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승모판치환 환자의 항응혈제 치료

        김종환,김영태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12

        배경: 기계적 보철판막을 사용한 환자에서의 항응혈제 치료의 목표는 혈전전색의 효과적 예방과 출혈의 안전한 방지에 있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1995년까지 쎈트쥬드판막으로 심장판막을 치환한 209례(승모판치환 122, 대동맥판치환 48, 중복판막치환 48)의 환자에서 실제로 수행된 항응혈제 수준과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쿠마딘으로 항응혈제 치료를 개시하고 원칙적으로 월 1회의 외래 내원하여 검사와 프로트롬빈시간 측정으로 국제정상화비(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 INR)를 낮은 강도의 치료적 목표범위 1.5∼2.5 내에 조정하였다. 결과: 총 항응혈제 추적기간은 1082.0환자년(평균 62.1개월)이고 프로트롬빈시간 검사는 총 10,205회였다. 치환판막군간에 유의한 차이없이 총 측정수의 65%에서의 INR값만이 목표범위이내에 있었다. 각 환자에서 추적기간중 시행한 프로트롬빈시간 측정의 70%이상이 목표범위에 포함되었던 환자는 77례(37%)에 불과하였다. 환자의 57%에서 본 심방세동이 있던 환자에서의 INR수준은 정상동률이던 환자에서의 수준보다 분명하게 높았다(p<0.001). 혈전전색증은 15례가 경험하여 연간빈도가 1.265%/환자년(승모판치환 1.412%/환자년, 대동맥판치환 0.462%/환자년, 중복판막치환 1.531%/환자년)이고 출혈은 4례로 0.337%/환자년의 연간빈도를 보였다(승모판치환 0.424%/환자년, 대동맥판치환은 없고, 중복판막치환 0.383%/환자년). 빈번하거나 장기간의 프로트롬빈시간 측정의 탈락은 혈전전색합병증에 크게 연관된 주요 위험요소였다(대응비 1.99). 각 환자에서의 INR값이 목표범위내에 포함된 비율이 60%에 미달하였던 환자에서는 혈전전색합병증과 전색과 출혈의 종합합병증의 발생률이 높아 명확하게 큰 위험요소였다(각각 p<0.004 및 p<0.002). 결론: 낮은 강도의 치료적 목표범위가 대동맥판치환이고 정상동률인 환자에서는 적절한 수준인 듯 하다. 그러나 승모판을 치환한 환자에서 특히 심방세동을 동반할 때에는 혈전전색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에 충분한 실제적 항응혈제 수준을 성취하려면 보다 높은 INR의 목표범위가 필요할 듯 하며 INR 2.0∼3.0을 치료적 목표범위로 하는 임상적 결과의 축적이 필요하다. 환자가 합병증에 노출되는 기회와 기간을 최소화하려면 주기적 외래방문을 지키고 쿠마딘 복용을 빼지 않도록 계속 지도하여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는 동시에 INR값을 엄격하게 적정범위 내에 일관되게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합병증의 위험요소가 있는 환자와 INR값의 변동폭이 지나치게 넓은 환자에서는 빈번한 항응혈제 수준의 감시가 필요하다. Background: Primary goal of anticoagulation treatment in patients with mechanical heart valve is the effective prevention of thromboembolism and safe avoidance of bleeding as well. Material and Method: Two-hundred and nine patients with the St. Jude Medical prosthesis operated on between 1984 and 1995, for mitral(MVR 122), aortic(AVR 39) and double mitral and aortic valve replacement(DVR 48) respectively, were studied on the practically achieved levels of anticoagulation and the clinical outcomes. Patients were on Coumadin and followed up by monthly visit to outpatient clinic for examination and prothrombin time measurement to adjust the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s(INRs) within the low-intensity target range between 1.5 and 2.5. Result: A total anticoagulation follow-up period was 1082.0 patient- years(mean 62.1 months) and INRs of 10,205 measurements were available for evaluation. The accomplished INRs among the replacement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only 65% of INRs were within the target range. And, in individual patients, only 37% of patients had INRs included within the target range in more than 70% of tests during follow-up period. The levels of INR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which was found in 57% of patients, were definitely higher than the ones measured in patients with regular rhythm(p<0.001). Thromboembolisms were experienced by 15 patients with the incidence of 1.265%/patient- year(MVR 1.412%, AVR 0.462% and DVR 1.531%/patient-year) and major bleeding by 4 patients with the incidence of 0.337%/patient-year(MVR 0.424%, AVR none and DVR 0.383%/patient-year). Frequent as well as prolonged missing of prothrombin time tests was the main risk factor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thromboembolic complications(odds ratio 1.99). The proportion of INRs within target range of less than 60% in individual patient was the highly significant risk factor of both thromboembolic and overall embolic and bleeding complications(p<0.004 and p<0.002 respectively).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low-intensity therapeutic target range of INRs was adequate in patients with AVR and in sinus rhythm. However, the patients with replacement of the mitral valve were more likely to require higher target range of INRs, especially in the presence of atrial fibrillation, to achieve the practical levels of anticoagulation enough to prevent thromboembolic complications effectively. For the higher therapeutic target range of INRs between 2.0∼3.0, further accumulation of clinical evidences are required. It is highly desirable to improve the patients' compliance under continuous instructions in visiting outpatient clinic and in taking daily Coumadin without omission and to keep INRs consistently within optimal range with tight control for minimization of chances and of periods of exposure to the risk of complications. And, particularly, patients with high risk of complications and with wide fluctuation of INRs should be better managed with frequent monitoring anticoagulation levels.

