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정복의 『자치통감강목』 書法 이해와 『동사강목』 마한정통론의 강목체 필법

        김남일(Kim, Nam-il)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6

        본 논고는 『동사강목』이 강목체 역사서로서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서는 먼저 안정복은 『통감강목』 범례에서 밝힌 강목 서법과 이를 기반으로 서술된 『통감강목』 본문 서술에 대하여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작성하였다. 그리고 『동사강목』의 기자-마한정통론은 이익의 삼한정통론과 어떤 관계에 있으며, 그 강목체 필법이 다른 기존의 역사서 『삼국사기』 『동국통감』 『동사회강』 등과 어떤 다른 특징이 있는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정통론과 강목체 역사서술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논증하였다. 강목 서법의 주요 논쟁점은 ①卒과 死 그리고 관직을 썼느냐에 따른 포폄의 차이 ②殺과 討, 誅의 필법 ③태후가 임금에 오른 아들을 죽인 것이 弑인가? ④의롭게 죽은 사람은 반드시 강에 올리며 그의 죽음은 死之라 쓴다. ⑤諡號는 강에 쓰지 않고 卒記의 분주에 써야 한다. ⑥叛과 奔의 분별 ⑦盜殺과 誅, 伏誅의 필법 등이다. 이익은 요동 이동 소중화라 불리우는 우리나라의 역사가 중국과 대등한 역사진행을 보이는 점을 강조하고, 신라와 백제 건국기의 역사를 마한 정통국가 체계로 강목체 필법에 입각한 역사서를 써서 후대에 교훈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안정복은 이러한 기자-마한정통론을 계승하여 강목체 『동사강목』을 쓰게 됨에 따라 역사서술 용어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기존 사서와 『동사강목』의 큰 차이점은 기자를 이은 마한은 정통왕조로 신라, 고구려는 건국례로 백제는 주나라 시대의 열국례에 해당한다고 해석함으로 인하여 기년(세년), 왕호, 붕장, 즉위 기사 등에서 형식과 용어의 변화가 있었다. ①『동사강목』에서는 강목 범례의 세년조에 따라 정통 왕조 마한은 대서기년하고 나머지 신라, 고구려, 백제는 분주기년하여, 기존 사서에서 마한은 기년에서 제외하고 삼국만 분주 기년하는 형식에 변화가 있었다. ②왕호 표기에 있어 『동사강목』은 마한은 정통국이므로 첫해에만 국호+王이라 쓰고 그 이후는 국호를 생략하고 왕이라고 쓰는데 비하여, 고구려 백제는 국호+君이라 쓰며, 신라는 斯盧+居西干(次次雄) 등 고유왕호를 직서하였다. ③왕과 왕비의 죽음은 기존 사서에서는 삼국 모두 薨이라 썼으나, 『동사강목』에서는 마한왕은 薨, 삼국의 왕과 왕비는 卒이라 썼다. ④기존 사서에서는 삼국 왕의 즉위는 무통의 국가를 의미하는 立이라 썼으나, 『동사강목』에서는 마한 왕은 정통 국가이므로 卽位라 쓰고, 고구려의 경우는 嗣라고 쓰고, 신라는 立이라 썼다. This thesis examines An Jeongbok’s Comprehension of the historiographical method(Seobub, 書法) of Zizhi Tongjian Gangmu and how the gangmok style was applied to writing the Mahan legitimate in Dongsa Gangmu. The analysis would be a great help to know how the Gangmok Style was applied to writing Dongsa Gangmu. The main points in this thesis are as follows. How the keynote of Dongsa Gangmu, the legitimate dynasty(正統論) of the inheritance of Kija Chosun – Mahan, was related with the Seongho’s(星湖, 李瀷 1681~1763) theory of Samhan legitimate dynasty and what was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An Jeongbok’s applying Gangmok Style to Dongsa Gangmu and the books devoted to Mahan history. As a result, legitimate dynasty tradition and Gangmok Style were an inseparable relation. Research materials are writing and letter in the Collection of An Jeongbok's Works about knowledge on Chunchu, Zizhi Tongjian, Zizhi Tongjiangangmu, legitimate dynasty tradition, historiographical method of Zizhi tongjian gangmu and so on. The controversy over the Historiographical Method of Zizhi Tongjian Gangmu are as follows ①As the death was described with a term of Jol(卒) or Sa(死) and the death was written with his office, there are some subtle differences between praise and blame. ②As someone who killed another person was described with Sal(殺) or To(討) and Ju(誅), there are also differences. ③When mother killed her son crowned king, could it be written as regicide(Si 弑)? ④The death of the righteous person must be written as Saji(死之) in Gang(綱). ⑤A posthumous epithet must be written in Mok(目). ⑥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Ban(叛) and Bun(奔). ⑦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Dosal(盜殺) and Ju(誅), Bokju(伏誅) and so on. In addition I undertake the study the key differences of gangmok style writing method between on the Mahan legitimate in Dongsa Gangmu and other Dongsas such as Samguksagi(三國史記) Dongguktonggam(東國通鑑), Dongsahoegang(東史會綱) etc.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h are as follows: Seongho emphasized that the history of the eastern region of the Liao-ho River called Sojunghwa(小中華) had progressed evenly with china history, and he argued that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country building era must be rewritten Mahan as Legitimate dynasty by the Gangmok Style(綱目體), as a result this history would be a good lesson to future generations. An Jeongbok took over the Seongho’s theory of Mahan legitimate dynasty to write Dongsa Gangmu. The difference between old Korean history books and Dongsa Gangmu came from regarding Mahan as legitimate dynasty. As An Jeongbok regarded Silla and Kogoryo as Gunguk case(建國例), Baekje as Yeolguk case(列國例), the writing terms on Chronology(紀年, 歲年), naming a emperor and king(名號), accessing the throne(卽位), death and funeral(崩葬), etc was changed. ①Mahan's chronology in Dongsa Gangmu was applied large font as legitimate dynasty, and three kingdom's chronology applied small font. In old Korean history books Mahan's chronology was omitted and three kingdoms' chronology were applied small font as illegitimate dynasties. ② Naming a king of Mahan in Dongsa Gangmu at first year was written country name Mahan+king(王), from next year the country name was omitted and only written king(王), the other country, Goguryeo and Baekje was written country name+Gun(君), and Sila was written country name Saro(斯盧)+Geoseogan(居西干) or Chachaung(次次雄) which was the original name itself. ③The death of king and queen was written Hung(薨) in old Korean history books. But in Dongsa Gangmu the death of Mahan king was written Hung(薨), the other of three country was written Zol(卒). ④In old Korean history books accessing the throne(卽位) was written Rip(立) which means illegitimate dynasty. In Dongsa Gangmu Mahan king was written Jeukwi(卽位), Goguryeo was written Sa(嗣), and Sila was written Rip(立).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의리정신

