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NEP와 MDM 기후지수의 추세 및 변동 특성 분석: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조현곤,최경숙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11

        As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treme weather events due to climate change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and analyze climate conditions to manage and respond to the negative effects of climate change in advance. In this study,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limate change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climate indices for the Chungcheong Province. Annual and monthly UNEP-MP, UNEP-PM and MDM indices were calculated using daily data from 1973-2020 collected from 10 synoptic meteorological stations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normality of climat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KS test, and the climate change trend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Spearman and Pearson methods. The Chungcheongnam-do region had a relatively humid climate tha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and the annual climate indices showed a dry climate trend in Cheongju and Chungju, while the climate of Seosan and Buyeo was becoming humid. Based on the monthly trend change analysis, a humid climate trend was observed in summer and autumn, while a dry climate trend was observed in spring and winter. Comparison of climate indices during the past (2001-2010) and the recent (2011-2020) years showed a higher decrease in the average climate indices during the last 10 years and a gradually drying climate change trend was recorded.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기상 현상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기후조건을 평가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사전에 관리하고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도 지역의 기후지수를 산정하여 지역 기후의 추세변화와 최근 20년간 기후의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10개 종관기상관측소의 1973년-2020년 동안의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연도별, 월별 UNEP-MP지수, UNEP-PM지수과 MDM지수를 산정하고 K-S 검정 통한 정규성 분석, Pearson기법과 Spearman기법을 적용하여 기후변화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충청남도 지역이 충청북도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습한 기후로 평가 되었으며 연 기후지수 추세 변화는 청주, 충주 등의 지점에서 건조 기후 추세를 보인반면 서산, 부여 등의 지점에서는 습윤 기후 추세를 보였다. 월별 추세변화 분석 결과 여름과 가을에 습윤 기후 경향을 보인 반면 봄과 겨울에는 건조 기후 경향을 보였다. 과거 10년(2001년-2010년)과 최근 10년(2011년-2020년) 동안 기후지수의 비교에서는 과거 10년보다 최근 10년 동안에 평균 기후지수가 감소하였으며 추세 변화 또한 건조기후 추세를 보였다.

      • KCI등재

        지목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한 상대선호도함수 모델의 개선

        박종철 ( Jongchul Park ),김동우 ( Dongwoo Kim ),장동호 ( Dong-ho J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7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7 No.3

        이 연구에서는 1976∼2010년의 지목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161개 지역에 대한 토지피복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토지피복은 시가지, 농경지, 산림이었다. 2000년 이전의 토지피복 변화추세를 이용하여 2010년의 토지피복을 추정한 결과 시가지, 농경지, 산림의 평균오차가 각각 14.2%, 10.2%, 4.8% 이었다. 이 중 시가지와 농경지변화추세를 상대선호도함수 모델의 개선을 위해 활용하였다. 기존 모델은 토지피복지도의 비교를 통해 도출된 토지피복 변화 유형별 변화량을 미래의 토지피복 변화 기대치로 사용하였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지목자료로부터 도출된 변화추세를 사용하여 이 기대치를 개선하였다. 사례지역에 이 모델을 적용한 결과, 개선된 모델이 개선 이전의 모델에 비해 총 면적과 변화 지역 탐지에서 실제 토지피복에 더욱 가까운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land cover change trends in 161 regions of South Korea were analyzed using the land category data from 1976 to 2010. The target land covers were urban area, agricultural land, and forest. As a result of estimating land cover of 2010 using the land cover change tendency before 2000, the errors for the land covers were 14.2%, 10.2%, and 4.8%, respectively. Among them, urban and agricultural change trends were used to improve the relative favorability function (RFF) model. In the existing model, the variation of land cover change derived by comparing the land cover maps was used as the value of the future land cover change expectation. In this study, this expectation value was improved by using the change trend derived from the land category data.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model to the case area, we confirmed that the improved model is closer to the actual land cover in the total area and change area detection than the existing model.