      • KCI등재

        심장판막치환술 후 재치환술에 관한 임상연구

        김혁,정원상,남승혁,강정호,김영학,이철범,전순호,신성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12

        목적: 심장판막치환술 시에 선택하는 판막에는 크게 기계판막과 조직판막이 있다. 두 가지는 각기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데 조직판막의 경우 판막의 퇴행성 변화에 따른 재수술이 가장 문제가 되며 판막재치환술의 위험도가 적다면 조직판막의 사용이 증가되리라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심장판막치환술 후 재치환술의 위험도 및 사망률을 심장판막 일차치환술과 비교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최근 10년간 본 병원에서 연속적으로 시행한 심장판막수술 환자 239명 중 심장판막치환술 후 재치환술을 받은 25명과 심장판막일차치환술을 받은 158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심장판막 재치환술군과 심장판막 일차치환술군 간의 나이, 성별, 술전심박출률 등은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재치환군에서 첫 수술의 판막은 기계판막 3예, 조직판막 22예로 이중 대동맥판막과 승모판막을 동시에 조직판막으로 치환한 경우가 1명 있었으며,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기계판막의 경우 92개월, 조직판막인 경우 평균 160개월이었다. 체외순환 및 대동맥차단의 평균시간은 재치환술의 경우 152분, 108분, 일차치환술의 경우 130분, 89분으로 통계적인 유의함을 보였다. IABP의 사용은 재치환술의 경우 2예(8%), 일차치환술은 6예(3.8%)로 차이를 보였으며, 수술사망은 재치환술의 경우 1예(4%), 일차치환술의 경우 9예(5.1%)였다. 술 후 합병증 중에서 술 후 48시간 이상의 인공호흡이 재수술에서는 13.6%, 1차 수술에서 5.7%로 차이를 보였고 다른 인자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 평균 추적기간은 6.5±3.2년이고 재치환술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4%였으며 일차치환술의 경우 5년 생존율은 95%를 보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심장판막재치환술은 일차치환술과 비교하여 볼 때 수술 위험도는 약간 증가되나 사망률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재수술 위험을 고려하여 조직판막을 너무 기피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하며 다른 장점이 많은 조직판막의 선택적인 사용이 권장된다. 그러나 재치환술의 경우 술전 상태가 나빴던 환자에서 만기사망률이 높으므로 일차치환술 후 적절한 심장기능 및 환자상태의 평가가 필요하며 너무 늦지 않은 적정한 시기에 재치환술을 고려해야 겠다.

