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남재우,최영근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 취업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에서 운영하는 17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기업연계, 상담, 자격증, 채용지원, 특강 등 6개 차원으로 구분하였고, 최근 취업한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든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보통 이상의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원별로는 자격증, 취업지원, 해외, 특강, 상담, 기업연 계 관련 프로그램의 순으로 유용성이 높게 집계되었다. 이중 기업연계, 특강, 상담 관련 프로그램은 취업지원 프 로그램의 전반적유용성을 높여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취업지원센터는 신규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기업연계, 특강, 상담 관련 프로그램을 우선 기획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일 것이다.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provided by the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center was evaluated. To this end, the 17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perated by K University were divided into six dimensions, including corporate linkage, counseling, certification, employment support, and special lectures. As a result, all employment support programs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average usefulness. By dimension, the usefulness was counted in the order of certification, employment support, overseas, special lectures, counseling, and business-related programs. Among them, programs related to business connection, special lectures, and counseling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increased the overall usefulness of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Therefore, when planning a new program for the employment support center, it would be a desirable direction to plan programs related to business connection, special lectures, and counseling first.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 지원을 위한 대학교 취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과제

        김선우(sun woo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취업 지원을 위한 대학교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취업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2023년 국내대학 취업지원센터에서 진행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파악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가장 많은 것은 진로 탐색 프로그램이다. 둘째, 취업역량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을 준비하는데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첫째, 취업역량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자기 성찰이 가능하도록 방안이 필요하다. 여러 대학교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취업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진로, 취업 상담을 위해 대학생들의 맞춤형 홍보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학생들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하고 있는 You tube, 인스타그램에 적극적인 홍보를 하면 프로그램 인원 모집이 쉬워질 수 있다. 셋째, 취업 지원 프로그램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해야 할 것이다. 즉 학생들을 시스템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다면 우수 인재 확보와 미참여 학생들의 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들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program to support college students' employment. Methods To this end, prior research o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was analyzed,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were identified targeting comparative programs conducted by domestic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centers in 2023. Results First, the most provided by universities is a career search program. Second, it appeared to be a program to increase employment competency. Third, it was identified as a practical support program for preparing for employment. Conclusion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systematically support employment competency and enable self-reflection. As a result of looking at various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programs, it was found that em-ployment competency was important.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publicity and services for col-lege students for career and employment counseling. Accordingly, if you actively promote on YouTube and Instagram that college students easily access and use, it can be easier to recruit program personnel.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system so that it can be actively used. In other words, if students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ways to secure excellent talent and in-crease the interest of non-participating students.

      • KCI등재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비용-편익 분석 : 취업성공패키지와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 간 비교를 중심으로

        정상훈,박병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measures that provide adequate program for supporting disabled people’s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ducted to search for measures with comparative advantage among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s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and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carried out during 2013, Fiscal Year 1 by utilizing cost-profit analysis technique. As for the profit/cost share from the participants’ viewpoint,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was 1.003, which is higher than the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 (0.796). Profit/cost share from the society’s viewpoint also manifested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with 1.012, which is higher than the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 (0.851). Meanwhile,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 was 1.323 in case of the profit/cost share from non-participants’ viewpoint, which was higher than the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1.063).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to the disabled people employment policy ma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adopt a system that provides economic incentive to the employed disabled people like the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in order to increase profit for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for supporting disabled people’s employment and for the entire soci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employment-friendly program for supporting disabled people’s employment by grafting together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and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structural advantages to increase profit for the people who do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supporting disabled people’s employment. 본 연구는 비용-편익 분석 기법을 활용해 2013년 1회계연도에 걸쳐 수행된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취업성공패키지와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 중 비교 우위의 대안을 탐색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적정하게 제공하는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비용 및 편익의 귀속 주체를 참가자, 비참가자, 사회로 구분하고, 회계모형에 기초해 분석 모형을 구축한 후 비용 및 편익의 귀속 주체별 편익/비용 비율을 도출하였다. 참가자 관점의 편익/비용 비율은 취업성공패키지가 1.003으로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 0.796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회 관점의 편익/비용 비율도 취업성공패키지가 1.012로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 0.851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비참가자 관점의 편익/비용 비율은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이 1.323으로 취업성공패키지 1.063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귀속 주체별 순편익 증진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장애인고용정책 입안자에게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가자 및 사회 전체의 편익 증진을 위해서는 취업성공패키지처럼 취업 장애인에게 경제적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 비참가자의 편익 증진을 위해서 취업성공패키지와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제도적 장점을 결합해 취업 친화적인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중ㆍ고령자 취업지원프로그램 효과검증 연구 :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이명희,조항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 대상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하 고 그 결과를 통해 향후 효과적인 프로그램 설계 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40 세 이상 대상으로 수행된 국내 취업지원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총 9편을 최종 선정하고, 각 개별연구에 포함된 40개의 효과크기를 도출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고령자 취업지원 프로그램 의 평균 효과크기, 조절변인(종속변인, 회기 수, 참여세대, 참여인원, 출간유형)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자 대상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 는 1.292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군별 효과크기를 살펴보았을 때, 취업·진로 변인군 의 효과크기가 심리·정서 변인군의 효과크기보다 크게 나타났다. 셋째, 회기 수, 참가자 연령, 집단크기, 출간형태 등 조절변인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기 수가 10회기 미만이고, 다양한 연령이 참여 하고, 참여인원은 11~20명 일 때, 중·고령자 취업지원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간형 태의 경우,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지 논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중·고령자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job-search support programs for middle and old-aged people using a meta-analysis. For this, a total of nin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job-search support programs for those over 40 years of age were finally selected, and we derived 40 effects sizes and conducted a meta-analysis with them. Specifically, we calculated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job search support programs for middle and older adults, and explored the moderating e ffect of various variables such as number of sessions, age of participants, number of participants, type of publication, program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for middle and old-aged people was 1.292, which is a large effect. Second, when examining the effect size of each outcomes variable group, the effect size of the employment/career variable group was larger than that of the psychological/emotional variable group. Third, the effects of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number of sessions, age of participants, group size, and publication type were analyzed. In specific, the programs with less than 10 sessions, various age participation, and 11-20 participants were more effective. For the publication type, the effect size of the dissertation studie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journal paper.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for the middle and the elderly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대학생들의 취업역량 집중관리를 위한 관계형성 방안

