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체육 참여자의 부부친밀감이 스트레스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성필,김우경,오현준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의 부부친밀감이 스트레스 및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규명하 고자 전남 동부지역의 스포츠 센터 및 동호회 등에서 참여하고 있는 기혼자 222명의 대상자의 자료로 최종 분석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부부친밀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울은 정서적 친밀감, 사회적 역할수 행 및 자기신뢰는 정서적 친밀감, 인지적 친밀감, 일반건강 및 생명력은 정서적 친밀감, 인지적 친밀감이 부적(-)영향을 미쳤고, 수면장애 및 불안은 정서적 친밀감이 부적(-)영향을 미쳤으나, 성적 친밀감은 정적(+)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 부친밀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적행복은 정서적 친밀감, 성적 친밀감이 정적(+) 영향을 미쳤고, 외적행복감은 정적 친밀감이 정적(+)영향을 미쳤다. 이렇듯 생활체육 참여자의 부부친밀감이 스트레스 및 행복감에 영 향을 미친다는 결론은 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전남 동부지역으로 대상을 제한하였기 때문에 다른 지역별로 연구를 분석하여 규명할 필요성이 있으며, 스포츠를 통해 부부친밀감을 향상시켜 행복한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생활체육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find out how couples' closeness affects stress and euphoria, this research was finally analyzed with data from 222 married people participating in sports centers and clubs in eastern South Jeolla Province and conclud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effects of conjugal intimacy on stress, depression had emotional intimacy, cognitive intimacy, general health and life force, emotional intimacy, cognitive intimacy had an amulet effect, sleep disorder and anxiety had an amiss effect, but sexual intimacy had a negative impact. Second, after analyzing the effect of conjugal intimacy on happiness, inner happiness had a static effect, sexual intimacy had a static effect, while external happiness had a static effect. As such, the conclusion that couples' closeness affects stress and happiness could be reached. However, since this research limited the targets to eastern South Jeolla Provi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identify them by analyzing them in different regions, and through sports, it can be a happy family life and social life by improving the conjugal intimacy. Furthermore, continuous research is believed to be necessary to help the physical education develop.

      • KCI등재

        "사랑호흡"을 통한 부부 영적 친밀감 증진

        김기철 한국목회상담학회 2021 목회와 상담 Vol.36 No.-

        Although spiritual intimacy in a marital relationship is supposed to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asks to be sought, the church has neither paid full attention to enhancing it nor offered effective education in spiritual intimacy to married couples. A marital relationship in God’s plan is an excellent tool for the married couple in which spiritual intimacy and spiritual growth can be achieved. However, many Christian couples have unintentionally ignored their spiritual intimacy, considering it as an abstract ideal while paying more attention to emotional and physical intimacy, which seems relatively realistic and attainable. Not only the church but also theorists and practitioners of pastoral counseling need to reflect on their own attitudes toward spiritual intimacy in marital relationships and should be able to develop and offer helpful spiritual education programs for marital and premarital couples. In this article I will focus on seeking the meaning, necessity, and ultimate goal of spiritual intimacy in marriage. Using pastoral theology, I will illuminate couples’ spiritual intimacy in order to offer a new direction in designing spiritual education programs for spiritual intimacy. First, I will argue that the previous theoretical way of understanding can be more concrete and practical. In order to activate spiritual respiration at the practical level, first, we need to call it love respiration, which is attainable. Second, in order to activate it, the attitude of being powerless and hopeless as Christian couples in enhancing spiritual intimacy needs to be changed into being willing and positive. Third, spiritual companionship in marital relations can be helpful in enhancing spiritual intimacy through exercises of spiritual discernment and reflection. Last, imaging God is the ultimate goal of spiritual intimacy, and it will take place more actively in the triadic relationship of husband, wife, and God. In imaging God, the couple can understand themselves more clearly and continue to understand God more clearly. 부부 영적 친밀감은 신앙인 부부가 영적 발달과정에서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부부 영적 친밀감 증진이라는 주제에 큰 관심을 기울여오지 못했고 결혼한 회중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 부부관계는 결혼한 성인들이 영적 친밀감과 영적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훌륭한 환경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신앙인 커플들은 성숙한 신앙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필요한 영적 친밀감 증진을 주된 신앙훈련 과제로 여기지 않는 듯하다. 신앙인 커플들은 의도치 않게 영적 친밀감을 소홀히 여겨왔고, 부부 영적 친밀감 형성을 추상적이고 이상적인 것으로 인식해왔다. 그러면서, 부부의 정서적, 육체적 친밀감 형성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부부 목회돌봄의 상황 속에서 기존의 영적 친밀감으로서의 사랑경험을 재고찰하고 재해석하여 새로운 방향과 실천적 지침을 제시하기 위해 부부 영적 친밀감에 대해 목회신학적으로 성찰할 것이다. 이를 위해 테오도어 러년(Theodore Runyon)의 영적 호흡에 대한 재해석과 폴 스티븐스(Paul Stevens)의 부부의 영적 관계 이해를 주된 문헌으로 사용할 것이다. 영적 친밀감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통해 부부 영적 친밀감의 의미와 필요성, 궁극적인 목표, 영적 친밀감 증진을 위한 실천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끝으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부부 영적 친밀감 증진을 위한 영적 훈련으로 ‘사랑 발견하기’와 ‘사랑 호흡’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영적 훈련과 영적 동반의 경험 속에서 부부 영적 친밀감이 증진되고 부부의 개인적인 관계가 하나님과의 관계로 발전되며 부부는 더 온전한 친밀감을 이루어갈 수 있을 것이다.

