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고층건물의 계획적 측면에서 구조시스템별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상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1

        일반 건축물들과는 달리 초고층건물의 계획 및 설계가 복잡하고 어려운 이유는 초기 설계단계부터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많고, 요소들 상호간의 연관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이다. 초기 기획단계에서 설정된 컨셉(Concept)을 바탕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가면서 코어와 평면의 크기 및 형태가 결정되고, 궁극적으로 건물의 규모 및 형태가 수많은 피드백 과정을 거쳐 결정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초고층건물의 규모와 형태에 적합한 구조시스템이 동시에 결정된다. 이렇게 초고층건물의 형태와 구조시스템은 초기 설계단계에서부터 상호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설계가 진행된다. 구조는 건축형태를 제압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융화되어야 하고 시각적으로도 형태를 명료하게 하면서 풍요롭게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고층건물의 형태와 구조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초고층건물의 형태와 구조시스템의 발전을 규명하며, 현존하는 소위 100층 규모 이상 초고층건물의 형태와 구조시스템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계획적인 측면에서 초고층건물의 구조시스템별 형태적 특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More than 100-stories tall buildings are no longer the exclusive property of other developed cities. The tall buildings are located as the pivot of the city, maximizing the symbolic value of the nation, the city and the corporation. However, the domestic technology level, such as planning, structural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is not sufficient in the circumstances,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is evaluated worldwide. Accordingly, most of the tall building developments in Korea are forced to depend on overseas companies such as SOM, KPF and so on. Unlike general buildings, the planning and design of tall buildings are complex and difficult. Because the many factors are involved in the initial design stages, and their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are complex. Based on the concepts set forth in the initial planning phase, these problems are resolved by determining the ultimate size and shape of the building.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al system suitable for the size and shape of the skyscraper is determined. Architecture should be naturally harmonized with the structural system. Thu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various prior studies of the form and structural system for the tall building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rms and structural systems of tall buildings which is above the 400m or 100 stories existing building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super tall buildings by the structural systems in terms of the architectural planning will be revealed.

      • KCI등재

        복합용도 초고층건물의 용도조합별 형태적 특성 분석

        박상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4

        수직도시(Vertical City), 도시 속의 도시(Town in Town)로 표현되는 초고층건물은 일반 건축물과는 달리 랜드마크(Landmark)로서 그 도시의 상징성을 극대화하고, 복잡한 도시 환경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이다. 따라서 초고층건물은 도시전체의 교통, 환경 및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최근 국내에도 서울에 Lotte Super Tower(555m), 상암 DMC Landmark Tower(640m), Archipelago21(665m), 인천에 Incheon 151 Tower(610m), 부산에 World Business Center(550m) 등 100층이 넘는 초고층건물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복합용도 초고층건물은 1964년 시카고에 Marina City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도시 생활의 질과 에너지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관심은 복합용도 초고층건물을 실현시켰고 다양한 형태로 점진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에 걸쳐서 건립된 초고층건물 중 복합용도 초고층건물의 비율은 2000~2004년에 10.5%, 2005~2010년에 17.8%로 증가하고 있다. 2000년 이전 10% 미만 이였던 것을 감안한다면 그 비율이 급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최근 제안되는 초고층건물은 대부분 복합용도로서 이는 초고층건물의 경향 중 중요한 요소임을 반증한다. 하지만 국내 복합용도 초고층건물의 설계는 경험과 기술력 부족으로 인하여 대부분 해외 설계사에 의존해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복합용도 초고층건물의 계획은 용도별 리스스팬, 층고 등 계획요소들이 서로 다르고, 수직 동선체계에 의한 코어계획이 복잡하며, 이러한 계획요소들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다루면서 적절히 조화된 건물 형태를 디자인하는 데는 많은 경험과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복합용도 초고층건물의 현황을 파악하고, 용도조합별 계획요소에 의한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논문의 결과는 복합용도 초고층건물 설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함께 향후 국내 설계사들의 국제적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e tall building represented as a vertical city and a town in town maximizes the symbolism of its city as a landmark of a city and a plan to solve the environment of a complicate city. As the years go by, the tall building construction market has been expanding and the demand for multi-use tall building has been increasing. In addition, the lately suggested tall building are mostly multi-use purpose so that it disproves that one of the tall building tendency is multi-use development.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multi-use tall building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by planning factors by functional configuration and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 1) Arrangement of main planning factors influencing the types when planning the multi-use tall building. 2) Analysis of the types by use composition through case study. 3)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as a method to maintain the appropriate lease span by use and space efficiency. This paper is expected to help experts in the multi-use tall building related development, design, structure and construction understand the multi-use tall building accurately.