        장세호 ( Se Ho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1 No.-

        사계 김장생은 인조때 발생한 전례문제에서 자신의 주장을 주자의 춘추강목설에 의거하여 전개한다. 인조가 사묘친제시 사친인 정원군에 대한 축문칭호 문제에 있어서도 정통의 입장에서 백숙부로 해야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제왕가에서는 승통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일단 왕위에 올랐다면 본생부모를 돌봐서는 안 되는 것이 정통의 입장에서 본 의리정신이라는 것이다. 바로 왕위계승의 의리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공자가 노나라의 역사서인 춘추를 기록하면서 자신의 독자적인 가치관으로 역사적 사실을 포폄하여 기술한 것은 대의명분이 무엇인지 밝히고 정사선악이 무엇인지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이다. 뿐만 아니라 난신적자들을 경계하여 후세에 정통을 바로 세우고자 하는 뜻을 명확히 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맹자도 양혜왕과의 문답에서 利가 아닌 義의 문제를 제기하여 공자가 주장한 의리사상을 내세우고 있음을 알수 있다. 맹자 또한 전국시대의 어지러운 정치상황에서 춘추의리정신을 주장하여 의리가 도덕적인 실천 덕목임을 강조한 것이다. 주자도 『자치통감강목』에서 공자의 춘추의리정신을 다시 주장하여 한의 유비에게 정통을 부여한 것이다. 그 동안 사가들은 위의 조비에게 정통성을 부여하였으나 주자는 춘추의 의리정신에 입각한 자신의 가치관과 역사관을 통하여 정통에 대한 견해를 달리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유학의 의리정신이 성리학의 성립과 더불어 학문적 특성으로 더욱 강조가 되고 그것이 조선조에 이념으로 도입이 되면서 우리가 지켜야할 도리로 간주된 것이다. 또한 사계 김장생의 예학사상에 그대로 계승된 것으로 볼 수 있다. Sa-kae Kim jang sang organizes his opinion about precedent problem. That occurred when In-jo seizes power. His opinion is based on Chunchu-gangmuk. About problem of written prayer title that is about Sachin-Jung One Kun should write uncle. Je Wang Ga regards that as succession important. When he rises to the throne, he should not care original parents.. That is loyalty thought on authenticity part. Because loyalty of rising to the throne is more important. Recording Chunchu that is No country`s history, Confucius recorded history fact criticizely as his values. That is recorded to clarify justification and virtue and vice of political affairs. Also that is to alert a traitorous subject-legitimate and straight legitimacy. Mencius also puts stress on loyalty thought in talking with the king Yang hae by raising justice problem not profit problem. He puts stress on loyalty. That is practice virtue when politics becomes confused. Chu ja claimed again Confucius`s loyalty in Jachi Tonggam-gangmuk. He invested Han`s You-vi with rights. During that time, a historian invested Jo-vi with rights. That is diffrent opinion with Chu ja and a historian. For such Confucianism`s loyalty was more puted strees on an academic standard. That was regrded with our duty when that comes in ideology. Also that passed to Sa-kae Kim jang sang`s Yae thougts.

