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詩人崔致遠的家國意識

        소려화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1 No.-

        당나라의 이웃나라 중 신라라는 나라와 당의 사이가 가장 평화로웠다. 신 라는 가장 ‘중국화’가 잘 되어 있었고, 심지어 당나라의 正朔을 쓰고 있었다. 현종은 조서에서 “신라라는 나라가 있는데, 책과 글에 대해 꽤 잘 알고 있으니, 중화와 유사하다.”라고 한 바 있다. 신라는 중화의 풍격을 높이 평가하였 는데, 그것은 여러 유학생을 끊임없이 당에 보내고 뛰어난 문예작품이 지어 졌다는 사실에서도 나타난다. 『唐會要』에는 태종이 국학학사를 증축하여 “고려, 백제, 신라, 고창, 토번 등 나라의 추장들이 자제들을 보내 국학에 입학하 기를 청하였다.”라 기록되어 있는데, 이 중 신라의 유학생이 가장 많았다. 당나라 때에는 외국에서 온 유학생들도 과거시험에 응시할 수 있었는데, 신라의 유학생들은 長慶 연간(821-824)부터 당 말까지 백 여 명 가까이가 급 제하였다. 그 가운데 가장 유명하고, 문학적 성취가 높은 자로 최치원을 꼽 을 수 있다. 최치원의 시는 五代시기 때 이미 일본에 전파되어, 일본의 大江維時(오오 에노 고레도키) 가 편찬한 『千載佳句』에 수록되어 있다. 그가 유학하고 또 당나라에서 관직에 오른 시기는 대략 晩唐의 懿宗, 僖宗 연간(860-888)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최치원은 당나라 말기에 당으로 온 신라의 저명한 문 인이었다. 그는 당에 16년이라는 기간 동안 머물면서, 進士에 발탁되어 洛陽 에 임시로 머물다가 縣尉에 임명되고 幕僚로도 일했다. 그는 평생을 두 나라 의 법도에 따라 살았는데, 중국의 유불도 사상과 시, 문장, 사부, 그리고 서 예 및 기예 등 많은 부분에 능했다. 그런 그는 통일신라시기(669-935)가장 뛰어난 시인이자 학자이자 문학가로 중-한 관계사, 조선한문학사, 조선학술 사상사에서 모두 매우 높은 지위를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당대의 국제적 관점이라는 시각으로 최치원 시문 중에 보이는 당나라의 正朔관념과 四夷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당대 한국 유학생과 中 土의 관계가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폈다. 논문에 실린 모든 문장은 『全唐詩』 에 수록된 中土시인들이 신라 사절에게 보내는 시를 위주로 대조하였다. 이를 통해 당대 시인들과 신라의 시인들이 서로 교류하면서 인식한 ‘국가 의 식’은 어떠하였는가 또한 살펴볼 수 있다. 在唐朝四隣中,新羅與唐的邦交最睦,華化最深,甚至以唐朝爲正朔,唐玄宗曾詔云:‘新羅君子之國,頗知書記,有類中華。’新羅慕華之風,表現在衆多留學生入唐,前赴後繼,蔚爲風潮。『唐會要』載唐太宗增築國學學舍,‘已而高麗·百濟·新羅·高昌·吐蕃諸國酋長亦遣子弟,請入國學。’其中尤以新羅留學生最多。唐時外藩留學生亦得參與科擧,而新羅人登科者,始於長慶(821-824)年間,終唐之世,新羅留學生登科者不下百人,但最著聲名者且文學成就最高者,則要屬崔致遠。崔致遠的詩作,在五代時期便已傳至日本,幷被日人大江維時選入所編『千載佳句』中。其留學幷在唐朝任職的年代,約當晩唐懿宗·僖宗年間(860-888)。崔致遠是唐末來華的著名新羅文士,留唐十六年期間,他先後擢進士·寓洛陽·任縣尉·做幕僚。他一生生活於兩個國度,對中國的儒釋道思想·詩文辭賦與書法棋藝等都有相當高的造詣,成爲統一新羅時期(669-935)最傑出的詩人·學者和文學家,在中韓關係史·朝鮮漢文學史·朝鮮學術思想史上皆점有十分重要的地位。本文擬從唐代國際觀的角度看崔致遠詩文中的唐正朔觀念與其四夷槪念,突顯唐代韓國留學生與中土的關係,全文幷擬以『全唐詩』中土詩人送新羅使節的詩作爲對照,以觀察唐代詩人與新羅詩人互換視野下的‘家國意識’。

