recover eternity.

      • KCI등재

        키에르케고르의 그리스도교 진리 변증에 관한 소고

        황민효 한국조직신학회 202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0 No.-

        Korean church and its theology once had a power to lead and control society in the pseudo-Christendom stage years past. However, they have been losing their place as a position-giver and a judge in changing world of post-modernity after 1980s. A changing situation demands Church to be the marginalized community and makes the Church lost her voice. How can Christianity understandably and persuasively reclaim its place in relation to modern culture, and the secular world? In this paper, I explore Søren Kierkegaard’s apologetics on the truth of Christianity. Since, I believe, his apologetics can give precious insights to the Korean Church to become the better Church as a prophetic community. Of course, Kierkegaard is a thinker who harshly criticizes the Danish State Church. In his view, the Danish State Church, the slave of formalism and secularization, is nothing other than a false-Christianity. In criticizing the Danish State Church, he argues that the truth is not in objectivity but in subjectivity with emphasizing ‘the individual self.’ Also he states that ‘to become a Christian’ is not a matter of ‘what’ but a matter of ‘how.’ Kierkegaard is concerned not with the scientific, objective search for truth, but with the ethicoreligious relationship of the individual with the God. However, in spite of his criticism, his project is nothing other than a Christian apologetics that aims to make the church to be the true and better church in spiritual faithfulness. In order to appreciate the nature and magnitude of Søren Kierkegaard’s apologetics, this paper begins with an exploration of Søren Kierkegaard’s distinction of three stages of human existence(section II). Then, I summarize the nature of a distinction which is central to Kierkegaard’s view of what constitutes true Christianity, the distinction between Religiousness A and Religiousness Β(section III). Through these procedures, in the final chapter, I argue that Kierkegaard’s apologetics still could be a valuable reference, if we appreciate it in terms of his spirit of passion and purity. 한국교회와 신학은 지난날 유사크리스텐돔의 시기 아래에서는 사회를 인도하고 조절하는 주도적인 힘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탈근대주의 영향 아래의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교회와 신학은과거 자리지정자와 재판관으로서의 자신의 권위와 위치를 상실해왔다. 변화하는 상황은 교회를 주변 공동체가 되기를 요청하고 그 목소리를 상실하게 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어떻게 그리스도교는 현대 문화와 세속화된 세상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설득력 있게 그리고 이해할수 있도록 주장할 수 있을까? 이 논문에서 논자는 키에르키고르의 그리스도교 진리 변증을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그의 변증학이 한국교회가 더 나은 교회, 예언자적 공동체로 변화될 수 있는 소중한 가르침을 제공할 수 있다고 믿기때문이다. 물론 키에르케고르는 덴마크 국가교회를 신랄할 정도로 비판했던 인물이다. 그의 견해에서 형식화와 세속화의 노예가 되어버린덴마크 국가교회는 거짓 그리스도교의 모습에 불과하였다. 키에르케고르는 덴마크 국가교회를 비판하면서 진리는 객관성의 문제가 아닌개별적 자아에 근거한 주체성의 문제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교인이 된다는 것은 ‘무엇’의 문제가 아닌 ‘어떻게’의 문제임을강조하면서 그리스도인의 질적 변화를 강조하였다. 따라서 키에르케고르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진리탐구보다 진리란 개별적 주체와 하나님간의 윤리적‧ 종교적 관계의 문제임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이런 그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실상 키에르케고르의 변증학이 시도한 것은 단순한 그리스도교 비판이 아닌 영적 성실함을 가지고 진리 안에 거하는더 나은 교회로의 변화였다. 키에르케고르의 그리스도교 변증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이 논문은키에르케고르의 실존적 삶의 세 가지 단계들을 우선적으로 분석할 것이다(section II). 그리고 다음으로 키에르게고르의 그리스도교 진리 변증의 중심이 되는 종교성 A와 종교성 B의 구분을 살펴볼 것이다(section III). 마지막으로 그의 변증에 대해 평가와 더불어 오늘날 한국교회에 주는 의미를 찾아보려 한다(section IV). 이 과정을 통해서, 논자는만일 우리가 키에르케고르의 변증학의 구체적 내용보다 그의 영적 정열과 순수성을 충분히 호혜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키에르케고르의변증학이 여전히 한국교회와 신학의 변혁을 위한 가치 있는 전거(典 據)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하려 한다.