      • KCI등재
      • KCI등재

        연별 및 월별 FAO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 추세 분석

        임창수(Rim Chang-Soo)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1B

        본 연구에서는 지리 및 지형적 특성과 도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기준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FAOP-M 기준증발산식을 이용하여 연별 및 각 월별 기준증발산량과 기준증발산식의 에너지항 및 공기동력항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추세분석을 위하여 전국 21개 연구지역에서 일별 기후자료를 수집하여 Spearman 순위상관분석, Sen분석(Sen'e estimator of slope) 그리고 실제변화율분석과 선형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도시지역 특성에 따라 21개 연구지역을 군집화하였고, 각 군집에 따른 기준증발산과 기준증발산식의 에너지항 및 공기동력항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도시화정도는 기준증발산, 에너지항 및 공기동력항의 변화추세 및 크기에 밀접한 영향이 있으나, 변화추세 정도(Sen’s slope)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항의 경우 해안지역에서는 주로 증가추세를 보이는 반면, 내륙지역에서는 일부 월을 제외하고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지역 경사도는 에너지항보다는 공기동력항 변화추세 정도(Sen’s slope)에 더 큰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동력항의 경우 해안 및 내륙지역에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고, 내륙지역이 해안지역보다 더 큰 공기동력항의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The effects of climatic changes owing to urbanization,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conditions on annual and monthly FAO Penman-Monteith (FAO P-M)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and energy and aerodynamic terms of FAO P-M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were studied. In this study, 21 climatological stations were selected. The statistical methods applied for trend analysis are Spearman rank test, Sen's test,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actual variation ratio. Furthermore, the cluster analysis was applied to cluster 21 study stations by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tudy area.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urbanization affects the trend and amount of FAO P-M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nergy term and aerodynamic term; however, the result of Sen's test indicates that urbanization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magnitude of trend (Sen's slope). The energy term increased at study stations located in coastal area; however, decreased at study stations located in inland area. The topographical slope of study area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trend of energy term. The aerodynamic term increased in both coastal area and inland area, indicating much significantly increasing trend in inland area, and it was also affected by the topographical slope of the study area.

      • KCI등재

        기후 변화를 고려한 홍수 위험도 평가

        정대일(Jeong Dae-Il),제리 스테딘져(Jery R. Stedinger),성장현(Sung Jang-Hyun),김영오(Kim Young-Oh)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1B

        기후변화에 대한 명백한 증거가 전 세계적으로 관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 중인 홍수 빈도분석 방법은 이러한 기후변화나 장기변동성을 고려할 요소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연최대 일강우량과 일유출량 시계열을 대상으로 추세분석을 실시하여 전 지구적으로 나타난 기온상승과 같은 증가추세가 존재하는지 linear regression과 Mann-Kendall 기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기후의 변동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량의 증가추세를 반영한 빈도분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5개 대상지점(서울, 인천, 울릉도, 전주, 강릉)의 연최대 일강우량 모두 시간에 따른 증가 추세를 일관되게 보이고 있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이 검증되지는 않았다. 홍수량도 3개의 대상지점(안동댐, 소양강댐, 대청댐) 모두에서 시간에 따른 증가추세가 관찰되었으나, 안동댐의 상향추세만이 통계적인 유의성을 내포하였다. 선형추세를 가진 홍수량의 빈도분석 및 위험도를 추정할 수 있는 대수정규 추세모형 (log-normal trend model)을 소개하고, 안동댐과 소양강댐의 홍수 빈도분석을 위해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대수정규 추세모형의 2005년 50년 빈도 홍수량은 안동댐과 소양강댐 모두 대수정규 모형보다 각각 41%와 21% 증가하였으며, 목표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추정되는 홍수량 역시 함께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The evidence of changes in the climate system is obvious in the world. Nevertheless, at the current techniques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the flood distribution can not reflect climate change or long-term climate cycles. Using a linear regression and a Mann-Kendall test, trends in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and flood data for several major gauging sites were evaluated. Moreover, this research considered incorporating flood trends by climate change effects in flood frequency analyses. For five rainfall gauging sites (Seoul, Incheon, Ulleungdo, Jeonju, and Gangneung), upward trends were observed in all gauged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record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ree streamflow gauging sites (An dong Dam, Soyanggang Dam, and Daecheong Dam), upward trends were also observed in all gauged annual maximum flood records, but only the flood at Andong D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 log-normal trend model was introduced to reflect the observed linear trends in annual maximum flood series and applied to estimate flood frequency and risk for Andong Darn and Soyanggang Dam. As results, when the target year was 2005, 50-year floods of the log-normal trend model were 41 % and 21 % larger then those of a log-normal model for Andong Dam and Soyanggang Dam, respectively. Moreover, the estimated floods of the log-normal trend model increases as the target year increases.

