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순우 선생의 석탑과 석조 미술사 연구

        소재구 ( So Jaego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최순우(崔淳雨, 1916-1684) 선생은 평생을 국립박물관에 재직하면서 국립박물관의 초석을 다진 분이다. 또한 한국 미술사학계의 원로학자로서 수많은 연구논문과 글을 남겨 온 국민과 후학들에게 우리의 전통 문화예술이 간직해온 위상을 일깨워주었던 선구자이다. 선생이 남겨 놓은 수백 편의 글 중에서 석조미술에 대한 논고는 극히 드물다. 아마도 당시의 사회에서 한국 전통 미술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공예와 회화 및 조각 분야에 많이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지 결코 석조미술에 식견이 없었던 것은 아니라고 생각 된다. 그 예로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등에 대한 논고를 읽어보면 한국불탑 조성의 발자취와 그 시대적 특징을 조목조목 정리하는 가운데에서 선생의 식견을 피력하고 있어 이 분야에도 상당한 관심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선생은 석조건축이나 석조미술 분야의 연구 대상물 중에서도 조형적 창의성과 조성기법이 탁월한 작품에 관심이 많았던 것 같다. 그 예로 불국사 석조기단의 특수한 설계나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에 보이는 부조 장식과 석사자를 응용한 기둥 등을 언급한 내용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생이 세상을 떠난 지 30 여 년이 지난 지금도 불국사 다보탑의 조형적 분석과 미술사적 해석이 전무한 상태이며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도 조성시기의 편년에 약간의 진전이 있었을 뿐 탑 조형의 해석에는 설득력 있는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삼국시대에서 백제의 미륵사지 석탑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조형적으로 어떤 관련이 있으며 어떤 진전의 이행이 있었는지조차도 뚜렷이 밝혀진 바가 없다. 심지어 통일신라시대에 들어 석탑의 기단이 어떤 연유에서 2 층 기단으로 정형화 되었는지도 연구된 것이 없다. 선생이 극찬을 아끼지 않았던 불국사의 대석단(大石壇) 또한 그 조성 연원과 조형의 의미가 무엇인지 아직도 학계에서 풀리지 않는 과제로 남겨져 있다. 이 글에서는 선생이 관심을 가졌던 대표적인 석조문화재인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과 불국사 대석단에 대하여 필자가 갖고 있는 새로운 시각의 조형적 분석을 실험적 차원에서 시도하였다. 예를 들면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의 사자형 석주 조형의 연원을 고대 중국의 석비상의 사자장식 대좌의 조형에서부터 검토하였으며 불국사의 대 석단은 중국 및 아시아의 남방 수변건축에서 그 조형의 연원을 찾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불국사 다보탑과 석굴암 본존상의 조형이 의미하고 있는 통일신라 전성기의 남방 선진문화 도입의 양상도 풀어보았다. 우리는 석탑의 석조미술사를 연구해오면서 석조물 구조의 변화에만 골몰하여 모든 석조문화재의 조성시기의 연구에만 치중하였다. 그러나 지금부터는 조형의 의미를 분석하고 조형적 특징이 보여주는 시대적 문화양상을 역사적으로 재해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몇 가지 더 조형적인 재해석이 요구되는 석조분야의 장식기법에 대하여 새로운 의견을 피력하였다. Director General Choi Sun-woo(崔淳雨, 1916-1684) is the founder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he spent his entire life at the National Museum. And also as a senior scholar in Korean art history, he is a pioneer who have left countless research papers and writings that our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have been preserved. But his work on stone art history is rare. Perhaps it was because there was a lot of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art culture in the society at the time, focusing on craft, painting and sculpture. I do not think that he was not interested in stone art at all. For example, in his treatise on the stone stupas, he explained the footsteps of the creation of the Korean stupa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ch period. He was also considerable interest in this area. Among the objects of study in stone architecture and stone art field, he was especially interested in works with excellent formative creativity and creation techniques, for example, the special design of the stone foundation on the Bulguk-sa Temple and the relief and lion decoration on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of Hwaeom-sa Temple. However, even after more than 30 years since he left the world, there has been no formative analysis of the stone art and architecture in Bulguk-sa Temple. The lion-decoration stone stupa in Hwaeom-sa Temple has also made some progress on the study of construction period, but there is little persuasive research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 molding. In addition, there was no research on the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tupa of the Mireuk-sa Temple-site and Five storied stupa of the Jeongrim-sa Temple-site of Baekje. Even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re is no study on how the base of the stone stupa has been stylized to the double floor. The grand stone base of Bulguk-sa Temple, which he did not care for his praise, is still left unsolved. In this paper, I tried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my new perspective on the lion-decoration three-storied stone stupa of the Hwaeom-sa Temple and the grand stone base of Bulguk-sa Temple which he was interested in. For example, the lion-decoration three-storied stone stupa of Hwaeom-sa Temple were examined from the molding of the lion-decoration pedestal of the ancient Chinese stone statue and I researched the formative origin of the grand stone base of Bulguk-sa Temple in the southern waterside architecture of China and Asia. In addition to this, on the aspect of the Dabo-tap stupa of Bulguk-sa Temple and the prime statue of Seokgul-am Temple, I also suggested introduction of the advanced culture of the southern advanced Asia and China in Unified Silla period. Finally, I gave a new opinion on the decoration technique of the stone art field which requires some more formative reinterpretations.

