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佛說末羅王經』 大藏經 板本의 文字異同과 性格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7 No.-

        The study focuses on Josungjangbon, Chojojang Namseonsabon, Chojojang Horimbon, Jaejojangbon that are boggakbon of Gaebojang in the woodblock-printed books of Bulseolmalrawanggyung. In the study the differences of letters in them are compared and corrected, and the contents of several woodblock-printed books are examined after the cause of differences on them is analyzed. The abridged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modified letter of Josungjangbon is only one and the character supplemented from the revision of Gaebojang, jeobon of Jusungjangbon, is included after woodcut again as it is. Secondly, the corrected letters of Chojojang Namseonsabon are four and came from Chojojangbon of itself. Thirdly, there are two typos in Chojojang Horimbon, but they were formed from itself. Fourthly, the retouched letters of Jaejojangbon are four, one came from the volume on its own, another was revised same as Josungjangbon, and the others are corrected same as Chojojangbon. Fifthly, Josungjangbon is the bungakbon of the revised book of Gaebojang. Sixthly, Chojojang Namseonsabon is the bungakbon of Gaebojang chobon and its revision, or it is presumed to be the corrected bungakbon of Gaebojang chobon. Seventhly, the first chapter of Chojojang Horimbon is the transcribed and woodcut bopan that makes Chojojang Namseonsabon its jeobon. In additio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are considered to be same woodblock-printed book as Chojojang Namseonsabon. Eighthly, Jaejojangbon is the corrected bungakbon of Gaebojang chobon. 본 연구는 『佛說末羅王經』의 大藏經 板本 가운데 『開寶藏』의 覆刻本인 趙城藏本, 初雕藏 南禪寺本, 初雕藏 湖林本, 再雕藏本을 중심으로 이들 大藏經 板本에 나타나는 文字異同을 校勘하고 文字異同의 원인을 분석한 다음 여러 板本의 性格을규명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趙城藏本의 修訂字는 1件으로서 그 저본인 開寶藏 修訂本에서 補入(補刻)된 문자가 그대로 飜刻 受用된 것이다. 둘째, 初雕藏 南禪寺本의 修訂字는 4件으로서 初雕藏本에서 독자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셋째, 初雕藏 湖林本에는 2件의 誤字가 있는데 初雕藏 湖林本 자체에서 발생된 것이다. 넷째, 再雕藏本의 修訂字는 4件으로서 1件은 再雕藏本에서 독자적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또 1件은 趙城藏本과 동일하게 수정된 것이고, 다른 2件은 初雕藏本과 동일하게 수정된 것이다. 다섯째, 趙城藏本은 開寶藏 修訂本의 飜刻本이다. 여섯째, 初雕藏 南禪寺本은 開寶藏 初本의 飜刻本으로서 그 修訂本이다. 혹은 開寶藏 初本의 修訂 飜刻本으로 추정된다. 일곱째, 初雕藏 湖林本의 제1장은 初雕藏 南禪寺本을 底本으로 해서 筆寫 板刻된 補板이고, 제2장․제3장은 初雕藏 南禪寺本과 同板本으로 판단된다. 여덟째, 再雕藏本은 開寶藏 初本의 修訂 飜刻本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불교의 역경과 대장경 편찬 -송(宋)과 고려의 대장경 편찬을 중심으로-

