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전 기반 최소대립쌍 검색 도구

        김태훈(Tae-Hoon Kim),이재호(Jae-Ho Lee),장문수(Moon-Soo Cha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4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4 No.2

        최소대립쌍이란 한 음소의 차이만으로 다른 의미를 갖는 단어의 쌍을 말한다. 본 논문은 최소대립쌍을 이용한 국어음운학 연구의 효율성을 위해 최소대립쌍 검색도구를 제안한다. 검색 도구 개발에 앞서 기존 프로그램과 몇 가지 비교 분석을 통해, 개발해야할 한국어 최소대립쌍 검색 도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검색도구는 컴퓨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국어학자를 위해 키보드 입력을 최소화한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효율적인 최소대립쌍 연구를 위해 분류 검색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면밀한 최소대립쌍 연구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성능 향상을 위해 유니코드 분석으로 음소를 분리하여 사전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고, 검색의 효율성을 위해 사전 구조를 최적화한다. 검색 알고리즘은 음절 개수를 이용한 해시 탐색으로 검색 속도를 높인다. 제안하는 도구는 초기 버전에 비해 사전 변환 속도는 5배, 검색 속도는 3배 향상되었다. The minimal pairs mean the pairs that have same phonotactics except just one sound in the sequences cause different lexical items. This paper proposes the searching tool of minimal pairs for efficiency of phonological researches with minimal pairs. We suggest a guide to develop Korean minimal pair searching programs by comparing to other programs. Proposing tool has user-friendly interface, minimizing key inputs, for linguistics who are not fluent in computer programs. And it serves the function which classifies the words in dictionary for the detailed researches. And for efficiency, it increases speed of dictionary loading by separating syllables through Unicode analysis, and optimizes dictionary structure for searching efficiency. The searching algorithm gains in speed by hashing algorithm using syllable counts. In our tool, the speed is improved more than earlier version about 5 times at converting dictionary and about 3 times at searching.

      • KCI등재

        국어 최소대립쌍의 설정에 대하여

        이진호(Lee Jin-Ho)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7

        It needs many factors for a good selection of minimal pair, but has not been paid sufficient attention to this problem. Rigidly, two words composing the minimal pair must have equal conditions except for the sound compared. That is, the number of phoneme should be same and the major class of the compared phonemes cannot be different. In addition, the number and the kinds of morpheme have to be equal. If there is some unequality in these conditions, the meaning distinction between two words composing the minimal pair cannot be considered as due to sound itself, so it doesn’t satisfy the definition of minimal pair.

      • KCI등재

        정도성에 의한 음소 대립

        김봉국 한국방언학회 2013 방언학 Vol.0 No.18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gradual opposition on phoneme in Korean regional dialects. There is not only privative opposition but also gradual opposition in Korean. This study especial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gradual opposition through dialect data. In Korea, Gradual opposition on phoneme is classified by phonological environment, utterance situation, lexical diffusion. 이 글은 실제 다양한 방언 자료를 검토하면서 음소들의 대립 여부를 정도성에 의한 대립으로 볼 가능성이 있음을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음소의 대립 관계에 대해 방언 자료를 검토해 보면 단순히 유무 대립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정도성에 의한 대립도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정도성에 의한 음소 대립은 다시 음운론적인 환경에 의한 대립, 발화 상황에 의한 대립, 그리고 어휘 확산에 의한 대립으로 나뉘는데, 방언 자료의 구체적인 예를 통해 정도성에 의한 대립 여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최소대립쌍을 이용한 한국인 학습자의 프랑스어 모음 지각 양상 연구

        김선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0 프랑스어문교육 Vol.69 No.-

        본 논문은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모음 체계의 차이를 근거로 설계한 최소대립쌍을 이용하여 프랑스어 모음에 대한 한국인 학습자들의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을 위하여 전체 모음을 개구도와 조음위치를 기반으로 모음군으로 묶고, 이 모음군을 기준으로 최소대립쌍 484개로 구성된 분별 테스트와 197개의 최소대립쌍으로 구성된 식별 테스트를 만들었다. 실험은 웹기반으로 개발된 분별 테스트와 식별 테스트 페이지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참여자로는 능숙도를 구분하지 않은 18명이 참여하였다. 실험 결과 분별 테스트와 식별 테스트에서 모두 후설모음군과 중저모음군의 순서로 지각 정확도가 낮게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프랑스어 모음의 특징인 전설성, 원순성, 비음성, 그리고 중모음의 이중 개구도 가운데 중모음의 이중 개구도와 관련된 것으로 이중 중모음의 구분에서 어려움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높은 지각 정확도를 보이는 참여자들의 경우에도 개별적으로는 정확도가 낮은 모음군에 있어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을 통하여 한국인 학습자들이 청취에 어려움을 느끼는 프랑스어 모음 대립쌍을 규명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발음 듣기 훈련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et article vise à examiner la perception des voyelles françaises par les apprenants coréens en utilisant des paires minimales. Les expériences de perception se composent de tests de discrimination, qui consistent en 484 paires minimales, et de tests d'identification, qui consistent en 197 paires minimales. Les expériences sont menées sur des pages web développées en coréen. Au total, 18 étudiants ont participé aux expériences sans tenir compte de leurs niveaux de compétence. Les résultats montrent que la précision de perception était faible pour les groupes de voyelles postérieures-arrondies et pour les groupes de voyelles mi-basses dans les deux types de tests. D'autre part, malgré la haute précision de perception en moyenne, chaque participant dénote une faible précision sur différents groupes de voyelles. Ainsi, cette étude contribuera au développement d'un système de formation à l'écoute de la prononciation pour les apprenants du français en général.

