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가 수부 화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심선화,최종배,유수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1

        목적: 본 연구는 수부 화상 환자의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가 손 기능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지역 화상 특화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은 수부 화상환자 30명을 대상으로 각 15명씩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를 받은 실험군과 단순 운동치료를 받은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분하였다. 중재는 주 3회, 1회 30분간, 6주간, 총 18회 실시하였다. 평가는 한국판 미시간 손 기능 평가 설문지(Korea version of Michi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MHQ-K), 젭슨-테일러 손 기능 평가(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TT)를 시행하였으며, 중재 전,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사전 사후 비교 시 실험군은 JTT의 모든 항목과 MHQ-K의 일과 통증을 제외한 6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05), 대조군에서는 JTT의 모든 항목과 MHQ-K의 일, 통증, 모습을 제외한 5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둘째, 중재 후 두 집단 간 비교는 JTT의 글씨쓰기와 먹는 흉내 내기, MHQ-K는 만족도와 통증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수부 화상 환자에게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와 단순 운동 치료 중재는 두 집단 모두에서 손 기능의 향상을 보였지만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는 단순 운동치료보다 글씨쓰기, 먹는 흉내 내기의 손 기능과 만족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수부 화상 환자의 손 기능 향상을 위한 치료에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reatment assignment training for a task-oriented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for hand functionally compared to a control group. Methods :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for 30 patients with a hand burn injur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task-oriented intervention group (n=15) and a simple exercise therapy group (n=15).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ask-oriented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simple exercise therapy. The trial was applied for 30 min per day,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Korean versions of the Michigan Hand Outcome Questionnaire (MHQ-K) and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TT) were used. Results : After six weeks of intervention, The MHQ-K and JTT scores of the simple exercise therapy group and the task-oriented intervention group both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hand function (p<.05). Task-oriented intervention also showed a better effect regarding writing skills, and simulated feed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p<.05). Conclusions : Based on MHQ-K and JTT scores, task-oriented intervention was shown to be more helpful than simple exercise therapy to improve the confidence in patients with a hand burn injury.

      • 미술치료를 통한 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백수정(Sue-Jung, Back),전리상(Lee-Sang, Chon)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 2020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장애아동이 신체에 대한 열등감 극복과 인간의 경험을 확장시켜 주는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아존중감 향상 결과를 가져 온 연구사례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와 자기의사 표시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아동들에게 미술치료는 발달을 통한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되고 있다. 둘째, 단계별로 활동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긴장과 저항감이 줄어들고, 과제수행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적극적으로 자기표현을 하게 되어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하고, 미술치료와 더불어 미술심리치료기법을 이용한 생활지도나 사회복귀에 공헌할 수 있는 연구가 더욱 발전되어야 한다. This study has goal to deduc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to overcome inferiority complex and extension of experience of time-being thorough analysis of case-studies about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To achieve this study’s goal, it was analyzed precedent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to handicapped children to suffer difficulties for relationship and expression of opinion become to support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improvement of self-esteem. Second, as that art therapy program progressed stage by stage, it’s deduced tension and resistance, improved task execution and expression capability and it’s bring about positive exchange to improve self-esteem. But this study have limitation by a few samples, regional limitation, and a few variables. Therefore to henceforth studies for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lity of handicapped children, it’s has to execute continuous studies and develop art therapy and art psychotherapy techniques for life guidance and rehabilitation to the society.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대한 자존감향상 인지행동치료 효과