      • SCOPUSKCI등재

        소아심장판막치환술

        김재현,이광숙,윤경찬,유영선,박창권,최세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4

        배경: 소아에서의 심장판막치환술은 성인에서의 심장판막치환술의 제반문제 이외에도 작은 판막의 혈류역학적 문제, 신체발육에 따른 재수술, 출산 및 항응고요법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심장판막치환술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의 여러 문제점과 해결책을 규명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부터 1997년까지 15세 이하 소아 30명에서 심장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남아가 16명, 여아가 1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3세에서 15세로 평균 연령은 12.1$\pm$3.2세 였다. 판막 부위별로 보면 승모판치환술 15례, 대동맥판치환술 11례, 삼첨판치환술이 3례였으며, 승모판 및 대동맥판치환술이 1례 있었다. 판막질환의 원인을 보면 선천성이 17명, 후천성이 13명이었다. 이용한 판막으로는 조직판막 10례, 기계판막 20례였으며 1985년 이후로는 조직판막은 사용하지 않았다. 기계판막치환 환자에서는 술후 coumadin으로 항응고치료를 지속하였으며, 조직판막치환 환자에서는 술후 3개월간 coumadin을 복용하였다.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는 8명으로 엡스타인씨기형 교정술 2례, 심실중격결손증과 대동맥폐쇄부전의 교정술 2례가 있었으며, 그 외 대동맥판막하협착, 방실중격결손증, 대동맥판협착증 및 심실중격결손증 등의 교정술이 각각 1례씩 있었다. 판막치환시 동시에 시행한 술식으로는 삼첨판륜성형술 3례, 심실중격결손증 교정 2례, 동맥관개존증 결찰 2례, 대동맥판륜확장술 2례, 심실중격결손증과 동맥관개존증 교정 1례, 승모 풉낮첬括珝낵\ulcorner1례등이 있었다. 결과: 수술사망은 2례로 조기사망률은 6.7%였다. 수술생존자 28명중 4명은 장기추적관찰이 불가능하였으며, 총 2091환자.월(평균 74.7$\pm$68.4개월, 최장 187개월)동안 관찰하였다. 이 기간중 판막의 혈전, 혈전색전증 및 항응고치료에 따른 출혈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나, 조직판막을 이용한 10례중 8례에서 술후 평균 87.1$\pm$23.6개월에 판막기능부전으로 재수술하였으며(이중 2례는 타 병원에서 수술함), 기계판막을 치환한 1례에서 판막주위누출과 감염으로 술후 3개월째 재수술하였다. 재수술시 사망례는 없었다. 만기사망은 1례로 방실중격결손증 교정술후 잔존 승모판폐쇄부전으로 승모판치환술을 받은 7세환아로 판막치환술후 4개월에 확장성심근염으로 사망하였다. 조직판막의 경우 생명표분석에 의한 판막실패가 없는 장기누적률은 6년째 75.0%, 7년째 50.0%, 8년째 12.5%의 기록을 보여 술후 6년에서 8년에 걸쳐 격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사망 2례를 제외한 28명의 장기생존률을 Kaplan-Meiyer법에 의해 분석하였을때 4개월째 생존률이 96.0%로 그 이후로는 사망례가 없었다. 결론:이상의 결과로 보아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술후 적절한 추적관찰이 행해질 경우 항응고요법에 따른 합병증은 거의 없으나, 5세이하 소아나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한 경우는 위험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irty children ranging from 3 to 15 years of age underwent cardiac valve replacement at Dongsan Medical Center from 1982 to 1997. Material and Method: There were 16 boys and 14 girls. The mean age was 12.1. The underlying pathological cause for valve replacement was congenital heart disease in 17 children and acquired heart disease in 13. The valve replaced was mitral in 15 children, aortic in 11, tricuspid in 3, and combined aortic and mitral in 1. Twenty-one mechanical and 10 tissue valves were placed: primary mechanical valve have been utilized since 1985. Eight of ten patients with tissue valves have had successful second valve replacements 4 to 11 years after the initial operation. Result: The operative mortality was 6.7%, but mortality was higher among patients less than 5 years of age and patients who had previous cardiac operations. Of the 28 operative survivors, 4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the remaining patients were observed for a total of 2091 patient/months(mean 74.7 months, maximum 187 months). There was one late death from dilated cardiomyopathy after mitral valve replacement in 7 year-old patient with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After the operation, all patients with mechanical valves were placed on a strict anticoagulant regimen with Coumadin. The actuarial survival rate was 96% at the end of the follow-up. No instance of thromboembolism or major bleeding were observed in the survivor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lve replacement can be performed with low mortality in children, and with satisfactory long-term survival.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시 선택적 슬개골 치환술의 결과 비교

