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춘수 초기시의 존재론적 사유의 변모 양상

        차진명 한국시학회 2022 한국시학연구 Vol.- No.70

        본고는 김춘수 초기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서시」와 「꽃을 위한 서시」 두 텍스트가 초기시의 존재론적 사유의 변화 양상을 어떻게 함축・함의하고 있는지에 대해 구명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김춘수 초기시가 내부에서 부단한 자기 변모와 쇄신을 이루어가며 자기만의 독특한 존재론적 사유를 풍성하게 구축해내고 있음을 증명해내는 한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시의 시적 주체는 ‘신화적 계절’과 인간의 부조화로 인해 ‘눈물’ 짓는 양상을 보인다. 이후 그는 자신의 운명이 하늘과 땅 사이의 ‘중립지대’에 놓여 있음을 인식한다. 창조 신화의 기원 즉, ‘하늘’로 표상되는 신의 세계로부터 인간인 자신의 위치를 규정하고 존재 의미를 찾으려고 했던 시적 주체는 유한한 자신의 실존적 운명을 깨닫게 된 후 불모의 땅인 ‘대지’를 정면으로 통과해 걸어 나갈 것을 결단한다. 새로운 존재론적 사유의 여정을 떠나기로 결심(「서시」)하고 있는 것이다. 「서시」의 사유를 전제로 새로운 여정에 나선 주체는 신과의 수직적 관계의 ‘약속’이 아닌, 피조물들 간 ‘약속 없음’의 수평적인 관계를 맺는 대지의 세계로 들어선다. 이전과 달리 ‘이웃’인 타자(인간, 자연사물 존재자)와의 마주침을 통해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존재 의미 규정을 이루어내기 시작(「꽃을 위한 서시」)한 것이다. 주체와 타자 간의 쌍방향적 관계 맺기에서 ‘이름’을 명명-호명하고 받는 것은, 현존재가 타자로부터 말을 건네오는 존재의 물음에 화답하는 것이자 동시에 타자인 존재자에게 존재 물음을 던지는 활동이다. 이처럼 초기시에서 시적 주체가 머무르고자 하는 최종적인 차원은 바로 ‘꽃을 위한’, 곧 존재자를 의미있는 소중한 것으로 여기는 동시에 주체와 타자가 서로 간에 존재 의미를 부여하는 진리 생성 사건의 영역이다. 그러므로 ‘서시’에 ‘꽃을 위한’이 더하여진 「꽃을 위한 서시」의 제목은 초기시 중 후반기 시의 내용을 함축하는 상징적 표상이 된다. 「서시」는 초기시 내부에서 새로운 존재론적 사유의 여정을 촉발하는 내용을 주제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초기시의 전·후반기를 나누는 기준이 될 사유의 변곡점으로써 위치하는 시라고 할 수 있다. 「꽃을 위한 서시」는 변화된 김춘수 초기시의 존재론적 사유 양태 전반을 제목과 내용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두 시의 텍스트가 형성하는 의미망의 체계는 김춘수 초기시의 존재론적 사유의 여정 전체를 함축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새롭게 획득한다. 두 텍스트의 상징적 의미에 대한 이해는 초기시 전체 변모 양상을 이해하는 것과 불가분의 관계이므로, 본고는 초기시 전반을 점검하는 데 집중하였다.

      • KCI등재

        이시카와 타쿠보쿠의 초기시 고찰 -도쿄와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윤재석 ( Yun Jae-seu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2