      • KCI등재

        최순우 선생의 회화사 연구

        이원복 ( Lee Won Bok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국립중앙박물관 4 대 관장을 역임한 崔淳雨(1916-1984)는 국립박물관에 40 년 넘게 봉직한 博物館人으로 문화예술 행정가이자, 큰 美術史學者이다. 그의 繪畵史 연구업적은 ‘한국미술 5 천년전’ 국외전시, 1972 년과 1977 년 개최한 ‘한국회화 5 백년전’과 ‘국립박물관소장비장회화특별전’ 등 수많은 전시기획, 資料發掘調査, 발표한 논고, 그 나름의 독자적으로 개척한 문화재관련 수필 등을 통해 확인된다. 회화사는 陶磁史와 함께 그의 연구에서 비중이 크다. 첫째, 현존하는 조선시대 그림 전체에 대한 聚合에 각별한 관심과 이에 대한 일련의 사업들을 들게 된다. 연구에서 가장 긴요한 기초 작업으로 개인소장 서화와 寺刹 내 佛畵照査 두 사업을 각기 5년씩 연차적으로 기획했다. 둘째, 조선시대 회화사적 비중이 큰 조선중기 화풍을 연 金禔(1524-1593)와 李慶胤(1545-1611)의 작품발굴이 주목된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인 보물 제 783 호 <童子牽驢圖>와 호림박물관 소장 20점으로 된 화첩 내 9 점에 화가와 동시대를 산 선배 崔笠(1539-1612)이 1598 과 1599 년에 직접 쓴 跋文과 讚詩가 있다. 화적이 드문 李楨(1578-1607)의 실경과 관념의 두 산수화첩,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된 문인화가 鄭遂榮(1743-1831)이 금강산을 그린『海山帖』등 한둘이 아니다. 조선 말 김수철과 洪世燮(1832-1884), 李喜秀(1836-1909)의 발굴은 새로운 감각으로 이異色畵風으로 지칭되는 전통회화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시사점이 큰 화가들이다. 이들 작가에 대해선 박물관 내 李泰浩, 李源福 등 후학에 의해 본격적인 논고로 발표되었다. 작품발굴은 국외까지 이어져 미국 필라델피아 박물관 소장 李巖(1507-1566) 계열의 <狗子圖>, 영국 대영박물관의 肖像畵 草本과 불화도 있다. 셋째, 그는 우리나라 회화 전반에 대해 통시대적으로 살피되 일반회화 외에 불화와 民畵, 현대회화 평론까지 참여했습니다. 한국동란으로 부산 피난 중에 ‘제 1 회 현대작가 초대전’(1953.5.1-5.31)과 ‘한국현대회화 특별전’(1954.1.1-1.31)을 열기도 했다. 이들 그림을 함께 살필 때 우리 옛 그림의 眞面目이 드러난다고 보았다. 고대 한국회화 발달의 요람이 초기 불교회화에 바탕을 두었고 고대회화인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조선초기부터 말기까지 화가를 망라해 시대별, 화가별 화풍의 특징을 추출했다. 넷째, 공예분야의 연구와 더불어 도자가 문양의 繪畵性을 일찍이 간파했다. 그림의 전래가 드문 고려와 조선 초기에 있어 이들을 工藝文樣을 회화사의 補完資料로 원용한 점을 들게 된다. 다섯째, 국립박물관을 비롯해 사립박물관과 수많은 개인 소장품 등, 매 작품마다 오랜 세월 장기간에 보고 또 본 후 주도면밀하고 철저한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과 작가를 간결하고 길지 아니한 문장으로 요약하고 정리했다. 일견 짧은 에세이이나 그 안에 쉽고 아름다운 文體로 서술하여 읽는 이에게 美感의 본질에 도달케 한다. 우리 조형예술 전반에의 따듯하며 예리한 시선으로 찾은 공통분모는 같은 한자문화권의 동질성을 전제로 살펴 편협하지 않은 國際的 시각이 아니다. 風土와 미감의 차이에서 빚어진 미적 差別性까지 살폈다. 결국 우리 회화의 독자성과 특징 나아가 韓國美의 특징의 추출로 귀결된다. As a fourth Director of National Museum of Korea, Choi Sunu(崔淳雨,1916-1984) had been dedicated himself to the museum over 40 years and now known as a diligent Museum Man, Culture and Art Administrator and great Art Historian. His achievements on Art History are remarkable from international exhibition ‘Korean Arts in 5000 years’, domestic renowned exhibitions such as ‘Masterpieces of 500 Years of Korean Painting’, ‘Korean Paintings selected from collection of