      • KCI등재

        키에르케고르의 아담타락의 신화, 불안과 절망의 관점에서 코울리지 읽기

        이경옥 한국비평이론학회 2014 비평과이론 Vol.19 No.2

        이 논문은 코울리지에 나타난 불안, 죄의식, 두려움, 절망의 정서들을 키에르케고르의 불안과 절망의 개념에 입각하여 고찰한 것이다. 코울리지에 관한 수많은 논문들, 비평서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울리지의 거의 대부분의 시에 나타난 논쟁 적인 주제들, 특히 죄와 벌의 문제, 그리고 그에 따른 죄의식, 고통, 두려움, 절망감 같은 것들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이 논문은 코울리지 시에 나타난 그러한 모호성을 규명하고자 키에르케고르의 불안과 절망의 개념을 코울리지에 나타난 죄의식, 불안, 절망 같은 정서를 이해하는 틀로 사용한다. 키에르케고르는 불안과 절망은 인간이라면 가질 수밖에 없는 근본 기분으로 상정한다. 그는 아담의 원죄와 두 정서를 연결시켜 고찰한다. 그에 따르면 아담은 선악과를 따 먹지 말라는 신의 명령 하에서 따먹지 않아야 하는 자유만을 직면한 채죄를 범할지도 모른다는 엄청난 불안을 느낀다. 이러한 불안은 본인은 의식하지 못할지라도 신이 아닌 피조물이 직면할 수밖에 없는 정서이다. 아담은 그 불안에서 도피하고자 선악과를 따 먹는 죄를 범하고, 그 죄의 결과는 타락이며 신과 같은 존재가 아니라는 자의식이다. 그리고 그와 더불어 절망이다. 키에르케고르는 아담의죄는 그 결과 후세 인간들까지도 타락하게 만든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되풀이 되는 인간 타락의 유형이라고 말한다. 아담이 그러한 것처럼 인간들도 같은 유형으로 죄를 되풀이한다는 것이다. 즉 한정된 존재로서 인간은 불안한 존재이고 불안의 상태에서 죄를 범하며 그 죄로 말미암아 절망한다. 그리고 그러한 죄는 증폭되어 다시 불안과 절망의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코울리지 역시 아담을 인간 타락의 대표로 보았고 타락의 결과 한정된 존재라는 자각 때문에 불안과 절망을 느낄 수밖에 없는 존재로 본 점에서 키에르케고르를 예견하였다. 그의 시작품이나 산문에서 보이는 불안, 죄의식, 절망의 감정의 모호성은 바로 키에르케고르가 진단하는 인간 조건으로서의 불안과 절망의 정서와 맥을 같이하며 그의 산문과 시작품 「잠의 고통」, 「림보」, 「느 플뤼 울트라」,에 그리고 「카인의 방랑」에 나타난 불안, 두려움, 고통의 감정을 그와 같은 측면에서 살펴본다. 그런데 키에르케고르는 깊은 인간성을 소유한 사람일수록 절망 또한 깊은 것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절망은 한편으로 자기를 철저히 버리고 신에 귀의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한 점에서 코울리지의 극도의 고통과 절망감은 그가 하나의 실패자 이기보다는 깊은 인간성에 대한 반증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examines the sense of uncertain anxiety and despair in Coleridge’s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ierkegaard’s notion of anxiety and despair.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almost all the argumentative subjects of Coleridge’s poems, among them those reflecting his sense of guilt, anxiety and despair, still remain unsolved. This essay tries to explain the uncertain agony found in Coleridge’s poetry and other writings by considering Kierkegaard’s notion of anxiety and despair as a human condition. Kierkegaard argues that Adam’s Fall should be taken to be a type of Human Fall rather than being the cause of it. Faced by the infinite freedom of having not to eat the fruit of Good and Evil, Adam is overwhelmed by anxiety, from which he chooses to escape by eating fruit. However, the point at which he eats the fruit becomes the point at which he commits a sin, namely the Original Sin, which simultaneously becomes the point at which he senses a feeling of despair. This sin of Adam is subsequently repeated in and amplified by his human descendents. The anxiety Adam initially feels, Kierkegaard argues, is replicated in human when they face the possibility of committing something prohibited. Kierkegaard proposes this human condition to be the one that is anticipated by Coleridge. In terms of Kierkegaard’s diagnosis of anxiety and despair, Coleridge’s acute sense of anxiety and despair can be understood to be fundamental human feelings. This essay tries to explain the agony predominant in Coleridge’s poems such as “Pains of Sleep,” “Limbo,” and “Ne Plus Ultra” and his other writings from the point of view of Kierkegaard’s notion of anxiety and despair. However, Coleridge’s sense of anxiety and despair does not make him a failure or a cast away. Rather it seems to testify that he is what Kierkegaard considers a great soul who is keenly conscious of a deep sense of despair as a finite being.