        타쿠보쿠의 초기시에 대한 평가는 모방적 낭만시라는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평가는 타당한 일견 타당한 평가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타쿠보쿠의 초기 중에는 모방적 낭만시라고 간단히 단정할 수 없는 시가 있다. 「잠에든 도시」와 「도쿄」라는 시이다. 흥미로운 점은 이 2편의 시는 제목과 제작 시기는 다르지만 그 내용이나 시의 분위기가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다. 즉, 타쿠보쿠에게 있어 도쿄는 꿈을 실현해 주는 희망의 무대가 아니라, 사람을 숨막히게하고 불안과 초조에 지쳐 죽음을 생각하게 할 정도의 부정적인 장소로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메이지 시대의 문학자 중에서 근대도시 도쿄를 이 정도로 부정적으로 그린 시인은 없을 것이다. 이 점이 타쿠보쿠의 초기시의 하나의 특징이다. 타쿠보쿠의 초기시의 또 하나의 특징은 러일전쟁에 관심을 갖고 그에 대한 소회를 읊고 있다는 것이다. 타쿠보쿠는 「시베리아의 시」에서 황량한 「시베리아」에 가서 진정한 미와 나라의 이상을 펼치자고 하는 내셔널리즘을 읊고 있다. 또 한편으로는 「마카로프 제독 추모의 시」에서는 「글로벌한」「휴머니즘」을 욾고 있다. 즉, 러일전쟁 시기의 타쿠보쿠의 시는 내셔널리즘과 그 내셔널리즘과는 함께할 수 없는 글로벌한 휴머니즘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에 초기시의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타쿠보쿠의 초기시 중에서 「잠에든 도시」와「도쿄」「마카로프 제독 추모의 시」는 단지 3편으로 그 수는 적지만 타쿠보쿠의 시를 재평가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akuboku`s early poetry is negatively viewed as imitational romantic poetry. This view carries validity to some degree. Yet some of his early poems cannot be simply classified as imitational romantic poems: “The Capital Asleep” and “Tokyo.” Interestingly enough, these two poems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poetic content and mood despite the dissimilarity in titles and years of composition. That is, to Takuboku, Tokyo is not a place where dreams come true but a negative place where its residents choke up and think of death out of uncertainty and anxiety. There are few poets of the Meiji era who portrayed Tokyo in such negative terms. Th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akuboku`s early poetry. Another characteristic of Takuboku`s early poetry is linked to his interest in the Russo-Japanese War. In “A Poem in Siberia,” the poet ponders upon nationalism in relation to genuine beauty and the ideals of a n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barren land of Siberia. In addition, he elaborates on global humanism in “A Pome in Memory of Admiral Makarov.” In this sense, the seemingly contradictory juxtaposition of nationalism and global humanism is characteristic of Takuboku`s early poetry. The aforementioned three poems-“The Capital Asleep,” “Tokyo,” and “A Poem in Memory of Admiral Makarov”-may not represent the entire early poetry of Takuboku but can serve as means to reevaluate his poetry with a new meaning.