      • KCI등재후보

        고정형 TV의 장기적 시청패턴 변화

        조성호(Cho, Sung-Ho)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0 No.2

        본 연구는 TV 시청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신기술의 도입 확산 및 정책적 변화요인들이 기존 TV 시청 패턴에 어떤 변화를 초래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수도권을 대상으로 개인전체,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시청패턴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2000년 이후 TV 시청 패턴의 추세변화는 49세인 장년층까지 주로 영향을 미쳤고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시기별 변화를 비교한 결과 a시기(2000~2005년)에서 b시기(2006~2010년)까지 시청시간의 하락폭이 크게 나타난 이후 b시기에서 c시기(2011~2015년) 사이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시청시간의 변화량도 적었지만 영향 받은 연령대의 폭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TV 시청시간의 하락추세는 최근에는 상당히 둔화되었지만 20대 전후의 TV 대체 현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This study analysed the changing trend of TV viewing pattern resulting from the adoption of various new media and the change of media policy. The individual, sex and ag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Nielsen Korea software from 2000 to 2015. The downward trend of TV viewing was appeared until the age of 49. Further the declining trend was stronger for woman than for man. The comparison of TV viewing hours among three periods indicated that the downward tre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2000~2005 and 2006~2010, whereas it was not significant between 2006 and 2015. The reasons for insignificance were resulted from small number of decreased viewing time and diminished affected age group. The substitution of TV viewing behavior is still in progress around 20s even if the rate of downtrend has slowed down recently.

      • KCI등재

        ℓ1 추세필터의 변화점 식별에 있어서의 비일치성

        유동현,임요한,손원 한국통계학회 2022 응용통계연구 Vol.35 No.3

        The fused LASSO signal approximator (FLSA) can be applied to find change points from the data having piecewise constant mean structure. It is well-known that the FLSA is inconsistent in change points detection. This inconsistency is due to a total-variation denoising penalty of the FLSA. ℓ1 trend filter, one of the popular tools for finding an underlying trend from data, can be used to identify change points of piecewise linear trends. Since the ℓ1 trend filter applies the sum of absolute values of slope differences, it can be inconsistent for change points recovery as the FLSA.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inconsistency of the ℓ1 trend filtering.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the inconsistency of the ℓ1 trend filtering with a numerical study. In addition, we suggest that change points in a piecewise linear trend can be identified consistently by differencing observations and applying the FLSA. 구간별 상수 구조를 가지는 관측값으로부터 변화점을 식별하기 위해 FLSA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FLSA는 총변동벌점을 이용하기 때문에 평균 수준이 단조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변화점 식별에서의 일치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ℓ1 추세필터는 오차제곱합과 기울기 차이에 대한 ℓ1 벌점의 합을 목적함수로 가지는 구간별 선형 구조 추정방법으로 구간별 선형 구조에서의 변화점을 식별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한편 ℓ1 추세필터의 경우에도 총변동벌점을 이용하므로 FLSA와 마찬가지로 변화점 식별에 있어서 비일치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구간별 선형 모형에서 변화점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ℓ1 추세필터의 비일치성에 대해 살펴본다. 또 구간별 선형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에서 변화점을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서는 관측값에 ℓ1추세필터를 적용하는 것보다 관측값을 차분하여 FLSA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들이 있음을 확인해본다.

