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립출판의 개념과 사례 연구

        이건웅(Lee, Gun Woong),고민정(Ko, Min Jeong) 한국출판학회 2018 한국출판학연구 Vol.44 No.3

        주류문화에 반동으로 하위문화가 강세를 띠고 있다. 하위문화 중 출판계의 두드러진 특징은 독립출판이 전성기를 맞이했다는 점이다. 독립출판사, 독립서점, 독립잡지 등 범독립출판 관련 용어가 등장했고, 출판의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독립출판은 기존의 출판이 갖고 있던 원래 모습의 다름 아니지만, 계절에 따라 옷을 갈아입듯 출판의 트렌드는 분명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독립출판을 논의하기에 앞서 ‘독립’과 ‘인디’의 개념을 조명하고, 독립출판의 개념을 다각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독립출판의 개념, 유형, 특징 등을 논의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독립출판사이자 독립잡지를 발행하고 있는 프로파간다와 독립서점이자 지역서점인 책방 마실의 사례를 통해 독립출판에 대해 선명하게 조명하고 있다. It is the heyday of independent publishing. Independent publishing companies, independent bookstores, independent magazines and other terms related to independent publishing have emerged and are becoming a new area of publishing. Independent publishing is nothing more than the original form of existing publishing, but the trend of publishing is obviously changing as the clothes change according to the season. Before discussing independent publishing, this paper illuminates the concepts of independence and indie , and discusses the concept of independent publishing in a multifaceted way. It discusses the concept, type, and features of independent publishing. It also reveals clearly about independent publishing through examples of propaganda which is a representative independent publisher and independent magazine and independent bookstore and bookstore drink which is a local bookstore.

      • KCI등재

        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출판 · 독서 통제

        이중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8 No.-

        이 글은 일제 파시즘체제기 조선의 출판 · 독서문화 이해의 우선 조건인 출판 · 독서 통제의 출현과정을 究明한다. 중일전쟁 후 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는 검열을 강화하면서도 검열 방침을 ‘소극적 금지’에서 ‘적극적 助長’으로 바꾸어 전쟁협력 도서를 많이 출판하도록 조선 출판계의 동원을 강제했다. 1938년 말부터 1939년 8월 사이에 도서과가 공표 · 기획 · 주도한 출판관련 제반 정책 · 행사, 곧 통제방침의 강화, 일제 전쟁문학서의 번역 · 보급, 일본군 위문사절, 문인 · 출판인 간담회 등을 통해 조선의 출판계는 전쟁동원을 위한 통제에 긴박되었다. 출판통제는 독서통제로 이어졌다. 독서의 자유는 공개적으로 부정되었고 금서조처 · 압수의 강화와 ‘焚書祭’를 통한 서적말살책, 나아가 전쟁동원 서적의 보급을 통해 독서인의 독서행위는 일제의 독서통제에 구속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ppearance process of publication & reading control of the imperial Japan after the beginning of Sino-Japanese War(1937-1945). The book management section of the police administration bureau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BPC: 朝鮮總督府 警務局 圖書課] planned the publication control and carried out it. That was not only censoring, determining and confiscating the banned books, but also forcing the Korean publishing circles to publish the book to cooperate with Japanese Imperialism. At the end of 1938, the BPC declared openly two plans. One is the publication control and the other the distribution of the Japanese book about war. In April of 1939, under the control of BPC, Korean publishers were forced to take part in the mission of Korean literary men to visit Japanese army[皇軍慰問 朝鮮文壇使節], and in Sept. had to publish the book to propagandize war. The BPC had an informal gathering for discussion of Korean literary men and publishers in July of 1939, and ordered them to mobilize Korean publication. Through the BPC's plan of publication control and carrying out it in the years of 1938-1939, Korean publishing circles had to come under the rule of imperial Japan. And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deny the liberty of reading. The police administration bureau determined and confiscated many banned books, and in Aug. of 1939 executed the book burning event[焚書祭]. On the contrary, the books to propagandize war were became wide-spread. Eventually Korean readers were forced to read principally the books cooperating with Japanese Imperialism.