        정영복(Young-Bok Jung),박세진(Se-Jin Park),정호중(Ho-Joong Jung),장기웅(Ki-Woong Ch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1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슬개골 보존군과 치환군 사이의 임상적 그리고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분석하려 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7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최소 7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총 54명 73예에 대해 슬개골 보존군과 치환군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슬개골의 두께가 22 ㎜보다 얇은 경우, 슬개골의 관절연골이 정상에 가까운 경우, 수술 전 대퇴슬개 동통이 거의 없었거나 슬개골 골질이 불량한 경우, 60세 이하인 환자의 경우를 슬개골 보존의 적응증으로 삼았다. 슬개골을 보존할 경우에는 슬개골 골극 절제술 및 변연부 소작술을 시행하였고 슬개골의 아탈구나 기울임이 있을 경우는 이를 교정하였다. 슬관절 보존군은 32명 41예였으며 치환군은 22명 32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보존군이 106.7개월, 치환군이 93.6개월이었다. 슬관절 점수와 기능 점수(American knee society의 knee rating system) 및 HSS 점수(Hospital for Special Surgery의 knee arthroplasty rating system)와 대퇴슬개 점수, 무릎관절 운동 범위, 그리고 국제 슬관절 학회의 방사선 분류법(knee society's radiographical evalu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술 후 마지막 추시 관찰 시의 방사선 사진을 평가하였고, 대퇴슬개 관절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Keblish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슬개골 보존군에서 마지막 추시의 슬관절 점수 및 기능 점수는 90.4/75.5, 슬개골 치환군에서는 86.1/70.0이였으며(p=0.29, p=0.27), HSS 점수는 각각 85.2과 84.8로 평균값은 보존군에서 약간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Bristol의 슬개골 점수와 Lonner의 대퇴-슬개 점수는 보존군에서 8.7과 82.0, 치환군에서 8.8와 85.6으로 치환군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점수들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으며 무릎 관절 운동 범위와 방사선 평가상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 추시의 대퇴슬개간 적합성은 전체 평균이 95.0%이었고, 보존군에서는 평균 95.8%이며 이중 100% 완전 적합성을 갖는 환자가 80%이었으며, 치환군에서 대퇴슬개간 적합성은 평균 94.4%이며 이중 100% 대퇴슬개간 적합성을 갖는 환자가 81%이었다. 결론: 본문에서 제시한 슬개골 보존 적응증에 의거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경우 슬개골 보존군과 치환군에서 술 후 최소 7년 후에 평가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이 양호하였으며 적절한 슬개골 보존 적응증을 기준으로 선택적 슬개골 치환술을 시행한다면 술 후 결과는 양쪽 모두 만족스러울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nd report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patients that had undergone patellar retention and resurfacing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93 to December 1999, 54 patients (73 cases)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by one surgeon. We divided these patients into the patellar retention group and patellar resurfacing group, and compar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he two groups. The indications of patellar retention were a small patella, nearly normal articular cartilage, minimal preoperative patellofemoral pain, poor patellar bone quality, and young patient age. In these cases, osteophytes of the patella were removed and marginal electrocauterization was performed. There were 32 patients (41 cases) in the patellar retention group and 22 patients (32 cases) in the patellar resurfacing group.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06.7 months in the patellar retention group and 93.6 months in the patellar resurfacing group. We evaluated the patients using the knee rating system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knee score and functional score), knee arthroplasty rating system of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score), patellofemoral scor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and performed a radiological evaluation by use of the radiographical evaluation system of the Knee Society at the last follow-up period. Also, to evaluate patellofemoral congruence, we used Keblish's method.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knee score and functional score were 90.4 and 75.5 for the patellar retention group, and 86.1 and 70.0 for the patellar resurfacing group, respectively (p=0.29, p=0.27). The HSS score was 85.2 for the patellar retention group and 84.8 for the patellar resurfacing group (p=0.30). The Bristol patellar score and Lonner Patellofemoral score were 8.7 and 82.0 for the patellar retention group and 8.8 and 85.6 for the patellar resurfacing group, repectively (p=0.86, p=0.86). The mean value of the patellofemoral score was slightly higher in the patellar resurfacing group, but statistical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also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he others parameters. Conclusion: We obtained favorable results by selective patellar resurfacing total knee arthroplast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oth the patellar retention and resurfacing group. We believe that it may be better to select a proper indication than to just follow the preference of the surgeon for patellar resurfacing.

      • KCI등재

        대퇴골 전치환술 받은 악성 골종양 환자의 생존인자와 합병증

        조완형(Wan Hyeong Cho),전대근(Dae-Geun Jeon),송원석(Won Seok Song),박환성(Hwan Seong Park),남희승(Hee Seung Nam),김경훈(Kyung Hoo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3