      • KCI등재

        김동명 시의 비유 구성 방법 연구

        전도현(Jeon, Do-H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본 연구에서는 먼저 김동명 시 원전에 대한 추가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지난 2011년에 발표된 논문의 후속 연구로 진행된 것이다. 그 결과 새로이 12편의 작품을 찾아내어 총 56편의 초기시 작품 목록을 보고하고, 이를 대상으로 김동명 초기시의 비유 구성 방법을 고찰하였다. 김동명은 시작 활동의 초기부터 다양한 비유 구성 방법을 실험하고 활용하였다. 그 중에서도 그는 ‘병렬 구성에 의한 은유’, ‘의인법’, ‘근본 비교의 비유’, ‘확장 은유’ 등을 즐겨 구사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들은 시인 특유의 비유 구성 방식으로 자리잡으며 이후 그의 시세계 전반에 걸쳐 원형적인 방법론으로 기능하였다. 이 중에서 의인법을 제외한 대부분의 비유 구성 방식들은 작품의 구성원리로도 기능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것들은 일정한 흐름과 연속성 속에서 작품 전체의 시상을 전개하는 기제가 되고 있다. 또 이 비유 구성 방법들은 한 편의 작품 속에 중첩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많았다. 의인법이 근본 비교의 비유를 겸하고 있거나, 근본 비교의 비유와 확장 은유가 복합적으로 구사된 경우가 그 사례들이다. 그리고 중기시에서 보이는 비유적 기법의 세련은 주제 의식의 심화와 함께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는 날카로운 대상 인식과 시의식의 심화가 상상력의 폭과 깊이를 확대시킨 결과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시인이 초기부터 시작 방법론의 차원에서 비유구성 방법에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인 성과라 할 수 있다. 김동명 초기시의 경우 비유적 기법과 주제 의식 양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노출하며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시적 성취를 거두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시기의 다양한 시도들은 시인 특유의 개성적인 비유법과 시의식을 심화시켜 나간 과정을 보여주며 완숙기의 시세계를 예비하는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 additional survey of the original text of Kim, Dong-Myung"s poems first of all. This survey is carried out as a follow-up research of the paper which published in 2011. As the result of survey I repoted a newly disintered 12 works, and I have studied on method of metaphor composition which is used in Kim, Dong-Myung"s early poems. Since the commencement of his career, Kim Dong-Myung had utilized and experimented with various methods of metaphor composition. Of these, he repeatedly made use of "metaphor by parallel constitution", "personification", "metaphor of fundamantal comparison", "extended metaphor". Almost the whole this methods of metaphor composition acted as construction principle of a work. Also More than one method of metaphor composition co-occured frequently in a work. And over the early and middle poems refinement of figurative technique has been completed in company with deepening of subject consciousness. Kim, Dong-Myung"s early poems did not lead to higher achievements of poetry, exposing the limits in both aspects of figurative technique and subject consciousness. But various attempts of this time show the process for deepening the individualistic figures of speech and poetic consciousness. This can be seen as reserving the the world of full ripe period"s works.

      • KCI등재

        오규원 초기시의 시간의식 연구

        윤의섭(Youn, Eui-Seoup)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본 연구는 오규원의 초기시에 나타난 시간의식을 살펴보았다. 특히 오규원 초기시의 시간의식을 현상학의 ‘현상’과 여타의 시간론과 관련하여 파악했는데, 그것은 오규원이 주관적 경험의식으로 시간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규원의 초기시는 우선 구체적인 시간 표지를 통해, 객관적으로 주어진 시간적 통념이 아닌 주관적 경험의식으로 인식한 내적 시간의 본질적 ‘현상’을 드러내려는 시간의식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 표지를 명시하는 것은 시적 의미망과 관련된 주관적인 경험의식에 의해 파악된 시간의 ‘현상’을 표출하기 위한 의식적인 행위이다. 이러한 시간 표지에 의해 본질적인 시간 ‘현상’이 지시되고 있다. 또한 시간을 의인화하여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상을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방법을 통해, 시간이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는 시간의식에 의한 시간의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즉, 과거와 현재, 미래와 현재, 또는 과거, 현재, 미래가 동시에 공존하는 상태인 시간의 동시성 ‘현상’을 시에서 가시화 하여 실제로서 재현하기 위해 시간을 의인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역시 시간의 ‘현상’을 주관적 경험의식으로 파악한 시간의식에 의한 것이다. 오규원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시간의식은 시적 주체가 인식하는 죽음에 대한 의식과 관계를 맺고 있다. ‘죽음’을 실존적 인간에게 있어서 다가올 미래 시간에 상정된 결정적 사건으로 볼 때, 그것은 시간의식과 관련된다. 오규원은 가능성으로서의 미래를 결정적인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동시적으로 파악하기도 하고, 회상의 시간과 상상의 현재를 겹쳐 보이기도 하는 등의 주관적으로 파악한 시간의식으로 ‘죽음’의 한 속성인 실존적 한계를 무화시키는 죽음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perception of time in Oh, Gyu-Won"s early poems. Especially "phenomenon" in phenomenology and other time theories are adop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ime in Oh, Gyu-Won"s early work; these concepts are adopted since Oh, Gyu-Won perceives time in terms of subjective perception of experience. Oh, Gyu-Won"s early work shows the perception of time which reveals essential "phenomenon" of inner time perceived as subjective perception of experience rather than objective perception of time, through specific time marks. Specifying the time marks is a perceived act to express "phenomenon" of time identified by subjective perception of experience related to the net of poetic significance. These time marks instruct essential time "phenomenon". Also, time is personified and arranged in a way that the tim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re visible simultaneously, which is seen as a time "phenomenon". In other words, time is personified to realize the "phenomenon" of temporality of time in whic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o-exist simultaneously. This is also by the perception of time by identifying the time "phenomenon" as subjective perception of experience. Perception of time in Oh, Gyu-Won"s early poems is related to perception of death that the poetic subject perceives. Considering "death" as a decisive event which is introduced to the time of future, it i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ime. Oh, Gyu-Won"s early work present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various ways in which events related to death are closely link to the time. Perception of death in the poems includes the perception of time identified by Oh, Gyu-Won"s perception of experience.