      • 신중년세대의 부모, 자녀관계가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적, 성적 친밀감을 중심으로

        이국권(Lee Kuk Kwon),박진복(Park Jin Bok)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2019 지역복지정책 Vol.30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paration of retirement in the Chungcheongnam-do, Korea. Recognition of family relations in prudential years was spouses 3.37, parents 3.35, children 3.32, spouse cognitive intimacy 3.61, child support costs 3.41, parents emotional support 3.38, spouse sexual intimacy 3.34, parents physical and economic support 3.33, Childcare burden 3.25, and spouse emotional intimacy 3.11. The difference of spousal intimacy was significant in the emotional intimac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rudent year.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the affection of the spouse s intimacy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of the prudent year, the effect of the spouse s cognitive intimacy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pouse s cognitive intimacy. The effects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parental physical and economic support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spouse emotional intimacy. 본 연구는 충청남도 신중년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에 대한 실태조사를 한 연구로써 충남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중년의 가족관계에 대한 인식은 배우자관계 3.37, 부모관계 3.35, 자녀관계 3.32였으며, 배우자 인지적 친밀감 3.61, 자녀양육비용 부담 3.41, 부모 정서적 부양 3.38, 배우자 성적 친밀감 3.34, 부모 신체·경제적 부양 3.33, 자녀양육 부담 3.25, 배우자 정서적 친밀감 3.11로 나타났다. 배우자 친밀감 차이는 신중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정서적 친밀감은 직업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기타 직업을 가진 신중년이 배우자 정서적 친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중년의 부모, 자녀가 배우자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면, 배우자 인지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 정서적 부양이 좋을수록 배우자 인지적 친밀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 정서적 부양, 부모 신체·경제적 부양이 좋을수록 배우자 정서적 친밀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교수 친밀감의 매개효과 및 교수 전문성의 조절효과