      • KCI등재

        초고층 건물의 효과적인 화재진압 전술에 관한 연구

        우성천,채진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

        도시의 사회·경제적 기능 확대와 인구의 대도시 집중현상으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 중 하나로 초고층 건축물의 건설이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초고층건축물의 다양성, 다기능성, 복잡성 등의 특성은 인구의 집 중, 불특정 다수인의 이동, 거주공간의 복합화를 야기하며 테러, 화재 등과 같은 재난발생시 피해 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대규모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초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 을 경우 초고층 건물이 내포하고 있는 취약성과 현장대응활동에 수반되는 제약성 등을 고려한 효율적인 화재진압 전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고층 건물의 개념과 특성을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초고층 건물의 국 내·외 화재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초고층 건물 화재진압 작전전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 다. 연구의 결과 첫째, 효과적인 초고층 화재 진압을 위해서는 시민 요구와 의견이 반영되고 시민사회의 적극적 지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고층 건물의 소방시설을 활용한 화재진압훈련을 실시하여 화재진압기법을 개발· 보급하고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초고층 건물 화재현장에 화재진압대원의 접근성을 향상시 키기 위해서 소방헬기를 이용한 화재현장 진입방안과 피난전용 승강기를 이용한 화재현장 진입방안을 제안하였 다. 넷째, 소방헬기에 방수포를 장착하여 초고층 건물에 직접 방수 할 수 있는 시스템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 는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초고층 건물 화재진압전술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초고층 건물의 소방안전 을 법적·제도적 지원할 수 있는 규정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재난 현장에서 일사분란한 활동으로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조직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일곱째, 초고층빌딩의 다양한 문제점 등을 바 탕으로 전문가의 화재진압전술에 대한 연구개발(R&D)필요하다. 여덟째, 재난은 예방에 못지않게 사후 학습이 매 우 중요하다.