      • KCI등재

        沙溪 金長生의 의리정신

        장세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1 No.-

        Sa-kae Kim jang sang organizes his opinion about precedent problem. That occurred when In-jo seizes power. His opinion is based on Chunchu-gangmuk. About problem of written prayer title that is about Sachin-Jung One Kun should write uncle. Je Wang Ga regards that as succession important. When he rises to the throne, he should not care original parents.. That is loyalty thought on authenticity part. Because loyalty of rising to the throne is more important. Recording Chunchu that is No country’s history, Confucius recorded history fact criticizely as his values. That is recorded to clarify justification and virtue and vice of political affairs. Also that is to alert a traitorous subject-legitimate and straight legitimacy. Mencius also puts stress on loyalty thought in talking with the king Yang hae by raising justice problem not profit problem. He puts stress on loyalty. That is practice virtue when politics becomes confused. Chu ja claimed again Confucius’s loyalty in Jachi Tonggam-gangmuk. He invested Han’s You-vi with rights. During that time, a historian invested Jo-vi with rights. That is diffrent opinion with Chu ja and a historian. For such Confucianism’s loyalty was more puted strees on an academic standard. That was regrded with our duty when that comes in ideology. Also that passed to Sa-kae Kim jang sang’s Yae thougts. 사계 김장생은 인조때 발생한 전례문제에서 자신의 주장을 주자의 춘추강목설에 의거하여 전개한다. 인조가 사묘친제시 사친인 정원군에 대한 축문칭호 문제에 있어서도 정통의 입장에서 백숙부로 해야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제왕가에서는 승통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일단 왕위에 올랐다면 본생부모를 돌봐서는 안 되는 것이 정통의 입장에서 본 의리정신이라는 것이다. 바로 왕위계승의 의리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공자가 노나라의 역사서인 춘추를 기록하면서 자신의 독자적인 가치관으로 역사적 사실을 포폄하여 기술한 것은 대의명분이 무엇인지 밝히고 정사선악이 무엇인지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이다. 뿐만 아니라 난신적자들을 경계하여 후세에 정통을 바로 세우고자 하는 뜻을 명확히 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맹자도 양혜왕과의 문답에서 利가 아닌 義의 문제를 제기하여 공자가 주장한 의리사상을 내세우고 있음을 알수 있다. 맹자 또한 전국시대의 어지러운 정치상황에서 춘추의리정신을 주장하여 의리가 도덕적인 실천 덕목임을 강조한 것이다. 주자도 『자치통감강목』에서 공자의 춘추의리정신을 다시 주장하여 한의 유비에게 정통을 부여한 것이다. 그 동안 사가들은 위의 조비에게 정통성을 부여하였으나 주자는 춘추의 의리정신에 입각한 자신의 가치관과 역사관을 통하여 정통에 대한 견해를 달리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유학의 의리정신이 성리학의 성립과 더불어 학문적 특성으로 더욱 강조가 되고 그것이 조선조에 이념으로 도입이 되면서 우리가 지켜야할 도리로 간주된 것이다. 또한 사계 김장생의 예학사상에 그대로 계승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한강 정구의 역사관과 정통론 : - 『역대기년』의 중국사 체계에 대한 사학사적 고찰 -

        김남일(KIM, Nam-Il) 한국사학사학회 2016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4

