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초등 연계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배정에 관한 실태 및 학교장의 인식

        김창복(Chang-Bok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교사가 유․초등 연계교육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관점에서 담임교사 배정의 실태와 학교장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초등학교 40개교 교장을 대상으로 각 학교의 학년 담임 배정 원칙과 배정 시기, 1학년 담임 중임제 및 조기 배정의 효과, 1학년 담임교사의 준비 사항 등에 관하여 설문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초등학교가 순환식 담임제 방식을 적용하고 새 학기가 시작되기 직전인 2월 중에 담임배정을 발표하고 있으며, 1학년 담임을 배정할 때 저학년 담임경력이나 유․초등 연계교육 및 저학년 통합교육과정 연수 경력을 고려하는 학교의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장들은 대체로 1학년 담임중임제와 담임 조기 배정에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고, 1학년 담임교사는 1학년 아동발달특성에 따른 상호작용 방법과 유아교육 방법 및 입학 전 유아의 경험을 이해하는 능력이 요구된다는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론적으로 1학년 담임교사의 배정은 1학년 교육에 전문성을 갖춘 교사들이어야 하겠고, 담임 배정 시기를 앞당겨 1학년 담임교사로서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을 늘려주는 것이 필요하며, 현직 학교에서 유․초등 연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초등교원 양성대학에서 저학년 담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마련 등이 요구됨을 주요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first grade teacher assignments an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principals who are the final decision makers and to try to find a solution. It included a survey of 40 elementary principal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realities of teacher assignmen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s have adopted the circulation way for teacher assignments and they have announced the result of teacher assignment in February, before starting a new semester. However, when first grade teachers were deployed, few schools considered if the teachers have had teaching experiences of lower grad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Next, in relation to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bout main teacher assignments, the principals positively responded about reappointment of the first grade teachers and early assignment of main teachers. Also, they responded that first grad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how to interact with young children and abilities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experiences before the young children enter school. Therefore, when schools assign first grade teachers, they need to announce it earlier, so that the teachers have enough time to prepare for their new class and to practic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lso,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need to provide a curriculum that promotes abilities to teach lower grades.

      • KCI등재

        국내·외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즐거운 생활」의 쟁점 도출 및 미술교육 정상화 방안 연구

        김정효(Jeong-Hyo Kim),강주희(Joo-Hee Kang)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7 No.-

        제4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40여년간 「즐거운 생활」 통합교과는 교육과정 문서에서도 학교 현장의 수업에서도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놀이’ 중심의 통합교육을 표방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 현행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의 항구적이고 본질적인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등 기본 학습 내용은 누락된 채 저학년 어린이의 발달이나 정서와의 부합 여부도 파악할 수 없는 주제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1, 2학년의 학교 미술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외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과 교육과정의 선정된 내용 및 내용의 조직 방식 등을 분석하고, 국내 1-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제1차~제4차)과 「즐거운 생활」(제5차~2022개정)의 내용과 비교하여 초등학교 1-2학년 미술교육의 쟁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통합교과 운영에 따른 미술과 교육의 부실화, 유치원 누리과정과의 차별성과 연계,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연속성, 미술 발달 수준을 고려한 미술교육의 부재 등이 쟁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1-2학년 미술교육 정상화를 위해 「즐거운 생활」에서 미술과를 분리·독립하여 운영하고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3,4학년 내용과 연계함으로써 기초 교육을 충실하게 실행하여 창의·융합의 기반을 다져나가야 할 것이다. In the 40 years since the fourth curriculum,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Pleasant Life has not been implemented in curriculum documents or in classrooms in schools. Moreover, the current 2022 revised curriculum, aft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ich promotes integrated education centered on 'play', is composed of topics or areas that are missing basic learning contents that are the foundation for lifelong learning to lead a human life, such as permanent and essential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nd that cannot be identified with the development or emotions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elected contents and organizational methods of the art curriculum for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s abroad in order to explore ways to organize the curriculum for the normalization of school art education in grades 1 and 2, and to compare the contents of the Korean art curriculum for grades 1-2 (1st to 4th) Pleasant Life(5th to 2022 revision) with the contents of Pleasant Life and draw implications for art and education. As a result, issues such as the deterioration of art education due to the oper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differentiation and connection with the kindergarten curriculum, continuity with the art curriculum, and the lack of art educa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art development were identified. Therefore, in order to normalize art education in grades 1-2, the art department should be separa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from Pleasant Life and linked to the contents of grades 3 and 4 of the Nuri curriculum,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by faithfully implementing basic education.