        류정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14 취업진로연구 Vol.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교수 친밀감의 매개효과와 교수 전문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전문대학교 1학년 321명(남학생 117명, 여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대학생활적응, 교수의 친밀감, 전문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진로장벽, 대학생활적응, 교수의 친밀감, 전문성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교수 친밀감, 교수 전문성, 대학생활적응간 상관은 모두 유의하였다. 진로장벽은 대학생활적응, 교수 친밀감, 전문성 모두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은 친밀감, 전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친밀감은 전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 친밀감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는 진로장벽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교수 친밀감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진로장벽이 높은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수단으로 교수 친밀감이 긍정적 변수임을 시사한다. 셋째,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 전문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진로장벽이 낮은 학생이 교수 전문성을 높게 지각한 경우에는 전문성을 낮게 지각한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반면, 진로장벽이 높은 학생이 교수 전문성을 높게 지각한 경우에는 전문성을 낮게 지각한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전문대학생의 경우 자신의 실력에 비해 교수자의 전문성이 너무 높다고 지각할 때 오히려 교수자와 정서적 거리감을 느끼고 이러한 정서적 거리감은 대학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교수 친밀감과 전문성이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위의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상담과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을 고안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professor intimacy between career barriers and to test the moderation effect of professor expertise in these relations. Participants were 321 freshmen(117 male, 204 female) at colle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areer decision scal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scale. Correlational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Mediation effect qualification procedure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s applied to validate mediation effect. Sobel valid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rrelational analyses among variables was significant. The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aptation and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is indicate that the higher career barriers, the lower college adaptation and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The college adptation and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indicate that the higher college adaptation, the higher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The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indicate that the higher professor intimacy, the higher professor expertise.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professor intimacy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aptat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 indicates that the greater career barriers leads to a lower professor intimacy, which in turn decrease college adaptation. It suggests that college adaptation is affected by not only career barriers but also professor intimacy. Thir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aptation was moderated by professor expertise. Th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ollege adapt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essor expertis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results were discussed.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at-risk career barriers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need for developing professor’s intimacy and professor’s expertise program and system which can develop college adapt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개방과 공감반응이 신혼부부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이미영,권정혜 한국가족치료학회 2016 가족과 가족치료 Vol.24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empathic responding on emotional intimacy in sharing daily events that are unrelated with one's spouse on the basis of Reis and Shaver's Interpersonal Process Model of Intimacy. Methods: For this goal, the Mitchell et al(2008)'s empirical approach towards Reis's model was employed as a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on 40 newly married couples for three years or less and examined the effect of observational ratings of disclosure and empathic responding on intimacy. Results: For men's positive event, men's disclosure had significant effects on men's own speaker intimacy and women's listener intimacy. For women's positive event, women's disclosure had significant effects on women's own speaker intimacy and men's empathic respond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women's speaker intimacy and men's own listener intimacy. For a men's negative event, men's disclosure and women's empathic responding did not had significant effects on men's speaker intimacy and women's listener intimacy. For a women's negative event, men's empathic respond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women's speaker intimacy.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cess of marital intimacy differ by gender and the type of the shared event. 본 연구에서는 부부가 배우자와 관련되지 않은 일상생활의 사건들을 공유하는 대화에서 자기개방과 공감반응이 부부의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itchell 등(2008)의 친밀감 모형을 연구 모형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확장 검증하였다. 연구는 결혼 기간이 만 3년 이내인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 40쌍을 대상으로 하였고, 부부의 대화를 녹음하여 부부간 친밀 행동 평정 체계(Couples’ Intimate Behavior rating system)를 사용하여 자기개방과 공감반응을 평가하였다. 사건 유형은 대화 시 개방한 내용에 따라 긍정적 사건과 부정적 사건으로 구분하였고, 대화 후 느낀 친밀감은 자기개방을 한 화자가 대화 후 느낀 화자 친밀감과 공감반응을 한 청자가 대화 후 느낀 청자 친밀감으로 구분하여 그 영향을 각각 살펴보았다. 자기개방과 공감반응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편이 긍정적 사건을 개방하고 부인이 공감반응을 한 경우, 남편의 자기개방은 남편의 화자 친밀감과 부인의 청자 친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이 긍정적 사건을 개방하고 남편이 공감반응을 한 경우, 부인의 자기개방과 남편의 공감반응은 부인의 화자 친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남편의 공감반응은 남편의 청자 친밀감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이 부정적 사건을 개방하고 남편이 공감반응을 한 경우, 남편의 공감반응은 부인의 화자 친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부부의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개방한 사건 유형과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아분화와 사회불안이 남,녀 대학생의 커플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강은숙,박정희 한국가족치료학회 2005 가족과 가족치료 Vol.13 No.2