      • 지역자원시설세 특정부동산분 중과세 제도의 개선방안 - 중과세율 적용대상을 중심으로 -

        박상수 한국지방세연구원 2019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2019 No.3

        □연구목적 ○ 정부는 “국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안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주요 기반시설, 건축물, 지하매설물 등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유지·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올해 들어 정부는 노후 건축물 안전관리 대책(2019년 1월), 석유·가스 및 유해화학물질 저장시설 안전관리 대책(2019년 2월), 노후 기반시설의 안전관리 대책(2019년 6월)을 발표함. ○ 안전에 대한 국민의 요구, 정부의 맞춤형 안전관리 체계 구축 등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 대상도 확대될 필요가 있음. -정부가 안전관리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안전재원 마련이 필요하며, 지방세 중 지역자원시설세(특정부동산분)는 지역의 소방사무, 특수한 재난예방 등 안전재원의 확보 수단임. -소방시설에 충당되는 지역자원시설세 특정부동산분은 안전관리 법령의 변화에 따라 화재 위험성이 큰 건축물 등을 중과대상으로 꾸준히 확대해왔음. ㆍ 2018년 말에 「지방세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지역자원시설세 3배 중과 대상인 대형 화재위험 건축물에 “정신의료기관으로서 병상이 100개 이상인 의료기관 및 병원급 의료기관 중 5층 이상의 종합병원·한방병원·요양병원으로서 병상이 100개 이상인 의료기관”을 추가함. ○ 본 연구에서는 안전재원 마련 차원에서 최근 정부가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지하시설물, 노후 건축물 등을 대상으로 지역자원시설세 특정부동산분 중과세율 적용대상을 추가하는 방안을 중점 검토함. -본 연구에서는 특정소방대상물 중 중과세율 적용대상이 아닌 지하시설물 중 도관시설(송유관, 가스관, 열수송관 등), 노후 건축물, 50층 이상 초고층 아파트 등을 중심으로 중과세율 적용대상에 포함하는 것을 중점 검토함. □주요내용 ○ 지역자원시설세 특정부동산분에 대한 중과세 제도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음. -첫째, 중과세율 적용대상에서 주거용 건축물이 제외되는 등 주거용 건축물과 비주거용 건축물 간 불형평이 나타나고 있음. ㆍ 4층 이상 비주거용 건축물은 중과세율 적용대상이나 주거용 건축물은 중과세율 적용대상에서 제외됨. ㆍ 2017년 기준 비주거용 건축물의 평균세율은 0.203%로 주택(0.059%)의 3.42배임. ㆍ 주거용 건축물과 비주거용 건축물 간 세부담 격차가 상당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자원시설세의 편익원칙, 수익자-원인자부담 원칙에도 맞지 않음. -둘째, 중과세율 적용대상에 지하시설물과 노후 건축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 ㆍ 주요 지하시설물인 송유관, 가스관, 열수송관 등 도관시설은 지역자원시설세 비과세 대상임. ㆍ 노후 건축물은 구조적 결함 등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율 적용대상이 아님. ㆍ 이는 노후 건축물과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부의 안전관리 강화 정책과 어긋난 것임. ○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하시설물, 노후 건축물, 초고층 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중과세율 적용대상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함. ○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율 적용대상 추가 여부의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음.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율 적용대상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소방시설법 등 관계 법령에서 안전관리 대상으로 집중하여 관리하고 있는지를 우선 살펴봄. ㆍ 지역자원시설세는 소방시설법의 특정소방대상물 중에서 중과대상을 규정하고 있으며, 소방시설법의 특정소방대상물은 화재위험 정도, 피해 규모 등을 고려하여 지정됨. -유사대상과의 과세형평성 측면에서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율 적용대상의 포함 여부를 검토함. ㆍ 소방시설법에 의한 특정소방대상물의 해당 여부,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 층수 등의 특성이 유사하지만,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율 적용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면 과세 형평성 문제가 발생함. ㆍ 과세 형평성에 문제가 있는 건축물에 대해서는 중과세율 적용대상에 포함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함.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율 적용대상을 판단하는 데 납세자의 재산가치, 영업이익 등 담세력을 고려함. ○ 도관시설 검토 결과 -지역자원시설세 특정부동산분은 그간 화재 위험성이 큰 건축물 등을 중과대상으로 추가 과세해온 만큼 대형화재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도관시설에 대해서도 중과대상 적용이 필요함. ㆍ 20년 이상 노후화 비율은 송유관 98%, 가스관 35%, 열수송관 26%임. ㆍ 향후 시설 노후화가 심해질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사고 발생 위험성은 더욱 커질 수 있음. ㆍ 화재를 초래한 원인자에게 금전적 부담을 지우게 한다는 점에서 도관시설에 대한 중과는 지역자원시설세의 과세목적에도 부합함. -도관시설은 소방시설법의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만, 지역자원시설세가 부과되고 있지 않는 등 과세 형평성 문제도 있음. ㆍ 현행 제도하에서 가스관의 경우에는 저장시설 여부, 송유관의 경우에는 배관의 길이 차이에 따른 과세 형평성 문제도 있음. -지방세법에서 지역자원시설세 특정부동산분 중과대상에 화재위험성이 높은 도관시설을 추가함으로써 소방청 등 관계기관의 안전관리 정책과 조화를 꾀할 수 있음. -도관시설에 대해 지역자원시설세 부과 시 세수효과는 80~160억원 정도로 추정됨. ㆍ 영업이익 대비 지역자원시설세 부과 비율은 1~2% 수준이므로 납세자의 조세저항은 크지 않으리라고 예상함. ㆍ 하지만 소수의 납세의무자에게 세부담이 집중되므로 조직적 반발이 있을 수 있으며, 지역자원시설세 중과는 도시가스비, 냉난방비 요금 인상 