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술문화의 갈래 재발견과 축제성 재인식

        임재해(Lim Jae Hae)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구술문화는 구어문화와 구비문학의 범주를 넘어서는 입소리 문화이다. 아기와 엄마 사이에 나누는 옹알이를 비롯하여 휘파람, 웃음과 울음, 감탄과 비명, 돋움소리, 추임새 등 입으로 표현하는 소리 문화 전반을 일컫는다. 그러나 축제성을 지닌 것은 상대적으로 한정된다. 축제성을 발견하기 어려운 휘파람과 비명, 울음은 제외하고, 가) 말에 미치지 못하는 옹알이, 나)말의 한계를 초월한 웃음, 다) 말의 의미를 압축한 감탄, 라) 말의 의미를 역동화한 돋움소리, 마) 공연의 기능을 강화하는 추임새, 바) 노래의 공유를 구조화한 민요, 사)말과 무관한 악기소리의 입장단 등을 주목할 수 있다. 옹알이는 아기와 부모 사이에 나누는 난장형 축제성을 지녔는데, 엄마와 아빠의 호칭을 터득하는 과정은 기존 축제에서 발견할 수 없는 전도형 축제성을 발휘하게 된다. 웃음은 인간해방의 대동적 축제성을 지녔으며, 감탄의 소리와 돋움소리는 집단적 신명풀이의 축제성을 지녔다. 추임새와 민요, 입장단 등도 집단적 신명을 강화하는 다양한 축제적 기능을 발휘한다. 옹알이와 웃음 등의 진정한 구술문화는 문자문화로 대신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문자문화의 전단계로 볼 수 없는 독자적 문화이다. 따라서 구술문화를 문자문화와 대립관계나 선후관계로 포착하게 되면 구술문화의 폭을 제대로 포착할 수 없고 그 본질적 의미와 기능도 해석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구술문화를 재발견하기 위해서는 휘파람에서 콧노래, 울음소리까지 입으로 표현하는 모든 소리문화를 적극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축제는 공동체 단위의 지역축제여서 수시로 개최 불가능하므로 일년에 한 차례만 가능한 세시풍속으로 존재한다. 그러한 축제마저 전승이 중단되었거나, 최근에 만들어진 이벤트가 고작이다. 그러나 구술문화의 축제성은 두 사람 이상이 모이면 언제든지 가능한 일상문화 속에서 실현된다. 인간해방의 사회를 만들어가려면 구술문화의 축제성처럼 축제의 일상화가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에서 누리는 진정한 축제문화로서 구술문화를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Oral culture is oral sound culture that beyond the category of spoken culture and oral literature. This includes overall sound culture that sounds via verbal way such as babbling between mother and baby, whistling, laugh and cry, admiration and scream, the sound of wild cheering and Rejoinder. However, that oral culture that contains festivity is relatively limited. Exception of whistling, scream and crying which are hardly identify, 1) babbling that is not reached to verbal language. 2) smile that is transcendent the limit of verbal language, 3) admiration that condense the meaning of verbal language 4) the sound of wild cheering that is being dynamic for the meaning of vernal language, 5) structured folk song that shares singing, 6)sounds of musical instrument for entrance which is not relative with verbal language can be focused. Babbling has a characteristic of communitas festivity in between parents and baby, the progress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mother and father contains a charateristic of reversed festivity that cannot be found in existing festivity. Laughing contains united festivity of human liberation and sounds of admiration and the sound of wild cheering have festivity of collective explanation of spirit. Rejoinder, folk song and entrance song have various function of reinforcement for collective spiritual. The true oral culture such as Babbling and laughing cannot be replaced with written culture and it is independent culture that should not considered as prior stage of written culture. Therefore, if oral culture is considered as opposite or sequence of relations, it may narrow the understanding of oral culture and interrupt fundamental meaning and functions. Therefore, to rediscover or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very sound cultures including from whistling to crying that is expressed verbally. Since festivity which is local festivity for the community, it is impossible to be held occasionally. It is held once a year with possible seasonal customs. However, even these festivities stopped transmitting and only recent event is exist. However, festivity of oral culture can be held at any time with member of at least 2 people in normal possible culture. Daily festivity will be recommended like festivity of oral culture to build human liberated society. Thus, it is necessary to re understand oral culture as a true festival culture in normal life.