      • KCI등재

        초기시에서 중기시로 나아가는 정지용 시세계의 변모과정 고찰 -유리창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정수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2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about progress of Jeong Ji-yong’s poetry from his early poetic period to the middle poetic period since 1990’s. this is because of the hypothesis that he introduced religious thought to escape from imagism found in his early poetry has been widely accepted. 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the most dramatic change in his poetic world was defined as a childish cute trick only seeking newness during the process. However, this paper rejects that hypothesis and suggests that his poetic change process from the early stage to the middle stage was initiated by change of thought about tragedy of life and such change of thought became the foundation of his authentic poetic world, which can be confirmed by change of an image of window found in his poetic world. In his early poems, a window was used as an image of psychological closeness of his poetic ego trying to escape from the miserable and painful reality. In other world, solidity of a person who was disconnected with the outside world and swallowed by his/her individualism with a strict dichotomy of ‘ego and world’ was shown through an image of window. However, an image of window was fundamentally changed in his series ‘Window’. A glass wall that completely separated ‘life from death’, ‘light from darkness and ’me from you’ changed to a medium to connect them and make them co-exist. The intention of the poet to accept the pain of reality as a part of life, rather than escaping from the reality, was reflected in this change. The poet’s thinking that hardship in the reality leads us beyond tragedy of life, was included. His religious view of world found in later religious poems was formed based on such recognition. The intimacy between the ego and the absolute is initiated from the attitude of the ego that tries to accept pain and sorrow caused by cruelty of the reality as a part of life. It is the reason why religious ecstasy of his poetic ego coexists with grief as tragedy in his religious poems. 1990년대 이후 정지용의 초기 시세계가 중기의 시세계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초기시의 기교지향성에서 벗어나기 위해 종교적 사상을 도입하고자 한 것이었다든가 신앙의 우연한 개입에 따른 결과일 뿐이라는 식의 논의가 정설처럼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정지용의 시세계에 나타난 가장 극적인 시적 변화는 스타일의 새로움만을 좇는 유치한 재롱으로 규정되어버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본고는 초기시에서 중기시로 나아가는 정지용의 시적 이행 과정이 삶의 비극성에 대한 사유와 태도의 변화를 동반하고 있으며 이 변화가 그만의 종교적 시세계를 형성하는 토대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실은 정지용 시세계에 나타난 유리창 이미지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지용의 초기시에서 유리창 이미지는 비참하고 고통스러운 현실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시적 자아의 심리적 폐쇄성이 투영된 상징으로 나타난다. ‘자아/세계’의 철저한 이분법 속에서 바깥세계와의 관계성을 끊어버리고 자기만의 개별성 속으로 함몰되어 버린 자의 고독(자기애적인 퇴행)이 유리창 이미지로 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초기시와 중기시의 경계선상에 놓여 있는 「유리창」 연작에서 이 유리창 이미지는 근본적으로 변화한다. ‘삶/죽음, 밝음/어둠, 나/너’ 등을 닿을 수 없을 만큼 떼어놓았던 유리벽은 삶과 죽음, 어둠과 밝음, 나와 너 등이 공존하며 마주 닿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 여기에는 비참한 현실에서 도망하여 내면에 숨어버리는 대신 현실의 고통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시인의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현실의 고난과 비애가 도리어 우리를 삶의 비극성 너머로 이끌어준다는 인식이 「유리창」 연작의 유리창 이미지에 내재해 있는 것이다. 이후 개진되는 종교적 시세계에서 이 유리창 연작의 주제(모티브)는 지속적으로 반복‧발전하면서 나타난다. 이는 시인의 종교적 세계관이 인간의 삶에 숙명으로 내재한 고통(유한성)의 직시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현실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대신 오히려 인간의 비극성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려는 마음가짐을 바탕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뜻한다. 정지용의 종교시에서 시적 자아와 절대자의 마법적인 친밀함은 참혹한 현실에서 오는 고통과 슬픔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태도에서 비롯한다. 절대자가 나와 가까운 곳에 있다는 시적 자아의 종교적 황홀함이 삶의 근원적인 비극성으로서 비애와 공속관계에 놓인 채 나타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사실을 드러내기 위해서이다.