      • KCI등재

        한국어 초, 중, 종성 혼돈 단음절 최소대립쌍 (CVC)에 대한 정상 성인의 지각경계 연구

        이성민,임덕환,Lee, Sung-Min,Lim, Duk-Hwan 한국음향학회 2010 韓國音響學會誌 Vol.29 No.5

        청각 범주지각 (categorical perception)은 언어적 자극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특징적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혼돈되기 쉬운 한국어 초성, 중성, 종성 최소대랍쌍의 지각경계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서 단음절어 최소대립쌍(consonant-vowel-consonant, CVC)인 /곰-공/, /논-눈/, /돈-논/을 물리적 에너지 관점에서 11가지 단계 (index)로 구분하여 변환하였다. 그리고, 정상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지각경계 패턴, 지각경계 기울기, 지각경계 폭, 비우위 지수(non-dominant factor)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에서 대립쌍들은 범주지각 과정에서 대립쌍 상호간에서 상대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자료에서는 중성 최소대립쌍의 경우가 범주지각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분석 과정이 청각기능 평가 등에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tegorical perception has been noted as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linguistic stimuli. In this study, Korean monosyllabic minimal pairs (consonant-vowel-consonant, CVC) were analyzed to understand perception boundaries between clinically confusing words. An efficient scheme has been developed to systematically synthesize temporal transition waveforms (11 steps) from one word to the target word for the pairs of /gom/-/gong/, /non/-/noon/, and /don/-/non/. The corresponding slopes, widths, and non-dominant factors of perception boundaries were analyzed for the total of 40 young normal subjects (20 males and 20 femal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relative pattern differences among confusing monosyllabic minimal pairs under categorical perception. For instance, the vowel difference within CVC pairs led to the lowest boundary performance in this experiment set. Data also indicated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overall procedure for evaluating auditory functions and assisting rehabilitation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의 음운 자격

        장석 ( Zhang Shu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2 No.-

        본고는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의 음운 자격을 밝히려는 연구이다. 2장에서 어원에 따라 한자어에 있는 △과 고유어에 있는 △을 나누어 그들의 음운자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韓國 日母 漢字音의 변화는 ``z > j >Ø``로 보고 日母는 15세기부터 이미 접근음 [j]를 거쳐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대부분 △을 가진 한자어의 중성 자리에 활음 [j] 또는 [i] 모음이 존재했기 때문에 △을 가진 한자어에서 △이 발음될 수 없다. 그리하여 ``신(人):신(信)``, ``일(日):실(室)``, ``육(肉):슉(叔)``을 비롯한 단어들은 서로 최소대립쌍을 이루지 못하고 △을 음소로 볼 수 없다. 또한, 고유어에 있는 △은 형태소 경계와 형태소 내부에 모두 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은 ㅅ에 소급할 수 있고 수의적인 ``ㅅ→△``의 음변화에 의해 생기기 때문에 △과 ㅅ은 변별적 대립을 이루지 못한다. 이에 따라 △은 음소로 보기어렵다.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과 같은 계열에 있는 □, ㅇ은 음운 변화 과정에서의 음성표기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은 음소가 아니고 ``ㅅ>Ø``의 변화 과정에서의 한 음성 표기로 생각한다. This paper makes a phonological study on Semi-dental(△). Chapter 2 makes a phonological study on the △ in Sino-Korean and Korean respectively. The change of Korean ilmo(日母) words is like ``z > j > Ø`` and ilmo began to disappear after becoming [j] since 15th century. Because there was a [j] glide or [i] vowel in the medial of most vocabulary with △, so △ in Sino-Korean vocabulary cannot be pronounced. Therefore the words like ``인(人):신(信)``, ``일(日):실(室)``, ``육(肉):슉(叔)`` are not minimal pairs and △ is not a phoneme. The △ in Korean can appear both in the morpheme boundary and morphemic internal. But since this △ is formed by voluntary phonological rules, △ and ㅅ cannot form a distinctive opposition. Thus we conclude that △ was not a phoneme in Late Middle Korean. In the Late Middle Korean, the ㅸ and ㅇ, which are in the same series with △,can be considered to be phonetic symbols in the phonological change. So the △ is not a phoneme, but a phonetic symbol in the phonological change of ``ㅅ>Ø``.