      • 최치원과 창원의 문화정체성

        한정호 한국지역문학회 2012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 No.1

        창원은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과 인연이 매우 각별한 지역이다. 창원의 유서 깊은 문화재 가운데 하나인 월영대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 글에서 글쓴이는 최치원과 관련하여 창원의 문화 정체성을 살피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글쓴이는 최치원과 창원의 지역성, 문학성, 역사성 고찰이라는 측면에서 다가서고자 했다. 첫째, 창원의 지역성이다. 최치원과 관련된 문헌설화와 구전설화에서 보듯, 문창고을 바닷가 ‘외딴섬’과 ‘월영대’ 그리고 ‘돝섬’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예전에 창원은 ‘문창(文昌)’이라 일컬어졌고, 그의 출생과 성장에 관한 설화가 많이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최치원은 창원에 머물며 월영대에 향학을 설치했으며, 시율을 읊으며 유유자적하게 살았다. 따라서 글쓴이는 창원이 그의 생장지이자 소요지라는 근거를 밝히고자 했다. 둘째, 최치원과 창원의 문학성이다. 최치원은 창원에 머물면서 학문 전파와 한시 창작에 몰두했다고 전한다. 따라서 그는 창원을 배경으로 삼은 한시를 많이 남겼다. 또한 최치원은 우리문학 발전의 전기를 마련했던 문장가로서 창원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또한 그가 사망한 뒤에도 창원은 그의 학문과 인격을 흠모했던 고려․조선시대의 문장가와 선비들의 순례지로서 명성을 떨쳤다. 셋째, 최치원과 창원의 역사성이다. 창원에는 최치원에 관한 유허와 유적이 남아 있다. 그 대표적인 유적으로 월영대와 고운대, 그리고 청룡대․강선대․탁청대를 들 수 있다. 아울러 창원의 지명도 최치원과 관련된 것이 많다. 이를테면 그의 아호를 딴 고운로와 해운동, 월영대의 ‘달’과 관련된 월영동, 반월동, 완월동, 신월동, 월포동, 월남동, 두월동 등이 그것이다. 이처럼 최치원의 유허와 유적들에서 창원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한 인연을 바탕에 두고, 글쓴이는 최치원 현양사업의 구체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창원의 문화 정체성 확립에 다가서고자 했다. 이를테면 관련 자료집 발간, 월영대, 고운대, 청룡대, 강선대를 비롯한 유적지 복원과 보존 사업, 최치원 기념관 또는 기념비 건립, 최치원 테마공원 조성, 홈페이지 구축과 각종 행사 추진 등이다. 이러한 최치원 현양사업을 통해 창원의 정체성 재고와 문화예술정책의 전망을 펼쳐보고자 했다. 이즈음 지역사회에서는 최치원의 문화적 의미를 잊어가고 있지만, 창원의 역사 속에서 최치원은 큰 자랑이었다. 특히 창원의 가장 오래된 문화재로 전해지는 월영대는 창원문화의 뿌리이며, 문향(文鄕) 창원의 상징이기도 하다. 앞으로 창원의 문화정책이 장식적 화두에 머물지 않고, 브랜드 가치를 최대화하여 문화산업 발전의 경쟁력으로 활용되길 바란다. 그리하여 고운 최치원으로부터 비롯되는 창원의 문화 향기가 지역 곳곳에 묻어나고 나라 곳곳에 번져가길 기대해 본다. Changwon was especial relative region with Choi Chi-won. ‘Wolyoungdae’ among historied cultural property of Changwon supported it. In this paper, I put aim to consider the cultural identity of Choi Chi-won in connect with Choi Chi-won. In order to it, I was willing to get near in studying aspect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historic characteristics of Changwon with Choi Chi-won. The first w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hangwon. As seen in Literature narratives, Oral narratives related to Choi Chi-won. It was counted place to the ‘remote island’ a seaside of ‘Moonchang’ county, ‘Wolyoungdae’, ‘Dotsum’ and so on. Also, The old days, It was said that Changwon called Moonchang, narratives about birth and growth of it was remembered for ages to come and Choi Chi-won found regional school at Wolyoungdae to stop Changwon and lived in free and easy retirement with recite poems. According to, I revealed in reference with grow regions and ramble regions at Changwon. The second wa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Changwon with Choi Chi-won, Choi Chi-won has been come down to us from absorbing learning propagation and Chinese poem write in stop Changwon. Consequently, He left a lot of Chinese poem on Changwon background. Also, he had symbolic meanings of Changwon as style in epochmaking the growth of our own literature. Therefore, Changwon was gained a world wide reputation as a place of pilgrimage which style and scholar of Koryo-Joseon Dynasty adored his learning and personality after the his death. The third was historic characteristics of Changwon with Choi Chi-won. Changwon was left footprints and remains about Choi Chi-won. Wolyoungdae, Gouondae, Chungyongdae, Gangsundae and Takchungdae were exampled as typical remains. Besides, the place name of Changwon many related Choi Chi-won. So to speak, Name after his pen name were Gouon road, Haeuondong. Wolyongdong, Banwoldong, Sinwoldong and Wolnamdong related moon of Wolyoungdae was the same reason. like this, footprints and remains of Choi Chi-won offered to realize ancient history and traditions of Changwon. On this relationship basis, I suggested specific measure of commemoration of Choi Chi-won and approached closer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of Changwon. Add to, there were publication related sourcebook and projecting historic site restoration‧preservation with Wolyoungdae, Gouondae, Chungyungdae, Gangsundae together, setting up of memorial holl and monument, creating theme park, constructing website and aheading event push. Through his memorial project, I would like to unfold cultural identity rethink and cultural policy vision of Changwon. At the same time, Cultural means of Choi Chi-won entirely was forgot community, but he was a proud boast in history of Changwon. Expressly, as the oldest cultural assets of Changwon, ‘Wolyoungdae’ was roots with cultural of Changwon and symbol with literary region of Changwon. The future, I hoped that cultural policy of Changwon had competitiveness of cultural industry not to stop ornamental topic, but to utilize brand value and so, cultural aroma of Changwon originating Kouon Choi Chi-won drippied around the region and we hoped that all over the nation spread.