      • KCI등재

        일생의례의 축제성 : 장례의 경우

        한양명(Han Yang-myeong)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9

        이 연구는 일생의례 가운데 장례의 축제성을 해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주로 장례놀이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한 데 비해 이 연구에서는 비유교식 장례와 유교식 장례의 상호작용과 역사적 전개의 추이를 바탕으로, 장례놀이와 유교식 장례절차의 대국성에 초점을 맞춰 장례의 축제성을 해명하려고 했다. 연구결과 비유교식 장례에서는 일상과 장례의 대국성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장례의 과정이, 음식과 놀이의 양면에서 과잉을 실천하는 후장에 집착함으로써, 박장으로 인식된 유교식 장례와 그 배경이 되는 유교적 가치를 부정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유교식 장례가 일반화한 이후 거기에 수용된 비유교식 장례요소인 장례놀이의 경우, 이념 보다는 실제적 삶, 관념보다는 육체, 미래보다는 현재를 우선하는 언행을 중심에 둠으로써, 금욕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유교식 장례절차와 대국적 관계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양자의 관계 속에서 양항대립적인 요소들의 대비를 통해 축제성을 구현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국 놀이가 함께 하는 장례의 축제성은 장례놀이와 유교식 의례절차의 변증법적 합일과정을 통해 실현되는 것으로서, 슬픔이지만은 않은 슬픔, 기쁨이지만은 않은 기쁨, 기쁨과 슬픔, 웃음과 눈물이 혼재하는 비일상적 전이성의 모호함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feast, a rites of life all have a regular festivity. however, It has two reason to pay attention on a rites of funeral as a courtesy of death. First, investigation into the festivity of a rites of funeral can help identify the character and process of alteration, which had been transmitting in a regular relationships between a rites of confucian funeral and the other. Second, a rites of funeral is a place of dynamic that happens a fight and compromise between confucian culture and non-confucian culture that handed down with the custom. because of the festivity of a rites of funeral is created and expressed in a dynamic process like this, explanation is needed from another dimension, dissimilar the others. The research is placed on leading research results. and unlike existing research, the study dealt with the literature consider the historical trend of folk funeral. On the discussions of existing, they discussed festivity mainly for funeral plays. But at least after the generalization of a rites of confucian funeral in private, a rites of confucian funeral and funeral plays embody the festivity of funeral in the fixed relationship. Therefore, after the grasp the structure of funeral in the relationship of the two, I see the mechanism of the festivity As a result of studying, the funeral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is stick to the generous funeral that practice from both sides of food and play to excess. Futhermore, in case of funeral plays that is done with a rites of confucian funeral is focused on a generous food and words and actions that give priority to the real life than an ideology, material than idea, present than future. Through these, juxtaposition, redundancy, and affirmation for their existence is implemented. Moreover, it is possible that come in contact festivity by deny confucian value as the relativize all the usual value through laughing. Finally, the festivity of funeral that accompanying play is completed by the unity process of dialectic between ritual process and funeral plays. ‘grief, but grief is not’, ‘delight, but delight is not', 'delight and grief' and 'laugh and a tear' is mixed in the ambiguity of non-usual transition, and there is the festivity of funeral rites.

