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쥐 교감신경 뉴론 N형 칼슘통로의 2가 양이온의존성 비활성화

        구용숙,Goo Yong-Sook 한국의학물리학회 2006 의학물리 Vol.17 No.2

        본 연구자를 위시한 많은 연구자에 의해 칼슘이 N형 칼슘통로의 비활성화를 촉진시킨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칼슘에 의한 비활성화 촉진 효과가 고전적인 칼슘의존성 기전에 의해 기인하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L형 칼슘통로의 칼슘의존성 비활성화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지금까지 사용해온 방법의 하나는 세포내, 외의 칼슘농도를 변화시켜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칼슘의존성 비활성화기전의 존재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2가 양이온을 1가 양이온인 메틸아민($MA^+$)으로 치환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우리는 5초 동안의 긴 저분극 자극 시 바륨과 칼슘을 사용하여 얻은 전류에서 모두 빠른 성분(${\tau}{\sim}150ms$)과 느린 성분(${\tau}{\sim}2,500ms$)의 비활성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세포외 2가 양이온의 농도가 0이 되도록 하였을 때 빠른 비활성화가 소실된 반면 느린 비활성화에는 영향이 거의 없었다. 또한 바륨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10 mV씩 과분극시킨 전압에서의 메틸암모늄 전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느린 비활성화의 시정수가 서로 잘 일치하였으며 이 시정수는 막전압이 저분극될수록 감소하는 막전압의존성 비활성화의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세포외 2가 양이온의 존재는 N형 칼슘통로의 빠른 비활성화가 일어나기 위하여 필수적인 조건이며 이러한 2가 양이온의존성 비활성화기전은 기존의 칼슘의존성 또는 막전압의존성 기전과 다르다는 가설을 제안한다. Experiments from several groups Including ours have demonstrated that $Ca^{2+}$ can enhance the inactivation of N-type calcium channels. However, it is not clear if this effect can be ascribed to a 'classic' $Ca^{2+}$-dependent inactivation (CDI) mechanism. One method that has been used to demonstrate CDI of L-type calcium channels is to alter the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concentration of $Ca^{2+}$. In this paper we replaced the external divalent cation to monovalent ion ($MA^+$) to test CDI. In the previous paper, we could separate fast (${\tau}{\sim}150ms$) and slow (${\tau}{\sim}2,500ms$) components of inactivation in both $Ba^{2+}$ and $Ca^{2+}$ using 5-sec voltage step. Lowering the external divalent cation concentration to zero abolished fast inactivation with relatively little effect on slow inactivation. Slow inactivation ${\tau}$ correspond very well with provided the $MA^+$ data is shifted 10 mV hyperpolarized and slow inactivation ${\tau}$ decreases with depolarization voltage in both $MA^+\;and\;Ba^{2+}$, which consistent with a classical voltage dependent inactivation (VDI) mechanism. These results combined with those of our previous paper lead us to hypothesize that external divalent cations are required to produce fast N-channel inactivation and this divalent cation-dependent inactivation is a different mechanism from classic CDI or VDI.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제올라이트의 Si/Al 비가 수용액 상 칼슘 이온 제거에 미치는 영향