        박용진 ( Park Yong Jin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5

        본고는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에서 인도 성립의 외래사상인 불교가 중국에 수용되면서, 그 사상의 원천인 불교 경전을 번역하여 경록을 편찬하고, 이를 통하여 대장경을 조성한 전반적인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불교사상과 정전화라는 측면에서 역경국가인 송나라와 이를 수용한 비역경국가인 고려의 대장경 조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송대의 대장경 조성은 『대중상부법보록』, 『천성록』, 『경우신수법보록』을 중심으로 역경과 경록의 편찬 전반을 살펴보았다. 송대의 역경은 비중역(非重譯)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243부 574권이 역출되었다. 그 가운데 대승의 경·율·론이 165부 448권이고, 대승경은 대부분 비밀부이며 123부 228권으로 인도 밀교 수용과 관련이 있다. 송대의 역경과 대장경 편찬의 특징은, 기존 사본 대장경의 정리를 통한 북송관판대장경[북송장]의 조성이 선행되었고, 이후 역경원을 두어 역경 사업을 진행한 점이다. 이 사업을 통하여 번역된 경전은 황제의 칙허를 거쳐 입장하는 한편 대장경의 정장을 보속하는 속장으로 간행되었다. 이러한 역경과 대장경 편찬은 국가 관리를 통한 규정성과 통일성을 갖추어 정전화(正典化)된 것으로 이해된다. 고려의 불교 경전에 대한 정전화 과정은 송나라 대장경 수용과 후속의 경전을 입장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초조장과 재조장의 구성과 입장 경전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고려는 역경을 통한 경록의 제작이나 입장은 없었고, 북송장의 정장과 속장의 수용을 통하여 대장경을 조성하였다. 고려시대의 대장경 조성은 초조장과 재조장으로 나뉘며, 재조장은 1,498종 6,573권이었다. 고려의 대장경 수용과 전개는 대장(大藏)과 교장(敎藏)으로 구분되며,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의 대장경과는 그 구성에 있어 일부 차별적이고 독자성이 있다. 이러한 고려의 대장경 수용과 편찬을 통한 정전화 과정은 북송장과 또 다른 고려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과정과 전개에 해당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the compilation of the Canon catalogs(經錄), and the creation of the Tripitaka.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osition of the Tripitaka of Song Dynasty and Goryeo Dynasty.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The composition of the Song Tripitaka(北宋藏)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the "Xiangfulu(祥符錄)," "Tianshenglu(天聖錄)," and "Jingyoulu(景祐錄)". The translation of Song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non-duplication, and 243 copies of 574 volumes were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ion and the Tripitaka collation of Song are as follows. The Beisongzang(北宋藏) was made through the Kaiyuanlu Tripitaka(開元錄藏). Since then, the Song Dynasty has carried out a translation project with its business office Yeoggyeong- won(譯經院). The process of Canonization the Buddhist scriptures of Koryo is related to acceptance of the Song Tripitaka and subsequent entry into the scriptures. This was analyz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Goryeo Tripitaka-Chojojang(初雕藏) and Jaejojang(再雕藏) and scriptures included. Goryeo did not include the production of the Canon list through translation into classical Chinese, and created the Tripitaka Koreana through the acceptance of the Jungjang(正藏) and Sokjang(續藏) of the North Songs. Tripitaka recognition of Goryeo had recognized to be divided into groups constituted by < Tripitaka with a focus on Sutras, Vinaya, Abhidharma sastras, the three divisions of the Buddhist canon and Kyojang with a focus on Commentary, Courtesy and Biography etc >. In Goryeo, it was deployed Goryeo-daejanggyung(高麗大藏經:the Korean Tripitaka) and Goryeo gyojang(高麗敎藏). In East Asia Buddhist community, this is the uniqueness and particularity with the Goryeo-daejanggyung.