      • KCI등재

        국어의 반모음은 음소인가

        이동석 ( Lee Dongse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5 No.-

        전통적으로 국어의 음소는 자음, 모음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에는 반모음을 국어의 음소로 인정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음운체계를 기술할 때 반모음 체계 대신 이중 모음 체계를 기술하는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면서 불균형의 문제를 낳는 경우가 많다. 최소 대립쌍의 원리를 통해서는 반모음이 음소인지 이중 모음이 음소인지를 결정하기가 어렵다. 이중 모음의 입장에서 보면, 이중 모음 [we]와 단모음 [ö], 이중 모음 [wi]와 단모음 [ü]는 각각 자유 변이 관계에 있는데, 이를 통해 이중 모음 [we]와 단모음 [ö], 이중 모음 [wi]와 단모음 [ü]가 각각 한 음소의 변이음에 속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이중 모음에서 반모음을 따로 떼어내 음소로 인정하기가 어려우므로, 반모음은 음소가 될 수 없고 이중 모음이 국어의 음소가 된다. 아울러 ‘기- + -어 → [겨:]’나 ‘보- + -아 → [봐:]’와 같은 활용형에서 일어나는 보상적 장음화는 단순히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교체되는 현상이 아니라 단모음의 연쇄가 이중 모음이 되면서 모음의 길이가 길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raditionally, Korean phonemes have been classified as consonants and vowels, but 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recognize semivowels as Korean phonemes. However, this point of view often leads to the problem of imbalance as it maintains the existing method of describing a diphthong system instead of a semi vowel system when describing a phonological system.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a semivowel is a phoneme or a diphthong is a phoneme through the principle of minimal pairs. In terms of diphthongs, diphthong [we] and vowel [ö], diphthong [wi] and vowels [ü] are each in a free transition relationship. It can be seen that each diphthong [we] and vowel [ö], and diphthong [wi] and vowel [ü] belongs to allophones of one phoneme. As shown abov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 semivowel from a diphthong and recognize it as a phoneme, so a semivowel cannot be a phoneme, and a diphthong becomes the phoneme in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compensatory lengthening in verbal inflections such as ‘ki- + -ə → [kjə:]’ or ‘po- + -a → [pwa:]’ is not simply a phenomenon in which vowels are replaced with semivowels, but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chain of vowels becoming a diphthong, resulting in a longer vowel.

      • KCI등재

        경구개음(硬口蓋音)의 음소(音素) 분석

        김현 ( Kim Hy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4

        본고는 국어에서 硬口蓋音 [?, ?, ?']이 /nj, sj, s'j/로 音素 分析되는 절차를 정밀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語尾의 [na]와 [?a], 活用形의 [p'εːs?]와 [p'εː??] 등은 각각 [n, s]와 [?, ?]의 置換에 의한 最小對立雙을 이루지만, 이 단어들의 硬口蓋音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音韻論的으로 /齒槽音-j/로 분석되어 왔다. 본고는 그 근거를 再吟味하고자 하는데 이들이 音素로 설정될 경우, 우선 音配列의 면에서 볼 때 /?, ?, ?', j, w/가 /u, o, i/에 선행할 수 없다는 사실과/?, ?, ?'/가 /j, w/에 선행할 수 없다는 사실을 音韻論的으로 一般化하여 記述할 수가 없다는 점, 交替의 면에서 볼 때에도 語幹末音이 /n, s, s'/에서 /?, ?, ?'/로 변동되는 規則이 音韻規則임에도 불구하고 辨別資質로 기술될 수가 없다는 점을 부각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rocedure of analyzing palatal sounds [?, ?, ?'] into phoneme sequences /nj, sj, s'j/ in Korean. Although some words such as [na] : [?a], [p'εːs?] : [p'εː??] constitute minimal pairs, palatal sounds of these words are evaluated as /alveolar sounds + j / phonologically. If they are analyzed as palatal phonemes, it is impossible to generalize the fact that /?, ?, ?', j, w / can not proceed /u, o, i / and the fact that /?, ?, ?'/ can not proceed /j, w /, related to phonotactics. And related to alternation, it is impossible to formulate the rule changing /n, s, s'/ to /?, ?, ?'/ by means of distinctive features, although this rule needs phonological informations on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