      • 15세기 언해본 출판 연구

        부길만 출판문화학회 2020 出版 雜誌硏究 Vol.28 No.1

        이 글은 15세기 언해본 출판을 출판문화사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5세기는 한국과 유럽 공히 출판문화가 새롭게 피어났던 시기이다. 15세기의 시대 상활을 출판문화를 중심으로 한국과 유럽을 비교 고찰한 다음. 언해본 출판의 종류를 검토하고 언해본 출판의 특징 내지 의의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첫째, 언해본 출판이 한글 전파의 매개 역할을 담당했다. 이것은 시대를 선도하고 문화를 창조하는 출판의 사명을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다. 둘째, 종교서적 출판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15세기 유럽의 경우에도 해당되는 특징이다. 인류문명에 대한 종교의 영향력은 전세계적인 것인데, 15세기 서적 출판의 역사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우리 글로 된 교화서와 실용서가 최초로 등장한 데에 역사적 의의가 있다. 이것은 출판이 주민들의 실생활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출판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조선 후기에 이르면 실용서에서 나아가 오락적 재미도 찾아주는 소설 같은 서적들이 활발하게 나오게 된다.

      • KCI등재후보

        한국 출판콘텐츠의 중국출판 현황과 전망

        이건웅,송원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6

        Korea and China formed diplomatic ties in 1992. China has overtaken the United States as Korea`s largest trade partner, and Korea`s trade surplus with China widened to $19.5 billion in 2004 - the highest since the countries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The fact that China was selected as the guest of honor for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held in Ma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Chinese publication circles in Korea-China Publication Forum held in October are a definite green light for domestic translation of Chinese copyrighted publications. However in reality, problem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ranslation are still showing a red light in imports and exports between Korean and Chinese publications. On the other hand,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Chinese publications is not so optimistic. Looking at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publications, current protection is almost hopeless compared to the growth in quantity. However, imports and export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pyrighted publications are gradually increasing. While the number of translations from Chinese to Korean in 2009 was low in comparison to English and Japanese at 253, it is showing the fastest growth in the number among all languages. In particular, current deterioration in global economy has a severe impact on the exchange in publication market. Continued exchange and research by Korean and Chinese publication industries would be the only way to overcome and cope well with such encouraging factors and disheartening factors. This is the task to be considered by the publishers of Korea and China and also by the academic circles. 2000년대 이후 한․중 출판계는 왕성하게 교류하고 있다. 한국의 중국 유학의 증가, 중국의 한국 유학의 증가도 2000년대 이후의 새로운 풍속도이며, 학문이나 문화적으로 많은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서울국제도서전에서는 중국이 처음으로 주빈국으로 초청되었고, 2012년 베이징국제도서전에서는 한국이 주빈국으로 초청된다. 중국에서 해외 출판콘텐츠를 수입하는 국가 중 한국은 4~5위에 머물지만 성장 속도는 가장 빠르다. 한국에서 중국 출판콘텐츠의 수입은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에 이어 6위이지만 이 또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한국 출판콘텐츠의 중국 출판에서 크게 아동과 만화 그리고 경제․경영서와 실용서의 인기가 좋고 수출도 많이 되었다. 여기에 영어, 컴퓨터, 한국어 도서도 꾸준히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베스트셀러도 나오고 있다. 중국의 출판콘텐츠는 인문이나 어학 교재에 집중되었던 것이 최근에는 경제경영서, 학술, 문학 분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일방적인 수출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거부감을 줄이고 양국의 우수한 출판콘텐츠를 교류하기 위해서는 한․중 출판계의 상호 소통이 중요하다. 상호 왕성한 수출입을 통해 한국의 출판문화와 중국의 출판문화가 교류하고 장단점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문화는 일방의 소통만을 원하지 않고 섞임과 나눔의 미덕이 공존할 때 상생의 길을 걸을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의 출판 교류에서 풀어야할 과제도 적지 않다. 먼저 아동도서와 실용서에 지나치게 치우친 점은 보완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는 양질의 콘텐츠를 바탕으로 한국 출판계가 중국의 출판계와 독자를 이해하려는 노력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번역에서 벌어질 수 있는 문제점에도 집중하여 인재 양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양국 출판사에 존재하는 불신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국출판사의 ‘묻지마’식 진출과 무분별한 경쟁도 풀어야할 문제점이다. 중국은 규모나 성장 속도로 볼 때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양적 성장은 앞으로 질적 성장으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다. 때문에 우리는 성숙해지고 있는 중국출판의 미래를 내다보고 질적인 교류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특히, 현재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인세 보고나 불법 복제 문제에 있어서 중국정부와 출판계가 이에 대한 심각성을 깨닫고 저작권 교육 강화 등 노력하고 있음을 직시하여 장·단기적 대책이 필요하다 하겠다. 2012년은 한·중수교 20주년이다. 한·중수교 10주년이었던 2002년에 한·중출판의 큰 전환점을 맞이했듯 2012년도 한·중 양국출판계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올 것이라고 전망해 본다.