        정현수,이예환,김성수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Cement kiln dust (CKD) is a byproduct of cement production, which accounts for about 15-20% of cement production. Currently, CKD is being disposed of by incineration, but research on using CKD for carbon dioxide reduction is increasing. However, the major problem with this process is the presence of calcium ions in CKD. Trace amounts of calcium ions in a high concentration potassium chloride solution during the process can cause problems. In this study, we aimed to remove calcium ions in the solution using zeolite, an effective method for calcium ion removal. To enhance its performance, we modified 13X zeolite through alumination and dealumination methods to control the Si/Al ratio, and compared their calcium ion removal efficiency. Alumination (conditions: 70 ℃, 0.1 M NaAlO2)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a calcium ion removal efficiency of 95.77%, which was about 6% higher than that of unmodified zeolite. On the other hand, the dealumination-modified zeolite showed a performance decrease of about 73% compared to unmodified zeolite. The structure, specific surface area, acidity, and Si/Al ratio of the modified zeolites were characterized by XRD, BET, FT-IR, and ICP analyses, and the Si/Al ratio was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 affecting the calcium ion removal efficiency. 시멘트 공장에서는 시멘트 생산량의 약 15-20%를 차지하는 것이 시멘트 부산물인 CKD(cement kiln dust)이다. 현재는 CKD가 소각 방법으로 제거되고 있으나 이 CKD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저감 공정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 공정의 주요 문제점은 CKD 내 칼슘이온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공정 운행 시 고농도의 염화칼륨 수용액 내 미량의 칼슘 이온은 공정의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칼슘 이온 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인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수용액상 칼슘 이온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제올라이트는 Si/Al ratio 제어를 통해 성능을 증진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13X 제올라이트를 alumination, dealumination 방법으로 개질한 후 칼슘 이온 제거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중 alumination(조건: 70 ℃, 0.1 M NaAlO2)방법이 95.77 %로 칼슘 이온 제거성능이 가장 우수하며 기존 제올라이트 대비 성능이 약 6%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dealumination 방법으로 개질이 수행된 제올라이트는 기존 대비 성능이 약 73%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XRD, BET, FT-IR, ICP 분석을 통해 개질된 제올라이트의 구조, 비표면적, 산점, Si/Al ratio를 확인하였으며, Si/Al ratio가 칼슘 이온 제거성능의 주요 영향인자로 판단된다.

      • SCIEKCI등재

        난각칼슘의 제조 조건 및 유기산이 칼슘의 이온화에 미치는 영향

        신형순,김공환,Shin, Hyung-Soon,Kim, Kong-Hwa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4 No.4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는 난각에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칼슘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고, 이온화 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Ball mill을 이용해 난각을 분쇄해 물속에서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난각분을 얻었고, 회전속도 30 rpm, 체류시간 30분, volume fraction 0.08에서 가장 높은 난막 제거 효과를 보였다. 난각분을 전기로에서 회화시켜 얻은 난각칼슘분의 백색도를 측정해 L값이 90이상에 도달하는 시간은 전기로 온도 850, 900, $1000^{\circ}C$에서 각각 14, 9, 3시간이 소요 되었으며, 난각칼슘분의 Hausner ratio는 1.43으로 조사되었다. 난각칼슘분은 물, 초산, 구연산, 젖산$(0.05{\sim}3%)$ 용액에서 각각 990, 3500, 3900, 4200 ppm의 이온화 정도를 나타내었다. Calcium-citrate-malate complex(CCM), calcium-citric acid complex(CC), calcium-malic acid complex(CM)는 물에서 이온화 정도가 난각칼슘분에 비해 약 4-5배 증가 하였다. An efficient process for recovery of calcium from the eggshell was developed and some organic acids were used in an attempt to enhance the degree of calcium ionization. Eggshell membrane was readily separated from crushed eggshell based on the differences in specific gravities. The conditions which allowed most efficient membrane removal were found to be 30 rpm of speed, 30 min of residence time and 0.08 of volume fraction. It took 3 hours for the eggshell powder prepared at $1000^{\circ}C$ to reach L value of 90 with the Hausner ratio being 1.43. The calcium ion concentrations were 990, 3500, 3900 and 4200 ppm in pure water, acetic acid, citric acid and lactic acid$(0.05{\sim}3%)$ aqueous solution, respectively. The degrees of ionization of calcium-citrate-malate complex(CCM), calcium-citric acid complex(CC) and calcium malic acid complex(CM) increased by 4 to 5 times compared to eggshell calcium powder.

