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치적 연관성과 어휘적 유사성을 이용한 웹 이미지 캡션 추출

        이형규(Hyoung-Gyu Lee),김민정(Min-Jeong Kim),홍금원(Gumwon Hong),임해창(Hae-Chang R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4

        이 논문은 웹 문서의 이미지 캡션 추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이미지와 캡션의 위치적 연관성과 본문과 캡션의 어휘적 유사성을 동시에 고려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미지와 캡션의 위치적 연관성은 거리와 방향 관점에서 캡션이 이미지에 상대적으로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본문과 캡션의 어휘적 유사성은 이미지를 설명하고 있는 캡션이 어휘적으로 본문과 어느 정도 유사한지를 나타낸다. 이미지와 캡션을 독립적으로 고려한 자질만을 사용한 캡션 추출 방법을 기저 방법으로 놓고 제안하는 방법들을 추가적인 자질로 사용하여 캡션을 추출하였을 때, 캡션 추출 정확률과 캡션 추출 재현율이 모두 향상되며, 캡션 추출 F-measure가 약 28% 향상되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web image caption extraction method considering the positional relation between a caption and an image and the lexical similarity between a caption and the main text containing the caption. The positional relation between a caption and an image represents how the caption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image. The lexical similarity between a caption and the main text indicates how likely the main text generates the caption of the image. Compared with previous image caption extraction approaches which only utilize the independent features of image and captions, the proposed approach can improve caption extraction recall rate, precision rate and 28% F-measure by including additional features of positional relation and lexical similarity.

      • KCI등재

        한국화 캡션에서의 재료표기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김상철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4

        캡션(caption)은 출판물의 삽화나 사진 등에 붙는 짧은 해설문으로 그 작품의 가장 기본이 되는 이력을 기록하는 것이다. 그 러므로 캡션은 정확하고 구체적이며 분명해야 한다. 특히 그것이 국공립미술관과 같이 공신력 있는 국가 기관일 경우 더욱 그러하다. 이는 국가적인 표준으로 제시되어 교과서는 물론 각종 용처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오늘날과 같이 국제교류가 빈번 하고 인쇄 매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정보의 교환이 넘쳐나는 시대에 캡션의 중요성은 두말할 것 없이 중요한 것이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한국화에 대한 국립현대미술관을 비롯한 주요 미술관의 한국화 관련 캡션은 미진할 뿐 아니라 난맥과 혼란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화가 우리 전통미술의 적자로서 가지고 있는 위상과 의미를 상기한다면 이는 하루빨리 시정되어야 할 문제이다. 국제교류가 일상화된 현실에서 올바른 캡션의 올바른 영문 번역은 시급한 일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화의 용어에 대 한 올바른 정립을 위한 재점검과 재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한국미술의 새로운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동력을 확 보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작업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 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주요 국공 립미술관의 한국화 캡션에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본적인 연구이다. A caption is a short type of commentary attached to an illustration or photograph of a publication, recording the most basic history of the work. Therefore, captions must be accurate, specific, and clear. This is especially true for state institutions with credibility,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Art, as they are presented as a national standard and are used not only in textbooks but also in various applications. In an era where international exchanges are frequent and information is exchanged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the current print media, the importance of captions cannot be overstated. Nevertheless, captions related to Korean paintings in major art museum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re not only inadequate but are also cause confusion. In particular, if we recall the status and meaning of Korean paintings as a deficit in the realm of Korean traditional art, this is a problem that must be corrected as soon as possible. In a reality where international exchanges are becoming commonplace, it is urgent to translate the captions into English correctly. To this end, a re-examination of the correct establishment of the terms of Korean paintings should be done, and this task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secure an engine to promote the new development of Korean art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basic research by which to analyz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Korean painting captions at major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centering 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seek alternatives to these.