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할 수 있음. ○ 노후 건축물 검토 결과 -노후화된 건축물은 화재 발생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고, 화재위험과 반비례 관계를 보이므로 중과세율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음. ㆍ 도시정비법, 시설물안전법 등에서는 준공된 후 15~20년 이상이 된 건축물을 안전사고 및 재난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고 보고 안전관리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음. ㆍ 건축물의 노후화는 발화의 주요 요인인 전기적 요인과 기계적 요인과의 관련성이 있음. ㆍ 노후 건축물은 화재 위험이 증가하지만 지역자원시설세액이 줄어드는 불합리함이 있으므로,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이 지난 건축물에 대해 지역자원시설세를 중과할 필요성도 있음. -노후 건축물에 대한 정부 차원의 안전관리 강화를 고려할 때 일정 기간이 지난 건축물에 대해 중과세율을 적용하는 것은 타 부처 정책과 부합함. ㆍ 시설물안전법에서는 재해와 재난을 예방하기 위해 16층 이상의 공동주택을 제2종 시설물로, 준공 후 15년이 지난 건축물을 제3종 시설물로 지정하고 관리하도록 하고 있음. -노후 건축물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율 적용 방안으로 준공된 후 20년 이상 된 16층 이상의 공동주택에 대해 지역자원시설세를 2배 중과하는 것을 검토할 수 있음. -준공된 후 20년 이상된 16층 이상의 공동주택에 대해 지역자원시설세 2배 중과 시 세수 효과는 약 490억원 정도로 추정됨. ㆍ 지역자원시설세 2배 중과 시 주택공시가격 대비 세액 증가분의 비율은 0.001%~0.014%에 불과함. ㆍ 노후 건축물에 대해 지역자원시설세 2배 중과 시 납세자가 추가로 부담하는 비율이 얼마 되지 않으므로 세입자 등에게 세부담을 전가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됨. ㆍ 하지만 주거환경이 열악한 노후 건축물의 소유자가 중과세율 적용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반발이 있을 수 있음. ○ 초고층 아파트 검토 결과 -초고층 건축물(50층 이상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매우 크며,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화재 예방과 피해 경감 비용은 일반 건축물보다 더 높으므로 안전관리 비용 조달 차원에서 지역자원시설세 중과대상에 초고층 아파트를 포함할 필요가 있음. ㆍ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소방장비를 갖추기 위해서는 상당한 예산이 투입될 수밖에 없음. ㆍ 최근 화재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주거시설에 대한 화재가 잦으며, 초고층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 시 고가사다리차와 굴절사다리차 등 특수 소방차를 배치하는 기준에는 주거용 건축물도 포함됨.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 대상에서 비주거용 건축물만 포함하며, 주거용 건축물은 포함되지 않으므로 비주거용 건축물과 주거용 건축물 간에 과세 형평성 문제가 있음. -지역자원시설세 중과대상에서 초고층 아파트는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정부는 초고층 아파트 등에 대해 대형 인명피해를 우려하여 특별 관리하고 있으므로 초고층 아파트를 중과대상에 포함함으로써 타 부처 정책과의 조화를 꾀할 수 있음. -초고층 아파트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2배 중과세율 적용 시 세수효과는 107억원 정도임. ㆍ 지역자원시설세 2배 중과 시 주택공시가격 대비 세액 증가분의 비율은 0.022%임. ㆍ 납세자가 소유한 주택의 공시가격과 거래가격을 참작하면 지역자원시설세 중과 시 세액 증가분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4배 중과세율 구간 신설 여부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고, 소방공급서비스 비용이 큰 초고층 건축물에 대해서는11층 이상의 건축물보다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 측면이 있음. ㆍ 초고층 건축물의 진압에 필요한 특수 소방차 등은 일반 소방차보다 고가일 뿐만 아니라 운용에 있어 추가적인 인력 및 교육 훈련이 필요하므로 소방서비스 공급 비용이 큼. ㆍ 하지만 정부가 특별관리하는 초고층 건축물의 평균세율(0.359%)이 11층 이상의 건축물(0.356%)과 별다른 차이가 없음. -초고층 건축물에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기 위해 4배 중과세율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ㆍ 현재 재산세에서는 별장, 골프장, 고급오락장에 대해 중과하고 있으며, 중과세율은 표준세율의 10~40배임. -초고층 건축물에 대해 4배 중과세율 적용하더라도 세수증대 효과는 미미하고, 편익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됨. ㆍ 초고층 건축물에 대해 현행 3배 중과세율 적용대상에서 4배 중과세율 적용대상으로 변경할 경우 서울시의 세수는 10.8억원 정도가 증가함. ㆍ 서울시의 경우 초고층 건축물에 대해 4배 중과세율 적용 시 세수증가액이 지역자원시설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47%임. ㆍ 현재 지역자원시설세는 중과세 비중이 상당히 높은 상황에서 새로운 중과구간을 신설하는 것은 ‘안전’이라는 공공재를 공급하면서 그 재원의 부담을 특정 대상에게 집중함으로써 편익과세의 원칙을 위배하는 결과를 초래함. ㆍ 소방 등 안전관리의 혜택은 모든 주민이 공동으로 누리므로 특정 대상에만 중과하기보다는 소방서비스를 받는 모든 수혜자를 대상으로 세율 인상을 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음. □정책제언 ○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 제도의 개선과 관련하여 가장 우선하여 검토할 사안은 공동주택에 대한 중과세율 적용대상 여부임.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율 적용대상에 비주거용 건축물만 포함되지만, 주거용 건축물은 제외되지 않으므로 과세 형평성 문제가 있음. -주거용 건축물과 비주거용 건축물 간 세부담 격차는 지역자원시설세의 편익원칙에도 맞지 않음. ○ 지역자원시설세의 과세목적인 안전재원의 안정적 조달과 비주거용 건축물과의 과세 형평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일정 요건을 갖춘 공동주택을 중과세율 적용대상에 포함할 필요가 있음. -지역자원시설세 중과세율 적용대상에 공동주택을 포함하는 경우, 납세자의 정책 수용성 등을 고려하여 초고층 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 KCI등재