      • KCI등재

        한국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부길만(Booh, Gil-Mann)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하나의 시대구분 시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위한 논의에 앞서, 일반적인 시대구분의 의의와 유형,출판사(出版史)의 연구 영역, 특수사로서의 출판문화사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출판문화사의 인접 분야에 해당되는 한국 언론사와 한국 문학사의 시대구분을 고찰한 다음, 한국 출판문화사 시대구분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는데, 한국 출판문화사가 우리 민족의 정신사와 맞닿아 있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시대구분의 기준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내세웠다. 첫째, 출판의 시대적 역할과 사회적 관련성, 둘째, 출판물을 기획·제작·유통시키는 출판 주체, 그리고 출판수용자에 해당되는 독자층의 문화의식이다. 여기에서 문화의식이란 단순한 문화적 욕구나 수용에 국한되지 않고, 민족 문화를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지니게 되는 공동체의식, 역사 발전을 이루어내는 비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한국 출판문화사를 다음과 같이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 14세기 후반 이전 : 한국 출판문화의 시작 제2기 14세기 후반~16세기 : 엘리트 지식인의 문화의식과 금속활자의 활용 제3기 17세기~1883년 : 평민의식의 고양과 독서문화의 확산 제4기 1883년~1945년 : 국민 계몽 및 민족의식의 발현과 출판 (1) 1883~1910 : 국민 계몽 운동 및 근대적 출판의 등장 (2) 1910~1945 : 민족의식의 성장과 출판 제5기 1945년~현재 : 민주의식의 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1) 1945년~1960년대 : 해방 및 전쟁 후유증 극복 (2) 1970년대~1980년대 : 한글세대의 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3) 1990년대~현재 : 전자출판의 발달과 출판의 국제화 이 글에서 제시한 시대구분은 한국 출판문화사 연구를 위한 사고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물론 그렇게 되기 위해서도 많은 연구와 함께 활발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나와야 할 것이다. 이 글은 그러한 논의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and to recommend a new way of periodization. Before the discussion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several topics: the periodization of the history in general, areas of study in publish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eriodization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journalism and that of Korean literatur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mentioned so far, this study attempts to recommend a new way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doing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e two criteria are given for the periodization in this study. First, the role of publishing in each period and its relations with the society. Secondly, the culture-consciousness of the two groups: the publishers and the reader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ategorized into these five periods. The 1st period (before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 beginning of the Korean cultural history The 2nd perio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till the 16th century) : growth of culture-consciousness of the elite intellectuals and the use of metal printing The 3rd period (from the 17th century till 1883) : growth of the common people's consciousness of equality and the expansion of reading culture The 4th period (from 1883 till 1945) :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growth of nationalism (1) 1883~1910: beginning of the campaign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the appearance of modern publishing (2) 1910~1945: growth of nationalism and publishing The 5th period (1945-present) : growth of people's consciousness in democracy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1) 1945~1960s: liberalization and overcoming of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2) 1970s~1980s: appearance of the Korean alphabet generation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3) 1990s~present: development of digital publishing and the globalization of publishing Further studies and more discussions are needed to use the recommended periodization discussed so far. This study shows the new beginning of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is area.