        [역대기년]의 중국사 서술 시기는 태고 반고로부터 만력 원년 계유(1573)까지이다. 서술 내용은 각 왕조의 왕위 계승과정을 중심으로 왕의 성명, 이명, 성씨, 가계, 원년 간지, 도읍지, 왕위계승 과정, 죽은 해, 장지, 재위 연수, 나이, 시호 등과 연호의 원년 간지 및 존속 기간 그리고 간혹 특이한 역사적 사실이나 업적 또는 인물 평가 등을 요약하였다. 춘추・전국시대 제후국의 경우 연대 비교를 위해 각 임금의 원년 다음에 주나라 왕의 연대를 기록하였다. 중국사 체계는 강목 서법의 정통론에 따라 정통・무통・참위・간통・열국등을 왕명의 위치로 시각적으로 구현하였다. 왕명을 가로줄에 붙여 쓴 경우(정통 왕조), 가로선 한 칸 아래에 왕명을 쓴 경우(무통 왕조), 무통 왕조와 같은 형식이나 정통왕조와 병립한 경우, ○○統中絶다음에 왕명을 2칸 내려 쓴 경우, ○○僭僞다음에 왕명을 2칸 내려 쓴 경우, 주나라 열국의 임금명은 모두 2칸 내려 쓰는 6개의 유형으로 정리된다. 15~16세기부터 조선에서 중국사 개설서는 [사략]과 [통감절요]였는데, 이는 어릴 때부터 한문 문리를 트기 위해 읽음으로써 중국 역사 지식을 습득하였다. [통감]은 과거시험 과목이기도 하였다. [통감절요]의 편찬자는 사소 음석, 왕봉 집의, 유염 증교이며, [19사략통고]를 찬한 여진은 송오 즉왕봉의 문인이므로 朱熹- 黃榦- 饒魯- 吳中行- 朱公遷- 洪初(洪善初)-王逢-余進으로 이어지는 주자학 계열 학자들이 [사략]과 [통감절요]의 재편찬을 주도하였다. 강지의 [통감절요]에는 삼국시대 역사가 위나라 위주로 서술되어 있었으나, 劉剡은 강목 서법에 따라 촉한 정통론으로 개찬하였으며 왕봉의 집의를 주석으로 채택하였다. 이외에 유염은 동주군 정통론, 孺子嬰정통 편입, 왕망 참위, 중종 정통, 무씨 참적 등의 관점에서 􋺷통감절요􋺸를 재편집하였다. 재편찬된 [사략]도 이를 토대로 촉한 정통으로 서술하였으며, 유자영과 중종도 정통으로 재편집하였으며 강목 서법을 적용하였다. 유염은 [통감절요외기]・[통감절요속편]도 편찬함으로써 반고에서 원나라까지의 역사를 강목 서법에 따라 대중화하는데 기여하였다. 􋺷역대기년􋺸에 반영된 좀 더 전문적인 중국사서는 􋺷춘추􋺸 및 4전, 􋺷통감외기􋺸 􋺷통감전편􋺸, #1097399;통감강목􋺸, 􋺷통감속편􋺸, 􋺷속강목􋺸, 􋺷역대통감찬요􋺸 등이 있다. 이외에 􋺷사기􋺸와 􋺷문헌통고􋺸, 􋺷광아􋺸 등의 사전류, 􋺷대명일통지􋺸, 􋺷황극경세서􋺸 등도 참조하였다. 김우옹은 원나라를 정통으로 인정하지 않는 엄격한 화이론에 입각하여 명나라 관찬사서 상로의 􋺷속강목􋺸을 개찬하였다. 정구는 夷狄계열의 왕들은 그 죽음을 死로 표기하여 화이론적 정통론을 견지하고 있으나 원나라 세조의 천하통일을 정통으로 간주하였다. This article explains the influence of the Legitimate Dynasty Tradition of Zizhi tongjian gangmu and the Books on Chinese History in Jeong Gu’s Yeokdaeginyeon. Yeokdaeginyeon s Chinese Historical System was compiled with six forms regarding the Emperor s(or King s) name position by the Gangmok Style of Legitimate Dynasty Tradition: 1) The Emperor s(or King s) name was written right under the top line without any blank space specifying Legitimate Dynasty; 2) the one with one blank space, Illegitimate Dynasty;3) the mixed one with 1) and 2); 4) the one with two blank spaces and characters meaning illegitimacy; 5) the one with two blank spaces and the characters meaning ○○traitor; and 6) the one with two blank spaces and the characters of Chunchu Jeonguk era’s feudal lord name. Yeokdaeginyeon was written about from Bango(盤古) to Manryeok(萬曆) first year of Ming dynasty(1537). The contents of Yeokdaeginyeon consisted of emperor s(or king)’s name, alias, surname, family lineage, the sexagenary cycle of enthronement year, the length of reign, the place of government, death year, a burial place, a posthumous title and sometimes peculiar historical facts or evaluation. In the cases of feudal princes, the year name of king of Chu was added after enthronement year of the feudal princes. Yeokdaeginyeon reflected the influence of 19 Saryak, Tonggamjeolyo revised in Gangmok style by Wangpong, Yecin and Yuyem who were disciples of Zhu Xi. It was also influenced by more professional Chinese history books such as Chunchu, Tonggamgangmok, Sokgangmok, Tonggamoegi, Tonggamjeonpyeon, Tonggamsokpyeon, Yeokdaetonggamchanyo, etc.. Kim Wuong who wrote Sokgangmok, did not acknowledge Won dynasty’s unification of China, but Jeong Gu admitted it. Nevertheless both Kim Wuong and Jeong Gu had a historical view with the ideology of revering the Han China and expelling barbarians.