        초고층 건물 신축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도시 이미지 개선에 미치는 영향 분석

        권소혁(Kwon, So Hyeok) 대한부동산학회 2020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동대문구에 신축 중인 65층 건물을 대상으로 초고층 건물 신축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도시 이미지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초고층 랜드마크 건물의 가치형성에는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초고층 랜드마크의 가치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 이미지 개선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고층 랜드마크 건물의 가치는 주거, 상업, 문화시설 등 건물시설이 아니라 초고층의 외형적 특성과 랜드마크의 인지적 특성이 중요하였다. 초고층 건물 신축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 이미지 개선은 긍정적인 영향을 및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고층 건물의 상징성은 도시 이미지와 연결되므로, 도시 이미지를 고려한 종합적인 설계가 필요하며, 초고층 건물에 입점하는 신규 상권이 지역 상권과 연계되어 상생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여야 지역경제 활성화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nstruction of a new high-rise building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image of 65-story buildings in Dongdaemun-gu, Seoul. First, it was confirmed which factors directly influence the value formation of the skyscraper buildings.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high-rise landmarks and the improvement of the regional economy and urban imag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value of the high-rise landmark building was not considered the facilities inside the building such as residential, commercial, and cultural facilities. It is important that the exterior characteristics of the skyscrapers a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landmarks.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improvement of urban image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and in particular, it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urban imag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changing the urban image in terms of the symbolism of the skyscraper is greater than the creation of jobs or the promotion of consumption by the skyscraper.