      • KCI등재

        유치원 수학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연구

        박교식,김지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에서 두 교육과정을 연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5세 누리과정과 이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지도 내용, 그리고 현행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의 지도 내용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의 여섯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형 영역의‘공간적 관계’나 확률과 통계 영역의 ‘자료 수집’과 같이, 5세 누리과정에서 완성되고 있는 내용을 1학년 교육과정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5세 누리과정과 1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지는 않지만, 2~6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는 경우, 어느 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위계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K-지도서≫가 5세 누리과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K-지도서≫의 각 [활동]에서 5세 누리과정 관련 요소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관련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K-지도서≫의 각 [활동]에서 수학 지도 내용을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아수학교육 전문가와 초등수학교육 전문가 사이의 협업 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connections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 books according to it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analyzed to find the implications that can help to link the two curricula in 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fiv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content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which were completed in that curriculum like ‘spatial relation’in geometric figure domain and ‘data collection’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to the contents of the 1st grade curriculum. Second, in the case of the contents not connecte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but connecte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2nd ~6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adjust the hierarchy based on one of the curricula. Third,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K-teacher’s manual book≫ obey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or not.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lated element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elementary 2nd ~6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in [activity] in ≪K-teacher’s manual book≫. Fifth, it is necessary to handle the mathematics contents explicitly and systematically in [activity] in ≪K-teacher’s manual book≫.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구

        김은설 한국발달지원학회 2018 발달지원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조사’ 자료 중 8차년도(2015년도) 패널 1,02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으로 응답자의 인구사회적 배경과 변인의 기본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아동의 성별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탐색을 진행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아동패널에 나타난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은 백분위 점수 기준 75점 미만으로 선행연구에 비해 중간정도의 점수이며 학교 적응에 어느 정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정도에 있어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세부적으로도 학업수행적응,또래적응, 학교생활적응 등에서 여아가 높은 적응 점수를 보였고 교사적응에서는 성별차이가 없었다. 셋째,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업수행능력,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 정도,교사에 대한 선호도가 있었으며 아동의 인터넷 등 미디어 이용 시간은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학업준비도 강화, 부모의 적극적 학교참여 및 관심도 제고, 학생에 대한 교사의 온화한 태도를 강조하고 컴퓨터와 휴대폰 등 미디어를 사용하는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variables which could impact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life, especially in fir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The data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in this study are those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ince 2008.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basic backgroun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plore effective variables in school adjustment. In the results, female first graders had higher scores in school adjustment including sub-dimensions of the adjustment than mal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children’s academic competence, their parents’ active attitude to school activities, children’s feeling of closeness to their teachers, and the hours of children’s media usage including computers, cell-phones, internet, etc.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기술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의 차이