      • KCI등재

        주자의 『자치통감강목』의 「凡例」와 화서학파의 『송원화동사합편강목』의 「書法」 비교

        김남일(Kim, Nam-Il) 한국사학사학회 201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2

        This thesis compared the historiographical method(書法, information for writing method) of Zizhi Tongjiangangmu(Outline and Digest of the Comprehensive Mirror for Aid in Government - hereafter Gangmu) written by Chuja(朱子, Zhu Xi 朱熹, 1130~1200) and Songwonhwadongsa-habpyeon Gangmok(宋元華東史合編綱目 hereafter Hwadonggangmok, 華東綱目) written by disciples of Hwaseo(華西 Lee Hwang-No 李恒老, 1792-1868), The conclusion of this reserch are as follows : 1. Chuja had thought that the Zizhi-tongjian(資治通鍵,Comprehensive Mirror for Aid in Government) was difficult to read and it had a problem displaying legitimate dynasty tradition(正統論). Chuja therefore invented the pattern of gang(綱 drawing rope of a fisher’s net : writing meta-data, essential points, subjects written in a large font) and mu(目 meshes of the net: describing details written in a small font) to create a type of historiography. He classified the era of unification dynasty of China as a legitimate dynasty, and the other division era of China as a illegitimate dynasty. The emperor era name of the legitimate dynasty was written in red large font, on the other hand, other dynasties was written in black small font. In result, the book had highly readable typography. By this criteria Chuja defined the main 19 topics and sub-topics that should be written in the gang and mok. The main 19 topics were about the Legitimate Succession of Dynasty(統系), a 60-year cycle Chinese calendar system(干支) - this should be written above the top line, meaning the heavenly way has to be respected - and Chinese Emperor Era name(年號)[歲年], naming a emperor and king(名號), accessing the throne(卽位),renewing an emperor's era name(改元), respect naming the emperor’s parents and appointing the crown prince(尊立), death and funeral(崩葬), traitors(篡賊), dethrone and sending into exile by subordination(廢徒), religious service(祭祀), round of inspection(行幸), favour(恩澤), a morning rally(朝會), dub(封拜), subjugation(征伐), dethrone and sending into exile by one’s superior(廢黜), dismiss from office(罷免), nominate(人事), natural damage from a calamity(災異). The main features of historiography of gangmu style emphasized the legitimate dynasty(正統論), ‘praise and blame’(褒貶), the ideology of Revere the China and expel the barbarians, i.e. the foreigners(尊華讓夷), and suppressing traitors(討亂賊). 2. The thought of Choson Chunghwa Ideology under the banner of the Righteousness of Chunchu(春秋義理) by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had gradually taken shape since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Choson(1636, 內子胡亂). Lee Hwang-No, with the increasingly intensive western impact into Chosun intended to preserve and revive the Confucianism by compilating historical material and correcting the Sokgangmok(續綱目). He regarded Weon(元) as barbarians and treated as Illegitimate Dynasty and combined the history of Koryo with it. For this purpose Hwadong Gangmok was compiled, which followed the historiography of the existed Sokgangmok(續綱目) and Yeosajegang(麗史提綱). But in the course of correcting it, Lee Hwang-No, Kim Pyeong-muk(金平默, 1819~1891), and Yu Jung-gyo(柳重敎 1832-1893) also emphasized the ideology of revere the China and expel the foreigners(尊華讓夷) and to suppress traitors(討亂賊). 3. The historiographical method(Seobub, 書法) of Hwadong Gangmok written by Yu Jung-gyo largely followed the historiographical method(Bumrai,凡例) of Gangmu written by Chuja. Yu Jung-gyo dealt with the same 19 topics and sub-topics that was written in "Bumrai" but discussed it in terms of historical documents or events in the history of Song(宋), Kum(金), Weon(元) and Korea(高麗) 4. By these works Hwaseo school regarded themselves as the successor of Gongja, Chuja and Song Siyeol. All these reflect the influenses of Chunchu, Gangmok and Song Siyeol's the Righteousness of Chunchu on Hwaseo school.