      • KCI등재

        마을의 잔치문화에 갈무리된 축제성과 인간해방의 길

        임재해 ( Jae Hae Lim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1 No.-

        ‘축제’라는 이름으로 보면, 한국 축제는 지나치게 많아서 문제가 되지만 축제의 알맹이로 보면 진정한 축제가 없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 전통 축제가 단절된 자리에 상업적이고 정치적인 관변측 이벤트가 석권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제라는 이름과 형식을 넘어서는 축제성의 확보가 긴요하다. 그러자면 서구 축제가 아니라 우리 축제의 전통 속에서 축제성을 발견하고 현실에 맞게 재창조하는 것이 과제이다. 그러한 보기가 마을축제로 이루어지는 잔치문화의 전통이다. 혼례든 상례든 손님들에게 대접하는 음식상에는 차별이 없다. 빈부, 상하, 노소 차별 없이 모두 대등한 상차림으로 축제적 향연을 즐긴다. 고관대작처럼 관복을 입었던 대례청의 신랑은 동상례 때 오랏줄에 묶인 범인처럼 거꾸로 매달리는 전도에 이른다. 이러한 난장은 회갑례에서 더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먹으로 자녀얼굴에 수염과 안경을 그리는 환칠을 해서 부모들과 맞먹는 신명풀이를 대등하게 하며 난장을 트는 축제가 벌어진다. 부모의 회갑을 기리는 잔치에서 오히려 부모자녀 관계를 뒤집어 버리는, 버르장머리 없는 짓을 하는 것이 회갑잔치에 나타난 축제성이다. 축제적 난장을 트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일정한 옷을 입거나 정해진 탈을 써서 자기 정체를 가림으로써 신분차별에서 해방된다. 상하차별을 조성하는 기득권을 배제하고 오직 누구나 타고난 기본권만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둘은 굿판에서 신성한 제의탈이나 특권화된 신분으로 가장하게 함으로써 세속적 질서를 극복하는 수법이다. 공동체가 섬기는 신의 이름으로 하는 공동체굿 앞에서는 세속적 권력이 잠적하게 된다. 이때 제의적 전도나 반란에 의해 축제적 난장이 조성되기 마련이다. 상례의 마을잔치에서 가장 축제적인 요소는 문상을 하면서 상주를 웃기는 가상주놀이와 출상전야의 빈상여놀이, 묘지에서 벌이는 산다위나 가래장구 지우기, 귀가길의 진사놀이 등이다. 한결같이 상주 또는 망자의 사위를 놀리는 놀이들이다. 그리고 상례과정에서 비정상적인 가족관계가 드러나서 정상관계로 발전하는데, 차별받던 가족이 대등한 가족관계를 회복하는 것도 축제답다. 영화 ‘축제’는 상례의 축제성을 다룬 작품이다. 난장을 이루는 마을굿은 물론 집안굿에서도 축제적 기능이 발휘된다. 가무오신 행위의 형식적 축제성뿐만 아니라, 굿을 하는 동안 숨겨져 있던 가족관계가 굿판에서 드러나고, 몰랐던 가족사의 허물이 불거지는 자리라는 점에서 축제성이 드러난다. 마을 굿에서는 사회구조의 모순이 불거진다. 평소에 덮어두었던 사회적 질병을 공공연히 드러내서 치유하는 것이 공동체굿이자 전통 축제의 기능이다. 사회적 질병을 폭로하여 풍자하고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는 해방구를 이루는 것이 곧 굿의 변혁적 축제성이다. 기본권에 의해 기득권을 해체하는 인간해방의 굿이 곧 축제의 중요한 기능이다. 축제는 기본권의 권리와 주권에 의해 기득권의 특권과 권력을 무력화시키고 인간해방을 이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축제라고 하는 문화양식보다 축제가 추구하는 인간해방의 가치가 더 소중하다. 그러므로 우리가 진정으로 추구해야 하는 것은 축제 자체가 아니라 축제가 추구하는 인간해방 세상을 이루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축제의 바람직한 가치를 실현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We have too many things under the name of ‘festival’ in Korea but we have little festivals in fact which have core substance of a festival. This is because commercial and political events overwhelm where the traditional festivals disappe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festiveness that outruns the name and formality of festival. Then, we need to detect festiveness in our traditional festivals, not from western festivals, and recreate it to correspond with the reality. One example of this is the tradition of party culture which leads to village festivals. There’s no differentiation on foods for guests either in wedding ceremonies or funeral rites. Without differentiatio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igh and low and young and old, people enjoy a feast with the same foods. A bridegroom in the traditional a wedding ceremony wearing an official uniform of high government officials is hung upside down in a wedding reception at the bride’s house just like a criminal. Indiscriminate fun (or ‘Nanjang’)like this is demonstrated more severely in the 60th birthday celebration. Guests draw a mustache, a beard and eyeglasses on the faces of children and make them play with their parents equally to make fun. Festiveness shown in the 60th birthday party is funny rude behavior which revers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a party to congratulate the 60th birthday of parents. There are two ways to make indiscriminate fun. One way is to wear certain costume and a mask. By hiding an identity, people are liberalized from discrimination on social standings. Eliminating vested rights which creates discrimination between high and low, everyone enjoys natural rights. Another way is to wear a sacred ritual mask or to disguise themselves as the privileged class in an exorcism (or ‘Gut’) so that they overcome worldly order. In a community exorcism performed by the name of god whom the community serve, worldly power disappears. Ritual overturn or revolt often create indiscriminate festival fun here. The most festive factors in a village party for funeral rites are ‘pseudo chief mourner play (or ‘Gasangju Nori’)’ by which people make the chief mourner laugh while making calls of condolence, ‘empty bier play (or ‘Binsangyeo Nori’)’ at the night before the date of carrying out coffin, ‘Sandawi’ or ‘Garaejanggu Jiwoogi’ played in a graveyard and ‘Jinsa Nori’ on the way back home. All of these are play to make fun of the chief mourner or son-in-law of the deceased. In the funeral ceremony, abnormal family relationship appears and then develops into normal relationship and a discriminated family members recover equal family relationship, which is worthy of festival. The movie, ‘Festival’ deals with festiveness of funeral ceremony. Not only village exorcism full of indiscriminate fun but also family exorcism play festive roles. Festiveness is shown, on top of formal festiveness of ‘Gamuoshin’ activity, in a sense that hidden family relationship is disclosed while an exorcism is performed and unknown faults of family history rises. In a village exorcism, contradictions of social structure rise. It is the role of a community exorcism, one of traditional festivals, that discloses and treats social diseases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usual days. It is revolutionary festiveness of an exorcism to disclose and satirize social diseases and to become a liberalized place to resolve structural contradictions. An exorcism of human liberation to dissolve vested rights by natural rights is an important role of a festival. A festival can be thought to be what emasculates privileges and power of the establishment and liberates human beings through natural rights and sovereignty. Therefore value of human liberation that a festival pursues is more important than a cultural style of a festival. What we really have to pursue is to make the world of human liberation that a festival pursues, and not a festival itself. This is because it is the way to realize the desirable value of a festival.