        목적: 대퇴골 전치환술은 사지재건술의 극단적 술식 중 하나이며 증례가 드물어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술식 후의 합병증에 대한 분석이며 본 술식의 적응증에 대한 분석은 미미하다. 저자들은 대퇴골 전치환술 36예의 1) 종양적 문제로 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생존에 관련된 예후인자, 2) 치환물 및 하지의 생존율, 3) 치환물을 3년 이상 추시한 예의 합병증, 최종 하지 상태 및 기능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 전치환술을 받은 이유에 따라 원발성 종양에 의한 경우(15예, 1군), 오인 수술 및 국소재발로 인한 경우(16예, 2군), 재건물 실패로 인한 경우(5예, 3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환자 생존인자 분석 항목은 나이, 성별, 전치환술 원인, 항암요법 전후 종양 부피 변화, 절제연, 국소재발이었다. 결과: 전체 36예의 5년 환자 생존율은 31.5%±16.2%였다. 종양과 관련된 적응증으로 치환술을 받은 31예의 5년 생존율은 21.1%±15.6%였다. 항암요법 전후 종양의 크기가 같거나 감소한 10예의 5년 생존율은 50.0%±31.0%로 크기가 증가한 13예의 0.0%±0.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2). 광범위 절제연을 얻은 12예의 5년 생존율은 41.7%±27.9%로 변연부 절제연의 0.0%±0.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3). 성별, 나이, 대퇴골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원인, 치환술 후 국소 재발여부와 생존율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환물 36예에서 5년 생존율은 16.6%±18.2%였다. 하지의 10년 생존율은 85.9%±14.1%였다. 최종 추시상 종양인공관절을 유지한 것이 12예, 회전성형술은 2예, 슬관절 상부 절단술 1예, 관절고정술 1예였다. 대퇴골 전치환술 후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6예 중 수술이 필요했던 주 합병증이 14예, 보존적 치료만 했던 저등급 감염이 2예였다. 수술한 환자 14예 중 감염이 10예(71.4%)예, 국소재발이 2예, 고관절 탈구, bushing 파손, 대퇴동맥 폐색이 각각 1예였다. 결론: 종양과 관련된 적응증으로 대퇴골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항암요법 후 종양의 크기가 커지거나 절제연이 불량한 경우, 환자가 조기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전치환술의 시행에 신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생존 환자에서도 감염률이 높고 기능적 결과도 만족스럽지 않으나 현재 적응증을 고려했을 때 대퇴골 전치환술은 사지보존을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보인다. Purpose: Total femoral replacement (TFR) is an extreme form of limb salvage. Considering the rarity of this procedure, reports have focused on the complications and a proper indication is unclear. This study analyzed 36 patients with TFR who were asked the following: 1)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survival in patients who underwent TFR with a tumoral cause; 2) overall implant and limb survival; 3) complications, functional outcome, and limb status for patients surviving for more than 3 years. Material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causes for TFR, 36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extensive primary tumoral involvement (group 1, 15 cases), tumoral contamination by an inadvertent procedure or local recurrence (group 2, 16 cases), and salvage of a failed reconstruction (group 3, 5 cases).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survival of patients included age, sex, cause of TFR, and tumor volume change after chemotherapy. Results: The overall five-year survival of the 36 patients was 31.5%±16.2%. The five-year survival of 31 patients with tumoral causes was 21.1%±15.6%. The five-year survival of 50.0%±31.0% in patients with a decreased tumor volume after chemotherapy was higher than that of increased tumor volume (p=0.02). The five-year survival of 12 cases with a wide margin was 41.7%±27.9%, whereas that of the marginal margin was 0.0%±0.0% (p=0.03). The ten-year overall implant survival of 36 patients was 85.9%±14.1%. The five-year revisionfree survival was 16.6%±18.2%. At the final follow-up, 12 maintained tumor prosthesis, three underwent amputation (rotationplasty, 2; above knee amputation, 1), and the remaining one had knee fusion. Among 16 patients with a follow-up of more than three years, 14 patients underwent surgical intervention and two patients had conservative management. Complications included infection in 10 cases, local recurrences in two cases, and one case each of hip dislocation, bushing fracture, and femoral artery occlusion. Conclusion: Patients showing an increased tumor volume after chemotherapy and having an inadequate surgical margin showed a high chance of early death. In the long-term follow-up, TFR showed a high infection rate and the functional outcome was unsatisfactory. Nevertheless, this procedure is an inevitable option of limb preservation in selected patients.

      • KCI등재

        슬관절 부분치환술 실패 후 시행한 슬관절 전치환술

        김경태(Kyung Tae Kim),이송(Song Lee),고동오(Dong Oh Ko),이정수(Jung Soo Lee),부경환(Kyung Hwan Boo),홍성원(Sung Won H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5