      • KCI등재

        안정복이 『동사강목』에서 강목체 필법으로 쓴 인물 평가와 그 위계 질서 : - 明統系ㆍ嚴簒逆ㆍ褒忠節 筆例와 기존 강목체 史書와의 비교 -

        김남일(KIM, Nam-Il)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8

        이 글은 안정복이 『동사강목』의 저술목적 가운데 밝힌 明統系ㆍ嚴簒逆ㆍ褒忠節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기존의 강목체 역사서 『동국통감』ㆍ『여사제강』ㆍ 『동사회강』과 비교ㆍ분석하여 밝혔다. 비교의 대상은 본 주제와 관련이 있는 서문ㆍ범례 그리고 인물평가와 관련이 있는 필법의 사례에 한정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서술하는 주요 내용은 기존 사서에서 계승한 것과 다른 점 그리고 중점을 두고 서술한 내용 등을 밝히면서, 강목 서법에는 위계질서의 의미체계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논증하였다. 『동국통감』은 『고려사』ㆍ『고려사절요』ㆍ『삼국사절요』보다 인물 포폄에 있어서 강목체 필법에 의거하여 改書가 많이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읽기 쉬운 朱子의 강목체 史書의 不在와 『동국통감』의 강목법이 미진함으로 인해 유계의 『여사제강』이 편찬되었으며, 이를 삼국시대까지 확장하여 서술한 것이 임상덕의 『동사회강』이다. 『동사회강』은 중국과 東史의 역사 사례를 비교ㆍ분석하여 일정한 수준에 이른 정통체계와 서열체계를 체계화하여 범례에 밝혔다. 이러한 『동사회강』의 동사 체계에 자극을 받고, 성호 이익 및 동료들과 필례를 검토하여, 『동국통감』에서 外紀로 처리한 상고사를 국사체계에 끌어들이고 『동사회강』의 서술에서 제외된 고려말까지의 역사를 강목체로 완성한 것이 『동사강목』이다. 그러므로 강목체 史書간에는 계기적 발전과정이 있었다. 안정복의 明統系 즉 正統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기자-마한 정통 체계, 위만조선과 고려 태조 왕건의 僭國例(통일이전 18년간), 禑王ㆍ昌王을 前廢王ㆍ後廢王으로 大書 紀年하여 정통체계로 서술한 점 그리고 駕洛國을 小國例로 紀年체계에 포함한 것이다. 嚴簒逆의 필례로는 신하가 임금을 죽였을 때나 부모나 지아비를 죽였을 때 쓰는 ‘弑’, 권력을 맘대로 휘두른 權臣이나 盜賊의 죽음은 ‘성명+死’, 反逆한 사람을 公的으로 죽였을 경우는 伏誅, 私的으로 죽였을 경우는 誅 등이 있는데, 안정복은 그 이전 史書에 비해 사실에 입각하여 엄격하게 서술하였다. 그리고 嬖幸이나 국가에 해를 끼진 인물은 ‘관직(또는 작호)+성명+死’로 써서 높은 관직에 있으면서 못된 짓을 했다고 貶하였는데, 이에는 임금을 비판하는 의미도 있다. 죄가 없는데 죽였을 경우는 殺로 썼다. 褒忠節의 필례로는 ‘死之’와 ‘起兵’이 있는데, 국가를 위해 목숨을 걸고 의리를 지키다 죽은 사람은 死之라고 쓰며, 忠義를 명분으로 군사를 일으켰을 경우에는 起兵이라 써서 성공여부와 관계없이 그 의리를 기렸다. 그 외에 안정복은 재상이나 현인의 卒記에는 1.관직+爵號+성명+卒, 2.관직(또는 작호)+성명+卒, 3.성명+卒으로 등급을 나누어 칭찬하거나 다소 비판하는 뜻을 보였다. 정통 왕조의 왕과 왕비의 죽음은 薨이며, 왕위를 잃었을 경우는 卒로 썼다. 그 외 국가의 왕은 卒로 쓴다. 정통 왕조의 왕위에 오르는 경우는 卽位, 無統의 왕위에 오르는 경우는 立으로 쓰는 등 명분론에 따라 서열을 정하여 書法을 정한 것이다. 강목체에서 인물 평가와 관련이 있는 필법은 그 인물의 지위 및 선악의 평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This thesis examines An Jeongbok’s writing style of “Dongsa Gangmok(東史綱目)”. An Jeongbok’s main purpose of writing history is ‘Obviously brightening the Legitimate Succession of Dynasty(明統系)’, ‘Suppressing traitors(嚴簒逆)’ and ‘Commending highly Loyalty(褒忠節)’. For understanding his writing patterns, I undertake the study the key differences of gangmok style writing method in “Dongsa Gangmok” between the other history of gangmok style such as “Dongkuk Tonggam(東國通鑑)” “Yeosa Jegang(麗史提綱)” and “Dongsa Hoegang(東史會綱)”. Writing patterns of An Jeongbok’s praising and blaming a historical people written Gangmok Style are as follows: ①praised cases – the first rank is ‘an official position+peerage+a name+jol[卒]', the second rank is ‘an official position[or peerage]+a name+jol[卒]', the third rank is ‘a name+jol[卒]', ②blamed case - a historical people who was an influential vassal was written ‘a name+death[死]’, this writing style is related to Suppressing traitors(嚴簒逆) case. A detrimental people to a dynasty was written ‘an official position[or peerage]+a name+death[死]', it is also blaming his king, ③a case of officially killing Traitors was written ‘Bokju[伏誅]’, privately killing traitors case ‘Ju[誅]’, ④a case of killing a people who had not a crime was written ‘kill[殺]' Specially Commending highly Loyalty(褒忠節) case was written ‘Saji[死之]’ which means a people died for one's duty to one's king and ‘Gibyung[起兵]’ which one's duty to one's king raised the military. Obviously brightening the Legitimate Succession of Dynasty(明統系) was related to legitimate dynasty tradition(正統論), The principal distinguishing marks of An Jeongbok’s legitimate dynasty tradition(正統論) are as follows ①the theory of Gija-Mahan legitimate(箕子-馬韓正統論), ②Wiman Choson and Goryo before a fall of Silla dynasty was defined as Chamguk case(僭國例; a nation of traitor), ③Wuwang(禑王)ㆍChangwang(昌王) were defined a legitimate King by the Kings era was written in a large font(大書 紀年) Jeonpewang(前廢王) and Hupewang(後廢王), ④Garakguk(駕洛國) era had written as a little nation case(小國例). The writing styles of “Dongsa Gangmok” had influenced by “Dongkuk Tonggam”, “Yeosa Jegang” and “Dongsa Hoegang” are as follows: ①the facts of “Dongsa Gangmok” was based on a historical facts of “Dongkuk Tonggam”, ② the Praising and Blaming a Historical People of Koryo period was influenced by “Yeosa Jegang”, ③ the Bumre(凡例, the information of historiographical method) was influenced by “Dongsa Hoegang”.

