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HD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추론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황순영 ( Soon Young Hwang ),홍경의 ( Kyoung Ui Ho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추론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정도가 일반아동에 비해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써 ADHD 아동의 도덕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아동 15명과 ADHD 아동 11명을 대상으로 친사회적 도덕추론능력검사와 친사회적 행동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친사회적 도덕추론능력에 있어서는 ADHD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낮음을 알 수 있었고, 친사회적 행동에서는 ADHD 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ADHD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추론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DHD 아동에게 도덕적 가치를 습득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친사회적 도덕추론능력과 행동발달을 위한 인지중심의 도덕 교육과 공감능력을 강화하는 교육적 프로그램을 교육현장에서 실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o-social moral reasoning and pro-social behavior of ADHD children. Major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re there any differences on Pro-social Moral Reasoning between ADHD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Secondly, are there any differences on Pro-social Behavior between ADHD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Thirdly, what is the Pearson correlation between Pro-social Moral Reasoning and Pro-social Behavior of ADHD children? The research o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1 ADH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s ADHD by a psychiatrist and 15 general children. the Pro-social Moral Reasoning and the Pro-social Behavior tests were executed respectively to children with ADHD and genera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iaarized as follows. Firstly, Pro-social Moral Reasoning of ADHD children showed statistiHD ly signifiHDnt differenceial Bared with that of general children. Secondly, even though the precedent studies have showed that ADH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s low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children, what was shown in this study was there was no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irdly, Pearson correlation between Pro-social Moral Reasoning and Pro-social Behavior of ADHD childre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 KCI등재후보

        친사회적 행동 증진활동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도덕추론

        오세화,이소은 미래유아교육학회 200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친사회적 행동 증진활동에의 참여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도덕추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유아의 성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고,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도덕추론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 집단의 경우, 전체 정서지능과 정서 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 정서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 등 정서지능의 각 하위 영역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정서지능에서의 성차는 여아의 정서의 반영적 조절 점수가 남아에 비해 더 많이 상승했고, 유아의 친사회적 도덕추론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으며,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도덕추론간 상관 관계는 전체 정서지능 및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양자간의 상관계수는 사후 검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social behavior improvement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moral reasoning The subjects were 22 5-year-old children H(M: 11, F: 11), in public kindergarten of and 20 5-year-old children D(M: 10, F: 10) in public kindergarten of elementary school in Chonju City, Chung-buk area.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experimental group in which children were exposed to prosocial behavior improvement program, and the other was control group. To assess the difference i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moral reasoning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hi coefficient person corelation and Mann-Whitney test of non-parametric statistic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ith exposure to behavior improvement program got higher scores in emotional intelligence than their counterparts. Second, within experimental group, girls scored higher in reflective regulation of emotion than boys. Third, the children with treatment got higher scores in prosocial moral reasoning than their counterparts. Fourth, a sign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prosocial moral reaso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rosocial behavior improvement program has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moral reasoning. There findings can be used for developing prosocial behavior improvement program in education at field.

      • KCI등재후보

        교실 공간의 도덕공동체화 구상 -친사회적 행동 발달을 중심으로-

        노희정 ( Hui Jeong Noh ),이지명 ( Ji Myeoung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6

        이 연구는 친사회적 행동을 중심으로 교실 공간의 도덕공동체화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먼저, 일선 초·중등학교 교실 공간에서 흔히 발견되는 자율성의 신화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교실 공간이 공동체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훈육과 소통이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이와 아울러 필자들은 네 가지 유형의 도덕 판단 유형, 이를 테면 추론형, 정서형, 추론과 정서의 혼합형, 행위분석형 도덕 판단 유형을 차례대로 검토함으로써 각 유형들이 친사회적 행동 발달과 친사회적 교실 분위기 형성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필자들은 초·중등학교 교실 공간을 훈육과 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도덕공동체로 만들고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에 상호존중과 협동이 살아 숨쉬는 도덕공동체로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to find the constitutive methods of moral community in classroom with special regard to developing prosocial behavior. We critically examined that myth of autonomy was found often in the elementary or middle school classroom. And we examined that the identity of community, discipline, and communication were necessary. And we examined that four types of moral judgment-the Deliberate reasoning model, Emotional model, Blending the reasoning and emotional model, Action analysis model. It was examined that how could respective types contribute to building the moral community in classroom and developing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we proposed to build the moral community of discipline and communication, the moral community of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in classroom.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의 친사회행동 발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강모 ( Gang Mo J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6

        본 연구의 목적은 친사회적 추론 발달을 연구하는 과정을 탐색·예시하고, 초등학교 아동들의 친사회행동과 친사회적 추론의 경향을 밝히고,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는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콜버그에 의한 금지지향 갈등이야기가 어린 아동의 도덕판단발달 연구에서 부적절한 도구이며, 아이선버그(Eisenberg)의 친사회적 갈등이야기가 대안적 도구일 수 있다. 취학전 및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가르쳐져야 할 도덕성은, 외적 보상 없이도 또한 큰 희생 없이도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해 볼 수 있는 이타적인 도덕적 행동이어야 하고, 그런 도덕적 행동이 바로 친사회행동이다. 본 연구는 아이선버그의 미국 아동 대상 연구 절차들을 한국 초등학교 아동 대상으로 탐색/적용하여 보았다. 아동들의 친사회행동 발달이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으로 역주행하고 있으며 또한 남녀간 성차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통계적으로 검증도 하였다. 아동들의 친사회적/도덕적 발달의 역주행 현상은 간과되어도 되는 부분이 결코 아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장의 도덕과 수업 개선과 홍익인간 육성을 위해서 고민하는 교사, 교육행정가, 정책결정자들에게 다소라도 참고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hreefold: ①to exemplify how to measure children`s prosocial development, ②to determine children`s prosocial tendencies including age change, gender difference, etc. in prosocial development, and ③to provide practical data which could be helpful for classroom teachers, curriculum designers, and policy makers to improve the practice of moral character education. The first finding was somewhat surprising. Prosocial decisions such as "I should help." decreased with age. The second finding was surprising too. Hedonistic self-focused reasoning increased with age, whereas needs-oriented and empathic reasoning decreased with age. The third finding was the gender differences in two categories of reasoning. Girls got scores higher than those of boys in needs-oriented reasoning and empathic reasoning. But the direction of girls` development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boys. These findings seem to be worthy of consideration by classroom teachers, administrators, policy makers, etc.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유아와 아동의 과제특성지각과 친사회적 도덕추론 및 친사회적 의사결정

        이옥경(Ok Kyong Lee),이순형(Soon Hyung Lee) 한국아동학회 2003 아동학회지 Vol.24 No.2

        The 120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 and 9-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Children responded to 24 prosocial moral reasoning dilemmas and 8 prosocial decision-making tasks. Mothers` prosocial moral reasoning was assessed with questionnaires. Level of moral reasoning was higher in distant than in close relationships. 5-year-olds in preoperational stage used the complex situational cues in their reasoning, and prosocial moral reasoning of 9-year-olds was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prosocial moral reasoning in the situation with conditions of distant relationship, low costs, and internal responsibility. Children made more helping decisions in close than in distant relationship situations, low rather than high cost situations, and external rather than internal responsibility situations. 5-year-olds whose mothers were high in level of prosocial moral reasoning were more helpfu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