      • KCI등재

        중국에서 중국조선족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동풍공정의 역할 : 남북한 출판교류를 중심으로

        이봉우(Li Feng yu)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2

        일반적으로 언론 출판 활동은 사회 통합과 문화 전수의 기능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족의 미디어는 민족의 문화유산 전수의 기능을 분명하게 담당하고 있다. 조선족의 언론 출판 활동은 현재 중국내의 소수 민족 언론 출판의 범주에 속하는 현실과 중국의 신문 출판 환경의 변화에 따라 많은 진통을겪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중국에서 펴고 있는 소수 민족 언론 출판의 구축 정책인 ‘동풍공정’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조선문 언론 출판의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남북한 출판 교류에도움을 주고자 한다. 흑룡강출판사, 연변인민출판사, 동북조선족교육출판사 등의 생생한 현장의 사례를 들어 한국과 조선이 활발한 문화 교류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지원을 통해 남북을 포함한 조선문 출판의 새로운 도약을 기대해본다. In general, press publication activities carry out the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and cultural transmission. In this sense, it is evident that the media of Joseonjok (Korean-Chinese people) take care of the function to pass down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The press publication activities of Joseonjok are now suffering much from the reality that they belong to the category of the press publication of the ethnic minorities in China and the change in the publication environment of Chinese newspapers. Under such situation, this study intended to find a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Korean-language press publication and give a help to the exchange of publi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y exploring the details of 'China's Dongpoonggongjeong Project' that drives the establishment policy for the press publication of the ethnic minorities in China. Through the vivid on-site case studies of those such as Heirongjiang Publishing Company, Yanbian People Publishing Company and Dongbook Joseonjok Educational Publishing Company,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a solution to achieve a vigorous exchang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t is also expected that a new leap of Korean-language publication in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ould be achieved through the political support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한국전쟁기~1962년도 미확인 출판물 연구