      • KCI등재

        마그네슘 및 칼슘 이온이 알루미늄 응집에 의한 인 제거에 미치는 영향

        전동걸(Dong Jie Tian),이범(Beom Lee),이영주(Young Ju Lee),전항배(Hang Bae Jun) 大韓環境工學會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알루미늄 응집에 의한 인 제거 공정에 마그네슘 및 칼슘과 같은 2가의 금속이온을 첨가하였을 경우 인의 응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을 제거하기 위한 최적 알루미늄 응집 pH는 약 5~6 사이이며, 그 이상 pH에서는 TP 제거효율이 감소하였다. 마그네슘이나 칼슘과 같은 2가의 금속이온을 알루미늄 응집공정에 함께 사용할 경우 pH 6 이상에서도 TP 및 HnPO₄(n-3) 제거효율은 안정적으로 95% 이상을 유지하였다. 응집초기 Al<sup>3+</sup>/HnPO₄(n-3) (Al/P) 몰비가 3 이상에서 TP 제거효율이 80% 이상 높게 유지되었으며, 응집 후 잔류 TP 농도를 0.2 mg/L 이하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Al/P 몰비는 약 6 이상이었다. 마그네슘이나 칼슘 이온을 알루미늄 응집공정에 함께 사용할 경우 TP 제거를 위한 최적의 알루미늄 대비 마그네슘 및 칼슘 이온의 몰비(Al<sup>3+</sup>/Mg2+ or CA₂+)는 모두 2이었다. 알루미늄 응집공정에 마그네슘이나 칼슘 이온을 함께 사용하면, 동일한 양의 TP를 제거하기 위한 알루미늄 응집제 주입량이 감소하였고, 결과적으로 최종 슬러지 발생량도 감소하였다. The effects of magnesium and calcium ions on phosphorus removal by aluminium coagulation were investigated with various jar tests using settled raw sewage. Maximum TP (total phosphate) removal occurred at pH around 5~6 with aluminium coagulation, and it decreased above pH 6. TP and HnPO₄(n-3) removal efficiencies, however, were kept above 95% at pH above 6 by adding the divalent metallic ions like magnesium or calcium ions on aluminium coagulation process. At molar ratio of Al/P (Al<sup>3+</sup>/HnPO₄(n-3)) above 3, TP removal efficiency was as high as 80%, and residual TP less than 0.2 mg/L occurred at Al/P ratio above 6. TP removal efficiency was improved by adding magnesium or calcium ions and the optimum Al<sup>3+</sup>/Mg2+ and Al<sup>3+</sup>/CA₂+ ratios were about 2. The required dose of aluminium coagulant was reduced for equivalent amount of TP removal by adding magnesium or calcium ions, as a result sludge generation was also reduced.

      • SCOPUSKCI등재

        명아주과 식물의 생리생태학적 특성 - 무기 및 유기용질을 통한 접근 -

        추연식,송승달,Choo, Yeon-Sik,Song, Seung-Dal 한국생태학회 2000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3 No.5