        목적: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발생한 실패의 원인을 규명하고 전치환술로 재치환술 시행 시 수술 수기상의 고려해야 할 사항과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852예의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시행한 후 실패가 발생한 47예를 대상으로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였고, 실패가 발생하여 전치환술로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소견 및 수술 방법을 분석하고 임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부분치환술 후 실패의 원인으로는 치환물의 조기 해리가 22예, 유동성 삽입물의 단독 탈구가 17예, 감염으로 인한 실패가 5예, 내측 경골과 골절 1예 및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으로 인한 실패가 2예 있었다. 전치환술로 치료한 35예의 수술 소견상 27예에서 치료가 필요한 골 결손이 발견되었으며 수술 시 자가골 이식 5예, 금속 보강물 사용 21예 및 금속 보강물과 자가골 이식을 같이 사용한 경우가 1예 있었으며 주대는 경골부에만 사용한 경우가 19예, 경골과 대퇴부에 모두 사용한 예가 1예였다. 술 후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총 30예에서 슬관절 점수와 기능 점수는 수술 전 평균 68.2점과 67.7점에서 최종 추시 시 85.2점과 78.0점으로 향상되었다. 슬관절의 운동 범위는 술 전 평균 107.2o에서 최종 추시 시 120.7o로 회복되었고 체중 부하 방사선 사진상 대퇴경골각은 수술 전 평균 외반 1.7o에서 외반 5.2o로 변화하였다. 결론: 슬관절 부분치환술 실패 후 시행하는 전치환술에서는 경골부의 골 결손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자가골 이식과 금속 보강물 및 주대 등을 사용하여 정확히 수술하고 이와 함께 적절하게 적응증을 선택한다면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전치환술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identify the causes of failure after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and to evaluate considerations for surgical procedures and the results of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performed after failure of UKA. Materials and Methods: Eight hundreds and fifty-two cases of UKA were performed from January 2002 to June 2011. Fortyseven cases of failures after UKA were analyzed for the cause of the failures, and thirty-five cases of revision TKA after failure were analyzed for the operative findings and surgical technique. The clinical results were measured for thirty cases which were followedup on at least two years after TKA.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four years and one month after revision TKA and the mean patient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sixty-five years. Results: For the cause of failures after UKA, there were twenty-two cases of early loosening of prosthesis, seventeen cases of simple mobile bearing dislocation, five cases of infection, one case of fracture of medial tibial condyle and two cases of unknown origin pain. In operative findings of thirty-five cases of TKA after failed UKA, there were twenty-seven cases of bone defect requiring treatment and the mean thickness of the defect was 10.6 mm. For the treatment of bone defect, there were five cases of autogenous bone graft, twenty-one cases of metal blocks, and one case of autogenous bone graft with metal block. The stem was used in tibial implants for nineteen cases, and one case of use in tibial and femoral implants. For thirty cases where follow-ups were possible at least two years after operation, the mean knee score was improved from 68.2 to 85.2 and the mean knee function score was improved from 67.7 to 78.0 at the last follow-up, respectively. The mean range of knee motion was 107.2o pre-operatively, which was recovered to 120.7o after the operation. The mean tibiofemoral angle was changed from 1.7o of valgus to 5.2o of valgus. Conclusion: As shown in this study, the tibial bone defect w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revision TKA after failure of UKA. Therefore, proper indication and accurate surgical technique using autogenous bone graft, metal block and stemmed implants would be able to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in revision TKA after failure of UKA.

      • KCI등재

        비연결형 및 전환형 주관절 전치환술

        문준규(Jun-Gyu Moon),천성광(Sung-Kwang Chu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6 No.2

        주관절 전치환술은 과거 임상적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디자인이 개발 중이며 불안정성이나 해리 등의 단점을 개선하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종설은 비연결형 주관절 치환술과 전환형 주관절 치환술의 일반적 개념을 기술하고자 한다. 과거의 비연결형 치환물 중 현재는 일부만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단점을 보완한 최근의 비연결형 디자인은 더 안정적인 관절면 모양, 스템형 치환물 및 요골-소두 치환술을 첨가하는 형태 등으로 개선되고 있다. 전환형 디자인은 전세계적으로 두 개의 모델이 개발되어 사용 중이며 최근 국내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비연결형 디자인에서 추가적인 연결고리를 이용하면 쉽게 연결형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비연결형 주관절 치환술은 인체 주관절과 유사한 운동 구조를 가지게 되어 폴리에틸렌 마모나 치환물의 해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변골과 연부 조직이 보존된 경우 또는 활동도가 높은 젊은 환자에서 적응증이 될 수 있다. 전환형 주관절 치환술은 치환물의 선택을 넓히고 재수술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두 개의 치환물의 사용은 연결형 치환술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 장기적인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igns of total elbow arthroplasty have been evolving with clinical experiences. Newer implants are expected to resolve current limitations and improve long term outcomes. This review article focuses on the basic knowledge of unlinked and convertible total elbow arthroplasty.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designs of unlinked total elbow prostheses. Some implants are still used in the market, while others are no longer commercially available. Modified and newer designs include more congruent contact surface, stemmed implant, and radiocapitellar arthroplasty. Two convertible elbow prostheses have been developed, and one implant is currently available in Korea. Conversion from an unlinked to a linked mode is performed by adding a linking cap. Unlinked total elbow arthroplasty, which restores native elbow kinematics, has a biomechanical rationale of lowering polyethylene wear and loosening of implants. It can be indicated in younger and higher demand patients, who have adequate bone stock and soft tissues. Convertible total elbow arthroplasty broadens implant selection and simplifies revision surgery. These newer prostheses possibly improve the long term outcomes and resolve disadvantages of linked prostheses in total elbow arthroplasty.