        강희양,손정락 한국건강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osed verification of effects from self-esteem enfor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fluencing on adolescents' game addiction. Three groups with 21students respectively were chosen for game addiction group and internet addiction group.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conducted for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given to the second comparison group and nothing was done to the third control group. Scales used for game addiction group were those of game addictio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while scales used for internet addiction group were those of internet addictio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The first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game addiction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for game addiction group, compared to cognitive behavioral one. The second conclusion is that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internet addiction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for internet addiction group, compared to cognitive behavioral one. Therefore, this conclusion suggests that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ll be an effective means in decreasing adolescent' game addiction and in increasing their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for game addiction group. we discuss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인터넷중독과 게임중독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와 자존감향상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총 10회였고, 인지행동 치료프로그램은 인지적 왜곡의 수정, 공감능력의 상승, 대인관계 개선을 주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자존감 향상 인지행동치료는 인지행동치료에 자존감 고양을 위한 회기를 첨가하였다. 연구대상은전북 지역의 OO중학교 2학년 학생 중 게임중독 척도와 인터넷 중독 척도에서 상위 15%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게임중독에만 또는 인터넷 중독에만 해당되는 학생들이었고, 각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관련 내용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게임중독 척도, 인터넷 중독 척도, 자아효능감 척도 및 자존감 척도였다. 사전검사 결과 게임중독 집단과 인터넷 중독 집단의 중독점수, 자존감 및 자아효능감이 동일한 수준임을 확인하였고, 치료에 따른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게임중독 집단의 경우 자존감 향상 인지행동 치료를 받은 집단이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집단에 비하여 자존감 및 자아효능감의 상승을 가져왔고, 인터넷 중독 집단의 경우 자존감 향상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집단과 인지행동 치료를 받은집단간에 자존감과 자아효능감 상승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 기법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장만식 ( Jang Man-sik ),박동순 ( Park Dong-s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19 No.-

        이 연구는 미술치료와 문학치료의 통합적인 형태를 모색하고, 이러한 형태의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특별히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입각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본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또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상관계수가 .735로 높게 나와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더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정적 자존감과 사회적 자존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윌콕슨 검증을 통해서도 재차 확인하였다. 또한 남녀의 자아존중감의 향상의 차이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하지만 하위영역 중 가정적 자존감의 향상의 차이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프로그램이 남자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비교적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try to find integrative model of Art-Therapy and Literary-Therapy, and prove that the program of integrative model is able to speak for affirmative effect. Specially, this study performed in focus improvement of `self-Esteem`. Result of this study, able to conclude that this program is effectiv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it was able to identify that students by high self-Esteem get to be more higher self-Esteem through this program, on the ground of a correlation conefficient of between a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ost examination is highly .735. Specially, it was able to identify that it effected improvement of home-parents self-esteem and social-peer self-esteem. This result was able to identify once more, through Wilcoxon`s test. And, it was confirmed as meaningful difference isn`t, on the difference of `improvement of self-esteem`. But, among one of the subdomain, it was confirmed as meaningful difference is, on the difference of `improvement of home-parents self-esteem`. Hereby, it was able to know that this program infiuenced affirmative `improvement of home-parents self-esteem` of man.

      • 미술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주의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임선경,조경덕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 2010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대부분의 장애아동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주의집중력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미술치료가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D 지역에 위치해 있는 사회복지관 내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05년 5월부터 주 2회로 총19회기 실시되었으며 회기 소요시간은 약 35정도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를 증명하는 측정 도구로는 Yale 아동행동평가척도, 인물화에 의한 지능검사, 주의집중도 검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치료시간 중 지속시간 관찰법으로 주의집중 지속시간을 체크한 회기별 평균 시간을 산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후 주의집중 지속시간의 변화 그래프에서 각 아동별 평균곡선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집중도 검사와 Yale 아동행동평가척도 검사에서 사전 사후 비교 결과 그 점수가 증가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미술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 및 공감능력을 중심으로-

        박범진 ( Bum-jin Park ),이숙민 ( Sug-min Lee ) 산업진흥원 2016 산업진흥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분노조절 공감능력을 중심으로 한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 I시에 소재하고 있는 아동보호시설 두 곳에서 생활하는 아동 12명을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60분씩 사전·사후검사 변화를 포함하여 총 25회기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 처치하였다.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사회성 향상, 분노조절 향상,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HTP, KSD, DAS 사전·사후검사에서 형식적, 내용적 평가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분노조절과 공감능력을 중심으로 사회성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이 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시설보호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미술치료 연구가 치료적인 역할로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This study analyzed th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ociality of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focus on anger and empathy. The study divided children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group art therapy for twice a week(60 minutes, total 25) and control group was treated non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ociality, anger conrol and emphatic ability of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Also, there had been positive change in their work in the aspect of form and content by HTP, KSD, DAS test. This study found that group art therapy helped improving institutionalized children’s socility with anger control and empathic ability, so it is suggested that group art therapy studies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are of help to improve their sociality.