        본 연구는 남ㆍ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커플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분화 및 사회불안의 영향력 정도를 검증해 봄으로써, 성인초기의 주요 발달과업 중 하나인 커플 친밀감 형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성인초기의 친밀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3개 대학 재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선 남․녀 대학생의 자아분화, 사회불안 및 커플친밀감 점수 간에는 자기입장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녀 대학생의 자아분화, 사회불안 및 커플친밀감간 상관분석에서, 남자 대학생은 자기입장과 커플친밀감간 r=.35, 여자 대학생은 정서적 단절과 커플친밀감간 r=-.37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남자 대학생 집단에서는 사회불안과 커플친밀감간 r=-.33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여자 대학생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커플친밀감에 미치는 각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남자 대학생 집단의 커플친밀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자기입장(β=.41)이, 여자 대학생 집단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의미있지는 않았지만 정서적 단절(β=-.40)로 나타났다. 이로써 남녀 대학생들의 커플친밀감과 자아분화 및 사회불안 간에는 어느정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분화와 사회불안은 커플 친밀감 발달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 KCI등재

        중학생의 유머 유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친밀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도경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Effects of Humor Style on Middle School Student SchoolAdapt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imacyand Cognitive FlexibilityKyungmi Do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umor style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imac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humor style, cognitive flexibility, intimacy, and school adjustment were measured by 335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humor style, cognitive flexibility, intimacy, and school adjustment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conformal humor typ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flexibility, intimacy, and school adjustment, while the non-adaptive humor sty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flexibility, intimacy,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cognitive flexibility and intimac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humor types and school adjustment.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intimac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adaptive humor types and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nformity hum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or types and school adjustment,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intima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 higher the level of non-adaptive humor, the lower the level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intimacy, which means that the school adjustment is lowe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Humor, Humor Style, Intimacy, Cognitive Flexibility, School Adaptation 중학생의 유머 유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친밀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도 경 미** 요약: 본 연구는 유머 유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유머 유형, 친밀감, 인지적 유연성, 학교적응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상관분석 결과, 유머 유형과 친밀감, 인지적 유연성, 학교적응은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순응적 유머 유형은 친밀감, 인지적 유연성, 학교적응에 정적 상관을 보이는데 반해 비순응적 유머 유형은 친밀감, 인지적 유연성, 학교적응에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한 결과, 순응적 유머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친밀감과 인지적 유연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순응적 유머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친밀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머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순응적 유머 유형의 수준이 높을수록 친밀감의 수준과 인지적 유연성 수준이 높았고 학교적응도 높았다. 그러나 비순응적 유머 수준이 높을수록 친밀감의 수준과 인지적 유연성이 낮아짐으로써 학교적응을 낮아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핵심어: 유머, 유머 유형, 친밀감, 인지적 유연성, 학교적응 □ 접수일: 2022년 3월 11일, 수정일: 2022년 3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본 논문은 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서울 재현중학교 전문상담교사(Teacher, Seoul Jaehyun Middle School, Email: wildrosakr@sen.go.kr)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효과

        신승연,홍은미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4

        최근 다문화가족이 급증하면서 의사소통문제로 인해 가정불화와 부부갈등으로 고통 받고 가족해체로까지 이어지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미술치료는 미술이라는 매개체를 활용하여 부부가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하게 되면서 친밀감을 높이는 데에 유용한 기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적 의존도가 낮아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배우자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과 친밀감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어졌다. 한국인남편과 베트남출신부인 부부 6쌍을 대상으로 6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에 의사소통과 친밀감척도 검사를 사용하여 부부들의 의사소통과 친밀감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남편들의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부인들에게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친밀감에 있어서는 남편들의 경우 전체적인 친밀감과 친밀감의 세부영역인 인지적 친밀감과 정서적 친밀감이 향상된 반면 부인들은 인지적 친밀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more we have multicultural families in our society, the more frequently we see the families with problems. Art therapy is a useful method in developing marital couple’s intimacy as they become able to communicate better with each other. Thu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rt therapy which is less dependent on language is effective on enhancing the marital communication and intimacy for multicultural family for multicultural couple, in which a foreign spouse can command Korean language incompetently. The group art therapy consists of six sessions in total. The subjects are six couples, in which Korean husbands are married to Vietnamese wive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using the Marital Communication Inventory of Bienvenu and the Intimacy Scale devised by Lee. The paired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ousal communica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ly for the husbands. And intimacy in total and cognitional intimacy and emotional intimacy which are the sub domains of intimacy showed significant results for the husbands where as only cognitional intimacy is for the wives.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한·중·일 대학생들 간의 정서 차이에 관한 연구