      • 순환골재 미분말의 치환이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한민철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1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6 No.2

        This paper is to experiment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ycled aggregate powder(RP) substitution methods and contents on the fluidity and segregation resistance of the high fluidity concrete with W/B of 35% and 700±100 mm of slump flow. The RP was substituted to cement and fine aggregates respectively ranged from 0~15%. An increase in RP substitution resulted in an increase of viscosity, thus, the segregation was prevented subjected to 5% of RP substitution to fine aggregate, while 15% of RP substitution to cement achieved desirable segregation resistance. Substitution of RP to fine aggregate up to 5% helped the concrete enhance the compressive strength compared to that of plain mixture. Within the sphere of the paper, it is believed that when RP is substituted to fine aggregates within 5%, segregation resistance as well as associated compressive strength can be enhanced.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 미분말의 치환방법 및 치환률이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RP 외할 및 내할 치환방법 및 치환률에 따른 제반 물성을 평가하였다. 유동성은 RP 치환률이 증가할수록 점성이 증대되어 슬럼프 플로가 저하되면서 외할 5%이내에서 치환한 배합에서 재료분리가 방지되었고, 내할 치환의 경우는 치환률 10%까지 재료분리가 발생하였다. 압축강도는 내할 치환의 경우 Plain에 비해 RP 치환률이 증가할수록 저하되었으나, 외할 치환 시 미립자가 공극을 채워 증가되었으며 5% 외할 치환시 Plain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범위에서 고유동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저항성능을 향상 시키며 공학적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적정 RP 치환 방법 및 치환률은 외할 치환 5% 이내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심장 판막 치환술의 임상 성적

        박성민,손호성,신재승,손영상,선경,최영호,김광택,이인성,김학제,김형묵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3

        Background: In spite of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artificial heart valves and surgical techniques, the incidence of the complications following valve replacement is still high. We reviewed the clinical results of the valve replacements performed in Korean University Anam Hospital during the last 26 years. Material and Method: The data of 571 patients who received valve replacement between December 1976 and December 2003 were reviewed. Result: There were 304 cases of MVR which was the most common procedure performed. There were 122 cases of AVR, and 111 cases of AVR with MVR. Among the 47 patients who received redo operation 38 cases were redo cases including 31 cases of MVR. 32.5% of the patients who had tissue valve replacement had second valve replacement with 10.2±3.9 years interval. 24.3% (139/571) of the patients developed valve related complications and cerebral infarction was the highest in frequency. Atrial fibrillation was related with increased complication rates and the mechanical valve replaced group had higher hemorrhagic complication rate than tissue valve replaced group. The operative mortality was 3.68% and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failure was low output syndrome. The operative mortality was higher in the patient group who had valve replacement before the year 1990. The patient group who had mechanical valve replacement had higher operative mortality rate than the tissue valve group. The 5-year survival rate was 92.2% and 10 year survival rate was 85.7%. Conclusion: The operative mortality of valve replacement has been improved. The mechnical valve replaced patients had higher hemorrhagic complication rate than the tissue valve replaced patients and more tissue valve replaced patients received redo valve replacement. 배경: 인공심장판막의 성능 향상과 심장 수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심장판막치환술에 따르는 합병증은 아직도 빈도가 높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는 지난 26년간 시행한 심장판막치환술의 임상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76년 1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부속 안암병원에서 심장판막치환술을 받은 환자 5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승모판치환술이 304예로 가장 많았고 대동맥판막치환은 122예였으며 대동맥판막과 승모판 동시치환은 111예였다. 47명의 환자가 두번째 수술을 받았으며 그 중 재치환술은 승모판재치환술 31예를 포함하여 38예였다. 조직판막치환군의 32.5%가 재치환술을 받았고 평균 10.2 3.9년만에 재수술을 받았다. 24.3% (139/571)에서 판막관련 합병증이 나타났으며 뇌경색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심방세동이 동반된 환자군의 합병증 발생빈도가 높았고 기계판막을 치환한 환자군에서는 출혈합병증이 많았다. 수술사망률은 3.68%였고 수술사망의 원인은 저심박출증후군이 가장 많았다. 90년 이전의 수술사망률이 이후보다 높았으며 기계판막치환군의 수술사망률이 조직판막치환군보다 높았다. 5년 생존율은 92.2%, 10년은 85.7%로 나타났다. 결론: 심장판막치환술의 수술사망률은 향상되었으며 기계판막치환군에서는 출혈합병증이 많았고 조직판막치환군에서는 재치환술의 빈도가 높았다.