        유리향,김세훈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초등상담연구 Vol.21 No.4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social skill of preschool-aged children, and to test their longitudinal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We used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7th and 8th year). The sample consisted of 1,605 preschool-aged children at 7th year data.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Wald Chi-square analysis and BCH analysis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by latent profile type. Latent profiles analyses on social skill of preschool-aged children identified five groups: Average groups, Excellent groups, Best groups, High self-control/Low accountability groups and High accountability/Low self-control groups. Latent profiles were differe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adjustment to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high in the order of Best, High accountability/Low self-control, Excellent, High self-control/Low accountability, and Average groups.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excessive self-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accountability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ized preventive intervention to improve social skill is important to help first-year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이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기술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와 8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1,60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따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고,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학교적응 차이를 확인하고자 각각 Wald Chi-square 분석과 BCH 분석을 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은 총 5개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보통 집단, 우수 집단, 최우수 집단, 고자기통제/저책임성 집단, 고책임성/저자기통제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따라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 수준에 차이가 있었으며, 최우수, 고책임성/저자기통제, 우수, 고자기통제/저책임성, 보통 집단 순으로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기술 하위요인 중 과도한 자기통제는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책임성은 학교적응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개별화된 체계적 예방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 1학년의 학교적응이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이찬주(Lee Chan-ju),손강숙(Shon Kang-suk),정은선(Jeong Eu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교적응과 수업참여의 관계에서 지각된 교사의 학급통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경남 지역의 초등학교 1학년 학생 297명(남 171명, 여 12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행동평정 척도, 교사의 학급통제, 수업참여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1학년의 학교적응은 수업참여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지각된 교사의 학급통제와 수업참여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1학년의 학교적응은 수업참여를 유의미하게 예측 하였다. 셋째, 지각된 교사의 학급통제도 초등 1학년의 수업참여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 1학년의 학교적응과 수업참여의 관계에서 지각된 교사의 학급통제가 조절변인으로써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1학년 학급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상담 및 교사연수에서 학급통제를 통해 효과적으로 교실 관리를 할 수 있는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teachers’ control in relationships between first grade students’ adoption and class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surveys were conducted by 297 first grade students(male, 171, female, 126)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Province with Behavior rating scale, Teachers’ degree of control, and Student participation indicator.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general trend of the measured variabl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grade students’ adoption and class particip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perceived teachers’ control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lass participation. Secondly, first grade students’ adoption significantly predicted class participation. Third, perceived teachers’ control significantly predicted class participation of first grade students. Fourth, perceived teachers’ control in relationships between first grade students’ adoption and class participation showed a moderating effect. Through this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for intervention on the effective class management through teachers’ class control prov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counseling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시기 학교 적응의 종단적 발달경로: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와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

        이정아(Lee, Jung-A),최선녀(Choi, Seon-Nyeo),문영경(Moon, Young-K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4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시기 학교 적응의 종단적 발달경로를 밝히는데 있어서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와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차년도(W1, 만 0세 시기)~8차년도(W8, 만 7세 시기) 자료의 2150명을 대상으로 SPSS 21.0(IBM Co)과 AMOS 21.0(IBM C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직․간접효과를 알아보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Bootstrapping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아동의 학교 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는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는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아동의 학교 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는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을 완전매개하여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아동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와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을 낮추고 만 7세 시기 아동의 학교 적응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사회적 정책 마련이 필요해 보이며,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만 7세 아동의 학교 적응을 돕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d the longitudinal developmental path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effects of preschooler"s external problem behaviors at age 6 and mother"s accumulated parenting stress. Korea Children"s Panel 1st year (W1, 0 years old)~8th year (W8, 7 years ol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IBM Co) and AMOS 21.0 (IBM Co) program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among the study variabl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were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interpreted through bootstrapping. First,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 years showe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mother"s accumulated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Third, the cumulativ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didn"t not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Fourth, the cumulativ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ffecte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by mediating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 year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reduce the mother"s accumulated parenting stress and chil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and increas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to prepare social policies, and to help children adjust to school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구

        김은실(Eunseol Kim) 한국발달지원학회 2018 발달지원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조사’ 자료 중 8차년도(2015년도) 패널 1,02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으로 응답자의 인구사회적 배경과 변인의 기본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아동의 성별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탐색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아동패널에 나타난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은 백분위 점수 기준 75점 미만으로 선행연구에 비해 중간정도의 점수이며 학교 적응에 어느 정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정도에 있어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세부적으로도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학교생활적응 등에서 여아가 높은 적응 점수를 보였고 교사적응에서는 성별차이가 없었다. 셋째,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업수행능력,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 정도, 교사에 대한 선호도가 있었으며 아동의 인터넷 등 미디어 이용 시간은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학업준비도 강화, 부모의 적극적 학교 참여 및 관심도 제고, 학생에 대한 교사의 온화한 태도를 강조하고 컴퓨터와 휴대폰 등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variables which could impact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life, especially in fir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The data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in this study are those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ince 2008.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basic backgroun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plore effective variables in school adjustment. In the results, female first graders had higher scores in school adjustment including sub-dimensions of the adjustment than mal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children’s academic competence, their parents’ active attitude to school activities, children’s feeling of closeness to their teachers, and the hours of children’s media usage including computers, cell-phones, internet, etc.