      • KCI등재

        초고층건축요소별 법제도 개선방향

        유일한,엄신조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0 No.6

        최근 초고층건축 사업추진 및 수행을 위한 관련 기술개발과함께, 사업 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관련 법·제도개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 초고층복합빌딩사업단에서는 초고층복합빌딩 법·제도 및 지원정책관련 연구를진행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1차년도 결과의 일부로서, 초고층건축 지원을 위한 법·제도 및 지원정책 관련 이슈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초고층복합빌딩 기술요소 유형별 분류체계를 구축하고, 항목별 중요도 및 현황수준평가를 통해 개선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초고층 프로젝트 생애주기에 따라 총68개의 기술요소를 도출하였으며, IPA방법론을 적용하여 중요도 및 현황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글로벌기준의 초고층 법·제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으며, 초고층을 중심으로 하는 국내 건축 관련 법·제도 선진화의 기반이 될 수 있다. Recently, with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y for supertall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the need for an improvement of the related legal system is increasing dramatically. Therefore, the supertall Buildings R&DB Center,which is fund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is studying the legal system for supertall buildings. This research, as one part of the 1st year research results, aimed at studying supertall building project related issues and problems to develop supertall building elements, and conducting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these elements in order to conclude a strategy and direction for an improvement of the related legal system. A total of 68 supertall building elements were derived, and the IPA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se elements based on attribute types. Furthermore, an improvement strategy and directions were suggested for upgrading the legal system related to supertall buildings to the level of global standards. These efforts can be the base for advancing the legal system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n all areas, including supertall building construction

      • KCI등재

        초고층건축물에서의 효과적 재난대비 방안

        김태진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4 경찰학논총 Vol.9 No.2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안전’과 ‘재난관리’가 우리나라의 중요한 정책과제로대두되었다. 그런데 대형 해 난사고 못지않게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분야가 급증하는 초고층건축물에서의 재난이라 할 수 있다. 초고층 건축물에서 폭발이나 화재 등 사난상황이 발생한다면 엄청난 인명손실로 이어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초고층건축물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할 경우 그로 인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 하여 거론되는 여러 방안 중에서 특히 현실적으로 적용가능한 대비 방안을 검토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그동안 초고층건축물의 ‘안전’을 위해 여러 방안이 논의되어 왔지만, ‘다중 방어선에 의한 위험요소의 봉쇄 차 단방안’이나 ‘환경설계기법에 의한 재난관리방안’을 활용함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제약점은 비용에 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초고층건축물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여러 방안들은 본래의 목적달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 느냐와 함께 기술적.경제적 관점에서 전체적 조화를 이루는 한편, 건축주 등 비용부담자가 동의할 수 있는 수 준 즉 현실적 적용가능성이 있어야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고층건축물에서의 재난대비를 위해 제시되었던 여러 제안들을 검토하여 현실적용가능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는 방안으로서, 방재설비통제소의 분산 설치, 피난안전구역 의무 설치의 확대 적용, 광폭 대피계단, 소방계단의확보 및 옥상헬기장의 설치, 건물간 육교(sky bridge)의 설치, 대피용 활강장 치(escape chutes)의 설치를 제시하였다. 또한 비용편익의 관점에서 적은 비용을 들여서 비교적 큰 효과가 기 대되는 추가적 제안으로서, 입주자에 대한 반복적 교육훈련,야광으로 빛나는 그림, 신호 등을 활용한 비상대피 로 표시, 디지털통신수단을 활용한상황전파 및 행동요령 지시, 재난의 날 또는 민방공훈련 기회를 활용한 초고 층건축물등 입주자의 대피훈련, 도시기반시설 마비를 상정한 비상절차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Since sinking of passenger liner ship “Sewol”, It has come mostimperative national agenda to tighten of ‘safety standard’ and tomanage of disaster in Korea. But supposedly disaster of tall buildingis more dangerous than marine accident. If an emergency situationsuch as explosion, big fire breaks out at skyscrapers ofwhich height over 200m, it probably causes critical disasters withbig loss of lives and many casualties.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agreeable methods for preventingsuch disaster, reducing losses, in case of breaking out terror orfire against skyscrapers and underground complexes. We’ve foundsome ideas for safety of tall building. For example, there are traditionalmethod to take ‘triple barrier’ technique for blocking attackersand interesting idea of disaster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design. But most important thing to be able to adopt a certain method is‘cost’. While many of the ideas proposed may be able to improvethe safety of buildings, ‘increasing cost’ is a vital concern. So abalance between realistic costs and extremely unlikely eventsshould be maintained. On the base of consideration of realistic feasibility, I suggestsome methods such as decentralization of fire systems, to enforcecompulsory act of fire refuge and rescue floor for more tall buildings, to build wider and additional emergency stairway, to establishseparate exclusive stairway for fire-fighters and heliport on theroof, to construct skybridge, to prepare escape chutes ofemergency.