      • KCI등재

        키에르케고르의 주관적 지식과 도덕교육

        곽은혜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Kierkegaard's categorization of knowledge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that has a significant educational implication. Kierkegaard devoted his whole life in search of ways of making a true Christian. For this purpose, he categorized knowledge into two groups, objective knowledge and subjective knowledge, citing examples of each category; mathematics, science, history, etc. for objective knowledge and ethics and religion for subjective knowledge. This may give rise to an interpretation of his categorization as a categorization by types, but a more careful analysis shows otherwise. Kierkegaard constantly criticized ordinary Christians in Danish society because he thought that even ethico-religious knowledge could not make a true Christian unless it was communicated in the right way. Subjective knowledge in his categorization is not just a type of knowledge, but the ethico-religious knowledge communicated in the right way, or by means of ‘indirect communication'. This means that subjective knowledge marks one of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long with objective knowledge. The two dimensions of Kierkegaard's categorization corresponds to two layers of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 Objective knowledge stands for the lower layer, where the epistemic subject confronts the object, whereas subjective knowledge stands for the upper layer, which consists of the ineffable presupposition of objective knowledge. Kierkegaard's categorization by dimensions points to the essential aim of moral education, revealing the religious aspect that is indispensable to education.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이라는 키에르케고르의 지식의 범주화는 그가 각각에 해당하는 지식의 종류를 예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식의 종류에 의한 범주화’로 생각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키에르케고르가 말하는 주관적 지식은 윤리와 종교라는 특정한 종류의 지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기독교인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식이며, 그가 말하는 진정한 기독교인은 주관성으로서의 신앙을 가진 존재, 윤리·종교적 지식이 간접전달을 통하여 인간에게 내면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점에서 키에르케고르의 지식의 범주화는 지식이 인식의 주체에 내면화되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는 ‘지식의 차원에 의한 범주화’로 해석되어야 마땅하다. 이러한 해석은 인간의 마음이 마음 밖의 대상을 마주하는 경험적 측면과 마음 그 자체를 마주하는 형이상학적 측면으로 이루어져있다는 중층구조의 사고방식에 의하여 뒷받침된다. 지식의 범주에 관한 키에르케고르의 아이디어는 도덕교육에 중요한 시사를 던져준다. 훌륭한 기독교인의 의미가 윤리ㆍ종교적 지식이라는 언설 수준에서 규정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훌륭한 인간의 의미 역시 도덕적 행위나 규범을 표현하는 지식이 아닌 언설 이상의 세계, 즉 마음의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의 간접전달이론은 교육적 전달을 통하여 인간이 형이상학적 마음을 획득하는 길을 보여줌으로써 우리에게 교육의 종교적 차원을 일깨워 주고 있다.

      • KCI등재

        Kierkegaard’s Existentialist Conception of “the Single Individual” and the Evil of Banality

        Hwa Yol Jung(정화열) 한국현상학회 201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8 No.-