      • KCI등재

        최치원 관련 지리산 한시에 대한 고찰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69 No.-

        지리산에는 역대로 수많은 인물과 관련 이야기가 전해진다. 시간이 흐를수록 소멸되거나 새롭게 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치원과 관련한 것들은 조선시대 수백 년 동안 꾸준히 일화를 생성했고, 새로운 유적을 만들어냈으며, 문학작품도 지속적으로 산출되었다. 대개 기존의 것이 없어지지 않고 새로운 이야기가 그 위에 보태지거나 파생되어 나타났다. 이는 ‘공간과 인물’의 상관성에서 보아도 매우 특이한 현상인데, 본고에서는 최치원 관련 한시가 지리산에서 수백 년 간 ‘생성·확산·공존’해온 정황을 ‘저자·유적·일화’라는 3가지 측면에서 살폈다. 먼저 최치원 관련 지리산 한시는 儒者와 佛者에게서 공통으로 산출되었다. 이처럼 수백 년 동안 유자와 불자에게서 한 인물에 대한 수많은 작품이 동시에 산출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이는 최치원이 조선시대 유자에게도 불자에게도 인정받은 인물이기 때문인데, 특히 불교계에서는 西山大師 休靜 계열에게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지리산권역에 소재하는 최치원 유적은 眞鑑禪師碑와 같은 역사적 유물과 허구의 가상 유적이 혼재해 있다. 그러나 ‘사실’과 ‘허구’라는 엄청난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곳을 찾은 유람자들의 감회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현장에 소재하는 유적보다는 최치원의 실제 삶에 더욱 공감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최치원은 文廟에 宗祀된 첫 번째 인물이고 또 唐나라에서 文名을 떨친 최고의 문장가였음에도, 유람자들은 그보다 불우했던 그의 삶을 통해 오히려 자신을 위로받았기 때문에 관련 유적의 ‘사실과 허구’라는 양면성이 전혀 문제시되지 않았던 것이다. 셋째, 지리산에 소재하는 최치원 관련 유적에는 계속해서 이야기가 더해져 왔다. 동일한 유적에 같은 이야기가 점점 확산되고 구체화되어 전승되거나, 아예 새로운 유적에 새로운 이야기가 생성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수백 년의 시간차에도 불구하고 지리산에 최치원 관련 유적과 일화 및 작품이 꾸준히 생성되어 온 것은, ‘최치원’에 대한 조선조 지식인의 인식 차에서 연유하였다. 조선조 유자들은 최치원의 행적을 문제 삼아 문묘종사에 대해 끊임없이 논란거리로 삼았지만, 지금도 그는 여전히 문묘에 모셔져 있다. 또 이러한 논란이 한창일 조선중기 불교계에서는 서산대사를 중심으로 최치원을 존숭하는 새로운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그리하여 진감선사비는 승려의 講學 자료로 사용되었고, 관련 유적에서는 그에 대한 흠모의 마음을 읊은 한시가 쏟아져 나오기도 하였다. 그리고 강우지역 지식인에게서 보이는 최치원 인식은 인조반정 이후 정계에서 멀어진 강우학자의 현실적 처지를 이입시켜 그를 통해 위안을 받는 성향이 강하였다. 지리산 유람객의 대부분이 강우지역 지식인임을 감안하면 이는 최치원 관련 지리산 한시의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People generation after generation have passed down stories about a good number of figures in Mt. Jiri. In general, such stories die out or get changed anew over time, but stories of Choi Chi-won(崔致遠) continued to create episodes, build new relics, and give birth to literary works in Joseon. The common rule was to add a new story to the old ones or derive one from them. It is a very peculiar phenomenon even in terms of correlations between "spaces and figure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ircumstances of Chinese poems about Choi Chi-won being "created, spread, and in coexistence" in Mt. Jiri for hundreds of years in three aspects of "authors, relics, and episodes." First, it was a common practice to write Chinese poems about Choi in Mt. Jiri between Confucian scholars(儒者) and Buddhist monks(佛者). It was not ordinary that both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monks created a number of works on the same figure for hundreds of years. In case of Choi Chi-won, it was because he was recognized both by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monks in Joseon.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particular, many Buddhist monks in the line of Seosan Daesa(西山大師) Hyujeong(休靜) recognized him. Secondly, there is a mixture of Choi's relics in the Mt. Jiri(智異山) zone between historical relics such as Jingamseonsabi(眞鑑禪師碑) and fictional and imaginary ones. Despite a huge difference between "fact" and "fiction," however, sightseers were moved almost the same by them as they had greater sympathy with Choi's real life than his relics at the sites. Choi was, for instance, the first figure that they held memorial service for at a Confucian shrine and one of the greatest writers that were renowned for literary distinction in Tang, but sightseers got consolation from his unfortunate life rather than these achievements. For them, the double-faced nature of his relics between "fact and fiction" did not matter at all. Finally, more and more stories were added to relics about Choi in Mt. Jiri. The same stories of the same relics would gradually spread and become concrete in transmission or entirely new stories would be created for new relic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were ongoing streams of relics, episodes and works about Choi Chi-won in Mt. Jiri despite a time gap of hundreds of years based on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Choi Chi-won" among intellectuals of Joseon. Confucian scholars picked issues over his past in Joseon, stirring controversy over the practice of holding religious service for him at a Confucian shrine. He is, however, still enshrined at a Confucian shrine today. In middle Joseon when the controversy peaked, the Buddhist community created a new atmosphere of revering him around Seosan Daesa. Buddhist monks thus used Jingamseonsabi as a material in the pursuit of study and created a flood of Chinese poems to depict their admiration for him at his relics. Intellectuals of the Gangwoo area showed a strong tendency of empathizing with Choi after leaving the central politics following Injo Banjeong and getting consolation from him. Given the fact that most sightseers to Mt. Jiri were intellectuals of Gangwoo area, it is one of main features of Chinese poems about Choi in Mt. Jiri.