        건조지대 및 염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명아주과 식물의 생리생태학적 적응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교란지, 염습지, 사구, 간척지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 10종 명아주과 식물의 무기 및 유기용질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명아주과 식물은 토양의 칼슘 함량과는 무관하게 체내에 매우 소량의 수용성 칼슘을 함유하였으며, 아주 높은 수용성 K/Ca 비를 보였다. Na/sup +/, K/sup +/와 같은 양이온 및 Cl/ sup -/, SO₄/sup 2-/와 같은 음이온을 많이 축적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 환경에서는 K/ sup +/보다 Na/sup +/ 이온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식물의 체내 총 질소함량은 높았지만, 아미노산성 질소는 총 질소함량의 5% 이하로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세포질성 삼투인자로 널리 알려진 proline을 거의 함유하지 않았지만, 가용성 질소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아 proline 이외의 다른 질소화합물이 체내 삼투 조절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야외에서의 이러한 생리적 특징이 통제된 환경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구 및 염습지의 대표적인 명아주과 식물(퉁퉁마디, 칠면초, 호모초, 가는갯능쟁이, 나문재) 5종을 선택하여 염환경 하에서 생육시켰다 (200 mM Nacl). 조사된 명아주과 식물은 매우 낮은 체내 수용성 Ca/sup 2+/ 함량, 알칼리 양이온의 축적 등 야외식 물과 유사한 생리양상을 보였다. 종합하면, 명아주과 식물은 알칼리 양이온 및 Cl/sup -/, NO₃/sup -/ 및 SO₄/sup 2-/와 같은 무기 음이온을 상당량 축적하고, 체내로 유입되는 Ca/sup 2+/을 Ca-oxalate로 침전시켜 세포질 내 수용성 칼슘함량을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며, 아미노산이외의 다른 가용성 질소화합물을 보편적으로 함유하는 미네랄 대사의 특성을 보여준다. 이에 부가하여 토양 환경의 변화에 따라 체내의 무기이온 및 유기용질의 양상을 적절히 조절하는 독특한 생리적 특성이 이들 명아주과 식물을 건조 및 고염과 같은 불리한 환경을 극복하여 적응케 하는 토대가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In order to clarify the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enopodiaceae which widely distribute on saline and arid habitats, we collected 10 chenopodiaceous plant species, examined their inorganic and organic solute patterns, and confirmed several comm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spite of high soil Ca/sup 2+/ contents, chenopodiaceous plants had a little water-soluble Ca within cells, but contained high contents of acid-soluble Ca particularly as a result of Ca-oxalate formation. These plant species also showed accumulation of inorganic ions such as K/sup +/, NO₃/sup -/ and Cl/sup -/, and Na/sup +/especially in saline habitats instead of K/sup +/ Meanwhile, with respect to nitrogen metabolism they retained high N contents in leaves, but showed very low amino acid contents. Additionally, they contained very little proline known to act as a cytoplasmic osmolyte. To ascertain whether thi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also can be found under controlled conditions, 7 chenopodiaceous plants (Atriplex gmelini, Corispermum stauntonii, Salicornia herbacea, Suaeda aspayagoides, Suaeda japonica,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C. serotinum) were selected and cultivated under salt treatments. As well as field-grown plants, selected plant species showed similar solute pattern in growth experiment. In summary, the family of Chenopodiaceae represents the following physiological properties; high storage capacity for inorganic ions (especially alkali cations, nitrate and chloride), oxalate synthesis to maintain lower soluble Ca contents within cytoplasm, and low contents of amino acids. In addition to some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the physiological plasticities of Chenopodiaceae which can properly regulate their ion and solute pattern according to soil conditions may enable its representative to grow in dry sand dune and salt marsh habitats.

      • KCI등재

        Analysis of the Effect of Blood Sugar, Calcium, Chloride Ions, and Blood Urea Nitrogen on Skin Wrinkles

        Hyun Sun Noh,Moon Ju Kim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1

        목적: 본 연구는 혈액내의 혈당, 요소질소(BUN), 칼슘, 염화이온이 폐경기 전 여성의 얼굴 주름살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확 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동방대학교 연구윤리위원의 심사를 받았으며, 참가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모집하였다. 모집대상 은 폐경기 전 여성으로 한정하였으며 질병에 걸려있거나 약물, 건강식품을 섭취하는 자는 제외하였다. 혈액채취는 녹십자사(Green Cross Corp., Seoul)에서 간호사가 진행하였으며 혈액성분도 녹십자사에서 분석하였다. 얼굴의 주름수준은 봄텍(BOMTECH, Seoul)의 피부측정기(모델명 A-ONE Smart)로 측정하였다. 모집인원은 총 77명이었으나 혈액 측정변수가 이상치를 벗어난 13명 을 제외하고 나머지 64명(평균연령 을 대상으로 통계분석(SPSS Ver.23.0)을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혈당의 비표준화계수는 0.019, 유의확률 p=0.02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UN의 비표준화계수는 0.108, 유의확률 p=0.006 이었는데 이것은 BUN이 1 mg/dL만큼 증가할 때 주름은 0.108만큼 증가한다는 의미이다.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인 R2은 0.203 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 의하면 심혈관질환, 당뇨 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알려진 혈당과 BUN이 얼굴 주름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폐경기 전 여성 64명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전체 연령으로 일반화할 수 없다라는 한계를 갖는다. 향후 폐경기 이 후 여성과 남성을 포함한 보다 넓은 연구 대상자들을 통하여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tistically verify the effects of blood glucose, blood urea nitrogen (BUN), calcium, and chloride ions on the facial wrinkles of premenopausal women. Methods: Premenopausal women were recruited through the internet to be study participants. Those who had disease or who consumed drugs or health foods such as ginseng were excluded. The levels of blood glucose, BUN, calcium, and chloride ions were obtained, and facial wrinkles were measured with a skin me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lood glucose, BUN, calcium, and chloride ions on face wrinkles. Results: After excluding 13 people whose blood measurement variables deviated from the outlier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remaining 64 participants. Analysis revealed the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of blood glucose to be 0.019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p =0.027. Th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of BUN was 0.108,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p =0.006, which means that when BUN increased by 1 mg/dL, wrinkles increased by 0.108. The explanatory power of R2 was 0.203.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report to reveal, based on empirical data, that blood glucose and BUN, which are known factors affect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also affect facial wrinkles.