the National M useum - to be shown for the first time to the public-’ in 1972 and 1977. Apart from those results, his personal researches on art histories, documentations and research essays show his great interest on museum and its material cultures. Art History is one of his main research areas as much as history of Celadon. First of all, Director Choi did gather all exist paintings of Joseon and had been organised several works for these paintings. As a pivotal base works for his research, personal collections of Joseon Paintings and paintings that owned by temples were thoroughly studied in five years terms. Second, Choi focused on painters Kim Si(金禔,1524-1593) and Lee Kyeong Yoon(李慶胤,1545-1611) who both are crucial to understand intermediate term of Joseon Period. To a certain extent, Director Choi also uncovered Choi Rip(崔笠,1539-1612) who directly wrote poet on painting in Horim Museum and Leeum, Samsung Museum of Art and Lee Jeong(李楨,1578-1607) whose writings are rarely found and Jeong Soo Young(鄭遂榮,1743-1831) who draw Mount. Geumgang. Painters such as Kim Soo Chul, Hong Se Sup(洪世燮,1832-1884), and Lee Hee Su(李喜秀,1836-1909) whose works were mainly found in late Joseon are all famous for unique style which suggest the provision of traditional paintings. Those painters are all highlighted by younger researchers Lee Tae Ho, Lee Won Bok from National Museums. Third, Choi rigorously overviews not only traditional paintings of Korea but also Buddhist, Folk, and Modern paintings. ‘The First Invitation Exhibition of Korean Modern Paintings(1953.5.1-5.31)’ and ‘Special Exhibition of Korean Modern Arts(1954.1.1-1.31)’ had been organised in Busan even during the Korean War. Fourth, with the research on crafts, Choi comprehended the artistic perspectives of Celadon. As of its uniqueness of paintings in Goryeo and Joseon, it is hard to be descended for long time and so Choi tried to use the craft arts to understand the paintings. Finally, Choi’s summaries on paintings from national, private museums and even from personal collections are simply made based on thorough researches on them that helps readers comprehend real value of paintings. His researches on Korean paintings are well shown its traditionality and distinctiveness of original but unique Korean styles, not just like other Asian painting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최순우 선생의 생애와 학문세계