      • KCI등재

        A Study on Ch’oe Ch’iwǒn’s Literary Reputation and Its Grounds

        Chung-Hwan Cha(차충환)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3 No.-

        최치원은 우리 학계에서 한문학의 鼻祖, 東國文宗 등으로 평가된다. 현전 문집 중 가장 오래된 《계원필경집》을 남겼다는 점, 〈격황소서〉로 공을 세웠다는 점, 《계원필경집》이 《唐書》 〈藝文志〉에 기록되어 있다는 점 등이 그러한 평가의 근거로 언급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에 더하여 최치원의 문학적 능력이 실제로 뛰어났는지, 그리고 과거역사에서는 최치원과 그의 능력을 어떻게 평가했는지를, 그동안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관련 자료를 살펴봄으로써, 동국문종이란 명성의 근거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나라의 공식 史書인 《당서》 〈예문지〉에 《계원필경집》이 언급되었다는 것은 《계원필경집》의 수준이 사서에 등재할 만큼 가치가 있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당서》 〈예문지〉에는 《계원필경집》 뿐만 아니라 《四六》 1권이 더 언급되어 있고, 《宋史》에는 그 《사륙》 1권을 《別集》 1권으로 지칭하고 있다. 중요한 점은 이 《사륙》집이 최치원이 헌강왕에게 바쳤던, 그러나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중산복궤집》의 일부로 추정된다는 점이다. 이점은 《당서》, 《송사》가 편찬될 시기에 중국 학자들은 최치원의 여러 저술들을 주목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둘째, 최치원이 唐에 있을 때 교유한 杜筍學, 羅隱, 顧雲 등은 당나라 말기의 시단을 대표하는 문인들인데, 이 중 두순학과 나은은 최치원에게 시를 지어 주면서 서로 우호적인 교유를 하였고, 고운은 ‘문장으로 중국을 감동시켰다’는 말로 최치원의 뛰어난 문학적 능력을 직접적으로 칭송한 바 있다. 셋째, 최치원이 귀국했을 때 헌강왕은 그를 ‘國士’로 대접해 주었고, 진성여왕은 최치원에게 고승들의 碑銘을 짓게 했다. 나라의 선생으로 인정해 주고 또 엄정한 글쓰기가 요구되는 碑銘 쓰기를 맡겼다는 것은 당시 왕들이 최치원의 詩文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는 뜻이다. 넷째, 삼국사기와 新羅古記를 보면, 신라의 삼국통일에 있어서 武功으로는 김춘추, 문장으로는 强首가 으뜸이라고 하였다. 그런데도 고려 顯宗은 신라인들 중에 강수가 아닌 최치원을 文昌侯에 봉했다. 다섯째, 조선시대에 《계원필경집》은 史庫에 보관되었고, 또 冊板이 유실되었을 때에는 복각을 하는 등 매우 귀중한 문집으로 취급되었다. 이것은 《계원필경집》이 最古의 문집이자 전범으로서의 위상을 지녔기 때문이다. 위의 근거들로 볼 때, 우리는 ‘최치원=동국문종’이란 등식이 사실에 부합하는 평가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Ch’oe Ch’iwǒn’s path to becoming “Tongguk Munjong,” or patriarch of literature. After returning to Silla from Tang, Ch’oe compiled his writings into various anthologies and collections of poems. Some of these collected works were recorded in Xin Tang Shu. The fact that the work of Ch’oe, a foreigner from Silla, was recorded in the Tang dynasty’s history book meant that Ch’oe’s literary ability and the quality of his collected works were very highly regarded. While studying and holding an official position in Tang, Ch’oe socialized with exceptional poets, who spoke highly of Ch’oe in their works. Among Tang poets, Du Sunhe, Luo Yin, Gu Yin, Gao Pian, and Zhang Qiao particularly highly valued Ch’oe’s literary ability. The Korean records show that Ch’oe primarily gained his fame in Tang with the publication of Kyǒk Hwang So sǒ. This fact was first found out by Yi Kyubo. Yi recorded that Ch’oe had shivered Hwang So with Kyǒk Hwang So sǒ. Since then, Kyǒk Hwang So sǒ has become a work that symbolizes the high literary fame and status of Ch’oe. Kyewǒn p’ilgyǒngjip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qualifying Ch’oe as Tongguk Munjong. Most of his writings in Kyewǒn p’ilgyǒngjip were included again in Tongmunsǒn because the writings in Kyewǒn p’ilgyǒngjip gained textbook-like status in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 KCI등재