      • KCI등재

        고에너지 엑스선을 조사한 부갑상선의 세포막모델에서 칼슘이온의 생리학적 대사에 미치는 영향

        고인호,여진동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2

        The initial co-transport and counter-transport permeate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calcium ion at epithelial cell membrane model in parathyroid which irradiated by high energy x-ray(linac 6 MV) was investigated. The epithelial cell membrane model used in this experiment was a polysulfonated copolymerized membrane of poly(PS-DVB: polystyrene-divinylbenzene). The difference of sorbed water in membrane, fixed carrier concentration(SO32-), initial pH value, OH- concentration were occurred at difference of Ca2+concentration and quantity of parathyroid hormone, respectively. The initial co-transport and counter-transport permeate flux of Cl-, OH-, Ca2+on fixed carrier concentration(SO32-) and initial pH value of irradiated membrane was found to be decreased than non-irradiated membrane. The initial co-transport and counter-transport permeate flux of Ca2+ on fixed carrier concentration (SO32-), initial pH value, OH- concentration in irradiated membrane were found to be decreased about 2.68 ∼ 6.87 times, about 1.42 ∼ 1.63 times, about 2.07 ∼ 1.672 times than non-irradiated membrane,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quantity of parathyroid hormone was decreased at irradiated membrane than non-irradiated membrane. The decrease of parathyroid hormone was occurred at hypoparathyroidism and osteoporosis, parathyroiditis, and so on. As the parathyroid hormone in epithelial cell membrane model were abnormal, cell damages were appeared at cell. 이 실험에 사용한 부갑상선의 상피 세포막모델은 PS-DVB(polystyrene-diviny lbenzene)로서 술폰화 혼성 중합 막으로 제조한 이온투과성 고분자막이며 이 고분자막(세포막모델)을 이용하여 고에너지 엑스선(6MV X선)을 조사할 때 막의 수분흡수율 차이, 고정전달자(SO32-)의 농도 차이, 초기 pH 차이, OH-이온의 농도 차이가 세포의 내부∙외부 사이에서 칼슘이온(Ca2+)의 농도 차이로 나타나게 되고 그 영향으로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량과 생성량의 차이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상피세포의 세포막을 통한 칼슘이온(Ca2+)의 초기 병류성과 항류성 투과전달 특성에 관하여 연구를 하게 되였다. 36.5℃로 고정된 상피세포의 고분자 막(세포막모델)을 방사선을 조사할 때 막의 수분흡수율 차이로 인해서 고정전달자(SO32-)의 농도변화가 비 조사된 세포막모델보다 약 2.17배 정도 감소하였고 고정전달자(SO32-)의 농도 차이, 초기 pH 차이, OH-이온의 농도 차이에 따라서 혈중 칼슘이온(Ca2+)의 초기 병류성과 항류성 전달속도 변화가 비 조사된 세포막모델보다 각각 약 2.68배 ∼ 6.87배, 약 1.42배 ∼ 1.63배, 약 2.07 ∼ 1.67배 정도 감소하였다. 결국, 방사선 조사로 인해서 부갑상선의 상피 세포막에서 혈중 칼슘이온(Ca2+)의 초기 병류성과 항류성 전달속도변화가 비정상적으로 되어 상피세포의 장애가 발생하고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량과 생성량 감소도 동반하게 되었다고 추론되었다.