      • 디지털 시대 축제성 회복 가능성 모색

        김추자 영남춤학회 2015 영남춤학회誌 Vol.3 No.1

        Because of the change of media, modem people are living by respecting their individuality. Their lives reflect their wills and their body express themselves. People have held a festival for expressing themselves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So this study represent about the need for festival through media attribute connected with a festival attribute. As the point of view of the 21st century culture art changes, they will open new doors of festivals. First they will find the meaning of what is a festival. And they will study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the main character of a festival, through their body. Modern people's bodies affect media. It enable a new analysis of the body. During the process of media development, it is possible to reinterpret about body. Such body are connected with a festival and media.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digital media attribute and original festival attribute, they will think about the role of the right planner. This study expect that a festival will be able to play a pivotal role as one of the important art form in this era. It interact between humans. Furthermore, the attribute between body and a digital media connecting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one can be discussed in the direction of a cultural movement. It is the basic stage for the popularization of dance as a communication and a express media in the digital era. 본 연구는 매체의 변화에 따른 몸의 재해석을 통해 디지털 매체의 속성과 축제성을 관련지어 21세기 축제의 필요성을 나름대로 읽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21세기 문화예술 관점의 이동처럼,일상적인 생활공간을 문화공간으로 삼는축제를 통해 새로운 문화지형의 지평을 열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여,먼저 축제란 무엇인가에 대한 의미와 내재된 속성을 살펴보고,원형적인 축제성을 되새긴다. 그리고 축제의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소통의 의미를 몸을 통해 탐구한다. 현대인의 몸이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을 능가할 힘으로 펼쳐지면서 새로운 몸의해석을 가능케 하는데 매체의 영향을 아니 말할 수 없다. 매체의 발달과정에서몸의 재해석이 가능하였고,그러한 몸은 소통의 주체로써 축제와 매체를 연결 지을 수 있다. 그리하여 디지털 매체의 속성과 근원적인 축제성의 상관관계를 살펴21세기 문화기획자의 시대에 걸 맞는 올바른 기획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본다. 21세기 문화기획자는 성공적인 축제기획을 위하여 단순히 경제적 효과와 수치적 결과에만 가치를 두며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인문학•미학적 소양을 겸비하여 일상 속 축제가 가능하도록 기획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현대 축제의양상이 사회•경제적 조건변화의 산물이라는 것이 분명해진 이상,진정한 일상의축제화는 축제이념이 가졌던 ‘해방된 삶’을 ‘지금 여기에’ 실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날 인터넷은 접속하는 현대인들에게 접촉으로 나아가는 도구가 되며, 바로 디지털 매체가 지닌 한 속성이 예전의 자발적이고 체험적인 축제성을 ‘지금여기에’ 실현시킬 수 있는 한 방편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축제가 이 시대의 중요한 예술형태의 하나로 인간과 인간을 소통시키는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연결하는 몸과 디지털 매체의 순기능은 접속이 접촉으로 나아가는 또 다른 문화운동의 한 방향으로 그 가치가 논의될 수 있을 것이며,디지털시대 소통과 표현매체로써 춤의 대중화를 위한 기초 작업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생의례의 축제성 : 장례의 경우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9