        문명대 ( Moon Myeo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이 논문은 최순우 선생의 학문적 생애와 업적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본 글이다. 선생께서 걸어간 생애와 업적을 학문적으로 정리하는 것도 일정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좀 더 깊이 있는 논의가 있기를 고대해 마지않는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혜곡 선생은 평생을 시종일관 국립박물관에서만 근무했던 최초의 진정한 박물관맨이고 학문적으로 한국미술사를 개척한 개성 3 걸 가운데 맏형이다. 특히 한국도자사와 한국회화사를 한국 처음으로 전공한 개척자일 뿐만 아니라 우현 고유섭 선생에 이어 한국미 탐구를 진정으로 체득한 유일한 선구자로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선생의 탄생 100 주년을 맞아 선생의 학문적 생애와 업적을 간략하게나마 선생의 영전에 올릴 수 있게 된 점, 제자의 한사람으로 기쁘게 생각하며 더욱 감사말씀을 올린다. This study is a brief review of Choi Sun-wu's academic life and achievements. I think it is also meaningful to organize his academic life and achievements with which he went through. Based on this, I look forward to a more in-depth discussion. As I put an emphasis once again, Hyegok is the first true museum man who has been working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or the rest of his life, and he is the eldest brother of the three Gaesung outstanding figures who pioneered Korean art history academically.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his being a pioneer in Korean ceramics history and Korean painting history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t is accredited by everyone that he is the only pioneer who has truly experienced the exploration of Korean beauty following Wu-hyeon Ko Yu-seop. In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as one of the disciples, I am pleased to be able to place brief explanations of his academic life and achievements before the spirit of the forerunner, and I would also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him.

      • KCI등재

        전체를 통한 예술의 성찰 -조요한의 한국미 탐구를 중심으로-

        목수현 ( Soo Hyun Mok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5 No.-

        이 글은 이경 조요한(1926-2002)의 10주기를 맞이하여 그를 추모하면서 그의 예술철학에서 한국미술에 대한 관심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조요한은 철학자로서 그리스철학에 천착하여 서양 고대 철학자들의 예술관을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했지만, 그가 현재 마주 하고 있는 한국미술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조요한은 예술을 대할 때 이론으로서보다는 작품을 중심으로 한 예술론을 추구하였다. 그가 작품을 중심으로 예술을 생각한 것은 화가 김환기나 미술사학자 최순우 등과의 교유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 그는 미술사학자고유섭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았으며 무용가 최승희의 춤, 안견과 정선의 그림, 성삼문과 박팽년의 시조, 정철의 가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한국예술에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조요한은 한국적 조형미의 역사성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고유섭이 한국미에 대해 이야기한 ‘무기교의 기교’ 개념에서 ‘비균제성’과 ‘자연순응성’ 개념을 추출해 내었으며, 한국문화의 뿌리가 무교(巫敎)에 있다고 보고 ‘신바람’ 개념을 이끌어내었다. 따라서 그의 이러한 연구는 한국미술사와 미학을 연계하는 미술사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데로 나아갔다. 그는 한국미술사에서 양식적 흐름에서 시대를 관통하는 정신을 찾아내고자 하였으며, 한국의 미술을 자체의 흐름만으로 보고 독자성을 주장하기보다는 일본, 중국 등 주변국은 물론 동양과 서양의 비교를 통해 객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Yohan Joh`s interest in Korean arts in his philosophy of art, commemorating the memory of Yohan Joh(1926-2002) in the 10th anniversary of his death. Although he, as a philosopher, began with observing Western ancient philosophers` concept of art by searching the philosophy of Greeks, he had a keen interest in Korean arts that he faced. Yohan Joh sought the essay on art focusing on the works of art rather than theories while facing art. His association with Whanki Kim, a painter, Soonwoo Choi, an art historian or etc.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him think of art by focusing on the works of art. In addition, he was influenced from Yuseop Goh, an art historian and interested in Korean fine arts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dance performed by Sunghee Choi, a dancer, paintings by Angyoun and Jungsun, the shijo by Sammoon Seong and Paengnyun Park, the words by Jungcheol and etc. Yohan Joh made efforts to arrange the historicity of Korean aesthetic value. He abstracted the concepts of ‘asymmetry’ and ‘natural adaptation’ from the concept of ‘skills of non-skills’ in which Yuseop Goh mention Korean beauty and drew the concept of ‘excitement’ by considering that Korean culture had originated from Shamanism. Therefore, his such research was centered in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of art history that linked Korean art history and aesthetics. He attempted to the spirit penetrating a time in the flow of styles in Korean art history and insisted for the objectification through the comparison with surrounding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and etc. as well a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rather than maintaining the identity by observing the flow of Korean art itself.