      • KCI등재

        고려대장경의 정치ㆍ사회적 기능과 의의

        박용진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5 동국사학 Vol.59 No.-

        This stsudy analyzed ‘Political-social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Tripitaka Koreana in the Goryeo Dynasty’. This study analyzed political and diplomatic background of Tripitaka import of Goryeo, philosophy that made the Tripitaka, political and social utilization of Tripitaka.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Goryeo imported the Tripitaka in Song(宋) and liao(遼). These Tripitaka became foundation of Chojo-Taejanggyong(初雕藏) and Jaejo-Taejanggyong (再雕藏). Tripitaka imports have international politics correlation between three countries such as Goryeo and Song(宋) and liao(遼). In addition, countries were advocating cultural nation through the Tripitaka making. This study analyzed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authorities’ and ‘purpose of the Tripitaka making from aspect of the inclusion’ for making of Goryeo Tripitaka and national Buddhist. Philosophy that made the Tripitaka pray for peace of the nation and overcome of national crisis in the blessedness of the Tripitaka. In addition, it is the idea that protect the country through the power of Buddhism(佛法治國). Tripitaka was accomplished the political and social function to construct a sense of unity by integrating society with the idea that protect the country through the power of Buddhism(佛法治國) through the Buddhist rituals and temples enshrined. 본고는 고려시대 대장경의 정치사회적 기능과 의의를 분석하였다. 고려가 대장경을 수용한 정치외교적 배경, 대장경 조성의 이념, 대장경의 정치사회적 활용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고려의 대장경 수입은 북송과 요에서 최소 12차에 걸쳐 이루어졌고, 이 대장경이 고려 초조장과 재조장의 근간이 된다. 대장경의 수입은 고려와 송 그리고 요와의 국제정치적 상관성을 가진다. 또한 각국은 대장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국을 표방하였다. 고려대장경 조성의 이념은 대장경의 공덕으로 국난의 극복과 화합평안을 기원한 것으로 불법치국의 이념에 기초한 진호국가의 사상을 담고 있다. 대장경의 정치적 기능은 대장경 관련 국가 불교의례의 설행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고려사』에 수록된 대장경 관련 불교의례는 5종 43회가 개설되었다. 대장경 관련 불교의례는 국가적 불교의례로 설행되었으며 불법치국을 널리 펴는 정치적 성격을 가졌다. 대장경의 사회적 기능은 중앙과 지방의 주요 사원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사회통합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대장경은 국가가 조성한 것으로 왕명으로 반사되어 주요 사원에 봉안되었다. 고려후기에는 재조장이 조성되어 소장처가 확대되었고, 원간섭기에 이르면 왕실이나 권문세족, 더 나아가 군현민의 시주를 통하여 원나라에서 대장경을 구입하여 수장하는 대장경의 소장 범주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고려말에는 재조장에 한정하여 인경되고 유통되었다. 대장경은 고려 일대 불교의례나 사원 봉안을 통하여 불법치국의 이념으로 사회를 통합하고 일체감을 조성하는 정치사회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高麗藏(初雕藏․再雕藏)의 底本에 대한 一考*

        유부현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48 No.-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bottom books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gai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Joseongjangbon, the First Tripitaka Kore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with the existing 13 kinds of Tripitaka Kai bao, and to clarify the bottom book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rough the analysis of Kyojeongbyullok.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s idea is again confirmed that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re the modified ‘bokgakbon’ of Tripitaka Kai bao. Especially for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Sugi, the Buddhist monk, used largely the Songbon as the first bottom book among the Gookbon, the Danbon, and the Songbon, and compared it with the Gookbon and the Danbon to proofread and correct. In addition, the corrected Songbon was used as a ‘deungjaebon’, the bottom book for making woodblocks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nd it seems clear that the scriptures, either missing in the Songbon or with some critical faults, were corrected with the Gookbon or the Danbon as the secondary bottom book. Either this corrected bottom book was used as a ‘deungjaebon’ or a newly carved ‘deungjaebon’ was included or substituted in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erefore, this researcher's argument over the above fact seems to be well confirmed. 본 연구는 현존하는 13종의 개보장본을 중심으로 조성장본, 초조장본, 재조장본의 대조 분석을 통해 초조장본, 재조장본의 저본에 대해서 다시 고찰해보고, 교정별록의 내용 분석을 통해 재조장의 저본에 대해서 분명하게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초조장과 재조장은 개보장의 수정 복각본으로 추정했던 필자의 견해를 다시 한 번 입증하였다. 특히 재조장의 경우 수기법사가 국본․단본․송본 가운데 대부분 송본을 제1차적인 저본으로 삼은 다음 이 송본을 국본․단본과 대교하고, 국본․단본 등에 의거해서 송본을 교감하여 수정하였다. 아울러 이 수정된 송본은 바로 재조장을 간행함에 있어 그 판각의 저본 즉 등재본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송본에 없거나 중대한 결함이 있는 경전은 국본이나 단본 등을 제2차적인 저본으로 삼아 이를 수정하여 등재본으로 삼아 판각을 하거나, 새로 등재본을 마련해서 판각한 다음 재조장에 편입시키거나 대체시켰던 것으로 주장했던 필자의 견해도 분명히 확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御製秘藏詮」 大藏經 板本의 文字異同과 校勘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7 No.-