      • KCI등재

        서울 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 현황과 과제

        장은경(Eun-kyung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8

        본 논문은 서울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와 치료사 현황조사를 토대로 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확대 가능성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보건 복지부가 제시한 사회복지 시설 14종류 중 29기관이 설문대상으로 참여하였고, 45.1%가 미술치료를 시행하는 것으로 지역사회복지 관련 기관에서 미술치료의 역할과 위치는 점차적으로 정착되는 결과를 보였다. 현재 미술치료를 실시하는데 있어 기관에서 어려움은 환경적 요인에 대한 문제와 미술치료사와 관련하여 전문 치료사의 확충으로 치료사 연계망와 보수가 주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지역사회복지관련 기관과 상호적 관계를 유지하며 지역사회 내에서 형성되는 의식과 집단화에 영향을 주어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복지를 통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제공에 미술치료를 좀 더 전문적이고 다양하게 확대, 적용하기 위해 첫 번째, 기관내에서의 미술치료실 환경 여건 개선 두 번째, 미술치료학계는 통합적인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관에서의 전문치료사의 확충의 어려움과 치료사들의 구직의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기관과 치료사의 연결망 구성 세 번째, 치료사는 다양한 치료적 접근을 하기 위해 교육기간 동안 학문적인 연구와 함께 임상훈련과 감독강화, 전문치료사로서의 학문적인 연구와 임상연구의 발전을 연구 과제로 모색하였다. This thesis in the social welfare-related institutions in the Seoul area, art therapy and the therapist based on the status of welfare-related agencies in the community of art therapy is to present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Research results presented by Health and Welfare, where seven of the 14 kind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participate in the survey and the target organ, 45.1% of art therapy's role in social welfare-related institutions and gradually establish the location was the result. Art therapy is to conduct the current difficulties in institutions about the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a professional therapist and art therapist in the therapist's expansion as a major research and maintenance was network. Welfare-related agencies and community relationships we maintain mutual relationship, and are formed within the community have an effect on consciousness and collectivization. To provide the opportunity which realize the valuein the art therapy by applying more to expand the variety of professional method. First, secure the facility of art therapy environment and the therapists. Second, if the art therapy association secures the integrated system, it makes a connection with professional therapists to improve recruitment environment in the art therapy community and therapists need to be addressed by all involved is a challenge. Third, a therapist for the duration of training in order to access a variety of academic and clinical research is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of learning the training and supervision is to discuss the issue.

      • KCI등재

        시지각 향상 집단미술치료가 비언어적 학습장애아동의 국어과 학습기능에 미치는 효과

        서소희,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5

        This study purports to see if group are therapy is effective in enhancing learning ability of the children with nonverbal learning disability with respect to the Korean language. Study subjects are four elementary students who are diagnosed as the children with nonverbal learning disability. The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20 sessions, twice a week and each session lasting 60 minutes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subjects were asked to have free images on the given vocabulary, draw or sculpture the images, then verbalize the artwork, so as to improve the speech skills. In the second stage, the subjects are requested to write what they verbalized previously in order to advance their writing techniques. Study tools were KEDI-I BLAST and KOSECT to diagnose the children with nonverbal learning disability in their learning capacity for Korean and for phrasal meaning. The results shows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attention to visual percep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ubjects' learning ability in Korean. This study deserves a speci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e study designed and practic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visual perceptions, aiming at enhancing the Korean-learning ability of the children with nonverbal learning disability who have been relatively less focused by the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비언어적 학습장애 아동에게 시지각 향상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국어과 학습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비언어적 학습장애로 진단된 초등 1학년 4명의 아동이다. 시지각 향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1회 60분씩 주2회, 총 20회기 동안 매 회기 2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는 심상 그리기 단계로 주제 어휘에 대한 심상을 떠올리고, 그것을 자유롭게 그리거나 만들어서 표현한 후 시각화된 심상이미지를 언어화시켜 표현함으로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단계는 과정중심 글쓰기 단계로 심상으로 표현한 자신의 작품에 대해 언어로 표현한 것을 글로 쓰도록 하여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비언어적 학습장애 아동의 국어과 학습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기초학습 기능검사(KEDI-I BLAST), 구문의미 이해력검사(KOSECT)이다. 본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시지각 향상 집단미술치료는 비언어적 학습장애 아동의 국어과 학습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학습장애 하위유형 중 아직 사회적인 인지도가 낮은 비언어적 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증적 중재연구로써 연구대상 아동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지각 향상 집단미술치료를 구성하고 실시하였다는 점에 특히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 및 실태조사: 신체기능 향상 중재를 중심으로