        박몽구(Park Mong Gu)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2

        본연구는 한국정쟁에서 1962년에 이르는 시기의 미확인 한국 출판물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중심 시기인 1950년대는 한국전쟁으로부터 출발하여 1960년 4·19혁명으로 이어지는 혼란의 연대였다. 이 시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부분은 6·25가 진행되는 1950~1953년까지이고, 둘째 부분은 1953년 이후 전후 회복기에서 산업화 시대의 초입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해당 시기는 한국 근현대사상 더없는 혼란기였다고 볼 수 있다. 반세기에 걸친 일제의 강압적 통치에서 벗어난 지 얼마 안 되어 독립국가로서의 체제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시기일뿐더러, 좌우 이념의 대립에 따른 사회적 혼란도 끊이지 않은 시기였다. 그에 따라 우리 출판에 대한 통계는 지극히 불비하였다. 좌우 이념의 대립에 따라 납본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은 이념 서적들도 적지 않았고, 지방이나 문중에서 출판된 도서들 가운데에는 제대로 통계에 잡히지 않은 책들이 적지 않다. 또한 출판사를 거치지 않고 사가본(私家本) 형태로 출간된 책들도 상당수 존재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당시 사정을 기록하고 있는 몇몇 연감과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는 한편, 당시 발간된 신문이나 장기 간행물들 가운데 나타난 미등록 도서들을 점검하는 한편, 고서점이나 소장자들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등의 방법으로 미확인 출판물들을 추적하고자 한다. 등록 출판물의 규정은 국립중앙도서관이 1964년에 발간한 『한국서목』을 기준으로 하고, 여기에서 누락된 출판물들을 수집 정리하고자 한다. 본연구에서는 납본과 통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교과서 분야를 제외하고 단행본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음을 밝히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기에서 1962년도에 이르는 한국의 출판 상황을 살펴보는 한편, 당시 출판되어 우리 국민들에게 적잖은 정신적 영향을 끼치고도 우리 출판유산으로 등재되지 못하고 있는 출판물들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상당한 출판 유산이 역사적 기록으로 등재되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미등록 출판물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동족상잔에 따르는 혼란 상황과 휴전 후 그 수습 과정에 따르는 열악한 제반 경제 여건 및 지식욕이 팽배한 가운데 미등록되거나 소량의 부수를 출판하여 연구 집단 등에서 활용한 출판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다음으로, 미등록 출판사들이나 지방 소재 출판사에서 간행된 도서들이 다수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중본, 사가본 등 정식 출판 절차를 거치지 않고 출판된 도서들도 다수 존재한다. 이들 도서들은 해방 조국을 새롭게 건설하는 데 초석이 된 귀중한 문화 유산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새삼 우리 민족의 자주적인 문화 역량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부의 출판 탄압 조치에 따른 금서(禁書) 처분 및 그에 따르는 납본 회피 등으로 다수의 양서가 미확인 출판물로 남는 결과를 낳았음을 확인하였다. 본연구에서는 각급 도서관 및 고서점, 소장자들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통하여 한국전쟁기에 104종, 휴전 후 1950년대 말까지 202종, 이후 1962년까지 37종 등 총 343종의 가치 있는 미확인 출판물을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그 체재나 내용이 우리 출판 유산으로 새롭게 등재되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연구를 통해 출판은 우리 국민들에게 정신적 푯대가 되어 왔음은 물론, 당시의 상황을 기록하고 후대에 전승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있는 문화 유산임을 재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s aim is to analyze the publications status of Korea from 1950 Korean War to the year 1962. That period was the most confusional age on Korean modern history. The central period, 1950 epoch is a confusional era between the Korean war and the 4·19 revolution. Over half century, as Japanese high-handed domination, liberation Korea was not ready for an independent country. Also, social confusion that followed conflict of the ideology. Because this condition, publshing statistics was extremely defective. At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some yearbooks that has recorded the circumstances of those days, and have investigated established research works. And I have surveyed newspapers and periodical publications, visited old bookstores. Through these methods I have persuited unconfirmed Korean publishing products of 1950-1962 Period. At this study, registration rules of publications is followed to Korean National Bibliography 1945-1962 that published by National Central Library Seoul, Korea on 1964. Through this study, we have found 104 sorts of separate volumes in the Korean war period. And 202 sorts in the war to 1959, 37 sorts in 1960-1962 period, new ones are recovered. Total 343 sorts of separate volumes are reconfirmed as our historical publishing hereditament. Types of unconfirmed publishing products are as follows. Forst, some of theirs are left wing books that is not presented specimen copies for censorship because extreme conflict between left wings and right wings. And there are some matters from unregistered publishers and local publishers. Finally, publishied by local families and by individuals are also sorts of these types. These books was foundation stones that have established liberation country, our precious culture hereditaments. Through these new publishing matters we have confirmed that our exellant cutural capability.

      • KCI등재

        출판사 신문관의 단행본-잡지사업 및 일본 출판계와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다나카 미카 상허학회 2020 상허학보 Vol.60 No.-