        <P>이 연구는 일생의례 가운데 장례의 축제성을 해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주로 장례놀이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한 데 비해 이 연구에서는 비유교식 장례와 유교식 장례의 상호작용과 역사적 전개의 추이를 바탕으로, 장례놀이와 유교식 장례절차의 대국성에 초점을 맞춰 장례의 축제성을 해명하려고 했다.</P><P> 연구결과 비유교식 장례에서는 일상과 장례의 대국성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장례의 과정이, 음식과 놀이의 양면에서 과잉을 실천하는 후장에 집착함으로써, 박장으로 인식된 유교식 장례와 그 배경이 되는 유교적 가치를 부정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유교식 장례가 일반화한 이후 거기에 수용된 비유교식 장례요소인 장례놀이의 경우, 이념 보다는 실제적 삶, 관념보다는 육체, 미래보다는 현재를 우선하는 언행을 중심에 둠으로써, 금욕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유교식 장례절차와 대국적 관계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양자의 관계 속에서 양항대립적인 요소들의 대비를 통해 축제성을 구현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P><P> 결국 놀이가 함께 하는 장례의 축제성은 장례놀이와 유교식 의례절차의 변증법적 합일과정을 통해 실현되는 것으로서, 슬픔이지만은 않은 슬픔, 기쁨이지만은 않은 기쁨, 기쁨과 슬픔, 웃음과 눈물이 혼재하는 비일상적 전이성의 모호함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KCI등재

        일반논문 : 공연예술축제를 구성하는 “예술성”과 “축제성”의 특성 분석 -아비뇽 페스티벌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정아 ( Jeung Ah Ryo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2

        90년대 중반 이후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던 축제는, 비록 적절한 속도의 조정을 받기는 하겠지만, 앞으로도 계속 그 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직접적인 체험과 참여 속에서 자신들의 문화예술적 욕구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축제에 대한 수요의 정도와 구체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축제문화는 아직도 직접적인 참여보다는 관객의 입장에서 수동적으로 즐기는 경향이 강하고 이러한 경향은 축제문화가 삶 속에 뿌리 내리기 전까지는 당분간 지속되리라고 볼 때, 늘어나는 축제의 상당부분은 축제 참여자가 여전히 관객으로 남아 있는 공연예술축제가 되리라는 점에 대해서 의심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현재 일반시민들의 참여적 문화예술적 욕구를 공연예술축제로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로 인해 공연예술축제의 예술성과 축제성이 각각의 특성을 어떻게 잘 표현해 내는가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공연예술축제에서는 축제적 특성과 예술적 특성 간에 상호 충돌과 갈등이 일어날 수밖에 없어서 이 두 요소에 대한 면밀한 분석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공연예술축제는, 여타 종류의 축제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생력의 문제로부터 자유롭기가 어렵다는 점,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공연예술축제가 증가하면서 프로그램이나 재원의 구성에서 차별성이나 독립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여유를 갖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공연예술축제가 예술성과 축제성보다는 상업적 대중성에 영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여 축제가 지녀야 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자율성에 침해를 당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공연예술축제가 현대사회에서 가지는 중요성이 점차 커져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공연예술축제가 가진 기본적인 속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비뇽페스티벌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연예술축제에서 예술성과 축제성의 특성이 발현되는 양상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공연예술축제의 미래 발전방향을 예측하는데 참조 가능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공연예술축제의 본질적 성격과 의미 그리고 미래의 방향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향후 보다 구체화된 문제 중심적 축제연구의 진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number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is growing increasingly in South Korea. This trend is mainly held in large cities which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closely among residents. South Korea, while the pace of city life and speed of development are very fast, increasing number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with communal characteristics is in the natural process of festival evolution in large cities. In the evolution of the contemporary festival, it is natural to see some increase of modern festival afte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and folk festivals. It is important that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express the two elements, artistic character and festivity, not only in distinctively but also in harmony.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should consider the process of the organization, human resources, networking systems of the human communication process, resource use, etc. For the success of the festival, we must obtain the complementary effects between two attributes: festival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senses. Therefore, we chose the ``Festival d`Avignon`` as the reference of the total representation of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festivity. From the case of the Festival d`Avignon, we get the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festival in South Korea. To explain the festival value and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Festival d`Avignon, we explained the spontaneity and openness to public particip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tators and works, the representation of memory and communicative image, etc. To explain the artistic attributes of the ``Festival d`Avignon``, we explained the mission to reconcile the artistic and the popular, to promote the artistic know-how, understanding how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o consider more artistic quality than commercial benefits. Essentially, this study shows the meaning and the vision to forecast the future as well as the recent proliferation in various fields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This study may help to improve analytical precision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 KCI등재후보