        정성광 釜山外國語大學校國際通商硏究所 2020 國際經營論集 Vol.33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at relationship benefits(social, confidence, special treatment)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 programs have on employment support program attitudes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 loyalty.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benefits(social, confidence, special treatment)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 loyalty was analyzed. Along with this, we study the difference in relationship benefits(social, confidence, special treatment), employment support program attitudes,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 loyalty according to grades. Finally, this study also studies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requirements of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mployment support program relationship benefits(social, confidence, special trea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support program attitude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 loyalty.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upport program relationship benefits(social, confidence, special treatment)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 loyalty, employment support program attitude played full mediating role. Differences by grade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 relationship benefits(social, confidence, special treatment), employment support program attitudes,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 loyalty were significant. Key Words: Employment support program, Social, Confidence, Special Treatment, Attitude, Loyalty 본 연구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관계혜택(사회적, 확신적, 특별대우)이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태도와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충성도에 미치는 전반적인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사회적 혜택, 확신적 혜택, 특별대우 혜택과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충성도의 관계에서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태도는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사회적 혜택, 확신적 혜택, 특별대우 혜택,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충성도는 학년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재학생들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취업프로그램의 관계혜택은 취업프로그램의 태도과 충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혜택과 취업프로그램의 충성도의 관계에서 취업 프로그램 태도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였다. 취업프로그램의 관계혜택, 태도, 충성도에 대한 학년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취업지원 프로그램, 관계혜택, 사회적, 확신적, 특별대우, 태도, 충성도

      • KCI등재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정미경 ( Mi Kyung Chung ),김수란 ( Su Ran Kim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취업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구조적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0GOMS`` 자료를 통해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 진로목표설정, 진로준비 행동, 취업 간의 관계모형 중 가장 적합모형을 찾고,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의 만족도 상·하 집단에 따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경로계수를 비교하고, 마지막으로 취업 및 진로개발 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분매개모형이 적합모형으로 선정되었으며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의 참여는 진로목표설정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의 참여와 진로준비행동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목표설정을 해서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와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에서 취업으로 가는 경로, 진로목표설정에서 취업으로 가는 경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가 진로목표설정에 영향을 미치고, 진로목표설정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두 변인을 매개로 취업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형적 인과관계를 추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d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 with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is between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employment, and is finding the structural difference on degree of satisfaction. Thus, it is analyze the hypothetical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relation with career goal set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employment through 2010GOMS data, and compares to coefficient of path by implement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At last, the study was tested to mediation effect of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rela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employment. According to this result, firs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has been selected on this study. For the more, the study has shown the significant effect, which participa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given to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both the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give th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econd, The group, that has high satisfaction on career development program,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to route of career goal setting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ticipa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to employment and career goal setting to employment. Third, the result on the test of mediation effect can be possible to make the assumption of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and career goal setting. Furthermore, it represents that the career goal setting has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sequentially, it shows the possibility liner causality that the two mediation factors give th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of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생태계적 작동원리에 기초한 효과적인 대학 취업지원 방안 연구