        고운(顧雲)이 최치원에게 준 송별시 「고운편」에 대한 진위 고증 -「고운편」과 최치원의 재입당 시기에 대한 한중 연구사를 겸하여-

        이황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人文論叢 Vol.65 No.-

        據傳,≪孤雲篇≫是崔致返回新羅之時,他的摯友顧雲爲他所作的贈別詩。這首詩收錄在李仁老的≪破閑集≫中,幷流傳至今。一直以來,對於這首詩爲顧雲所作這一點,中韓學界深信不疑,也未提出過任何異議。但是,綜合分析中韓學者對≪孤雲篇≫的具體解析以及他們對崔致遠再入唐的時間的看法,就不難發現這首詩存在是僞作的可能性。즉,不少硏究者將≪孤雲篇≫作爲依據,認定崔致遠再入唐的時間是在顧雲生前(894年),但령一方面,在對崔致遠的再入唐時間進行考證的硏究者中,有不少人認爲是在顧雲死後,因此≪孤雲篇≫究竟是否果眞出自於顧雲之手,在作品的眞僞問題上仍存在不少疑點。而且最能說明問題的是,顧雲(851~894)的≪孤雲篇≫是截取了於武陵(788~852)的五言律詩≪孤雲≫的암聯和尾聯,經過평湊和再編輯而成的一首五言絶句詩,由這一點可證實該詩爲一篇僞作。簡而言之,≪孤雲篇≫幷非顧雲所作,只不過是盜用崔致遠的摯友顧雲的名字,將於武陵的作品≪孤雲≫進行再編輯而成的一篇僞作,顧雲送崔致遠的所謂贈別詩≪孤雲篇≫從一開始就是子虛烏有。因此,不能將李仁老≪破閑集≫中所載的≪孤雲篇≫作爲考證崔致遠再如入唐的這一事實及其時間的線索或根據,亦不能當作考究,論證崔致遠生平的任何根據。

      • KCI등재

        『계원필경집』과 최치원의 교유관계

        張日圭 한국고전번역원 2010 民族文化 Vol.- No.34

        최치원은 857년(신라 헌안왕 1)에 태어나 908년(신라 효공왕 12) 이후까지 활동하였다. 그의 집안은 儒學과 佛法을 존숭하면서 숙위학생을 등용하여 왕권을 강화하려는 경문왕계 왕실과 친밀하였다. 자연히 최치원 역시 입당유학을 통해 왕실과 가까운 관직으로 진출하려는 성향을 가졌다. 868년(경문왕 8) 당나라에 들어간 최치원은 당나라의 인재 등용 방법인 常選과 制擧에 모두 관심을 보였다 낙양에 자리한 국자감의 태학에서 습업한 그는 874년(경문왕 14) 7월 이전에 예부시랑 배찬 아래서 빈공의 자격으로 생도시의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876년 겨울에 선주 율수현위로 나아갔지만, 보다 높은 관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 877년 겨울에 현위직을 사임하고 박학굉사에 응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박학굉사의 중단과 황소군의 침략 위협이 더해지자, 최치원은 당시 성행했던 벽소제를 통해서 보다 높은 관직으로의 진출을 꾀하였다. 그는 879년(헌강왕 5) 10월 이후부터 884년 8월까지 약 4년 동안 당시 당나라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였던 회남절도사 고변의 휘하에 나아가 관역순관을 맡았다. 객관과 역원을 돌아다니며 부정비리를 감찰하고 전적과 문서를 검열하는 임무를 담당하면서 그는 중앙 관직으로 轉職할 수 있다는 희망도 가졌다. 하지만 고변이 실각하고 회남도가 붕괴하여 더 이상 관직 진출을 기대할 수 없게 되자, 최치원은 귀국길에 올랐다. 최치원은 886년 정월에 고변의 휘하에서 막료생활을 하면서 지은 370수의 글을 모아 『계원필경집』20권을 엮어 헌강왕에게 바쳤다. 『계원필경집』은 여러 글을 유형별로 나누어 구성하였고, 각 권에 유형별로 나눈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찬술 연도의 시대순으로 글을 배열하였다. 특히 권1~권16까지는 대체로 고변을 대신한 글을 배열하였지만, 권16의 일부 글부터 권20까지는 최치원 자신과 관련된 글을 수록하였다. 최치원은 자신과 관련된 글에 고변이나 지인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혀 두었다. 최치원은 자신의 입장과 생각을 담은 글에 배찬, 배료,배숙, 배졸,裵秀才 등 裵瓚의 일족과 송현, 양섬, 오만, 이관, 장고, 장웅 등의 활동상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그들은 중앙 관서의 관료나 지방관을 맡은 사람도 있었지만, 판관이나 순관 등 절도사의 막료 출신도 있었다. 지인들은 최치원이 국자감에서 진사시를 준비할 때나 급제 후 현위직으로 나아갈 때, 고변 휘하로 옮길 때 도움을 주었던 이들이었다. 이들은 당시 성행했던 좌주?문생의 관계를 통해서 하나의 세력을 이루고 있었다. 때문에 최치원은 자신의 관직 진출에 가장 근본적인 계기를 마련해준 진사시 좌주 배찬에게 각별한 애정을 가졌다. 『계원필경집』은 당나라 황실과 고변의 관계는 물론 고변과 재상의 관계, 고변 휘하 인물의 활동상을 담았지만, 그보다는 재당시절 자신과 교유하였던 지인들을 소개하면서 재당시절에 관직 진출을 위해 변함없이 노력하였다는 점과 여전히 당나라에 자신의 지인이 존재한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서 편찬되었다. 곧 『계원필경집』은 경문왕계 왕실의 측근으로 활동하였던 자신의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를 담았다.