      • KCI등재후보

        포토저널리즘 사진과 캡션의 의미작용에 대한 연구

        정홍기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8 No.-

        본 연구는 하나의 주제를 다룬 다섯 장의 사진과 캡션을 통해, 포토저널리즘의 구성단위인 사진과 글에 대한 수용자의 해독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민속지학적 방법과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기호의 의미작용과 해독의 의미작용을 분리시켜, 기호와 해독의 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기호학적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번째, 하나의 의미로 고정되지 않고 다의성을 띤 사진이미지에 캡션이 첨가됨으로 수용자의 해독에 변화가 있었다. 두번째, 해독에 있어 수용자의 문화적 배경이 중요한 번수로 작용했다. 세번째, 포토저널리즘 영역에서 사진만으로는 사실을 재현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용자의 문화적 코드를 바탕으로 한글이 들어감으로써, 포토저널리스트와 수용자간의 보다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표토저널리스트가 재현한 현실과 그것을 해독하는 수용지간의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보여주고자 했고, 이것이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본 전제에 대한 고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is is a study about the audience's aspect of decoding the photography and words comprising photojournalism. For this study, the way of audience's decoding five pictures depicting a foreign worker's death and the captions for each were analyzed. Ethnographic method was used to fi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audiences in decoding the pictures. Picture images without any title and caption shown to audiences bring quite different decodings from those of picture images titled and captioned. This led to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picture image added by caption transforms the way the audience decode. Seco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an audience works as a major variable, which means how the audience decode the picture image depends on what sort of cultural background the audience has. Third, it is also learned that picture image not captioned would not be able to represent the reality faithfully. The author made an experimental trial in this thesis how the communication process works successfully in a reality that photojournalists tried to represent and the way the audience decode it for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in photojournalism.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영상 캡션 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현창,배상현 한국정보통신학회 200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8 No.3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udio and video data utilization, the presentation of multimedia data contents and the work of retrieving, storing and manipulating a multimedia data have been the focus of recent work. The display for multimedia data should retrieve and access the contents easily that users want to present. This study is abou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 to retrieve multimedia data based on the contents of documentation or the caption information of a multimedia data for retrieving documentation including multimedia data. It intends to develop an filtering step to retrieve all of keyword within the caption information of multimedia data and text of a documentation. Also, the system is designed to retrieve a large amount of data quickly using an inverted file structure available for B+ tree.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내용에 대해 표현하려는 연구와 함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내용이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고, 조작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표현은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만을 쉽게 검색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표현되고 저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캡션(Caption) 정보를 이용하거나 문서 내용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캡션 정보와 문서의 텍스트는 모두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해 필터링(Filtering) 단계를 거치고, B+ 트리를 이용한 역 파일 구조를 사용하여 빠르고 대용량의 문서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거리경관에 대한 청각적 이미지의 평가구조 - 대학생들의 음풍경 체험을 통한 의미론적 고찰 -

        한명호,Han Myung-Ho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8

        이 연구의 목적은 사운드스케이프의 의미론적 관점에 기초하여 도시의 거리경관에 관한 청각적 이미지의 평가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캡션평가법이라는 새로운 환경심리조사수법을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총45명의 대학생이 남원시의 주요 거리를 걸으면서 듣고 느끼는 소리의 이미지 파악을 위한 현장조사에 참가하고, 그 결과 청각적 경관에 대한 요소, 특징, 인상 및 선호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남원시에 있어서, 청각적 이미지의 구성 요소는 자연음, 그리고 기계음, 사회음, 지시음 등을 포함한 인공음으로 분류되고, 청각적 경관의 특징은 소리종류, 양태, 상황, 성질, 주변관계, 이미지 등으로, 그리고 청각적 경관의 인상은 인간의 감성, 거리의 분위기, 소리 자체의 특성이라는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청각적 경관과 판단과의 관계로 부터, 청각적 경관의 요소, 특징, 인상 등은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 이미지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또한, 남원시의 거리경관의 평가구조모델로부터 그 장소 또는 공간의 청각적 이미지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evaluation structure of auditory images about streetscapes in urban area on the basis of the semantic view of soundscapes. Using the caption evaluation method. which is a new method, from 2001 to 2005, a total of 45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 fieldwork to find out the images of sounds while walking on the main streets of Namwon city. It was able get various data which include elements, features, impressions, and preferences about auditory scene. In Namwon city, the elements of the formation of auditory images are classified into natural sound and artificial sound which include machinery sounds, community sounds. and signal sounds. Also, the features of the auditory scene are classified by kind of sound, behavior, condition, character, relationship of circumference and image. Finally, the impression of auditory scene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the emotions of humans, atmosphere of the stree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itself.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ory scene and estimation, the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of auditory scene consist of the items which are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images. Also, it was a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uditory image of place or space through the evaluation model of streetscapes in Namwon city.