        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만족 및 축제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종관(Kim, Jong-Kwan),정강환(Jeong, Gang-Hoa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하나인 ‘백제문화제’를 대상으로 축제 서비스품질과 방문객만족, 축제성과와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축제 방문고객 492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α=.05에서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축제 서비스품질과 방문객만족, 축제성과 변수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실증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축제 서비스품질 요인인 행사내용, 축제 상품 및 음식, 홍보 및 안내, 축제 환경, 사회적 요인이 방문객의 축제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문객의 축제만족은 축제성과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제 서비스품질 요인인 행사내용, 축제 상품 및 음식, 홍보 및 안내, 축제 환경, 사회적 요인이 축제성과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축제의 성과인 재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행사내용, 축제 상품 및 음식, 홍보 및 안내, 축제 환경, 사회적 요인에 대한 품질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correlations among festival service quality, visitor"s satisfaction, festival performance for Bakje-culture festival.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questionnaire survey data for 492 visitors was verified by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s with significance levels of the α=0.05.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ructural correlations among festival service quality, visitor"s satisfaction, festival performance for Bakje-culture festival.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key results were drawn. First, festival service quality has th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visitor"s satisfaction. Second, visitor"s satisfaction has th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festival performance. Third, festival service quality has th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festiv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mplies that hospitals with relatively lowbrand awareness and image comparedwithmajor big hospitals in domestic can increase revisit customers" revisit intention for hospitals by outstanding their intrinsic brand values and identities.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하나인 ‘백제문화제’를 대상으로 축제 서비스품질과 방문객만족, 축제성과와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축제 방문고객 492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α=.05에서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축제 서비스품질과 방문객만족, 축제성과 변수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실증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축제 서비스품질 요인인 행사내용, 축제 상품 및 음식, 홍보 및 안내, 축제 환경, 사회적 요인이 방문객의 축제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문객의 축제만족은 축제성과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제 서비스품질 요인인 행사내용, 축제 상품 및 음식, 홍보 및 안내, 축제 환경, 사회적 요인이 축제성과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축제의 성과인 재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행사내용, 축제 상품 및 음식, 홍보 및 안내, 축제 환경, 사회적 요인에 대한 품질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correlations among festival service quality, visitor"s satisfaction, festival performance for Bakje-culture festival.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questionnaire survey data for 492 visitors was verified by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s with significance levels of the α=0.05.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ructural correlations among festival service quality, visitor"s satisfaction, festival performance for Bakje-culture festival.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key results were drawn. First, festival service quality has th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visitor"s satisfaction. Second, visitor"s satisfaction has th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festival performance. Third, festival service quality has th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festiv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mplies that hospitals with relatively lowbrand awareness and image comparedwithmajor big hospitals in domestic can increase revisit customers" revisit intention for hospitals by outstanding their intrinsic brand values and identities.

      • KCI등재

        지역축제 브랜드자산과 축제성과의 관계에서 개최지역태도의 매개효과

        김성헌,황찬규,이경영 한국주거환경학회 2023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방문객을 중심으로 지역축제 브랜드자산과 축제성과 간의 관계에서 개최지역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브랜드 자산 중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품질이 높을수록 축제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축제 브랜드자산 중 브랜드이미지, 브랜드가치, 브랜드품질이 높을수록 개최지역태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최지역태도는 관광산업적성과, 사회문화적성과, 환경적성과, 정치적성과, 경제적성과 모두 축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축제 브랜드자산과 축제성과의 관계에서 개최지역태도의 매개효과는 모두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host region attitu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visitors' local festival brand equity and festival performance.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local festival brand equity, the higher the brand value and brand quality, the better the festival performance. Second, among the local festival brand equity, the higher the brand image, brand value, and brand quality, the better the attitude of the hosting region. Third, the host region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ourism industry performance, socio-cultural performance, environmental performance, politic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La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festival brand equity and festival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host region attitud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 KCI등재