        In order to help understand better the base edition of Tripitaka, this study examined Eojebijangjeon in 21 volumes, including the supplements, which commonly appeared in three different editions of Tripitaka, that is, Josungjang-bon(or Gaebojang-bon), the reproduction of Tripitaka Kai bao, Chojojang-bon, and Jaejojang-bon. The differences in letters of these three editions of Eojebijangjeon are compared and the types and causes for those differences or errors are analyzed in this stud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t letters of Chojojang-bon of Eojebijangjeo corresponded mostly with those of Josungjang-bon which contained the modified letters from Tripitaka Kai bao. And the differences of letters in Jaejojang-bon of Eojebijangjeon largely represented the original letters of Tripitaka Kai bao, not modified. 본 연구는 「御製秘藏詮」 21卷(부록 포함 21권)의 大藏經 板本을 조사 분석한 다음 「開寶藏」의 覆刻本인 趙城藏本(또는 開寶藏本), 初雕藏本, 再雕藏本을 상호 대교하여 이들 大藏經 板本에 나타나는 文字異同을 校勘하고, 이 文字異同에 대한 類型과 그 원인을 규명한 것이다. 그 결과 「御製秘藏詮」 初雕藏本의 文字異同은 거의 대부분 趙城藏本(開寶藏 修訂本의 覆刻本)과 일치하는 開寶藏의 수정된 문자이었고, 「御製秘藏詮」 再雕藏本의 文字異同은 상당수가 수정되지 않은 開寶藏 원래의 문자이었다.

      • KCI등재

        初雕藏 「御製秘藏詮」 版畵의 底本과 板刻에 대한 硏究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5 No.-

        初雕藏 「御製秘藏詮」 판화에 대한 종래의 학설은 북송의 開寶藏 「御製秘藏詮」 판화를 밑바탕으로 하면서도 독자성을 살리고 보태어 雕造된 것이었다. 따라서 개보장 「御製秘藏詮」 판화와 비교해보면 고려회화의 독자성을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으로 고려 초기의 산수화풍을 짐작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서 평가되어 왔다. 本稿는 이러한 초조장 「御製秘藏詮」 판화의 그 저본과 판각에 대해 종래의 견해와는 다른 입장에서 새롭게 고찰한 것이다. 즉 초조장 「御製秘藏詮」에 삽입되어 있는 판화와 개보장 「御製秘藏詮」 제13권에 삽입되어 있는 4장의 판화와의 전체적이면서 정밀한 대조 분석을 진행한 것이다. 그 결과 초조장 「御製秘藏詮」 판화는 개보장 「御製秘藏詮」의 판화가 그대로 登梓本으로 사용되어 覆刻된 것으로 구명되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초조장 「御製秘藏詮」 판화에 대한 종래의 연구 결과 및 평가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증명하는 하나의 단서가 될 것이다. The existing theory for Eojebijanggeon which is i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is that it was based on Eojebijanggeon, the Tripitaka Kaibao in Buk-Song(北宋), but completed by adding the originality and improving its weak points. Compared with the woodcut of Eojebijanggeon, the Tripitaka Kaibao, it has been recognized as an invaluable material which helps assume the style of landscape painting in the early Goryeo Period. The study presents a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viewpoints, on on the base book and publication for the woodcut of Eojebijangge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This study compares in detail and overall the woodcuts of Eojebijangge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with the four woodcuts in the thirteen volume of Eojebijanggeon, the Tripitaka Kaibao.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woodcuts of Eojebijangge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were engraved, using the woodcuts of Eojebijanggeon, the Tripitaka Kaibao. as their bas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fore, could confirm the need for reexamining the existing theories and research findings on the woodcuts of Eojebijangge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 KCI등재