      • KCI등재

        김춘수 초기시의 멜랑콜리 연구

        전병준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9

        This paper focuses on the need for a new viewpoint on the research on the Kim, Chun-soo’s early poems that can reflect them on a universal level after reflection on the sporadic researches of sorrows such as sadness, tears, loneliness in his poem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melancholy discourse was suggested as a methodological viewpoint to pay attention to the early poems of his. In particular, I have taken Walter Benjamin's point of view and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legory and the melancholy and secured the viewpoint of the study. I expect that the hope of salvation and perception of ruins can be interpreted as the allegory discourse, and the melancholy discourse enables a new interpretation of negative emotions from human mortality. Kim Chun-soo often said that he had taken history and society out of his poems, but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he felt the pressure of history and society. He was forced to experience melancholy, which was characterized by sorrow and depression because of the violence of history and the shame as a weak individual in front of the history and the society. The everyday experience of the violence of history making ruins is a characteristic that is often found in Kim Chun - soo 's early poetry, and the sadness and tears caused by it are raised by the duality of melancholy. The poetic words, which contain negative emotions such as sadness and tears that often appear in the early days of Kim Chun-soo, are the result of judgments and reactions to the era. In this sense, it is somewhat clear that there is enough room to consider the poetry of this period as the duality of melancholy, the harmful melancholy and the positive heroic melancholy. It was a dark and difficult time for him to feel anxiety and sadness, yet the conception of such an emotional state is the expectation and hope of a state that can transcend anxiety and sorrow. The toughness of expectation and hope has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and offers the courage to overcome despair. 본 논문은 김춘수 초기시에 자주 등장하는 슬픔과 눈물, 고독과 허무와 같은 시어들이 산발적으로 연구된 기존 경향을 반성적으로 검토한 끝에 이들을 보편적인 수준에서 다룰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목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김춘수 초기시를 새로이 주목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각으로 멜랑콜리 담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발터 벤야민의 관점을 원용하며 알레고리와 멜랑콜리의 상호 관계에 주목해 연구의 관점을 확보하였던바, 폐허에 대한 인식과 구원에 대한 희망이 알레고리 담론으로 해석 가능하고, 인간의 필멸성에서 오는 부정적인 감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멜랑콜리 담론이라는 것이다. 김춘수는 역사와 사회를 시에서 탈각시켰다는 말을 자주 하였지만 이는 오히려 그가 역사와 사회의 압박을 강하게 느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는 역사의 폭력과 그 앞에서 나약한 개인으로서 수치심과 부끄러움을 느꼈던 까닭에 슬픔과 우울로 대변되는 멜랑콜리를 경험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폐허를 만드는 역사의 폭력이 일상적으로 경험되는 것이 김춘수 초기시에서 자주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거니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슬픔과 눈물은 멜랑콜리의 이중성을 통해 새로이 해석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춘수 초기시에 자주 등장하는 슬픔과 눈물과 같은 부정적인 기운을 내포하는 시어들은 당시 상황에 대한 판단과 반응의 끝에 산출된 결과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기 시를 멜랑콜리의 이중성, 곧 해로운 멜랑콜리와 긍정의 영웅적 멜랑콜리로 나누어 고려할 여지가 충분히 있음이 어느 정도 해명되는 것이다. 어둡고 힘든 시기인 까닭에 불안과 슬픔을 느낄 수밖에 없었으나 그럼에도 그러한 감정상태가 잉태하고 있는 것은 불안과 슬픔을 넘어설 수 있는 상태에 대한 기대와 희망이다. 이러한 기대와 희망이 불안과 공포도 견딜만 한 것으로 만든다. 기대와 희망의 강인함이 도래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지닌 채 절망을 극복할 수 있는 용기를 선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지훈 시의 시기 구분 문제와 중기시의 의의