      • KCI등재

        健菴 金炯觀의 中國歷史人物에 대한 報仇論 考察 -荊軻, 豫讓, 伍子胥, 張良을 중심으로-

        박순철 한국중국문화학회 2019 中國學論叢 Vol.0 No.63

        본 논문은 健菴 金炯觀 文集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한 번도 論文에서 다뤄지지 않은 그의 復讐論을 그 學問과 思想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그 特色을 밝혀냈다. 그 結果 건암은 忠, 孝, 義를 위한 復讐는 正當하지만 私利, 功績, 忿怒의 解消를 위한 복수는 부정하였는데, 이는 基本的으로 儒者立場의 觀點이라고 할 수 있다. 復讐의 方法을 刺客과 征伐로 兩分하여 忠孝와 義理를 위한 復讎라면 자객과 정벌도 가능하지만 剖棺斬屍와 일식적으로 節槪를 굽히고 두 마음을 품고 있다가 復讐하는 짓은 반대하였다. 또한 복수 시에는 等時借力의 방법을 중시하여 때에 따라 기회를 기다려 敢行하고 私忿, 私益과 功績을 위하여 無謀하게 行動하여 죽음을 自招하는 어리석음은 반대하였다. 그렇지만 건암은 기본적으로 儒學者였기 때문에 仁義와 王道 및 春秋大義를 존중하고 힘으로 정벌하는 覇道를 반대하였다. 따라서 자객과 정벌은 어디까지나 일시적인 방편으로 쓸 수 있고 일정한 조건 하에서 가능한 것으로 여겼다. 건암의 이와 같은 觀念은 日帝强占期라는 時代狀況과 無關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그 자신이 日帝强占期의 彈壓을 겪으며 安重根 義士와 尹奉吉 義士의 義擧를 들었고 그러한 사례를 역사 책 속에서 발견하여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의론을 글로 남긴 것이다. 이로 인하여 건암은 朱熹學說을 追從한 儒學者였지만 復讐論에서는 그의 관점을 脫皮하여 보다 나은 관점을 제시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는 바, 건암은 때에 따라 변하여 의리에 맞게 처신한(隨時處義) 時中을 추구한 儒者라고 자리매김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원종(元宗)의 추숭문제(追崇問題)

        장세호 ( Se Ho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유가(儒家)가 이상적인 제도로 내세운 봉건제도는 종법(宗法)을 전제로 한다. 종법은 가족제, 가장제, 세습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존존(尊尊)의 원리에 기초한 적장자(嫡長子) 상속제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장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게 된다. `가무이존(家無二尊)` `가무이주(`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권력을 말해 준다. 가무이존은 바로 정통(正統)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통은 가통(家統)을 바르게 하고, 왕통(王統)을 바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통의 측면에서는 한 가정에 두 아버지가 없는 것이며, 왕통의 측면에서는 두 임금이 없는 것이다. 유학의 본래 정신인 종법체제의 확립을 위하여서는 정통을 확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추숭문제(追崇問題)는 왕통과 가통의 문제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왕위계승문제가 종법에서처럼 적장자가 계승을 하게 되면 애당초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통이라는 것은 꼭 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제왕가(帝王家)에서는 승통(承統)을 중시하기 때문에 승통하는 것에 따라 위인후자(爲人後者)의 예법을 적용시켜, 父子의 도리를 행하면 된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대통(大統)에 입계(入繼)하기 이전의 사가(私家)의 정에 너무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통과 왕통을 엄연히 구별할 뿐만 아니라 왕통을 바로잡는 것이다. 그래서 인조(仁祖)의 경우도 정원군(定遠君)이 비록 선조(宣祖)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인조가 선조의 왕위를 계승하였다면 당연히 정원군을 원종(元宗)으로 추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Injo rised king for reforming the government. It is different to Senjo(宣祖) has succession by the Royal line. Injo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Jongwonkun that daewonkun by Park ji ke and his disciple Yi ye kil and many people`s suggestion. Therefore Jung won kun becomes Wonjong. But Sake considered 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has problem. Being Park ji ke persistents from quote no reasons and blamed. Also, Sake persistents not Jongwonkun(定遠君) w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 but Nengwondaekun that Injo`s brother had to manage sacrificial rites. Sake`s blamed persistense constructs by all that Chunchu kang mock`s(春秋綱目) term. As two sun must not in the sky, two origin must must not in family is suggestion of Sake corrects tong. That is said keep in Jongtong(正統).