      • KCI등재

        초고층 건축물의 방재시스템 시공생산성 및 공정관리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허영기,오재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6

        최근에 초고층 건축물의 안전과 관련되어 강화된 규정이 적용된 방재설비 시스템이 계획·시공되고 있으나, 시공품질 불량으로 인하여 많은 재산과 인명의 피해로 이어지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재설비 시스템의 시공품질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 중의 하나인 초고층건축사업 방재설비공사의 생산성 및 공정관리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관련법규 및 관리현황, 그리고 공사절차 및 주요공종 등을 분석하였다. 시공이 완료된 사업들의 공사비 자료를 분석하여 생산성 향상 및 공정관리를 통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핵심공종으로 기계공사의‘스프링클러설치 공종’과 ‘옥내소화배관설치 공종’을 도출하였다. 사고사례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밝혀진 방재시설공사의 시공품질을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들로는 전문 인력의 부족,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복합공종의 작업, 그리고 불충분한 공사기간 등이며, 이러한 문제들은 주도급업체의 인식전환과 더불어 소방시공업체의 면밀한 생산성 및 공정 관리가 없이는 해결되기 어렵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고층건축물 방재시설공사의 정량적인 생산성 분석과 이에 근거한 적정한 공정의 계획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방재시설의 시공품질이 향상과 더불어 영세한 소방시공업체가 최대한의 이윤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lthough enhanced safety-related-regulations have been forced into newly constructed high-rise buildings for many years, fire accident cases caused by failure of disaster prevention systems and resulted in many casualties and much damages of properties are frequently reported. As a preliminary research for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process analysis on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high-rise building that will eventually lead to improved quality of the constructed system, related regulations and management practices, its construction process, and major work items are studied. Two work items, namely ‘Installation of sprinkler system,’ and ‘Installation of indoor fire piping system,’ were found to be the major ones that can maximize the effects of will-be-improved productivity and schedule management, as a result of construction cost analysis of historical data.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main reasons of the failure of the system were ‘shortage of advanced engineers,’ ‘works done by multiple crews in narrow work areas,’ and ‘insufficient work duration’ from case studies and experts interview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ose problems were very unlikely overcome without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schedul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future, studies on quantitative productivity analysis, and scheduling and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construc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 KCI등재