        高麗時代 ‘大藏經 및 敎藏’ 認識과 그 의의

        박용진 한국중세사학회 2015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2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Goryeo Tripitaka is dual deployed in the ‘Tripitaka and Kyojang’ in comparison with the Chinese Tripitaka of East Asia Buddhist community. Trying to clear this, The study analyzed the system and content of the Goryeo Tripitaka(大藏經) and Kyojang(敎藏). The study analyzed the recording scriptures of Goryeo Tripitaka, Song(宋) Tripitaka and Jin(金) Tripitaka each other. Goryeo published in sokjang(續藏:Goryeo Addenda) while accept the Tripitaka from Song. Among these processes, Goryeo recognized by classifying ‘Tripitaka and Kyojang’.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In order to know the Tripitaka recognition of Goryeo, the study analyzed the Scripture in the <Daejang-mokrok(大藏目錄)> of Goryeo Tripitaka-Chojojang(初雕藏) and Jaejojang(再雕藏). As a result, there were similar configuration and order, some of the scriptures was different. In the Goryeo Tripitaka whether scripture include or not, it was under the control of the country. Tripitaka recognition of Goryeo is a feature has not been included(非入藏) for the the Commentaries(章疏) of various Buddhist Schools(諸宗). Tripitaka recognition of Goryeo had recognized to be divided into groups constituted by <Tripitaka with a focus on Sūtras, Vinaya, Abhidharma śāstras, the three divisions of the Buddhist canon and Kyojang with a focus on Commentary, Courtesy and Biography etc>. In Goryeo, it was deployed Goryeo-daejanggyung(高麗大藏經:the Korean Tripiṭaka) and Goryeo gyojang(高麗敎藏). Goryeo-daejanggyung unlike the Chinese and Japanese Tripitaka, did not include the commentary(章疏). And Goryeo was divided into ‘Tripitaka and Kyojang’ by placing the Kyojang(敎藏) over Munjong(文宗) and Seonjong(宣宗) period. In East Asia Buddhist community, this is the uniqueness and particularity with the Goryeo-daejanggyung.

      • KCI등재

        「고려국신조대장교정별록」과 「사계장」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22 서지학연구 Vol.89 No.-