      • KCI등재

        최치원 관련 자료의 활용을 통한 영암지역 스토리텔링의 방향

        이기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1

        Choe Chi-won(崔致遠) is being admired and respected even in China as well as in the country, and is a figure who had influence upon both our culture and Chinese culture. Accordingly, an event and others for remembering him are being held both at home and in China. Especially, the traces, which were left by Choe Chi-won, are being domestically recognized as important cultural assets of a district. Among them, Yeongam in Jeollanam-do Province is being recorded in Lee Jung-hwan's 『Taekriji(擇里志, Geography of Korea)』, as a place that Choe Chi-won left on a voyage to China. And this record leads to being revealed more specifically the aspect of an exchange between Silla and China in those days as well as Choe Chi-won. Hence, Choe Chi-won needs to be emphasized as a figure of being associated with the district in Yeongam. However, an event or an effort relevant to Choe Chi-won cannot be found in Yeongam. This is because an interest is concentrated on Wang In(王仁) who moved to Japan from Baekje as a person who represents Yeongam, above all. Still, the images in Wang In(王仁) and Choe Chi-won(崔致遠) have a similar aspect. Both of them are a figure who moved, respectively, to Japan and China from the nation. Hence, connecting an interest in Wang In(王仁) with Choe Chi-won(崔致遠) leads to being further clarified the regional identity of Yeongam. That is to say, it becomes the district of having an international character, which proceeds with advancing to other country from the nation, beginning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in the past. And this matter may be crucially utilized as a cultural asset for notifying a district and becomes the original source for the storytelling of a district after this. 최치원(崔致遠)은 우리의 문화뿐 아니라 중국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기에, 그를 기억하기 위한 행사 등도 국내와 중국에서 모두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최치원이 남긴 흔적을 지역의 중요한 문화자산으로 관리하거나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전라남도 영암(靈巖)은 최치원이 중국으로 항해를 떠난 장소로 이중환(李重煥)의 『택리지(擇里志)』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 기록을 통해 최치원의 행적뿐만 아니라 당시 신라와 중국 사이의 항해 경로를 추정하는 근거가 된다. 그런데 영암에서는 최치원과 관련된 행사나 그를 기억하기 위한 과정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이는 영암을 대표하는 인물로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왕인(王仁)에게 관심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왕인과 최치원은 행적에 있어서 공통적인 성격을 찾을 수 있다. 모두 국내에서 일본과 중국으로 각각 건너간 인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왕인에 대한 지역에서의 관심을 최치원과 연계한다면, 영암의 지역적 정체성은 오늘날의 영암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비교하여 달라진다. 과거 삼국시대부터 다른 나라로 나아갈 수 있었던 국제적인 성격을 지닌 장소로서의 성격이 구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어서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관성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성격과 연계된 다각적인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고군산의 최치원 문화원형 연구

        김성환(Kim Seong-Hwan)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이 글은 고군산-새만금 일대에 분포하는 최치원 문화유산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며, 이를 새만금의 문화적 인프라와 콘텐츠 구축에 활용하자는 제안을 담고 있다. 최치원 문화유산은 물질적 잔존물인 유적과 비물질적 전승인 설화 등을 포괄한다. 최치원 문화유산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호남에서는 특히 새만금 권역인 고군산과 옥구 일대에 많이 남아있다. 최치원이 올라 노닐었다는 자천대를 비롯해 최치원을 제향하는 여러 서원과 향교가 있다. 특히 자천대는 조선 초기의 15세기 이전에 건립되어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떨쳤으며, 최치원과 관련해 흥미로운 스토리를 담고 있다. 이런 문화유산들은 최치원의 고군산 출생설을 배경으로 한다. 최치원의 고군산 출생설은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에 이미 보이며 오랫동안 지역문화를 구성하는 핵심 소재로 전승되었다. 고군산의 섬과 연안 곳곳에 최치원의 탄생설화와 관련된 지명과 경관이 분포한다. 본문에서 그 내용과 의미를 살피고, ‘최치원’이 고군산 해양문화의 중요한 상징이었음을 밝힌다. 고군산의 최치원문화는 서해안시대 및 새만금개발과 연동되는 문화콘텐츠의 중요한 원천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기반을 둔 다양한 문화적 프로그램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In this writing, I intend to introduce the cultural legacy of Choe Chi Won existing across Gogunsan and Saemangum area and focus on the meanings and potential usage for developing cultural infrastructure and contents in Saemangum. Choe Chi Won’s cultural legacy includes both physical monuments and immaterial inheritance such as legends. Even though Choe Chi Won’s cultural legacy has influenced the whole country, most of them in Ho Nam Province can be found in Gogunsan and Ok-Gu, which belongs to the current Saemangum territory: Some examples are ‘Jachendae’, the place Choe Chi Won used to visit and take pleasure in and ‘Seo-Won’sand ‘Hyang-Gyo’s which are memorial sites for Choe Chi Won. Especially Jachendae, built earlier than 15th Century - early era of Choson, was very famous all over the country and a lot of interesting stories about Choe Chi Won have originated in this place. These cultural heritages are based on a belief that Gogunsan is Choe Chi Won’s birthplace. We can discover proven records backing this theory from the old documents of the ChoSon Period, which have been transmitted and conserved as important materials for identifying the regional culture. For instance, place names and sceneries of some islands of Gogunsan relate to the legends of Choe Chi Won’s birth. This article will discuss this subject and the meanings in depth in the following pages and explain that 'Choe Chi Won' is a significant symbol of Gogunsan’s marine culture. The Gogunsan culture of Choe Chi Won possesses enough potential and value to be utilized and developed as key cultural contents in alliance with opening and development of Saemangum and West Sea Era.