      • KCI등재

        청각선호도에 미치는 청각적 경관의 요소, 특징, 인상 요인과 계절의 상호작용 효과

        한명호,오양기,Han, Myung-Ho,Oh, Yang-Ki 한국음향학회 2007 韓國音響學會誌 Vol.26 No.7

        이 연구는 사운드스케이프라는 청각적 경관의 개념에 기초하여, 계절에 따라 도시 거리의 청각적 경관에서 나타나는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에 대한 한국인의 청각선호도를 조사하여, 청각적 경관의 구성요인과 계절의 요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청각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캡션평가법이라는 환경심리 조사수법을 이용하여 45명의 대학생들이 4계절 동안 남원시의 거리를 걸으면서 듣고 느낀 청각적 경관에서 나타나는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의 요인과 계절의 상호작용 효과를 단순요인 분산분석과 비모수 일원배치 분산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각적 경관의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과 계절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으며, 각 경관의 구성요인들이 청각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요소의 계절별 선호도는 봄, 여름, 가을에는 자연음이, 겨울에는 사회음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관특징의 계절별 선호도는 봄, 여름 및 겨울에는 양태가, 그리고 가을은 주변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관인상의 계절별 선호도는 봄과 겨울은 소리특성이, 그리고 여름과 가을은 거리의 분위기라는 경관인상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에 있어서 계절에 따라 어떠한 청각적 경관의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을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 그 양부를 판정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 Based on a concept of soundscap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Koreans' preference for auditory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depending upon the season, and examine how these auditory factors of soundstape and season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attempt to discover their influence on people's auditory preferences. According to an environmental psychological approach called the caption evaluation method, 45 college students examined the soundscape of Namwon City while racing the streets in four seasons.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actions between seasons and such auditory factors as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it was conducted the GLM univariate analysis and the NPAR tests for independent sampl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re ar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seasons and auditory factors like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and that the auditory factors have an effect on auditory preference. Moreover, as for seasonal preference for auditory elements, it was found that people prefer natural sound in spring, summer, and fall while they prefer social sound in winter. Concerning seasonal preference for auditory features, people place a focus on the behaviors in spring, summer, and winter while they stress the surroundings in autumn, as for seasonal preference for auditory impressions, they make much of sound characteristics in spring and winter but they value the atmosphere of streets in summer and f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 utilized as useful data in determining which auditory factors among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to take into consideration in a soundscape design.

      • 시각선호도에 미치는 시각적 경관의 요소와 계절의 상호작용 효과

        한명호(Han Myung-Ho),오양기(Oh Yang-Ki)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8 No.1(계획계)

        This study examines interactive effects between visual elements in relation to a streetscape and seasons, and attempts to discover their influence on people's visual preferences. Using one of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research methods called caption evaluation method, an analysis on interactive effects between visual elements in relation to a streetscape perceived by 45 college students as they walked down the street of Namwon city and season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with visual preferences was carried out.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visual elements had interactive effects with different seasons, thus affecting visual preferences as well. In analyzing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visual elements and seasons, the category of nature represent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spring, summer, and autumn; the category of human represent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winter. Natural and traditional architecture/space represented high preference as well.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deciding which visual elements to consider in designing a streetscape for different seasons.

      • KCI등재

        시각선호도에 미치는 시각적 경관의 요소, 특징, 인상 요인과 계절의 상호작용 효과

        한명호(Han Myung-Ho),오양기(Oh Yang-Ki)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8

        This study examines interactive effects between visual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in relation to a streetscape and seasons, and attempts to discover their influence on people's visual preferences. Using one of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research methods called caption evaluation method, an analysis on interactive effects between visual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in relation to a streetscape perceived by 45 college students as they walked down the street of Namwon city and season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with visual preferences was carried out.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three factors of a visual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had interactive effects with different seasons, thus affecting visual preferences as well. In analyzing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visual elements and seasons, the category of nature represent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spring, summer, and autumn; the category of human represent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winter. Natural and traditional architecture/space represented high preference as well.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visual features showed that appearance turned out to be a critical factor for all seasons in determining visual preference, and there was variance in visual preferences according to different categories. The analysis of visual impression showed that the category of aesthetic sense represented the highest visual preference for spring and autumn; the category of five senses represented the highest visual preference for summer; and the category of human nature represented the highest visual preference for winter. Again, different categories showed varying visual preferenc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deciding which factors among visual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to consider in designing a streetscape for different sea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