      • KCI등재

        고유섭과 최순우의 한국미 담론과 미학 비교

        심영옥(Sim, Young 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4

        한국 미술문화 전반에서 한국미의 특색을 규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국미의 특색으로 규정된 용어들은 대체로 고유섭과 최순우의 담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그만큼 한국미를 연구하는 데는 두 사람이 영향이 큰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유섭과 최순우가 어떤 가치와 의미를 가지고 한국미의 특색을 도출하고 담론을 이끌어내었는지 두 견해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사람의 견해를 살펴보면 사용한 용어는 비록 다르지만 본질적인 의미는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한 의미에서 고유섭과 최순우의 견해가 유사한 용어들을 대입시켜 그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미의 특색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한국미의 특색에 대해 고유섭은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 민예적인 것 , 비정제성 , 무관심성 , 구수한 큰 맛 , 기술적인 면의 상감기술 을 꼽았으며, 최순우는 같은 맥락으로 은근의 미 , 담조의 미 , 고요와 익살의 미 , 순리와 분수의 미 , 백색의 미 , 청자비색, 곡선, 상감기법의 독자적인 아름다움 을 꼽았다. 하지만 두 사람이 말한 한국미의 특색은 각각의 특색이 개별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집합을 이루며 결국 특색 하나하나가 합쳐져서 한국미의 특색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다. It is thought that because it is a very important matter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it has been studied by many scholars. However, those terms which ar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so far have never been contrary from the discourse of Yuseop Koh and Soonwoo Choi on the whole.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s opinions to understand what value and meaning they have had in order to draw a conclu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It is shown that we can realize after examining their opinions that the terms they used are different but that essentially they are not so different in meaning. In that sense, the writer tried to m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more precisely understood by substituting those terms in which they have the similar opinion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Yuseop Koh pointed out technique with no techniques, planning with no planning , something that is folk art , no refining , indifference , delicate big flavor , and inlay techniques of technical aspect while Soonwoo Choi in the same context picked the beauty of secrecy , the beauty of serenity , the beauty of quietness and humor , the beauty of rationalism and discretion , the beauty of white , and the unique beauty of celadon s jade green color, its curve, and inlay . It is revealed, however, that what they talk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was, each characteristic did not mean individually, but that they compose the intersection of two sets and eventually each of the characteristics are gathered up, resulting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 KCI등재

        1960년대 모더니즘 건축과 도자기 벽화, 예술의 종합과 건축의 전통론

        조현정 미술사학연구회 2019 美術史學報 Vol.- No.53

        Chung Kyu’s ceramic murals installed on Kim Swoo-geun’s buildings, such as O-yang Building(1963), Woo-suk University Hospital(1963), and Freedom Center(1964), can be situated at the intersection between an utopian aspiration of the synthesis of the arts and the modernization projects of traditional Korean ceramics. If the exposed concrete walls of modernist buildings provided Chung Kyu with a stage for experimenting a new potential of ceramic arts, colorful mural works imbued Kim Swoo-geun’s international style building with a sense of vitality and localit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llaborations between Chung Kyu and Kim Swoo-geun within the growing interest in folk art in Korean art and architecture scenes, with Choi Sunu as the central figure. It is my contention that Kim Swoo-geun’s fascination with Korean folk art constituted an essential element of his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 which would eventually offer a source of inspiration for his architectural thoughts. The collaborations between art and architecture through mural works, however, were short-lived. Entering the 1970s, Kim Swoo-geun stopped designing concrete building in Brutalist style, which offered a background for ceramic murals, and Chung Kyu could not continue his ceramic work due to his premature death in 1971. Nevertheless, their collaborations occupied a significant place in art and architecture history in that they attempted to contribute to urban spaces with the increasing awareness of publicness. 1960년대 서울의 도시 공간에 등장한 도자 벽화는 해방 후 건축을 중심으로 한 예술의 종합에 대한 유토피아적 열망과 한국 도예의 현대화 기획이 만나는 지점에서 생산되었다. 1960년대 중반 한시적으로 존재했지만, 모더니즘 건축의 벽면을 장식한 대형 도자 벽화는 건축가와 미술가가 함께 예술의 공공성에 대한 선구적인 인식을 토대로 도시 공간에 기여한 중요한 역사적 사례이다. 이 글은 건축가 김수근과 화가이자 도예가 정규의 협업을 중심으로 벽화의 미술사적, 건축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도자 벽화는 화가 정규에게 도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실험할 수 있는 무대를 제공했고, 건축가 김수근에게는 노출 콘크리트의 국제주의 건물에 조형성과 지역성을 더해주었다. 필자는 최순우를 중심으로 한 당대의 민예론 속에서 도자 벽화를 논의하고, 나아가 이를 김수근 전통론을 이해하는 길잡이로 삼고자 했다