      • KCI등재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필요했던 사례들의 원인 분석

        공동의(Dong Yi Kong),박상훈(Sang Hoon Park),최충혁(Choong Hyeok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3

        목적: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에는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구속력이 적은 치환물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이 권장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방 십자인대 보존형 혹은 대치형 치환물로 적절한 슬관절 안정성을 얻기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수술 중 내ㆍ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로 전환을 고려해야 한다. 내ㆍ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항시 구비되어 있지 않는 국내 현실을 감안하여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의 효율적인 술 전 계획을 위해 내ㆍ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을 준비하는 적응증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시행되었던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1,797예 중 내ㆍ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로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이 시행되었던 27명(29예)를 대상으로 내ㆍ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로 최종 결정한 원인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 내ㆍ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이 사용된 경우는 전체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중 29예로 1.6%의 빈도를 보였다. 남자 6명, 여자 21명이었으며, 2명에서 양측 모두 내ㆍ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필요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평균 63.4세(34–79세)였고, 술 전 최대신전각도는 평균 16.2° (-20°–90°), 최대굴곡각도는 평균 111.7° (35°–145°)였다.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 내ㆍ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필요하였던 원인으로는 심한 외반 변형으로 내ㆍ외반 불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경우가 10예, 심한 강직으로 인해 내ㆍ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사용되었던 경우가 10예였으며, 과거력상 내측측부인대 4예, 외측측부인대 1예, 원위 대퇴골과의 무혈성 괴사로 인한 경우가 4예였다. 심한 외반 변형으로 수술을 시행한 10예 경우의 술 전 슬관절 전후방기립 사진상 해부학적 대퇴경골간각은 평균 25.7° (21°–43°)의 외반각을 보였고, 심한 강직으로 수술을 시행한 10예 경우의 굴곡 구축은 평균 37.5° (20°–90°), 관절운동범위는 평균 48.5° (10°–70°)였다. 결론: 20° 이상의 해부학적 대퇴경골간각의 외반 변형, 굴곡 구축 20° 이상 및 관절운동범위 70° 이하를 가진 관절운동 제한, 과거 측부인대 손상 병력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일차슬관절 전치환술 시라도 술 전 계획 시 내ㆍ외반 구속형 치환물을 준비하는 것이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성의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least constrained prosthesis is generally recommended in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TKA). Nevertheless, a varus/valgus constrained (VVC) prosthesis should be implanted when a semi-constrained prosthesis is not good for adequate stability, especially in the coronal plane. In domestic situations, however, the VVC prosthesis could not always be prepared for every primary TKA case. Therefore, it is sometimes impractical to use a VVC prosthesis for unsual unstable situation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for preparing VVC prostheses in the preoperative planning of primary TKA through an analysis of primary VVC TKA cas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1,797 primary TKAs, performed between May 2003 and February 2016. The reasons for requiring VVC prosthesis and the preoperative conditions in 29 TKAs that underwent primary TKA with a VVC prosthesi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In primary TKA, 29 cases (1.6%) in 27 patients (6 male and 21 female) used VVC prosthesis. Two patients underwent a VVC prosthesis on both knee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3.4 years old (34–79 years). The mean flexion contracture was 16.2° (-20°–90°), and the mean angle of great flexion was 111.7° (35°–145°). The situations requiring a VVC prosthesis were severe valgus deformity in 10 knees, knee stiffness requiring extensive soft tissue release in 10 knees, previously injured collateral ligaments in five knees, and distal femoral bone defect due to avascular necrosis in four knees. The mean tibiofemoral angle was 25.7° (21°–43°) in 10 cases with a valgus deformity. The mean flexion contracture was 37.5° (20°–90°), and the mean range of motion was 48.5° (10°–70°) in 10 cases with knee stiffness. Conclusion: The preparation of VVC prosthesis is recommended, even for primary TKA in cases of severe valgus deformity (tibiofemoral angle>20°), stiff knee (the range of motion: less than 70° with more than 20° flexion contracture), and the cases with a previous collateral ligament injury. This information will help in the preparation of adequate TKA prostheses for unusual unstable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