        신철규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3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 of mid-term poems as a bridge connecting the early and later poems of Cho Ji-hoon. To this end, the period division of works will be re-established as a preemptive action. Existing studies failed to approach the poetic structure as they followed the period division of life that the poet himself attempted, and had the problem of overlooking the fact that there was a poetic conversion in which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intersects between the dark ages before liberation and the turbulent times after liber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critical stance on viewing poetry from the 1950s until his death as continuous and consistent and to uncover its discontinuous aspects to identify the structural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Cho Ji-hoon's mid-term poems. In this paper, early poems were approached by dividing into three types, limiting the period from the time they were started to the period of Woljeong Temple in Odae Mountain. First, the poems of the Baekji group are based on the separ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the dissonance with the world, which reveals a divided sense of self. Second, the munjang group reveal an aesthetic awareness based on the confusion of subject and object and the assimilation with the world. While the above two series of poems commonly pursued technicalism, the poems of the "Gosa" series feature anti-technicalism. Cho Ji-hoon's early poems feature a sense of distance to the real world and a aesthetic distance to the object without the poetic subject intervening as much as possible. The poetic subject based on a fixed standpoint outside the work takes an attitude of appreciating the object by keep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orld, or only reveals the ideological ontology of nature through objective description of nature. The beings in nature are interconnected and nature is represented by aesthetic virtual image, which lies in a state of harmony and reconciliation. The works from the early to late 1940s, which can be called mid-term period, show the spirit of adapting to nature or the world and trying to ultra-polarize it by engaging in conflict and dissension with the world(nature) and deviating from the perfunctory attitude based on aesthetic distance.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the poems of this period is the emergence of the unmarked subject “I” at the surface of the work, revealing the existential sorrow stemming from the “contradiction of experience.” Unlike nature in its early days in a world where “micro-virtual” or totality is implemented, nature in mid-term periods is in an imperfect state that implies an instrument of negativity by the reflection of the principal being involved. 이 논문은 조지훈의 초기시와 후기시를 이어주는 교량으로서의 중기시의 특징과 그 의미를 살펴본다. 이를 위한 선제적 작업으로 조지훈 시의 시기 구분을 재확정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시인 자신이 시도한 삶의 편력 과정을 따른 시기 구분을 답습하면서 시적 구조를 중심으로 접근하지 못했고, 해방 전의 암흑기와 해방 후의 격동기 사이에 연속과 불연속이 교차하는 시적 전회(轉回)가 개재되어 있다는 것을 간과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1950년대 이후 그가 작고할 때까지의 시를 연속적이고 일관된 것으로 보는 데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그 불연속적인 면을 밝혀서 조지훈 중기시의 구조적 특징과 그 의의를 규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초기시들이 등단 무렵에서 오대산 월정사 시기까지를 초기시로 한정하고 세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접근했다. 첫째, ≪백지≫ 계열의 시들은 주객의 분리와 세계와의 비동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분열된 자의식을 드러낸다. 둘째, ≪문장≫ 계열의 시들은 주객의 혼융과 세계와의 동화를 기반으로 심미적 인식을 드러낸다. 위의 두 계열의 시들이 공통적으로 기교주의를 추구한 반면, 「고사」 계열의 시들은 반기교주의를 그 특징으로 한다. 조지훈의 초기시는 시적 주체가 최대한 시적 상황에 개입하지 않으면서 현실 세계에 대한 거리감과 대상에 대한 미적 거리를 확보하는 특징을 보인다. 작품의 바깥에서 고정된 입각점을 바탕으로 한 시적 주체는 세계와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지켜봄으로써 대상을 완상하는 태도를 취하거나 관자연의 대한 객관적인 묘사를 통해 자연에 대한 관념적 존재론을 드러내는 데 그친다. 자연 속에 있는 존재들은 무매개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연은 조화와 화해의 상태에 놓여 있는 미적 가상으로 표상된다. 중기시라고 할 수 있는 1940년대 초반~후반까지의 작품들은 자연이나 세계에 순응하고 미적 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관조적 태도에서 벗어나 세계(자연)와 갈등하고 불화하면서 그것을 초극하려는 정신을 보여준다. 이 시기의 시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언표 주체 ‘나’가 작품의 전면에 등장하면서 ‘경험의 모순’에서 비롯된 존재론적 비애를 드러내는 것이다. 초기시의 자연이 ‘미적 가상’ 또는 총체성이 구현된 세계로 존재하는 것과 달리 중기시의 자연은 주체의 반성이 개입함으로써 부정성의 계기를 내포한 불완전한 상태에 놓여 있다.