      • KCI등재

        元宗의 追崇問題

        장세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유가(儒家)가 이상적인 제도로 내세운 봉건제도는 종법(宗法)을 전제로 한다. 종법은 가족제, 가장제, 세습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존존(尊尊)의 원리에 기초한 적장자(嫡長子) 상속제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장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게 된다. ‘가무이존(家無二尊)’ ‘가무이주(‘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권력을 말해 준다. 가무이존은 바로 정통(正統)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통은 가통(家統)을 바르게 하고, 왕통(王統)을 바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통의 측면에서는 한 가정에 두 아버지가 없는 것이며, 왕통의 측면에서는 두 임금이 없는 것이다. 유학의 본래 정신인 종법체제의 확립을 위하여서는 정통을 확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추숭문제(追崇問題)는 왕통과 가통의 문제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왕위계승문제가 종법에서처럼 적장자가 계승을 하게 되면 애당초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통이라는 것은 꼭 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제왕가(帝王家)에서는 승통(承統)을 중시하기 때문에 승통하는 것에 따라 위인후자(爲人後者)의 예법을 적용시켜, 父子의 도리를 행하면 된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대통(大統)에 입계(入繼)하기 이전의 사가(私家)의 정에 너무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통과 왕통을 엄연히 구별할 뿐만 아니라 왕통을 바로잡는 것이다. 그래서 인조(仁祖)의 경우도 정원군(定遠君)이 비록 선조(宣祖)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인조가 선조의 왕위를 계승하였다면 당연히 정원군을 원종(元宗)으로 추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Injo rised king for reforming the government. It is different to Senjo(宣祖) has succession by the Royal line. Injo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Jongwonkun that daewonkun by Park ji ke and his disciple Yi ye kil and many people's suggestion. Therefore Jung won kun becomes Wonjong. But Sake considered 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has problem. Being Park ji ke persistents from quote no reasons and blamed. Also, Sake persistents not Jongwonkun(定遠君) w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 but Nengwondaekun that Injo's brother had to manage sacrificial rites. Sake's blamed persistense constructs by all that Chunchu kang mock's(春秋綱目) term. As two sun must not in the sky, two origin must must not in family is suggestion of Sake corrects tong. That is said keep in Jongtong(正統).

      • KCI등재

        朝鮮朝 經筵에서 宣祖의 讀書歷 考察

        김중권 한국서지학회 2013 서지학연구 Vol.55 No.-

        본 연구에서는 조선조 14대 왕 선조의 독서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實錄을 통해 재위 41년간 그의 독서행태를 일정별로 살펴보았다. 선조는 16세에 왕위에 올라 경연제도를 재정비하고 그 제도에 따라 경연관들과 함께 독서를 하였다. 당시 그가 읽었던 책과 독서행태를 조사한 뒤 그의 독서 횟수 및 독서환경에 저해가 된 원인 등을 밝혔다. 그 결과 선조가 재위 41년간 읽었던 책은 「禮記」, 「大學」, 「論語」, 「小學」, 「近思錄」, 「孟子」, 「大學或問」, 「中庸」, 「書經」, 「大學衍義」, 「春秋」, 「通鑑綱目」, 「詩傳」, 「周易」 등 총 14종이며, 독서 횟수는 3강과 야대를 합해서 총 483회로 1년의 독서량도 되지 않았다. 경연관 역시 실력도 부족할 뿐만 아니라 전 왕조에 비해 형식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선조 자신도 신체적인 문제, 당파싸움, 7년간의 전쟁 등의 이유로 거의 독서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onjo's reading career in the Gyeongyeon(經筵) of Joseon Dynasty. To investigate the Silrog(the book which records the history of Korea), it knew the reading material, a reading act and attitude which he read in the Crown prince time. Major findings are as the follows;The reading materials that he read for 41years were 14 titles, that is, Yegee(禮記), Daehag(大學), Noneo(論語), Sohag(小學), Guensarok(近思錄), Maengja(孟子), Daehaghogmun(大學或問), Jungyong(中庸), and Seogyeong(書經), Daehagyeonui(大學衍義), Chunchu(春秋) including Gangmok(綱目), Sijeon(詩傳), Juyeog(周易) etc. The number of times that he participated to the reading discussion was 194(朝講), and the Jugang(晝講) was 83, Seoggang(夕講) was 84. He was the king who disliked reading, moreover he was not almost present at the reading discussion of the Gyeongyeon(經筵) at the end of long-term seizure of power.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ed that King Seonjo grow up with less reading then in past K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