        김민지,김영욱,김준혁,김가희,최홍석,문광태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목적 : 본 연구는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가 정신질환자에게 신체기능 향상 중재를 제공한 업무 경험 및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방법 : 2022년 11월 7일에서 11월 14일까지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을 수렴하였으며, 수집된 응답지 46부에 대해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응답자는 여자(58.7%), 20~30대(84.8%)가 가장 많았고, 주로 정신건강복지센터(41.3%)에서 근무하였으며, 정신건강작업치료사 수련과정(91.3%)을 수료하였다. 정신건강분야 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65.2%), 담당 업무는 프로그램(71.1%), 사례관리(62.2%), 행정업무(57.8%)가 가장 높았으며,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73.9%)를 제공한 경험이 있었다. 자료 분석 결과 신체기능 중심 그룹 중재의 빈도는 주 1~2회(41.2%)가 많았고, 스트레칭, 유산소운동, 산책 순이었으며, 개별 중재의 빈도는 주 1~2회 (38.1%)가 많았고, 산책, 스트레칭, 유산소운동 순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정신건강 전문가로서 정신질환자의 다양한 작업과 일상생활활동에 균형 잡힌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현재 다수의 작업치료사들이 정신건강 분야에서 정신질환자의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작업치료적 중재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작업치료의 중요성과 신체기능 향상 중재의 근거 기반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정신질환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mental health and provid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body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mental health therapists between November 7 and November 14, 2022. A survey was distributed via email and 46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Results : The majority were female (58.7%), aged 20–30 years (84.8%), working in mental health centers (41.3%), and undergoing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y training (91.3%). They had 1-3 years of mental health experience (65.2%) and were commonly involved in programs (71.1%), case management (62.2%), and administration (57.8%). Interventions for physical functioning were common (73.9%), including group interventions (41.2%), such as stretching, aerobic exercise, and walk training, and individual interventions (38.1%), such as walking, stretching, and aerobic exercise.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play a crucial role in enabling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to engage in daily life activities. However, relevant studies in this field are lacking.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need for evidencebased services for physical function improvement interventions to provide more effective treatments for mental illnesses.

      • KCI등재후보

        결혼이민여성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 이론을 기초로

        소병숙,정혜정 한국가족치료학회 2009 가족과 가족치료 Vol.17 No.2

        The authors developed and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solution-focused marital enhancement program for married couples. Four couples were assigned to the 6-sessio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4 to the control group. All couples included a Korean husband and Vietnamese wife. Results from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measures indicated that the program improved the husbands’ and the wives’self-esteem, marital satisfaction, and couple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는 해결중심적 단기가족치료 이론을 기초로 결혼이민여성 부부의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해결중심 치료의 기본 가정과 목표설정 원칙 및 해결지향적 질문 등을 활용하여 총 6회기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인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부부 4쌍에게 매주 2회기씩 전체 3주 프로그램을 실시한 다음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 의사소통 효율성 측면에서의 부부관계가 향상되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남편과 아내 모두 프로그램 실시 후 관계향상의 세 영역 모두에서 점수가 높아졌으며, 통제집단의 남편과 아내가 보인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에 미치지 못하여 본 프로그램이 결혼이민여성 부부의 관계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후-추후검사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남편은 관계향상의 세 영역 모두에서 변화가 유지되었으나 베트남 아내는 결혼만족도에서만 변화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여부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와 제한점을 토대로 미래 연구를 위한 몇 가지 논의를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