        This paper examines Shinmungwan Publishing Company’s books in order to uncover the influence of Shinmungwan’s magazine business and the Japanese publishing world at that time, especially focusing on the series such as Shipchon-chongso십전총서, Bonyok-sosol 번역소설 and Yookchon-sosol 육전소설,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editions of Sonyun 소년 and Cheongchun 청춘. Shipchon-chongso, the first of Shinmungwan’s series, aligned with the concept of Sonyun, which aimed to train ‘boys’ to have spirits strong enough for them to be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the country. The same original texts are translated in both publications, therefore it would seem that the books and magazine are related. However, Shinmungwan focused on the publication of magazines and offered the books as a supplement to the magazines. Although this kind of plan for series was rare in Korea at that time, many series were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Choi Nam-seon, who had studied abroad in Japan, was translating Japanese series for his magazines, including Sonyun, so it is highly probable that he thought of publishing cheap series from the Japanese publishing world, including Yookchon-sosol, which was a reprint of a classical. Actually, most Bonyok-sosol were translations of the books from Naigaishuppankyokai內外出版協會, which shared the policy of emphasizing mental discipline with Shinmungwan. Shinmungwan translated several of Naigaishuppankyokai’s publications but also used illustrations and designs from Hakubunkan博文館, the major publishers in Japan, to create original content. Though Shipchon-chongso and Bonyok-sosol were translated in Hangul, Bonyok-sosol differed from magazines; they were not only translated into Hangul, new Korean words were increasingly employed in the translations. When compared with children’s magazine such as Aideulboi 아이들보이 and Bulgeun Jeogory 붉은 져고리, it is obvious that use of Korean words is not exhaustive enough and the translation as a whole is imperfect. An analysis of translation indicates that Bonyok-sosol was a preliminary step in the usage of new Korean words in children’s magazines. As mentioned above, the series was positioned to complement magazines, Shinmungwan’s main publications. It is possible that the series had an experimental role in Hangul translation and the creation of new Korean words, which were characteristic of children’s magazines. Some of these series are a translation of Japanese publications and seems to have been partly influenced by the projects and formatting of the series by Japanese Publishers. Therefore, not only the magazines but also the books confirm Shinmungwan’s relationship with the Japanese publishing world. 본고에서는 신문관 단행본에 관하여 특히 『소년』과 『청춘』 사이에 간행된 ‘십전총서’나 번역소설, ‘육전소설’ 등 시리즈 서적에 착안하여 잡지사업 및 일본 출판계와의 관계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 신문관의 첫 총서인 ‘십전총서’는 나라의 장래를 짊어지는 굳건한 정신을 가지는 ‘소년’ 양성을 목표로 했던 『소년』과 컨셉이 일치하며, 또 공통된 번역 저본을 이용하고 있어 단행본과 잡지와의 관련성이 엿보인다. 다만 잡지 간행에 중점을 두었던 신문관은 단행본을 잡지를 보완하는 것으로 삼고 있었다. 이러한 총서기획은 당시의 조선에서는 새로운 것이었는데, 같은 시기의 일본에서는 이미 다수의 총서가 간행되고 있었다. 일본 유학 경험이 있는 최남선은 실제로 『소년』 등 잡지에서 일본 총서를 번역하고 있으므로 고전 복간인 ‘육전소설’을 포함한 저렴한 총서기획의 구상을 일본 출판계에서 얻었을 가능성이 높다. 내용면에서도, 예를 들어 번역소설은 그 대부분이 내외출판협회(內外出版協會)의 단행본을 번역한 것이었다. 정신수양을 중시하는 내외출판협회와 방침이 일치한 신문관은 내외출판협회의 간행물을 다수 번역하면서도, 삽화나 디자인과 같은 형식면에서는 대형 출판사였던 박문관(博文館)의 간행물을 이용하는 등 독자적으로 내용을 재구성하고 있었다. 또 단행본과 잡지의 관련성을 번역의 측면에서 분석하면, 우선 ‘십전총서’는 잡지와 달리 거의 한글로 번역되고 있는데, 이후에 간행된 번역소설에서는 원문의 한자어가 한글로 표기될 뿐만 아니라 고유어의 번역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들보이』나 『붉은 져고리』 등 아동잡지와 비교하면 그 고유어 표기는 철저하지 않고 번역 자체도 불완전하다. 이러한 사실은 번역소설이 아동잡지에서의 고유어 표기를 향한 전단계였던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신문관의 시리즈 서적은 주력상품이었던 잡지를 보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아동잡지의 특징인 한글표기나 고유어 창출이 시도되고 있어, 잡지간행을 향한 실험적인 역할도 하고 있었다. 또 그 내용에서 일부 일본 출판사 간행물이 번역되어 총서기획이나 형식면에서의 영향도 엿보이는 등 잡지뿐만 아니라 단행본에서도 같은 시기의 일본 출판계와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전자출판의 법적 의미와 그 한계