        안기돈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3

        우리나라 15~29세 청년취업률은 2016년 2월 12.5%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고 20대 중반 이후의 실질적인 청년 체감실업률이 31.1%를 기록할 정도로 청년실업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대학 취업률 제고를 위해 대학 및 교육부는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및 지원하고 있지만, 최근 대학생 취업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악화되는 청년실업은 우리나라 경제가 장기적인 경기침체 겪으면서 고용이 증가하지 못하는 문제와 청년고용시장의 미스매치가 근본적인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오랜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청년실업을 해결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시급한 것은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 취업률 제고를 위해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대 경제․사회 대부분의 분야에서 작용하고 있는 생태계적 작동원리를 분석하여 대학 효과적인 대학 취업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생태계적 핵심 작동원리는 관련 주체가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생태계적 작동원리 개념에 기초하여 충남대학교 취업지원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여 대학 취업지원 생태계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른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충남대학교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취업지원 핵심 부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부 사업을 진행하는 학과 및 부서에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생태계적 작동원리가 강조하는 관련 주체들 간의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운영되고 있고 있다. 대학 취업지원 생태계 모형은 대학 본부 및 취업지원부서, 학과 및 단과대학, 졸업생 , 기업 등 관련 주체들 간의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본 연구는 또한 대학 취업지원 생태계 구축을 위한 실질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하였다. 취업지원부서는 대학 취업지원 관련 주체들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학과 및 단과대학은 대학생 취업지원을 직접적으로 책임지는 조직답게 다양한 취업교과목, 비교과 프로그램, 지도 등을 통해 대학생 취업을 지원해야한다. 졸업생 및 기업은 대학생의 취업준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주체이기 때문에 대학 취업지원 생태계에 반드시 참여시켜야한다. The monthly unemployment rate of 15 to 29 year-old youth was 12.5% in February 2016 which is the highest since 1999 in Korea. If the rate of NEET is included in the youth unemployment, the real unemployment rate which the youth in late 20s experiences in reality is 31.1%. Therefore, the many universities have operated a variety of programs to support job preparation of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financed these employment aid programs of universities by spending a lot of budget. However, the employment rate of college students has recently decreased in a row. The fundamental problems of rising youth unemployment are widely believed that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and the mismatch of youth job market. Because of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the firms have decreased their employment of new workers. The mismatch problem of youth job market has existed for a long time in Korea. It is very difficult and takes a long time to solve these two fundamental problems of youth unemploymen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the effective way to operate a variety of programs to support job prepa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most effective way of operating employment ai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rateg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university programs of supporting a job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Even though many universities have operated a lot of employment ai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little literature has analyzed the effects of employment ai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no literature of analyzing employment ai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ecosystem operation. Therefore, this article provides the principle of the ecosystem which operates in the economy and society by analyzing startup and innovation ecosystems. The startup and innovation ecosystems imply that the key principle of ecosystem in the most fields of society and economy is to stimulate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the actors. This key principle of ecosystem suggests that the most effective way of operating employment aid programs is the ecosystem which facilitates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the actors to support the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derived the implications for the university ecosystem to support the student employment by analyzing the programs operat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rogram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re not operated based on the principle of ecosystem. The program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re operated by individual department. The departments have not organically collaborated and cooperated to operate effectively their programs. The model of the university ecosystem to support the student employment requires the organically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a job supporting office, departments, alumni, and firm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 action programs to establish the university ecosystem to support the student employment. The job supporting office plays a role of platform by building a bridge for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department, students, alumni, and firms. Each department supports the job preparation of students with the job preparing classes, a variety of non-class job preparation programs, advising and mentoring programs, etc. The job supporting office and department need to involve the alumni and firms in the university ecosystem to support the student employment because the alumni and firms tend to mak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job preparation of students.

      • KCI등재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성과 분석

        신혜숙(Shin, Hye Sook),남수경(Nam, Soo-Kyong),민병철(Min, Byeong Cheol)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1

        이 연구는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의 취업률 향상과 취업의 질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09)의 124개교 졸업자 6,817명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및 도움 여부가 정규직 및 비정규직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화위계선형모형(HGLM)을 적용하였다.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움 받은 학생 및 소속 대학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여학생, 자격증 3개 이상 소유 학생, 해외연수나 인턴, 직업교육 훈련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리고 사립대학, 수도권 소재 대학 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가구소득, 학점, 장학금 수혜율 등이 높을수록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비율이 높았다. 취업지원 프로그램 목적을 취업마인드 향상과 취업역량 강화로 구분했을 때,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고려하고 나서도,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들이 전반적으로 대학생의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움을 받은 경우, 학생 및 대학변수의 영향을 고려한 후에도 정규직 및 비정규직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한편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내실 있게 운영하지 못하여 학생들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학생들의 취업 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므로 대학별로 실시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되고, 취업마인드 향상과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학생들의 취업 준비과정에서 취업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 운영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ie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n employment status. Data from the 200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and multilevel analysis(individual and university leve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first categorized universities' career-related program into career motivation program(CMP), career skill development program(CKDP). Key explanatory variable was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each type of program and if participated, how helpful it was. Dependent variable was actual employment status (tenured, non-tenured and non employment). Female students, students with 3 or more licenses,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study abroad programs, internship programs, or job-training programs, and students attending private universities o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tended to participate variou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show satisfaction on the programs. Next, between CMP and CKDP, CKDP turned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one; those who participated in CKDP, and especially reported that the programs were helpful had higher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on tenure track. Finally, students who attended but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ograms had little or even negative opportunity to be employed.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key factor of university's employment support program lies in its quality, and more focus should be paid on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 KCI등재