      • KCI등재

        김동명 초기시 연구

        전도현(Jeon Do-H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9 No.-

        본 연구에서는 당대의 주요 잡지에 대한 실증적 조사를 통해 김동명의 초기시 텍스트를 확충?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세계의 다양한 경향과 특질을 고찰하였다. 김동명의 초기시는 흔히 외래 사조의 영향을 받은 퇴폐적 경향의 작품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이고 예외적인 경향에 불과하며, 그의 초기 시세계는 삶의 정서와 자연친화적인 서정, ‘님’을 향한 신앙적 기구와 이상 세계에의 지향, 종교적 상상력과 현실 의실의 결합 등 다기한 흐름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초기시의 제 특질은 시인의 시의식을 구성하는 기본 인자로서, 이후 중?후기 시세계의 바탕을 이룬다. 또 이 초기 시편들에서 발견되는 특유의 시적 발상과 수사법도 그의 시세계 전반에서 핵심적 방법론으로 기능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오랜 기간 김동명의 시세계가 보여준 변모 속에 내재된 지속의 요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그의 초기시를 ‘퇴폐적 감상성’의 세계로 바라보는 단선적 시각은 재고되어야 한다. 김동명의 시세계에서 이 시기는 당대 문단의 지배적인 조류에 영향 받으면서도, 나름의 다양한 실험과 시도를 통해 개성적인 상상력과 어법을 구축해갔던 모색기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has studied various tendency and specific character of Kim, Dong-Myung’s early poems after expanding and arranging his poetical composition through empirical research into main magazine of the time. Kim, Dong-Myung’s early poems commonly have been judged as a work of decadent tendency that was influenced by the foreign literary trend. But It was a passing phase. Most of his early poems showed multiple aspect which contained sentiment of life, lyricism of close-to-nature, orientation to an ideal world and one’s beloved being(‘님’), the fusion of religious imagination and reality-consciousness. This various characteristic of early poems were key factor that consists of Kim’s poetic cinsciousness. It was foundation of the middle and latter world of his artwork. In addition the unique poetic idea and rhetoric of early poems was also essential method in his whole poems. From this viewpoint, it must be reconsidered to regard Kim’s early poems merely as a world of decadent tendency.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at this time, in his whole literary world, was period of trying to find a individual imagination and poetic diction through the varied attempt, although influenced by predominant the current of the literary world.