      • 최치원 영정 연구

        한정호 한국지역문학회 2016 한국지역문학연구 Vol.5 No.2

        Choi Chi-won was the subject of a revered and adored by generations of people. Therefore, his portraits were being a shrine where the portrait of an illustrious person is enshrined, ancestrcal shrine and a lecture hall etc in some portrait of the region. As such, Choi Chi-won portraits have contained the middle sense of political, social and personal nature of beyond the cultic significance of the memorial and the syncline. This article put aim to look at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from the total viewpoint for Choi Chi-won portraits. To this end, the author saw weighs the situation and status in the center of the enshrined place and time of production Choi Chi-won portraits. In addition, Categorize into figures type worthy retainer painting, hermit painting, Confucianist painting of his portraits, I was willing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oday, It was reported that Choi Chi-won portraits was over 25 species. Currently, his portraits are manufactured or transformed after a long time and it have been enshrined and collected in various facilities. For example, there were many small intestine or foster care facilities at home and abroad, which is enshrined in shrines of elsewhere Changwon, Jinju, Hadong, Hapcheon of Gyeongnam, Ulsan and Youngduk, Andong, Gyeongju, Chungdo, Goyoung, Daegu of Gyeongbuk, Gwangju of jeonnam, Gunsan, Iksan, Jeongeup, Sunchang of Jeonbuk, Seosan, Secheon of Chungnam, Fortune of Kyungki. Among of them, that production time was certainly known was portraits of Musung shrine and the standard portraits. Our himself estimate the production time about the portraits of Dugok shrine, Unam shrine, Asan shrine, the old synagogue, Sangsujang, Haknam shrine, Jisan shrine, Chungsungsa, Ssanggyesa etc. and the other portraits can touch with construction of enshrined facilities and guess the composition timing. Next, Portrait of Choi Chi-won was told in a various sorrow figure by people revered him. There was often divided into Jirisan Ssanggyesa script and Gayasan Haeinsa script aboding him, representational figures are being highlighted through sorrow figure such as clothing, backgrounds and additional vessels. According to this, This author examine the nature and meaning by classify Portrait of Choi Chi-won as worthy retainer painting, hermit painting, Confucianist painting. First, Choi Chi-won portraits of worthy retainer painting are as follows the typical worthy retainer painting of the early Joseon Dynasty. Sitting in a chair a karate stance wearing danryeong on private with seated statue of Junsin religion, figures of left predecessor tenets are common. In such cases, the surrounding background be treated light or by placing tripod, breastplate and several vessels, it have to highlight the appearance of a tattoo officials. So much again, it shows the intention for hailing the talents and achievements of Choi Chi-won. Second, Choi Chi-won of hermit painting are usually shaped in the likeness sitting on Samsinsan. In addition, such representations figures addition, there are drawn in appearances in following young boy, the state holding the Buddhists and look holding a Pachoseon. So that, it will put out the implications that the Choi Chi-won hailed as hermit. Third, Choi Chi-won portrait of Confucianist painting take advantage of the utensils and a clothes of Confucian scholar, it has been shaped by refined figures of literary person or gentry. It has put out so the dogmatic meaning of revereding Choi Chi-won as Confucian scholar. As such, his portraits, the portraits of Choi Chi-won would deal with a variety of meanings religion and politics, momoirs, ancestral rites. So, Innumerably description by family revering him or younger students, It is expanding political and ritual, academic sense that is enshrined by the various shrine, ancestrcal shrine and a lecture hall. 이 글은 최치원 영정에 대한 총론적 관점에서 그 현황과 특성을 살피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글쓴이는 최치원 영정의 봉안 장소와 제작 시기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실태를 따져보았다. 아울러 그의 영정을 공신․신선․유현풍의 도상적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오늘날 전해지고 있는 최치원 영정은 25여 종에 이른다. 현재 그의 영정은 오래 시기를 거쳐 제작 또는 이모(移模)되어 여러 시설에 봉안 또는 소장되고 있다. 이를테면 경남의 창원, 진주, 하동, 합천, 울산, 경북의 영덕, 안동, 경주, 청도, 고령, 대구, 그리고 전남의 광주, 전북의 군산, 익산, 정읍, 순창, 충남의 서산, 서천, 경기의 포천 등지의 영당‧사당‧서원)에서 봉안되어 있으며, 국내외의 여러 시설에 소장 또는 위탁 관리되고 있다. 이 가운데 제작 시기가 확실하게 알려진 경우는 무성서원의 영정과 표준영정이 있고, 두곡영당, 운암영당, 아산영당, 구회당, 상서장, 학남서원, 무성서원, 지산영당, 청성사, 쌍계사 등의 영정은 그 제작 시기를 나름대로 추정할 수 있으며, 그밖의 영정은 봉안 시설의 건립과 맞닿아 조성 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최치원 영정은 그를 추앙하는 사람들에 의해 다양한 도상으로 전해지고 있었다. 흔히 그의 주요 소요지였던 지리산 쌍계사본과 가야산 해인사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인물 표상은 복장, 주변 배경과 부가 기물 등의 도상을 통해 부각되고 있다. 이에 글쓴이는 최치원 영정의 유형을 공신도(功臣圖), 신선도(神仙圖), 유현도(儒賢圖)로 분류하여 그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첫째, 공신풍의 최치원 영정은 조선시대 초기의 전형적인 공신 도상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전신교의좌상으로 사모에 단령을 입고 공수자세로 의자에 앉아 있는 좌안칠분면의 도상이 일반적이다. 그런 경우 주변 배경은 담박하게 처리하거나, 각대, 흉배, 그리고 여러 기물을 배치함으로써 문신 관료의 모습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만큼 최치원의 재능과 업적을 추앙하려는 의도를 보여주고 있다. 둘째, 신선풍의 최치원 영정은 대개 삼신산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아울러 인물 표상과 더불어 동자를 거느리고 있는 모습, 불자를 들고 있는 모습, 파초선을 들고 있는 모습 등의 도상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만큼 최치원을 신선으로 추앙하는 의미를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셋째, 유현풍의 최치원 영정은 유학자들의 복장과 기물 등을 활용하며 문인 내지 사대부의 정제된 도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그만큼 최치원을 유학자로 추앙하는 교의적 의미를 담아내고 있다. 이렇듯 최치원의 영정은 그의 영정은 정교적‧수기적‧제의적 의미를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를 추앙하는 문중 또는 후학들에 의해 수없이 모사되어 여러 영당과 서원, 사당 등에 봉안되어 정치적, 제의적, 학문적 의미가 더욱 확대되어 나갔다고 하겠다.