        축제주도집단에 따른 축제성의 발현양상

        홍사열(Hong Sa-Yeol)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7 No.-

        아산시 송악면에서 열리고 있는 ‘송악두레논매기보존행사’와 ‘자운영 꽃 축제’, ‘외암리 민속마을 짚풀문화제’ 등을 마을 축제로 설정하고, 축제를 주도하는 집단에 따라 ‘주민주도형’과 ‘생업관련 산업농 주도형’, ‘축제기획자 주도형’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송악두레논매기 보존행사나 자운영 꽃 축제의 경우 마을 축제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두 사례의 경우 주민이 직접 축제를 주도하는 축제집단으로 참여할 뿐만 아니라 기획하고 실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송악두레논매기보존행사는 주민주도형에 해당하는데 축제가 진행 될수록 연행자와 관람객의 구분이 점차 모호해 지고 풍물가락이 격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신명풀이를 경험한다. 축제의 실현과 발현 양상을 볼 때 주민주도형의 축제가 가장 ‘마을축제 답다’고 할 수 있겠다. 자운영 꽃 축제는 산업화의 길을 걷고 있는 산업농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진 축제다. 친환경 유기농법과 관련해 기획된 축제로 녹비식물인 자운영이 만개 했을 때, 즉 자운영을 갈아 업고 비료로 쓰기 직전에 축제를 여는 것이다. 한살림 생산자 조합과 조합원인 마을 주민이 축제를 기획하고 만드는 주도적인 축제집단이 된다. 이 축제는 축제 자체의 목적을 양자 간 신뢰공고화, 안정적 유통망 확보와 먹을거리 생산과 소비, 조합에 대한 충성도 함양 등으로 삼고 있다. 축제의 실현과는 달리 다분히 경제적인 이해가 바탕에 깔려있는 축제가 아닐 수 없다. 농촌사회가 산업화 되어가며 산업농이 증가하는 추세임을 감안 한다면 충분히 마을축제의 한 형태로 자리매김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외암민속마을 짚풀문화제는 규모로 보나 주도집단의 성격으로 보나 이미 마을축제를 벗어나 기존의 지역축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짚풀문화제 초창기 솔뫼축제가 열릴 때만 해도 마을주민과 지역의 시민단체가 공동 주관하여 기획하고 참여하는 마을축제의 모습을 띠고 있었다. 하지만 축제의 주도권이 아산시로 넘어가면서 마을축제적인 모습은 사라지고 기존의 지역축제 모습으로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로는 축제를 기획하고 준비하고, 실현하는 주도적인 축제집단의 성격과 구성, 역할에 따라 마을축제의 성격과 축제성 발현이 결정된다고 하겠다. 이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마을축제 다운 축제를 만들고 있는 송악두레논매기보존회나 한살림 생산자조합의 경우 공동체의 성격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일상에서 과거의 두레조직과는 그 역할이나 성격이 다르겠지만 생활과 생업, 문화 등이 하나로 묶이는 문화공동체가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지역주민이 지각하는 축제성과가 삶의 질 및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진주 개천예술제를 중심으로

        윤대균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축제성과가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 지역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주민이 지각하는 축제성과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성과와 사회문화적성과는 삶의 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둘째, 지역주민이 지각하는 축제성과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성과와 사회문화적 성과는 지역발전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발전, 관광적 발전 및 사회문화적 발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셋째, 지역주민의 삶의 질은 지역발전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발전, 관광적 발전 및 사회문화적 발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따라서 축제의 성공적인 개최성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하여 진주 개천예술제의 축제조직위원회 및 주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성공적인 축제의 마케팅 성과를 위하여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후 진주 개천예술제가 성공적이고 지속가능한 축제가 되기 위하여 축제의 콘텐츠, 프로그램, 축제내용, 특산품, 방문객의 욕구 및 기대 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축제의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보완해야 하며, 편의시설, 안내시설, 수유실, 장애인 시설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부분들과 함께 조화를 이루기 위하여 축제의 기획, 운영 및 재정적ㆍ행정적 지원을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진주 개천예술제 축제관계자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성공적인 축제의 개최로 인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진주지역이 함께 동반성장할 수 있는 축제를 기획 및 개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