        박성호(Park Seong Ho) 한국정보법학회 2010 정보법학 Vol.14 No.2

        전자책과 아마존의 킨들, 애플의 아이패드 같은 전자책 전용단말기들이 출판업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전자책이란 전통적인 책인 종이와 잉크를 이용한 인쇄물이 아니라 문자나 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전자매체에 기록하여 전자북리더와 같은 전용단말기 등 으로 읽을 수 있는 출판물이다. 전자책의 범주에는 인터넷을 통해 전송받아 전용단말기로 읽을 수 있는 것뿐 아니라 CD-ROM 등에 저장되는 것도 포함된다. 전자책의 출현으로 인해 저작권이나 관련 권리의 관리와 조정에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게 되었다. 특히 출판계약에서 출판자가 부여받는 권리의 범위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종래의 출판권과 전자출판권을 구별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전자출판권이 우리나라 저작권법이 규정하는 설정출판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 가능한지에 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설정출판권의 법적 의미와 한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전자출판에 관한 법적 쟁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설정출판권 제도의 확대나 배타적 이용권 제도의 신설 등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Electronic books and e-book readers like Amazon’s Kindle and Apple’s iPad are changing the book publishing industry. An e-book is an electronic version of a printed book which can be read on a personal computer or hand-held device like e-book reader. The category of electronic publishing includes e-books in CD-ROM formats as well as downloadable text or hand-held devices. With the advent of e-books and electronic publishing, careful management and fair adjustment of copyrights are needed. Under the Korean Copyright Act, when an author wants to have a publisher to publish his/her work, he/she has a choice of either granting the publisher an exclusive or non-exclusive license to publish it, or granting the publisher to establish a right of publication. Unlike an exclusive or non-exclusive license, a right of publication enjoys the exclusivity against third parties. There are many variations on the scope of the rights granted to the publisher by the autho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publisher’s right of publication and electronic publishing right.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nic publishing right might be construed as establishing a right of publication, we must first clarify the legal meaning and limitation of a right of publication. And for resolving the legal issues concerning electronic publishing, it should be necessary for us to consider proposals for reforming the Act in relating to expansion of the range of a right of publication, adoption of exclusive license system with the exclusivity against third parties, et cetera.

      • KCI등재

        우리나라 중소출판사의 산업적 문제와 개선 방안 연구

        이종문(Lee, Jong-Mo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7 No.-

        본 연구는 중소출판사가 처해 있는 산업적 문제를 관련 선행연구 및 통계자료 등을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를 파악하여 중소출판사의 발전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출판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출판 산업은 전체 출판사 중 대부분이 중소출판사에 속하고, 매출실적이 있는 출판사가 8.9%에 불과하다. 또 평균 종사자 수가 8.4명에 불과할 정도로 열악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출판사의 산업적 활성화를 위한 문제요인을 우수작가 확보, 공동출판센터 운영, 공동유통센터 운영, 공동물류관리센터 운영, 공동마케팅 인프라구축등으로 인식하여, 실제 적용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small publishers by theoretically investigating the industrial problems that small publishers have been facing with existing research and statistical data and identifying the problems on the basis of theoretic investig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ation statistics, small publishers make up the majority of the publishing industry in Korea. Publishers with sales records accounted for only 8.9%. Furthermore, the publishing industry in Korea is very poor to the extent that the average number of workers per company was 8.4. For the activation of the publishing industry in Korea, it is required to secure good writer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joint publishing center, distribution center, and logistics management center and implement a joint marketing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paper proposed an applicable approach for development of the publishing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