        비정형 초고층건물의 형태별 곡면분할을 위한 파라메트릭 툴 구축에 관한 연구

        손상원,박상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4

        비정형건축의 형태는 다양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곡면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힘입어 형태 디자인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자유곡면의 구현에 많은 난관이 존재한다. 특히 부재의 생산, 시공성의 확보, 패널의 최적화 단계에서 기술적 어려움이 산재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된 곡면의 수학적 정의가 어렵고 일반적인 정형의 건축과는 다른 설계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비정형 초고층건물의 경우, 비정형 건축의 자유곡면 해석과 초고층건물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비정형 초고층건물의 형태별 분류 및 다양한 곡면분할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비정형 초고층건물의 형태별 곡면분할방식을 분석하고, 각 형태 및 곡면분할방식별 분할이 가능한 파라메트릭 툴을 구축하여 실제 모델에 적용해봄으로써 그 효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Recently,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the irregular architecture are increasing. Form of irregular shaped architecture is to pursue expressionistic free-form through not straight line but curve which has various curvature. Alth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enables irregular shaped architectur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alization of the curved surface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In particular, there are technical difficulties during the optimization phase of panels such as the producing of element, securing construct ability, keeping the original curved surface. These phenomena is because the mathematical definition of designed curved surfaces is difficult and the irregular shaped architecture require a different design process from the common shaped architecture. In case of irregular-shaped tall buildings, The continuous research is required because architects consider analyzing curved surface of irregular shaped architecture and characterization of tall buildings. Many researches are about the space planning and structure of irregular-shaped tall buildings. However, the process of Curved-surface division is rare in the field. So in this study, we propose reasonable process to develop Curved-surface division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regular-shaped tall building facade.

      • KCI등재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의 내진성능평가

        김선웅,Kim, Seon-Woo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4 No.3

        본 논문은 강풍대이면서 약진대에 위치하는 내풍설계된 초고층건물이 경험할 수 있는 잠재적 지진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통해서 탄성내진설계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최근에 가장 각광받고 있는 구조시스템인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를 내풍설계하고, 내풍설계과정에서 상당한 시스템초과강도가 유입됨을 확인하였다.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에 대하여 다양한 지반조건에 따른 응답스펙트럼해석과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와 같이 강풍대에 위치하면서 약진대에 속하는 환경하에서 세장비 5.2이상의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는 5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는 탄성저항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세장비 6.9의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는 24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도 탄성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5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는 부재수준에서 지반조건에 관계없이, 24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도 $S_E$지반을 제외하고는 세장비 5.2이상의 모델에서 모두 "즉시거주" 수준을 나타내었다. 시스템수준에서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는 5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 세장비 5.2이상의 모델은 $S_A$와 $S_B$지반에서는 즉시거주, $S_C{\sim}S_E$ 지반에서는 "인명안전" 수준을 나타내었다. 24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는 500년 재현주기보다 한 단계 낮은 내진성능수준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elastic seismic design for highrise buildings through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for potential earthquakes that wind-designed highrise buildings located in strong wind zone and low seismicity can be experienced.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which is the most loved structural system in recent years were wind-designed and the substantial system overstrength due to wind design procedure is verified, For the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the response spectrum analysis and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by various soil sites were conducted. It was showed that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with slenderness of greater than 5.2 under strong wind and low seismic zones such as Korea peninsula can resist elastically for the 500 year return period earthquake and have the possibility of seismic design for the 2400 year return period earthquake. In the member level,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with slenderness of greater than 5.2 all presented the immediate occupancy level regardless of soil sites for the 500 year return earthquake and excluding the $S_E$ soil site for the even 2400 year return period earthquake. In the system level,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with slenderness of greater than 5.2 showed the immediate occupancy level for $S_A$ and $S_B$ soil sites and the life safety for $S_C$ to $S_E$ soil site in the 500 year return period. The seismic performance level of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for the 2400 year return period earthquake displayed one step lower than the 500 year return period earthqu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