        Thirty volumes of Goryeoguksinjodaejangkyojeongbyeollog are gyogamgi, which sugi comple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Gaebojang {bonjang(971-983), soggan (983-1122)}, Goyeo Chojojang (1011- 1087), and Georanjang (1031-1063) when Jaejojang (1236-1251) was made, and gyogamlog including the original of corrected scriptures. Sagyejang (?-1175) is the second published tripitaka in Gangnam following Sungnyungjang (1080-1104). This study explore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results of correction of Gyojeongbyullog (‘gyogamgi’ of it is 78 and the contents are 98) and Sagyeja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ame result of correction as Sagyejang among 98 gyogam contents of Gyojeongbyullog is 67. Second, the different result of correction as Sagyejang among 98 gyogam contents of Gyojeongbyullog is 12. Third, the unrelated result of correction as Sagyejang among 98 gyogam contents of Gyojeongbyullog is 17. Lastly, the unknown-related result of correction as Sagyejang among 98 gyogam contents of Gyojeongbyullog is 12. 「고려국신조대장교정별록」 30권은 고려 「재조장」(1236~1251)이 제작될 때 수기가 「개보장」{본장(971~983), 속간(983~1122)}․고려 「초조장」(1011~1087)․「거란장」(1031~1063)과의 대조를 통해 작성한 교감기와 교정된 경전의 원문이 수록된 교감록이다. 「사계장」(?~1175)은 「숭녕장」(1080~1104)에 이어 강남에서 두 번째로 제작된 대장경이다. 본 연구는 「사계장」과 고려 「재조장」․「개보장」․「거란장」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하나의 단서를 마련하기 위해 「교정별록」의 교정결과(「교정별록」의 ‘교감기’는 78건이고, 교감내용은 98건임)와 「사계장」의 내용을 비교분석해 본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정별록」의 교감내용 98건 가운데 그 교정결과가 「사계장」의 내용과 동일한 것은 67건이다. 둘째, 「교정별록」의 교감내용 98건 가운데 그 교정결과가 「사계장」의 내용과 동일하지 않은 것은 12건이다. 셋째, 「교정별록」의 교감내용 98건 가운데 그 교정결과가 「사계장」의 내용과 관계가 없는 것은 17건이다. 넷째, 「교정별록」의 교감내용 98건 가운데 그 교정결과가 「사계장」의 내용과 관계 미상인 것은 2건이었다.