      • 최치원 한시 속에 나타난 인물과 문화교류의 현상

        한정호 한국지역문학회 2018 한국지역문학연구 Vol.7 No.2

        글쓴이는 최치원의 한시 속에 나타난 인물과 문화교류 현상, 특히 그가 한시로 형상화한 인물들에 초점을 두고, 그의 학제·학문적 교류, 행정·외교적 교류, 이념·사상적 교류, 그리고 인륜·사회적 교류 체험을 중심으로 따져보았다. 첫째, 최치원은 당나라 유학시절 7년 동안 학문에 열중하면서 많은 문사들과 교분을 맺었다. 이를테면 오만, 양섬, 전인의, 장교, 오첨, 고운 등과 시적 교감을 나누었던 것이다. 특히 고운은 최치원과 막역한 학문적 교류를 나누었던 문사였다고 하겠다. 따라서 그의 한시 속에는 당시 문사들과의 정서적 교감, 이른바 학제·학문적 교류 체험이 들앉아 있다. 둘째, 최치원은 당나라에서 율수현위 1년, 고변의 종사관 4년의 관직생활을 하면서, 많은 관료들과 교류했다. 이를테면 배찬과 고변, 그리고 우신미와 이전 장관 등과 시적 교감을 나누었던 것이다. 이 가운데 고변은 최치원의 입신과 영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하겠다. 이렇듯 그의 한시 속에 나타난 관료들은 서로의 친밀감을 확인하는 정신적 기저에서 행정‧외교적 교류의 체험까지 내포하고 있다. 셋째, 최치원은 재당 시절을 거쳐 귀국 이후 신라에서 불사의 저작에 관여하면서, 불교 관련 인물들과도 많은 교류가 있었다. 최치원의 한시 속에는 각별한 승려들과의 정서적 교감, 이른바 이념·사상적 교류 체험이 들앉아 있다. 이를테면 지광, 호원, 희랑 스님을 비롯해 여러 사찰의 승려들과 시적 교감을 나누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의 한시 속에는 각별한 승려들과의 정서적 교감, 이른바 사상·이념적 교류 체험이 들앉아 있다. 넷째, 최치원은 일생 동안 혈연과 지연으로 맺어진 인물들과도 잦은 교류가 있었다. 특히 최치원의 한시 속에는 벗과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있다. 이렇듯 그의 삶과 문장은 인륜‧사회적 교류의 차원에서 당대 여러 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최치원은 여러 문사, 관료, 승려, 벗들과 인간관계를 맺었고, 한시를 통해 친분을 나누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최치원의 한시에는 인정(人情)의 세계뿐 아니라 문화교류의 현상을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I focused on Choi Chi-won's character and cultural exchange phenomena, especially those that he portrayed as Chinese Poem, focusing on his academic and academic exchanges, administrative and diplomatic exchanges, ideological and social exchanges, and experiences. First, Choi Chi-won spent seven years studying abroad in the Tang Dynasty, engaging with many literary people. For example, they shared poetic feelings with Oman, Yangseom, Jeon Inwe, Jangkyo, Ochum, and Goun. In particular, fine art was a scholar who shared academic exchanges with Choi Chi-won. Therefore, his poems include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literati and so-called academic and academic exchanges. Second, Choi Chi-won has interacted with many bureaucracy during his four-year tenure as a member of the party's current affairs and officialdom. For instance, he shared poetic sympathy with Baechan, Gobyeun, and Woosinmi. Among them, Gobyeun had a great influence on Choi Chi-won's status and his youth. The bureaucrats who appeared in his poems include a mental basis for checking each other's closeness to experience administrative and diplomatic exchanges. Third, Choi Chi-won was involved in Buddhist monk in Silla after returning home from the time of his reign, and had a lot of interaction with Buddhist monk. Choi Chi-won's poems include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monks and experiences in ideological and ideological exchanges. For example, they shared poetic feelings with monks from various temples, including Jigwang, Howon, and Hyirang. Therefore, his poems include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monks and experiences of ideological and ideological exchanges. Fourth, Choi Chi-won has had frequent exchanges with figures who have been related and delayed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Choi Chi-won's poems reveal the meaning of life through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people around him. As such, his life and style influenced many people of his time in terms of human and social exchanges. In the end, Choi Chi-won mad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various writers, bureaucrats, monks, and friends, and made friends through Chinese poems. In this regard, Choi Chi-won's poem contains not only the world of recognition but also the phenomenon of cultural ex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