      • KCI등재

        중질탄산(重質炭酸)칼슘을 혼합(混合)한 시멘트 경화체(硬化體)의 내구특성(耐久特性) 평가(評價)

        정호섭,이승태,김종필,박광필,김성수,Jung, Ho-Seop,Lee, Seung-Tae,Kim, Jong-Pil,Pak, Kwang-Pil,Kim, Seong-S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6 資源 리싸이클링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중질탄산칼슘을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중질탄산칼슘을 시멘트 중량의 0, 5, 10 및 15%의 4단계로 혼합한 시멘트 경화체를 제조한 후 시멘트 경화체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탄산화 및 황산염침식 저항성 등과 같은 내구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 범위내에서 혼합율에 관계없이 중질탄산칼슘을 혼합한 시멘트 경화체의 경우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탄산화 저항성, 황산염침식 저항성은 중질탄산칼슘의 충전효과에 의하여 중질탄산칼슘을 혼합하지 않은 시멘트 경화체에 비하여 저항성이 다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a durability characterization of cement mortar with inert filler, which is ground calcium carbonate(GCC). The kinds of techniques to evaluate cement mortar are chloride ion ingress, carbonation and sulfate attack. For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resistance of chloride ion ingress, carbonation and sulfate attack, as the addition of GCC makes decreasing the permeability by micro-filler effect, the specimens of $5{\sim}15%$ ratio of replacement are superior to the GCC0 mortar specimen with respect to durability of cement matrix in this scope.

      • 다양한 작물과 영농형태에 따른 수용성 칼슘(Ca<SUP>2+</SUP>), 마그네슘 이온(Mg<SUP>2+</SUP>) 농도 분포

        김경영(Kyoungyoung Kim),Khok Pros,김용국(Yonggook Kim),박지원(Jeewon Park),김은미(Eunmi Kim),이예훈(Yehoon Lee),한광현(Gwang hyun Ha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지속 가능 생산으로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농업 분야 또한 농업환경자원을 보호하고 경제성을 제고시키며 토지생산성 유지를 목표로 하는 지속농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속농업의 핵심은 토양, 작물의 정확한 분석과 진단을 통한 올바른 처방, 적절한 농자재 투입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토양환경과 작물체 양분 조성에 대한 이해와 데이터 수집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4 가지 영농형태(논, 밭, 과수, 시설)와 19 종의 작물(벼, 호박, 고구마, 옥수수, 도라지, 배추, 고추, 수단그라스, 담배, 해바라기, 콩, 부추, 배, 복숭아, 포도, 사과, 고사리, 토마토, 상추)에 대한 토양 중 수용성 칼슘, 마그네슘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충북대학교 농장과 충청북도농업기술원 포장, 경기도 이천 포장에서 채취한 토양을 풍건 후 2 mm 체에 걸러 사용하였다. 토양과 증류수를 1:5 비율로 1시간 동안 진탕 후 여과하여 수용성 칼슘과 마그네슘을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의 칼슘과 마그네슘은 (주) 테크넬의 POCT Ki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토양 중 칼슘과 마그네슘 농도 분포는 각각 0.06-3.05 mM, 0.00-2.89 mM으로 나타났으며 칼슘, 마그네슘 모두에서 분석 시료 중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가진 작물은 해바라기, 콩, 토마토, 부추, 상추로 동일하였다. 시설 형태 재배 작물 토마토와 상추는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농도분포를 보였다. 토양 중 수용성 칼슘, 마그네슘의 넓은 농도 분포 범위와 영농형태에 따른 농도 차이를 고려하였을 때 속적이고 정밀한 농업환경 관리를 위해선 지역별, 작물별, 영농형태별 양분 농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더 나아가 작물별 요구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