        조수진(Cho, Su-Jin),이재은(Lee, Jae-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에 인접한 국가로 동일한 유교문화를 공유하고 한다고 하더라도 한국 · 중국 · 일본인들의 문화적 정서는 매우 다를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인간의 기본 정서 중에서 문화적으로 형성된 ‘수줍음’과 ‘친밀감’이 한국 · 중국 · 일본인들 간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한국 · 중국 · 일본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집단 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중국이 수줍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친밀감의 표현은 낮게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수줍음이 중국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지만 친밀감은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수줍음은 가장 낮지만 친밀감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대상에 따른 수줍음과 친밀감은 낯선 사람과 이성, 연장자, 여러 사람과 함께 있는 상황에서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 한류의 영향은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한국어교육을 통해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 연구는 국가 간 소비자들의 정서적 차이에 대한 연구로 한국어교육을 받고자 하는 외국인의 문화적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문화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cultural emotions would differ much among Koreans, Chinese and Japanese, although they share the same Confucian culture, while staying next to each other in East Asia. Also it is considered that "shyness" and "sense of closeness", which are formed culturally as the basic emotions of human,may be shared among Koreans, Chinese and Japanese". Results of comparing the average group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indicated that Chinese students showed shyness the least and expressions of sense of closeness the most. As for Japanese students, they expressed less shyness than Chinese, but higher sense of closeness. Among Korean students, shyness was the lowest, but sense of closeness was found the highes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s of shyness and sense of closeness differ depending onwhether they arewith stranger, opposite sex, older person or amongmultiple people. Recently as hanryu Korean wave grew prevalent, more and more foreigners want to learn Korean, and as a result, spreading Korean culture through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as become very importan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a study on the emotional differences of consumers among nations will become a foundation for research of culture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foreigners who intend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이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에 인접한 국가로 동일한 유교문화를 공유하고 한다고 하더라도 한국 · 중국 · 일본인들의 문화적 정서는 매우 다를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인간의 기본 정서 중에서 문화적으로 형성된 ‘수줍음’과 ‘친밀감’이 한국 · 중국 · 일본인들 간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한국 · 중국 · 일본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집단 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중국이 수줍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친밀감의 표현은 낮게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수줍음이 중국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지만 친밀감은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수줍음은 가장 낮지만 친밀감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대상에 따른 수줍음과 친밀감은 낯선 사람과 이성, 연장자, 여러 사람과 함께 있는 상황에서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 한류의 영향은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한국어교육을 통해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 연구는 국가 간 소비자들의 정서적 차이에 대한 연구로 한국어교육을 받고자 하는 외국인의 문화적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문화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cultural emotions would differ much among Koreans, Chinese and Japanese, although they share the same Confucian culture, while staying next to each other in East Asia. Also it is considered that "shyness" and "sense of closeness", which are formed culturally as the basic emotions of human,may be shared among Koreans, Chinese and Japanese". Results of comparing the average group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indicated that Chinese students showed shyness the least and expressions of sense of closeness the most. As for Japanese students, they expressed less shyness than Chinese, but higher sense of closeness. Among Korean students, shyness was the lowest, but sense of closeness was found the highes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s of shyness and sense of closeness differ depending onwhether they arewith stranger, opposite sex, older person or amongmultiple people. Recently as hanryu Korean wave grew prevalent, more and more foreigners want to learn Korean, and as a result, spreading Korean culture through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as become very importan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a study on the emotional differences of consumers among nations will become a foundation for research of culture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foreigners who intend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

        커플관계 친밀감 연구

        유춘자,박경 한국심리치료학회 2013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문헌고찰연구로서 커플관계에서의 친밀감 관련 연구들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커플관계에서 의 친밀감은 커플관계뿐 아니라 결혼에 대한 만족도를 예견할 만큼 커플 간에 경험하는 친밀감의 정도는 자신뿐 아니라 파트너의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안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 밀감의 개념 및 발달과정을 다루어 보았고 커플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의사소통, 애착, 사회 불안 등을 중심으로 이들이 커플관계 친밀감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선행연구들 을 통해 친밀감관련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자기개방을 포함한 의사소통, 애착, 사회불안을 중 심으로 문헌고찰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친밀감 관련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