      • KCI등재

        인물관계로 본 ‘운보의 집’ 정원의 조영과정

        신현실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운보의 집 정원 조영과 관련된 인물의 사상과 주요행적 및 정원조영에 미친 직ㆍ간접적 영향 등을 인터뷰와 관련자료 비교분석을 통해 공간조영에 미친 관련 인물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보의 집 정원 조영에 직접적 관련자들은 우리나라에서 문화재와 전통예술 분야의 대표적 인물들로 전통공간에 대한 전문가적 식견과 풍부한 경험으로 운보의 집을 전통공간으로 창조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운보의 집 정원조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운보 김기창은 부지선정, 입지선정 및 주요 정원식물 식재와 전통조경시설물의 설치에 영향을 주었으며 혜곡 최순우는 김기창의 부탁을 받아 와본 김동현을 설계자로 추천하고 전체계획에 관여한 인물이다. 와본 김동현은 주택설계 및 공간설계와 연못 등 주요시설물 설계를 담당하였다. 둘째, 간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부인 우향 정래현은 김기창이 정원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노산 이은상, 화가 이석호는 운보의 집에 현판을 지어주었다. 이 글의 주제들은 창작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랜 기간 운보와 함께 한 김형태와 운보의 아들 김완은 운보의 집 정원 변화과정을 지켜보고 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다. 셋째, 인물들이 조영에 영향을 미친 주요요인으로 운보 김기창은 철저한 기록정신과 어머니와 아내에 대한 그리움이 부지선정과 정원의 향 설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미술세계에서 드러난 전통산수에 대한 인식, 전통 점경물 등의 상징성 부각에 영향을 주었다. 혜곡 최순우는 그의 전통적 의식과 경험을 운보의 집 조영에 반영하였으며 와본 김동현은 연경당을 모티브로 한 전통건축의 기본틀을 적용하면서도 장애에 대한 배려와 독창적 변화를 주었고, 동궁과 월지 발굴을 통해 습득한 연못의 입수시설 등을 전통조경 설계에 반영하였다. 노산 이은상과 이석호는 운보의 집 공간에 내재된 고유의 장소성을 완성시킨 인물들이다. 김형태는 운보의 집 정원공간 변화에 관여하였고 운보의 아들 김완은 김기창에 이어 운보의 집을 경영하였다. The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basic data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s of the garden in Unbo's House. Through interviews and related data comparison analysis the ideas and major events of the person involved in establishing a garden in Unbo’s House. Also, deriv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se people on garde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directly related to garden in Unbo's House are representative figures of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art in Korea. Based on their expertise and abundant experience in traditional spaces, they contributed greatly to the creation of Unbo's House as a traditional space. Unbo Kim, Gi-Chang who directly influenced Unbo's House gardening, which affected the site selection, loc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major garden plant plants and traditional landscaping facilities. Hyegok Choi, Soon-Woo recommended Wabon Kim, Dong-Hyun at the request of Kim Ki-Chang and was involved in the overall plan. Housing design, space design and design of major facilities such as pond were confirmed Wabon Kim Dong-Hyun. Second, Kim, Gi-Chang’s wife Jeong, Rae-Hyun, who motived to construct a garden. Nosan Lee, Eun-Sang and Korean artist Lee, Seok-Ho were created a signboard and board of the Pillar to encourage simple life in paintings. The themes of the article motived image as creative. In addition, Kim, Hyeong-Sik and Kim, Wan who son of Unbo, has been with Unbo for a long time, watching and influencing garden changes in Unbo's House. Third,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garden by character are as follows. Unbo Kim, Ki-Chang had a thorough record-setting spirit and his longing for his mother and wife affected the selection of the site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garden. His art world with the symbolic emphasis of traditional landscapes, including traditional facilities, and especially plant materials. Choi, Sun-Woo reflected his traditional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in the construction of Unbo's House. Kim, Dong-Hyun applied the basic framework of a traditional building based on Yeonkyongdang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He also reflected on the traditional landscaping design the facilities of ponds acquired through excavation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Gyeongju. Nosan Lee, Eun-Sang and Lee, Seok-Ho completed their unique place in Unbo's House. Kim, Hyung-Sik wa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 while Kim Wan ran the Unbo’s House which he inherited from Kim, Ki-Ch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