      • KCI등재

        고정희 초기시에 나타난 실존의식 연구 -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 를 중심으로 -

        정치훈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9

        본고의 목적은 고정희 초기시에 나타난 실존의식 을 ‘ ’ 되짚어보고 시세계의 전개 과정을 다져나가는 데있다. 주지하다시피 고정희에 대한 논의는 ‘여성주의 문학의 선구자’라는 평가와 함께 후기시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에 따라 초기시는 후시기로 나아가기 위한 과정의 일부이자 한계로 놓이기도 한다. 다만 중요한 것은 초기시는 고정희 시세계의 ‘출발점’임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고정희 시세계의 중핵이라고 할 수 있는 ‘민중’과 ‘여성’에 거리를 두고 ‘실존의식’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고정희가 언급한 바 있듯 초기시는 실존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이에 대한 언급은이루어진 편이나 본격적인 논의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고정희의 실존의식 형성 배경을먼저 살펴본 뒤 구체적인 양상으로써 ‘초월론적 인식’과 그 실천을 살펴본다.

      • KCI등재

        남성 뮤즈와 여성 시인의 목소리 : 실비아 플라스 초기시 연구

        고찬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1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Sylvia Plath searched for the female poetic voice, by tracing the aspects of her early poems.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Plath disclosed the violence of male-centered literary tradition against women poets although her early poems seem to be written from a male point of view. In her poems, "Snakecharmer", "Full Fathom Five", and "The Colossus", it is particularly found that Plath hoped to be empowered with the poet's voice, which nevertheless resulted almost in silence or babbling. Plath, indeed, devised a strategy in order to show that, for women poets, the patriarchal literary tradition is a destructive power rather than a generative one. Namely, women poets are not able to fully grow out of a male-oriented tradition. On that account, she tried to represent in her early poems herself who sought to be empowered with an authoritative voice, invoking the male muse, but this ended in failure. Plath was skeptical about the way she had desired to find her own voice by relying upon the male muse, and she needed to free herself from that literary tradition. 이 논문은 실비아 플라스의 초기시를 연구함으로써, 남성중심 문학 전통에서 여성 시인으로서 갖게 되는 어려움과 그로 인해 느낀 고뇌와 갈등이 플라스를 결국 여성 시인의 자아를 추구해 나가도록 만든 불가피한 요소였음을 밝히려고 한다. 본고는 플라스가 초기 작품에서 주로 남성중심의 시적 전통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지만, 오히려 남성 전통이 여성 시인의 성장을 저해하는 파괴적 힘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비록 플라스는 처음에 여성은 시인으로서의 자신감을 가지기 힘들다는 생각으로 남성중심 시각에서 시를 쓰기 시작하고, 그러한 글쓰기로부터 권위있는 목소리를 부여받기를 원했지만, 남성 전통과 여성 시인이 융합되기 힘들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남성 전통에 대한 회의를 느끼게 된다. 이렇게 남성 전통에 편입하려는 시도가 실패로 끝나는 모습을 시적 자아로 투영시킨 플라스의 초기 시들을 집중 분석한다. 그녀의 초기시, 「뱀부리는 사람」("Snakecharmer")과 「다섯 자 깊이」("Full Fathom Five"), 그리고 「거상」("The Colossus")에서 남성중심 전통이 그녀에게 창조적이면서 동시에 파괴적인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발견된다. 이와 함께 여성 시인으로서 자신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남성 전통에서 벗어날 필요를 느끼는 플라스를 엿볼 수 있다. 이제까지 플라스의 초기시는 남성 시인 작품들을 모방하는 습작에 지나지 않는다는 평가를 주로 받아왔지만, 그녀가 이후에 자신감을 획득한 여성 시인으로서의 목소리를 발화하기에 앞서 겪을 수밖에 없었던 진통을 담고 있다는 데 큰 의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