      • KCI등재

        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1학년 적응 과정에 관한 프로젝트 활동 사례연구

        김수현,이윤형 한국아동권리학회 2020 아동과 권리 Vol.24 No.4

        Objectives: To closely analyze and discuss the process of project-based learning particularly for first-graders adjusting to elementary school life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Methods: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ollected over a month along with recordings, journals, and photos. The project started when first-graders were asked to create a video about elementary school rules and life for preschoolers and a total of 10 sessions took place. Results:  ‘Unfamiliar yet familiar first-grade school life', ‘slowly adjusting to elementary school life,' ‘finally fun and interesting school life,' and ‘together rather than alone’ were shown as students’ school adjustment process. Students learned the new rules and slowly adjusted through developing knowledge and altering behavior based on their prior experience. Additionally, helping peers cognitively and emotionally was also observed. Conclusions: First, over the course of the project, students developed cognitive structures of elementary school life through ‘reflective abstraction,’ ‘assimilation,’ and ‘accomodation’ and adapted themselves to the new environment employing ‘re-presentation.’ Second, active peer interactions during the project resulted in growth in social cooperation with peers overcoming egocentrism. 연구목적: 초등학교 1학년 아동 대상 초등학교 생활 적응 과정에 관한 프로젝트 활동 사례를 구성주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논의하는 데에 있다. 방법: 초등학교 1학년 한 학급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약 한 달간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참여관찰을 하면서, 녹음자료, 저널자료, 사진자료를 함께 수집하였다. 유치원 동생들 대상 초등학교 생활규칙 안내 동영상 제작을 부탁받는 데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고 이후 총 10차시에 걸쳐 동영상 준비․ 제작 및 감상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낯설면서도 낯익은 초등학교 1학년’, ‘점점 익숙해지는 초등학교 생활’, ‘이제는 재미있고 흥미로운 학교생활’, ‘혼자가 아니라 다 함께’와 같은 초등학교 생활 적응 양상이 나타났다. 활동 가운데 규칙을 익히고 서서히 적응하며, 이전 경험을 토대로 지식을 만들어가고 행동을 변화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또래끼리 서로 인지적인 도움을 주기도 하고 정서적으로 힘이 되어주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 결론: 첫째, 활동 과정에서 주로 ‘반성적 추상화’와 ‘동화’ ‘조절’을 통해 초등학교 생활에 대한 인지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재현(re-presentation)’해 초등학교 생활에 적응해 나갔다. 둘째, 활동 과정 가운데 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 자기중심성을 벗어나 또래와 협력하는 성장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학부모 관계 어려움 들여다보기: 「학교엄마」가 경험한 감정노동

        김수현 ( Kim Soo Hyun ),이윤형 ( Lee Yoon H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학부모 관계의 어려움을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1학년 교사 5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주제를 정하고 분석하는 질적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학부모 관계 어려움을 ‘학부모와의 만남: 걱정과 긴장, 고군분투(孤軍奮鬪)’, ‘학부모와의 동상이몽(同床異夢): 학교엄마 역할 수행, 진짜엄마의 속내’, ‘감정 관리: 문제행동지도에 대한 학부모 반응 살피기, 상황 대처 방법 선택하기’와 같이 생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초등학교 1학년 교사가 학부모 관계의 어려움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입학 초기 학부모 의무 상담 및 입학 상담 활성화, 상담 프로그램 지원, 학부모 관계 대응 매뉴얼 제공, 상담 관련 교육 강화 등과 같은 관련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초등학교 1학년 교사와 학부모 교사 관계가 나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ir interactions with parents, with a specific focus on emotional labor,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tween April 2021 and March 2022, and thematic analysis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several themes: ‘meeting with parents: worries and tension, struggles,’ ‘disagreement with parents: navigating the role of school moms and inner thoughts of read moms,’ and ‘emotional management: evaluating parental responses to behavioral intervention plans and selecting situation management strategies.’ These findings prompted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reflect on the challenges inherent in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dditionally, recommendations proposed, including activating initial parental consultations upon admission, supporting counseling programs, providing manuals for handling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enhancing counseling-related training. These suggestions aimed to guide the development of ideal relationships between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