      • KCI등재

        『어제비장전』 대장경 판본의 저본과 판각에 대한 연구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13 서지학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御製秘藏詮』 대장경 판본과 저본 및 판각 성격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제비장전』의 『개보장 초본』은 2종의 판본이 있다. 하나는 20권본이고 다른 하나는 30권본이다.: (1) 20권본은 988년에 간행된 『어제비장전』 20권과 부록(『御製佛賦』․『詮源歌』)으로 구성되어 있다. (2) 30권본은 989년 또는 그 이후에 20권본의 20권을 30권본의 제1권∼제20권으로 구성하고, 20권본의 부록(『어제불부』, 『전원가』)을 제21권의 내용으로 편입시킨 다음 기타 御製를 제22∼30권(제22∼25권: 御製秘藏詮幽隱律詩 4권, 제26∼29권: 御製秘藏詮懷感一百韻詩 4권, 제30권: 御製秘藏詮懷感廻文五七言詩 1권)으로 편제하여 성립된 것이다. (3) 30권본 『어제비장전』에서 제1권∼제20권은 20권본의 제1권∼제20권과 동일한 板本으로 추정된다. 다시 말해서 20권본이 기타 어제와 함께 30권본으로 편제될 때 20권본의 經板 전체가 그대로 30권본의 제1∼20권의 경판으로 수용된 것이다. 2) 『개보장 수정본』은 『개보장 초본』이 교감․수정된 다음 수정․보각된 『개보장』 經板에서 인출된 것이다. 3) 『조성장본』은 『개보장 수정본』을 저본으로 해서 간행될 때, 판화가 삭제된 다음 그 상태에서 그대로 복각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조성장본』 가운데 廣勝寺本과 興國院本은 동일한 판본으로서 광승사본은 흥국원본보다 후에 인출된 판본으로 추정된다. 4) 『초조장본』은 『개보장 수정본』을 저본으로 해서 복각된 것이다. 5) 『재조장본』은 『개보장 초본』을 저본으로 해서 간행될 때, 『개보장 초본』에 있던 판화가 삭제되고 또 원래의 상태(즉 20권본 登梓本의 매행 22行[추정])대로 행수가 조정되고 부분적인 교감․수정을 거친 다음 복각된 것이다. 6) 개보장 『어제비장전』의 판화는 20권본 『御製秘藏詮 개보장 초본』이 간행될 때(988년), 이미 완성된 20권본 『어제비장전』의 登梓本에 추가적으로 삽입되어 판각된 것이다. 이때 판화가 每張과는 관계없이 본문인 偈頌 10首(40句) 사이사이에 삽입되었고, 각각의 판화 사이에 있게 된 각각의 본문(偈頌 10首)은 매장의 행수가 22행으로 구성되었다. 이 때문에 각각의 판화 사이에 있게 된 각각의 본문(偈頌 10首)의 끝부분(좌측에 판화가 있는 장)에 해당되는 장의 행수는 22행이 못 되고 14∼23행으로 일정하지 않게 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7) 『어제불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1) 어제불부 『中華藏 別出本』의 저본은 원래 20권본 『어제비장전』의 부록이었다가 다시 30권본 『어제비장전』 제21권으로 편제된 『개보장 수정본』이다. (2) 어제불부 『중화장 별출본』의 판본은 30권본 『어제비장전』 제21권에 해당되는『조성장본』이다. (3) 어제불부 『초조장본』의 저본은 30권본 『어제비장전』 제21권에 해당되는 『개보장 수정본』이다. (4) 어제불부 『재조장본』의 저본은 30권본 『어제비장전』 제21권에 해당되는 『개보장 초본』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 of panbon, jeobon, and pangak for Tripitaka, Eojebijangjeon. To put it briefly is as in the following. 1) There are two kinds of panbon in Tripitaka Kai bao chobon of Eojebijangjeon. One consists of the total 20 volumes and the other is total 30 volumes.: (1) The former is composed of 20 volumes of Eojebijangjeon published in 988 and supplements(Eojebulbu and Jeonwonga). (2) The latter is formed with the first volume through the 20th for total 30 volumes instead of the 20th for the total 20 volumes after 989 or since then. And after it made the supplements for the total 20 volumes included in the contents of 21st volume, it is completed by organizing other eoje into the 22nd through 30th. (3) It is estimated that the first and the 20th volume in the total 30 volumes of Eojebijangjeon are the same panbon as the first through 20th volume for the total 20 volumes. In other words when the total 20 volumes is made into the total 30 volumes with other eoje, the whole gyungpan of the former is accepted into the first to 20th of the latter as it is. 2) Tripitaka Kai bao sujeongbon is from the wood plate of Tripitaka Kai bao which is corrected and filled after Tripitaka Kai bao chobon is compared, straightened out, and then rectified. 3) It is thought that it was cut as it was again after the print was deleted as Josungjangbon was published while making Tripitaka Kai bao sujeongbon jeobon. And Kwangseungsabon and Heunggukwonbon out of Josungjangbon are identical panbon, and it is considered the former is the panbon that is carved later than the latter. 4) Chojojangbon is carved again with Tripitaka Kai bao sujeongbon as a jeobon. 5) Jaejojangbon is carved again after the print on it is erased and the number of lines is adjusted back again, and then it is corrected in part when it is published with Tripitaka Kai bao chobon as a jeobon,6) The woodcut of Tripitaka Kai bao Eojebijangjeon is additionally inserted in deungjaebon for finished the total 20 volumes of Eojebijangjeon and is engraved when the print of the total 20 volumes of Eojebijangjeon Tripitaka Kai bao chobon is published in 988. 7) For the Eojebulbu, it is analysed as following.: (1) The jeobon of Eojebulbu Junghwajang byulchulbon was originally the appendix on the total 20 volumes of Eojebijangjeon and then it becomes Tripitaka Kai bao sujeongbon that is organized with the 21st of the total 30 volumes of Eojebijangjeon. (2) The panbon of Eojebulbu Junghwajang byulchulbon is Josungjangbon that goes for the 21st of the total 30 volumes of Eojebijangjeon. (3) The jeobon of Eojebulbu Chojojangbon is Tripitaka Kai bao sujeongbon that goes for the 21st of the total 30 volumes of Eojebijangjeon. (4) The jeobon of Eojebulbu Jaejojangbon is Tripitaka Kai bao chobon that goes for the 21st of the total 30 volumes of Eojebijangj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