        이 글에서 필자는 키에르케고르가 제시하는 ‘단독자’ 이념을 재검토한다. 주지하듯이 키에르케고르의 실존 사상은 단독자의 영웅적 정신과 도덕적 영혼에 대한 탐색이다. 단독적 개별자들로서의 남성과 여성으로 이루어진 다수성을 설명하지 못하는 ‘공공인(公共人)’ 개념은 한낱 추상에 불과한 것이다. 이에 키에르케고르가 제안하는 ‘단독자로서의 인간’ 개념은 19세기뿐만 아니라 현 시대를 위한 치유제이기도 하다. 주관성에 내재된 깊이를 고려하면서 우리는 키에르케고르가 주창하는 ‘심오한 주관성’ 내지 ‘내향성’을 도덕적 양식에서든 아니면 다른 양식에서든 모종의 주관주의와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그 점에서 키에르케고르는 단순한 주관주의자가 아니다. 오히려 반대로, 그에 따르면, 단독적 개별자가 소유하는 영웅적 정신은 단독자로서의 타자가 갖는 근원적인 ‘타자성’을 발견하고 승인한다. 심오한 주관성을 함양하는 일은 사회성에 대한 부정이 아니라 오히려 시민적 존재로서의 사회성에 대한 긍정으로 판명된다. 여기에서 단독적 개별자들이 갖는 동일성과 차이성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은 현 시대 ‘계산적 사 유’의 ‘진부함’과 ‘천박함’이 역사의 궁극적 목적을 위협하고 있는 그러한 일차원적 경향성을 치료하는 유일한 해독제로 드러난다. In the present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re-examine the notion of “the single individual” suggested by Kierkegaard. As is well known, Kierkegaard’s existential thought is a search for the heroic mind and the moral soul of a single individual. Any conception of the public which does not account for the plurality of men and women as single individuals is an abstraction. In that respect Kierkegaard’s conception of man as the single individual serves as pharmakon for the present age as well as for the nineteenth century. His formulation of deep subjectivity or inwardness as the depth of subjectivity, however, should not be confused with any form of subjectivism-moral or otherwise: the subjective thinker is never a subjectivist.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him, the discovery of the “heroic mind” of the single individual acknowledges the recovery of the radical alterity of the other as a single individual. The cultivation of deep subjectivity is no denial of sociality, but is rather the affirmation of sociality as civil. Here the dialectical interplay of equality (identity) and distinction (difference) of the single individuals is the only antidote to one-dimensional tendencies in the age of “calculative thinking” whose “banality” or “vulgarity” threatens the end of history.

      • KCI등재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윤리학: 도덕교육의 이론으로서의 윤리학

        임병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12 道德敎育硏究 Vol.24 No.3

        Kierkegaard's idea of existence implies an alternative ethical theory which can survive Wittgenstein's radical scepticism on the science of ethics in his "A Lecture on Ethics". Despite of MacIntyre's condemnation for its depending on 'radical and ultimate choices', this theory is an exemplary case of the teleological ethics as the science which is to enable men to understand how they make the transition for 'man-as-he-happens-to-be' to 'man-as-he-could-be-if-he-realized-his-essential-nature'. In Kierkegaard's view, men are required to choose their selves absolutely for leaping upward their own stages of existence, leaded to 'faith' in its Christian sense. The self-choice can be construed as the key to self-becoming by way of self-knowledge in that it makes possible the existential awakening which results in the changes in one's own being, contrasted with those in thought. However, MacIntyre diagnosed the idea of self-choice as a most serious threat to the whole tradition of rational moral culture. But his view has to be adjust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mport of Kierkegaard's life-ling works. Kierkegaard's theory of stages and indirect communication can be interpreted as part of his existential ethics which exemplifies an ethical theory as explanation of moral education. I wonder that MacIntyre missed this point. 키에르케고르의 실존단계이론은 그의 간접전달이론과 함께, 도덕교육을 설명하는 이론으로서의 윤리학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키에르케고르에 의하면, 인격함양의 과정은 자기선택을 통하여 자기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이며, 자기선택은 인격함양이 사고 수준의 변화가 아닌 존재 수준의 변화, 즉 실존 단계의 변화라는 점에서 불가피하게 요청된다. 맥킨타이어는 자기선택의 아이디어에 대하여, 그것은 이른바 ‘계몽주의 기획’의 최말단적 표현으로서, 그 근본적이고 극단적인 비합리적 선택이 용인될 경우에 합리적 도덕 문화의 전통이 송두리째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심각하게 우려한다. 그러나 그의 비판은 키에르케고르의 문제의식과 그의 저작활동의 전체적인 목적을 정당하게 고려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이다.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윤리학은 기독교인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인격함양의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으로서, 맥킨타이어가 지지하는 목적론적 윤리학과 조화롭게 양립할 가능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