        공공부문 퇴직예정자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의 교육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철도공사를 중심으로

        이혜경,최윤희,김용래 감사연구원 2022 감사논집 Vol.- No.38

        This study is about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reemployment support service program for the public sector retirees for the creation of middle-aged and social roles in the public sector in the aging society.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Korai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ospective retirees who completed the reemployment support service of Korail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fter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life design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of career design program among reemployment support service program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an indirect effect. Second, if only one course of life design or career design program is designed and operated, the overall educational effectiveness decreased by more than 40%. Third, life design program was significant in career design program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and satisfying career desig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nd maximize educational effectiveness when designing reemployment support service program for prospective retiree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operate life design programs and career design programs in a balanced manner. Second, as life design program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sign program satisfaction, the life design program can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can be maximized when opera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reemployment support service for retirees is analyzed by empirical analysi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ystem has been stabilized and presented a direction for being reborn as an effective program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고령화시대에 공공부문 중장년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역할을 위해 공공부문 퇴직예정자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의 교육효과성에 대하여 한국철도공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철도공사 재취업지원서비스를 이수한 퇴직예정자이며 설문조사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 중 생애설계 프로그램 만족도와 진로설계 프로그램 만족도는 교육과정 이해도와 교육효과성 간 매개효과 즉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애설계 또는 진로설계 프로그램 어느 하나 과정만 설계하여 운영할 경우 개별 프로그램 만족도 감소로 전체 교육효과성은 4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애설계 프로그램은 진로설계 프로그램에 유의하였고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만족하는 데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퇴직예정자를 위한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 설계시교육과정 이해도를 높이고 교육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생애설계 프로그램과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균형적으로 구성하여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생애설계 프로그램 만족도가 진로설계 프로그램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에 따라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 설계시 생애설계 프로그램을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운영시 교육효과성은 극대화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이제 막 걸음마 단계에 있는 퇴직예정자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효과성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 제도가 안정화되고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거듭나는데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취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에 관한 소고

        윤지원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취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에 관한 소고 윤 지 원 연구 목적: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취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선행연구 및 대학별 홈페이지 검토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을 위한 정부 및 대학의 노력을 확인하고,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등을 살펴볼 것이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국내 대학을 졸업한 후의 진로 영역 중 취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부 및 대학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을 위해서 채용 박람회, 홈페이지 정보 제공 등의 지원을 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미비하므로 외국인 유학생 취업률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대학은 전공 및 교양에서 충족하지 못하는 영역을 다양한 형태의 활동을 통해 지원할 수 있는 취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해야 한다. 이때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 맞춤형 취업 로드맵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일회성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지속적이고 연속성 있는 프로그램을 지향해야 한다. 이렇게 개발된 비교과 프로그램은 한국어 및 취업 역량 기반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핵심어: 외국인, 유학생, 진로, 취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 Fragmentary Consideration o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f Employment Support for International Students Jiwon Y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nd operating employment support extra-curricular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Through prior research and a review of the website of each university, we will confirm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for the employ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ed by universities. This study examined employment among the career areas after international students graduated from domestic universities.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provide support for international students' employment such as job fairs and website information, but the effect is insufficient, so efforts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international students are needed. In order to support the employ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universities should develop and operate employment support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can support areas that cannot be met in their majors and liberal arts through various types of activities. In this case, the following should be supported. First, a customized employment road-map for international students is needed. Second, the program should be organized into a systematic program. Third, one-time programs should be avoided and continuous programs should be aimed at. The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ed in this way should be a program based on Korean language and employment competency. Key Words: Foreigners, International Students, Career, Employment Support,Extra-curricular Program □ 접수일: 2024년 1월 28일, 수정일: 2024년 2월 15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3S1A5A8081078). * 이 논문은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인문사회콘텐츠학회 2023년 하계학술대회(2023.6.3.)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 창신대학교 카리스교양대학 조교수(Professor, Changshin Univ., Email: jwyoon@cs.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