      • KCI등재

        브라질 산업생산활동 추세의 계량추정방식에 대한 일고

        윤택동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브라질 전체 산업활동과 산업내부의 각 세부 부문간의 연관관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에서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VEC(Vector Error Correction)모델을 많이 이용한다. 이 분석을 위해서는 공적분(cointegration) 확인과 단위근(unit Root) 검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만약 단위근 검사과정에서 시계열자료의 추세에 구조변화(structural change)가 있을 경우 잘못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데 문제가 있었다. 많은 시계열자료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조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근 검사결과가 잘못 나온다면 변수간의 상관관계 추정결과는 잘못된 정보를 주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 인지가 이번 연구의 출발점이었고, 이로 인해 이전에 행해진 브라질 산업생산의 시계열자료에 대한 추세변화분석을 다시 한번 검토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브라질 산업생산활동의 추세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전개한다. 특히 왜 구간별 추세분석이 필요하게 되는지에 대한 이론적 검토부분과 좀더 정확한 추세변화 시점을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방법들을 검토하고 적용해 본다는 점이 본논문의 특징이다. This work began with some problems perceived from other works that had studied relation among some sectors in Brazilian industry. The VEC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is commonly used to analyze correlation or causality among variables. The verification of cointegration is a part of procedure for VEC model. To verify the cointegration among variables, we must check the stability of each variable using unit root test. But if there are structural changes in each variable, the unit root test can give wrong result. In practice, it is common that many time series have structural changes (or breaks). In this case, how to estimate causality among variables using VEC model? This is main question of this work. To solve this problem, econometrics suggests two ways: using of dummy variable or splitting variable into some sub-periods. To split variable into sub-periods, the methods like CUSUM, CUSUM of Squares, Recursive residuals, Recursive coefficients and Chow test are used. We adopt second way (sub-periods), apply it to monthly data of Brazilian industrial production and estimate the tendency of each sub-period. After all, we discuss the implication of estimated tendency of each sub-period, comparing with other components of Brazilian economy at the moment.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is work is debating on econometric method in the case of time series with structural changes and applying it on Brazilian industrial production.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고객만족도의 변동과 상호작용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해진,송태호,우정신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1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and customer satisfaction (CS) have positive effects on customers' attitudes and responses. However,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bout the effect of two factors on firm’s actual performance are not consistent. There is a need to analyze whether and how CS and CSR activities affect the firm’s performance because the efforts and costs of the firm continue to grow to improve CS and to carry out various CSR activities. Since the achievements of CS and CSR activities are hard to occur immediate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mpacts of two variables with a long-term perspective. The level of CS varies with time and the direction of change can vary. This implies a change in the influence of CS on firm’s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volatility and change trend of CS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S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firm. Because the evaluation of CSR activities also chang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SR activities on financial performance of firm in the same context.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S and CSR was examined in terms of impact on firm’s performanc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CS index (NCSI), CSR evaluation index (ESG rating), and financial performance data for five years of Korean firms. As a result, the change trend of CSR showed a significant impact while the one of CS had no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firm.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CS and CSR on firm’s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strategy for CS and 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고객만족은 기업에 대한 고객의 태도 및 반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기업의 실질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고객만족 향상과 다양한 사회적 책임 활동의 수행을 위한 기업의 노력과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고객만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실제로 기업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판촉 활동 등과 달리 고객만족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성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나기 어려우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그 영향력을 살펴보아야 한다. 고객만족의 수준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변화의 방향은 다양할 수 있다. 이는 고객만족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의 변화를 암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객만족의 변동성, 변화 추세에 주목하고 고객만족과 기업의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평가 또한 변화하기 때문에 동일한 맥락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고객만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간의 관계를 토대로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총 5년 간 국내 기업의 고객만족도(NCSI),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평가 지표(ESG 등급), 재무적 성과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만족의 변화 추세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변화 추세의 영향은 유의하였다. 또한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대한 고객만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객만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기업의 효율적 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 지구온난화로 인한 전례 없는 기후 시기의 선형 전망

        신호정(Shin, Ho-Jeong),장찬주(Jang, Chan Joo) 한국연안방재학회 2016 한국연안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환경 변화 및 이해는 연안재해 예방에 매우 중요하며, 오늘날 인간활동에 의한 지구온난화로 급격한 기후변화를 겪고 있어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지구적인 관점에서 미래 기후가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대한 시각을 우선 제시함으로써 다가올 전지구적 기후변화와 그로 인해 유발될 연안기후변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고취시키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미래에 전례 없는 기후가 나타나는 시기를 추정하고 그 지역적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후모형 자료를 이용한 기존 연구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내부변동성을 추정하고 미래 온도변화를 전망하였다. 그 결과, 전례 없는 기후 시기는 육지에서는 대륙마다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해양에서는 온난화 추세가 큰 고위도 해역을 제외하면 내부변동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전례 없는 기후는 특정 시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 따라 시기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 대응책을 마련할 때 온난화 추세뿐만 아니라 내부변동성의 크기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